존 보인턴 프리스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는 영국의 소설가, 극작가, 방송인, 에세이 작가, 평론가로 20세기 영문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1894년 브래드퍼드에서 태어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유머 작가와 평론가로 이름을 알린 그는 소설 《좋은 동반자들》로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을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고, 극작가로서도 성공을 거두어 《밤의 방문객》과 같은 작품을 발표했다. 프리스틀리는 사회주의적 성향을 보이며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으며, 핵 군축 운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다양한 작품을 통해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담아냈으며, 198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반핵무기 운동가 - 제러미 코빈
제러미 코빈은 1949년 윌트셔주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당수와 야당 대표를 역임하고 이즐링턴 노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펼쳤다. - 영국의 반핵무기 운동가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홀 동문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은 루게릭병을 앓으면서도 특이점 정리, 호킹 복사 등의 획기적인 개념을 제시하고 《시간의 역사》와 같은 대중 과학 서적을 통해 과학 대중화에 기여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우주론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홀 동문 - 가이 스콧
가이 스콧은 잠비아 최초의 백인 부통령으로, 부통령과 대통령 권한대행을 역임하고 농업 장관을 지냈으며 여러 정당에서 활동하다가 자신의 정치 경력을 담은 저서를 출판했다. - 브래드퍼드 출신 -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은 영국의 물리학자로서 전리층 연구를 통해 1947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이오노스피어의 존재와 구조를 밝혀내고 레이더 개발에 기여했다. - 브래드퍼드 출신 - 피터 서트클리프
피터 서트클리프는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영국에서 13명의 여성을 살해하고 7명을 살인미수한 "요크셔 리퍼" 사건의 범인으로, 그의 범죄와 경찰 수사 부실, 그리고 성차별적 시각은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업 | 소설가,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방송인, 평론가 |
활동 기간 | 20세기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894년 9월 13일 |
출생지 | 맨닝햄, 웨스트 라이딩 오브 요크셔, 잉글랜드 |
사망일 | 1984년 8월 14일 |
사망지 | 알베스턴, 워릭셔, 잉글랜드 |
배우자 | |
자녀 | 5명, 그 중 실비아, 메리, 톰 포함 |
웹사이트 | J. B. 프리스틀리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는 브래드퍼드의 "지극히 훌륭한" 교외에서 태어났다고 스스로 말했다. 그의 아버지는 교사였고, 어머니는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다. 문법 학교를 졸업한 후, 그는 고향에서 양모 거래에 종사했지만 작가가 되고자 하는 야망을 품었다. 브래드퍼드에서의 기억은 그가 남쪽으로 이사한 후 쓴 많은 작품에 나타난다. 그는 늙어서, 그가 처음 일했던 스완 아케이드와 같은 빅토리아 시대 건축물에 대한 택지 개발업자들의 파괴를 안타깝게 생각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프리스틀리는 제10대대에 입대하여 종군했다. 1916년 박격포에 부상을 입었다.[35] 제대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Trinity Hall, Cambridge|트리니티 홀영어에서 공부했다. 30세가 되자 유머 작가이자 평론가로 인정받았다.[35] 1927년 소설 《Benighted》는 제임스 웨일 감독에 의해 《마의 집》(1932년)으로 영화화되었다. 그의 첫 번째 히트작은 소설 《The Good Companions》(1929년)였으며,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소설 부문)을 수상하여 전국적인 유명 인사가 되었다. 후속작인 《Angel Pavement》(1930년)으로 성공한 소설가의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몇몇 평론가들은 프리스틀리의 작품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프리스틀리 또한 《이스탄불 특급》(1932)에서 자신을 중상모략했다고 그레이엄 그린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프리스틀리는 극작가로서도 유명해졌다. 《Dangerous Corner》(1932년)는 웨스트엔드 극장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가장 유명한 희곡은 《밤의 방문객》(1946년)이며, 1954년에 알라스테어 심 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 프리스틀리의 희곡은 소설보다 스타일이 다양하며, 《Dangerous Corner》와 《Time and the Conways》(1937년)의 줄거리 일부는 존 윌리엄 던의 시간 이론의 영향을 받았다.
프리스틀리의 작품은 많은 부분이 정치적인 면모를 띠고 있다. 《밤의 방문객》을 포함한 일련의 "시간극"은 사회주의에 대한 많은 언급을 담고 있다. 《밤의 방문객》의 "경찰관"은 그의 생각을 전달하는 분신이었을 것이다.[35]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BBC에서 레귤러 진행자를 맡았다. 일요일 밤의 《Postscript》는 1940년 내내, 그리고 1941년에 재개되어 1600만 명의 청취자를 확보했는데, 처칠만이 그 이상의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너무 좌파적이라는 비판으로 인해 하차하게 되었다. 프리스틀리는 1941 위원회 의장을 맡았고, 1942년에는 사회주의 사회 복지당의 공동 창립자가 되었다. 라디오의 정치적 내용과, 전쟁 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잉글랜드에 대한 프리스틀리의 꿈은 당시 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1945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압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프리스틀리 본인은 국가도 신념도 믿지 않았다.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의 설립 멤버가 되었으며, 1977년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프리스틀리는 세 번 결혼했다. 1921년 패트 템피스트와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으나, 1925년 아내가 암으로 사망했다.[36] 1926년 9월 제인 윈덤-루이스와 재혼하여 1남 2녀를 낳았다.[36] 1953년 제인과 이혼하고 《드래곤의 입》의 공동 작가 자케타 호크스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36]
2. 1. 초기 생애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는 1894년 9월 13일 영국 요크셔 브래드퍼드의 매닝엄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 조나단 프리스틀리는 교장이었고,[3] 어머니 엠마는 방직 공장 여공이었다.[3] 프리스틀리가 두 살 때 어머니가 사망하자, 아버지는 4년 후 재혼했다.[4]프리스틀리는 벨 뷰 문법 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6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스완 아케이드의 Helm & Co.에서 견습 서기로 일했다. Helm & Co.에서 일하는 동안 밤에는 글을 쓰면서 지역 및 런던 신문에 기사를 게재했다.[4]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프리스틀리는 영국군에 자원입대했다. 웰링턴 공작 연대와 제10 보병 여단에서 복무하며 프랑스 전선에 배치되었다. 1916년에는 참호 박격포 공격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고 생매장되었으며, 독가스 공격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고통받았다. 1919년 초 제대했다.[35]2. 3. 전후 활동 및 학업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대한 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Trinity Hall, Cambridge|트리니티 홀영어에서 공부했다.[35] 1921년 우등 학위를 받았으며, 30세가 되자 유머 작가이자 평론가로 인정받았다.[35]2. 4. 결혼
프리스틀리는 세 번 결혼했다. 1921년, 에밀리 "패트" 템페스트와 결혼하여 두 딸을 낳았으나, 1925년 아내가 암으로 사망했다.[36] 1926년, 제인 윈덤-루이스와 재혼하여 1남 2녀를 두었다.[36] 1953년, 제인과 이혼 후 고고학자이자 작가인 자케타 호크스와 결혼했다.[36]2. 5. 죽음
프리스틀리는 1984년 8월 14일, 90세 생일을 한 달 앞두고 폐렴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요크셔 와프데일의 허버홀름에 있는 성 미카엘과 모든 천사 교회 묘지에 묻혔다.[36]3. 작품 활동
프리스틀리는 소설, 희곡, 방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기도 한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홀에서 공부한 후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35] 1927년 소설 《Benighted》를 발표하며 작가로 데뷔했고, 1929년 《좋은 동반자들》로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 소설 부문을 수상하며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8] 1932년에는 희곡 《위험한 코너》를 발표하며 극작가로도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밤의 방문객》, 《시간과 콘웨이 가족》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BBC에서 라디오 방송을 진행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너무 좌파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4][15][16][17]
3. 1. 소설
프리스틀리는 1927년 소설 《Benighted》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 소설은 제임스 웨일 감독에 의해 《올드 다크 하우스》로 영화화되기도 했다. 1929년에 발표한 《좋은 동반자들》은 제임스 테이트 블랙 기념상 소설 부문을 수상하며 그에게 전국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8] 《천사의 길》(1930)은 그를 성공적인 소설가로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그는 《밝은 날》(1946), 《파브리지에서의 축제》(1951) 등 다양한 소설을 발표했다. 그의 소설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인간 심리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에 대해 비판적이었고, 프리스틀리는 소설 《스탄불 열차》(1932)에서 자신을 명예훼손했다며 그레이엄 그린을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3. 2. 희곡
프리스틀리는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 분야에서도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었다. 1932년 《위험한 코너》를 시작으로, 웨스트엔드 극장에서 많은 희곡을 성공시켰다. 그의 대표작은 《밤의 방문객(An Inspector Calls)》(1945)인데, 이 작품은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인간의 이기심을 날카롭게 비판하여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밤의 방문객'이라는 제목으로 번역, 공연되었다.[35] 《시간과 콘웨이 가족(Time and the Conways)》(1937) 등에서는 J. W. 던의 시간 이론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프리스틀리의 희곡들은 다음과 같다:
제목 | 발표 연도 |
---|---|
좋은 친구들(The Good Companions) | 1931 |
위험한 구석(Dangerous Corner) | 1932 |
래버넘 그로브(Laburnum Grove) | 1933 |
에덴 엔드(Eden End) | 1934 |
코르넬리우스(Cornelius) | 1935 |
바다의 사람들(People at Sea) | 1936 |
보트 갑판의 벌들(Bees on the Boat Deck) | 1936 |
시간과 콘웨이 가족(Time and the Conways) | 1937 |
나는 여기 있었다(I Have Been Here Before) | 1937 |
우리가 결혼할 때(When We Are Married) | 1938 |
존슨, 요르단을 넘다(Johnson Over Jordan) | 1939 |
긴 거울(The Long Mirror) | 1940 |
그들은 도시로 왔다(They Came to a City) | 1943 |
사막 고속도로(Desert Highway) | 1944 |
그들은 집에서 어떠한가?(How Are They at Home?) | 1944 |
세상에 만일(An Inspector Calls) | 1945 |
에버 신스 파라다이스(Ever Since Paradise) | 1946 |
린든 나무(The Linden Tree) | 1947 |
집은 내일이다(Home Is Tomorrow) | 1948 |
여름날의 꿈(Summer Day's Dream) | 1949 |
어머니의 날(Mother's Day) | 1950 |
하얀 백작부인(The White Countess) | 1954 |
미스터 케틀과 미세스 문(Mr. Kettle and Mrs. Moon) | 1955 |
유리 우리(The Glass Cage) | 1957 |
밤이 내리다(Benighted) | 2016 (1928년 소설을 던컨 게이츠가 각색) |
회전 무대(The Roundabout) | 1931 |
3. 3. 방송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BBC에서 정기적으로 방송을 진행했다.[14] 1940년과 1941년에 일요일 밤에 방송된 ''추신''은 최고 1600만 명의 청취자를 확보했으며, 윈스턴 처칠만이 그보다 더 인기가 있었다.[14] 그레이엄 그린은 프리스틀리가 "덩케르크 이후 몇 달 동안 처칠 다음으로 중요한 지도자가 되었다. 그리고 그는 다른 지도자들이 항상 우리에게 주지 못했던 것, 즉 이데올로기를 주었다"라고 평가했다.[14] 그의 방송 내용과 전쟁 후 새롭고 평등한 영국에 대한 희망은 당시 정치에 영향을 미쳤고, 노동당이 1945년 총선에서 압승하는 데 기여했다.[16][17]그러나 그의 방송은 너무 좌파적이라는 처칠의 불만으로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15][16][17] 2015년 프리스틀리의 아들은 아버지의 삶에 대한 최근 출판된 책에 대한 강연에서 실제로는 처칠 내각이 방송에 대한 부정적인 보고서를 처칠에게 제공하여 중단을 초래했다고 밝혔다.[16][17]
3. 4. 기타
프리스틀리는 소설, 희곡, 방송 외에도 수필, 평론, 여행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1934년 발표한 여행기 《잉글랜드 기행》은 대공황 시기 영국의 현실을 생생하게 기록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964년 발표한 에세이 《Man and Time(인간과 시간)》에서는 시간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자신의 견해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카를 융의 Man and His Symbols|인간과 상징 - 무의식의 세계영어와 함께 출판되었다. 예지몽 현상의 분석을 포함한 리서치와 독특한 결론은 1963년 BBC 프로그램 《Monitor|모니터영어》에서 인터뷰했을 때의 호소에 따라 일반 영국 국민으로부터 모인 광범위한 체험 사례에 일부 근거한 것이었다. 프리스틀리는 열정과 기술로 이 난해한 테마를 다루었다.
프리스틀리는 공식적인 회고록은 쓰지 않았지만, 《Margin Released》는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10대 시절 브래드퍼드의 양모 분류 사무소에서 일했던 경험은 평범한 소재에서 수준 높은 문학을 만들어내는 프리스틀리 소설의 특징을 보여준다.
4. 사회 참여 및 정치 활동
프리스틀리는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BBC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Postscript》를 진행했는데, 1940년과 1941년에 걸쳐 1600만 명의 청취자를 확보하며 윈스턴 처칠 다음으로 높은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지나치게 좌파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방송에서 하차해야 했다.[35] 이후 1941 위원회 의장을 맡았고, 1942년에는 사회주의 단체인 커먼웰스 당의 공동 창립자로 활동했다. 라디오 방송 내용과 전쟁 후 새로운 잉글랜드에 대한 프리스틀리의 이상은 당시 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1945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압승을 이끄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프리스틀리 자신은 국가나 특정 신념을 믿지 않았다.[35]
그의 정치적 성향은 작품에도 반영되어, 《밤의 방문객》을 비롯한 여러 작품에서 사회주의적 이상을 엿볼 수 있다. 《밤의 방문객》에 등장하는 "경찰관"은 그의 생각을 대변하는 인물로 여겨진다.[35] 조지 오웰은 프리스틀리를 친공산주의 성향으로 의심하여 자신의 '오웰 목록'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1958년에는 핵무기 폐기 운동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반핵 운동을 펼쳤다.[36]
5. 평가 및 유산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는 20세기 영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사회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동시에 담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특히 《밤의 방문객》은 사회적 불평등과 개인의 책임 문제를 제기하며,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으로 꼽힌다. 프리스틀리의 작품은 정치적인 면모를 띠고 있는데, 《밤의 방문객》을 포함한 일련의 "시간극"은 사회주의에 대한 많은 언급을 담고 있으며, "경찰관"은 그의 생각을 전달하는 분신이었을 것으로 보인다.[35]
그는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의 설립 멤버였으며,[36] 1977년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존 보인턴 프리스틀리의 작품은 사회적 불평등, 계층 간 갈등, 개인의 윤리적 책임 등 대한민국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어, 한국 독자들에게 깊은 공감과 성찰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시간과 콘웨이 가족》, 《밤의 방문객》은 빈부격차 심화, 갑질 논란 등 사회적 불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1]
프리스틀리의 중도진보적 관점은 사회 통합과 공존을 추구하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가치를 제시하며, 건강한 사회 발전을 위한 담론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국 대중에게 소개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한국 사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J B Priestley
https://www.bl.uk/pe[...]
2021-05-13
[2]
서적
Priestley
Bloomsbury
[3]
웹사이트
Biography
https://jbpriestleys[...]
2022-09-11
[4]
간행물
J. B. Priestle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5]
웹사이트
JB Priestley, grand old grumbler, dies at 89 – archive, 16 August 1984
http://www.theguardi[...]
2019-08-16
[6]
뉴스
University Intelligence
The Times
1920-06-14
[7]
뉴스
Cambridge Tripos Lists
The Times
1921-06-20
[8]
서적
A History of Modern Britain
https://archive.org/[...]
Macmillan
[9]
웹사이트
Irish butt of English racism for more than eight centuries
https://www.independ[...]
2011-10-23
[10]
서적
The Vision of J.B. Priestle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1-12-15
[11]
서적
John Bull's Island: Immigration and British Society, 1871–1971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16
[12]
서적
English Journey
William Heinemann
1934
[13]
간행물
The War — And After
Hamish Hamilton
1940
[14]
서적
The Road To 1945: British Politics and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5]
서적
Revisiting the Welfare State
https://books.google[...]
McGraw-Hill Education (UK)
[16]
웹사이트
'?'
http://cheltenhamfes[...]
[17]
뉴스
Priestley war letters published
http://news.bbc.co.u[...]
BBC News website
2008-10-06
[18]
뉴스
Blair's babe Did love turn Orwell into a government stooge?
https://www.theguard[...]
2003-06-21
[19]
웹사이트
Life with JB Priestley, by the woman he trusted most of all
http://www.theguardi[...]
2018-06-17
[20]
웹사이트
J. B. Priestley Archive
http://www.bradford.[...]
2016-02-16
[21]
웹사이트
A "sentimental journey"? Priestley's Lost City
https://www.bbc.co.u[...]
2012-05-02
[22]
서적
The Vision of J.B. Priestle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1
[23]
간행물
Individuals, now deceased, who refused honours between 1951 and 1999
https://update.cabin[...]
Cabinet Office
2012-01-25
[24]
ODNB
Priestley, John Boynton (1894–1984), writer {{!}}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5]
뉴스
Barbara Wykeham
https://www.telegrap[...]
[26]
뉴스
Sylvia Goaman
https://www.telegrap[...]
[27]
웹사이트
JB Priestley (estate)
http://unitedagents.[...]
2012-05-02
[28]
서적
The Neglected Child and His Family
Oxford University Press
1948
[29]
서적
Highgate: Its history since the Fifteenth Century
Eyre and Spottiswoode
1983
[30]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jbpriestl[...]
J. B. Priestley website
[31]
뉴스
JB Priestley, grand old grumbler, dies at 89 – archive, 1984
https://www.theguard[...]
2019-08-16
[32]
웹사이트
Hubberholme Church
https://www.yorkshir[...]
2020-04-22
[33]
웹사이트
J. B. Priestley: An Inventory of His Collection at the Harry Ransom Center
http://norman.hrc.ut[...]
2017-11-03
[34]
웹사이트
J. B. Priestley Archive - Special Collections
https://www.bradford[...]
2021-10-13
[35]
웹사이트
An Inspector Calls
http://www.dooyoo.co[...]
[36]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jbpriestl[...]
J. B. Priestly website
2007-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