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자도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자도총은 1543년 일본 다네가시마 섬에 표류한 포르투갈 상인들이 전래한 아르카부스 화승총에서 유래한 일본의 화승총이다. 다네가시마 영주가 포르투갈인에게 화승총을 선물받아 복제하면서 10년 만에 3천 정 이상이 생산되었다. 센고쿠 시대에 도입되어 오다 노부나가의 군대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임진왜란에서 일본군은 대규모의 종자도총 부대를 투입하여 초반에 우위를 점했다. 에도 시대에는 쇄국 정책으로 인해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메이지 유신 이후 서양식 무기가 도입되면서 쇠퇴했다. 종자도총은 발사 장치, 총열 및 부속품, 화문 및 개머리판 등으로 구성되며, 초기에는 조잡했으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화력과 연사력을 향상시켰다. 현대에는 복원되어 재현되거나 표적 사격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네가시마씨 - 시마즈 히사미쓰
    시마즈 히사미쓰는 사쓰마 번 다이묘의 아들로 메이지 유신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쓰마 번의 실권을 장악하고 공무합체를 추진하며 중앙 정계에 개입, 보신전쟁을 지지했으나 메이지 유신 후 신정부의 개혁 정책에는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 다네가시마씨 - 다네가시마 시게토키
    다네가시마 시게토키는 센고쿠 시대 다네가시마 씨족의 인물로, 시마즈 가문을 지지하고 조총 전래에 기여했으며, 네지메 씨와의 갈등을 겪고 아들에게 가독을 물려준 인물이다.
  • 일본의 소총 - 30년식 보병총
    30년식 보병총은 무라타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아리스카 소총 계열의 첫 번째 소총으로, 6.5×50mm 아리스카 탄약을 사용하는 볼트액션 소총이며, 제2차 세계 대전까지 일본 제국 육군의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전쟁에서 활용되었으며, 신뢰성 문제로 38년식 소총으로 대체되었으나, 수출 및 파생형 모델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고,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관련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 일본의 소총 - 일본 89식 소총
    일본 호와공업에서 개발되어 1989년 자위대에 제식 채용된 89식 소총은 64식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M16 소총처럼 소구경 고속탄을 사용하고 AR-18 소총의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나, 20식 소총으로 대체될 예정임에도 자위대와 해상보안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5.56mm 자동소총이다.
  • 임진왜란의 일본군 장비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임진왜란의 일본군 장비 - 세키부네
    세키부네는 에도 시대 일본에서 대선건조금지 정책으로 가장 큰 군선으로, 평시 해상 단속과 서국 제후들의 참근교대 시 어좌선으로 활용되었으며, 야구라로 덮인 선체와 돛, 노를 함께 사용한 추진 방식이 특징이며 현대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에 그 역할과 정신이 계승되었다.
종자도총
지도
명칭
명칭종자도총
일본어 명칭種子島 (다네가시마)
일본어 명칭 (한자)火縄銃 (히나와주)
영어 명칭Tanegashima matchlock
포르투갈어 명칭Tanegashima arcabuz
기본 정보
유형화승총
사용 국가일본
시대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에도 시대
개발 국가포르투갈 (도입 및 모방 생산)
개발 시기1543년경 (일본 도입)
사용 시기16세기 중반 ~ 19세기
역사
유래포르투갈 상인들이 종자도에 표착하면서 일본에 전해짐
초기 일본 생산1543년 종자도에서 최초 생산 시작, 이후 오다 노부나가 등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
전술적 영향일본 전국 시대에서 전술 변화에 큰 영향 미침
쇠퇴막말 시기 이후 서양식 소총으로 대체
구조 및 특징
작동 방식화승식
구경다양함
사정거리짧음 (정확도 낮음)
장전 방식전장식
재료철, 목재
특징우천시 사용 어려움
장전 시간 소요
숙련된 사수 필요
대량 생산이 쉬움
대량 운용에 적합
기타
관련 문화무사 계급을 비롯한 아시가루 병사들이 사용
일본도와 함께 일본 전통 무기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 중 하나
일본의 군사력 강화에 큰 역할
관련 서적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사용 계층아시가루
관련 무기활 (유미)

2. 역사적 배경

종자도총은 인도의 고아 주에서 만들어진 아르카부스 화승총이 그 원형인 것으로 보인다.[40] ‘종자도총’이라는 이름은 1543년 총을 전래해준 포르투갈인 선원들이 탄 정크가 표류한 일본의 섬, 다네가섬에서 유래했다.

센고쿠 시대(1467년 ~ 1603년) 일본은 전국적인 내전에 휩싸였고, 봉건 영주들은 주도권을 다투었다.[43] 화승총은 이런 시기에 도입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널리 사용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549년 오다 노부나가는 자신의 군대를 무장시키기 위해 500정의 종자도총을 주문했지만, 당시에는 화기의 이점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 1. 전래와 초기 발전

1543년 포르투갈 상인들이 탄 정크가 일본 다네가섬에 표류하면서 종자도총이 전래되었다.[40] ‘종자도총’이라는 이름은 이 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다네가시마 도키타카(種子島時尭)는 포르투갈인들로부터 화승총 두 정을 구입하고, 일본의 도검 장인들에게 복제를 명했다.[41]

도검 장인들은 총의 거의 모든 부품들을 문제없이 만들었으나, “총신에 나선형 구멍을 뚫어 나사를 고정시키는” 기술이 당시 일본에 없었기 때문에 완성하지는 못했다.[41] 그러나 이듬해 포르투갈 대장장이가 합류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41] 전래된 지 10년 만에 3천 정 이상의 종자도총이 생산될 정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42]

종자도총 전래 이전에도 의 침입 때 "철포(てつはう)"라 불리는 화약 무기가 사용된 기록이 있으나,[29] 이는 현대의 총과는 다른 폭발물이었다.

2. 2. 센고쿠 시대의 활용

센고쿠 시대(1467년 ~ 1603년) 일본은 전국적인 내전에 휩싸였고, 봉건 영주들은 주도권을 다투었다.[43] 화승총은 이 시기 중반에 도입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널리 사용되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1549년, 오다 노부나가는 자신의 군대를 위해 500정의 종자도총을 주문했는데, 이때는 화기의 이점이 아직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때였다.[44]

일본인들은 종자도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각종 기술을 개발했다. 발사 속도가 느린 화승총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속 사격술을 개발해 빗발치듯 탄환을 쏟아부었다.[46] 또한 구경이 더 큰 총을 개발해 살상력을 높였다. 비가 올 때도 총을 쏠 수 있도록 칠기로 보호 상자를 만들었으며,[47] 끈으로 각도를 고정시켜 밤에도 정밀하게 사격할 수 있는 체계도 갖추었다.[48]

고풍스러운 종자도총들.


1563년, 이즈모국의 아마고 가문이 적군인 킷카와 가문의 33명에게 종자도총을 이용해 부상을 입혀 승리를 거두었다.[49] 1567년, 다케다 신겐은 “이제부터 총포가 가장 중요한 무기가 될 것이다"라고 선언하며 종자도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0] 오다 노부나가1575년 나가시노 전투에서 3,000명의 종자도총 부대를 활용, 일제사격 전술로 다케다 군의 기병대를 격파하며 일본 전술 교리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1] 누마지리 전투(1584)에서 사타케 요시시게(佐竹義重)는 호조 씨(北条氏)를 상대로 8600정이 넘는 화승총을 사용했다.[20]

2. 3. 임진왜란과 조선

도요토미 히데요시1592년 임진왜란을 일으켜 조선을 침략할 때 종자도총을 대량으로 사용했다. 일본군 전체 병력의 4분의 1이 조총수였다.[52] 일본군은 종자도총의 화력을 앞세워 부산성과 동래성을 함락하고, 18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는 등 초반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53]

그러나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종자도총의 해상 한계를 간파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일본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조선의 관리 류성룡은 종자도총의 위력을 언급하며, 활과 화살로는 대적할 수 없었다고 기록했다.[12]

2. 4. 에도 시대의 변화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에도 막부를 수립하고 평화로운 에도 시대(1603년 ~ 1868년)가 시작되면서, 종자도총의 군사적 중요성은 감소했다. 17세기 중반부터 일본은 쇄국 정책을 펼쳤지만, 종자도총의 생산이 중단된 것은 아니었다. 에도 시대 말기까지 200명 이상의 총기 제작자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54] 종자도총은 주로 사무라이들의 사냥이나 사격 연습에 사용되었으며, 농촌에서는 동물을 쫓는 농기구처럼 활용되기도 했다.[55]

2. 5. 메이지 유신과 쇠퇴

1854년 페리 제독의 내항으로 일본은 재무장 시대를 맞이했다.[25] 1800년대에 종자도총은 이미 구식 무기가 되었고, 여러 사무라이 파벌들은 미니에 소총, 후장식 소총, 연발 소총 등 발전된 화기를 획득했다.[25]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사무라이 시대는 종식되었고, 일본은 현대식 무기와 군복을 갖춘 징병제 군대를 채택했다.[25] 일부 총기 제작자들은 마치락식 종자도총을 머스킷총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 타격식 기폭 장치로 교체하기도 했다. 종자도총을 포함한 일본 사무라이의 갑옷과 전통 무기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은 1877년 세이난 전쟁 때였는데, 이때 메이지 정부의 일본 제국 육군이 최후의 사무라이들과 현대화에 대한 저항을 종식시켰다.[25]

3. 종자도총의 각 부위

종자도총은 여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품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

| 리벳

|-

| 하지키가네(弾き金|탄금일본어)

| 용수철

|-

| 히바사미(Hibasami)

| 해머 암

|-

| 아마오오이(雨覆い일본어)

| 총열 보호 덮개

|-

| 히부타(火蓋|화개일본어)

| 화문개

|-

| 히자라(火皿|화명일본어)

| 화문

|-

| 다이(台|대일본어)

| 개머리판

|-

| 쓰쓰(筒|통일본어)

| 총열

|-

| 가루카(朔杖|삭장일본어)

| 꽂을대

|-

| 슈구치(銃口|총구일본어)

| 총구

|-

| 시바히키가네(Shiba-hikigane)

| 엉덩이 보호대

|-

| 지이타(Jiita)

| 판

|-

| 유오진테쓰(Yuojintetsu)

| 방아쇠 보호대

|-

| 히나와토시 아나(Hinawa tōshi ana)

| 화약심지 구멍

|-

| 두가네(Dugane)

| 개머리판 링

|-

| 우데누키(Udenuki)

| 슬링 구멍

|-

| 모토 마에테(Moto maete)

| 뒷겨냥쇠

|-

| 나카 마에테(Naka maete)

| 중간 겨냥쇠

|-

| 메쿠기 아나(Mekugi ana)

| 핀 구멍

|-

| 사키 마에테(Saki maete)

| 앞겨냥쇠

|}

3. 1. 발사 장치

용어설명
히키가네(引鉄|인철일본어)방아쇠
가라쿠리(機関|기관일본어)발사 장치
요징가네(用心金|용심금일본어)방아쇠울
뵤우({{lang|ja|鋲|}
})

| 리벳

|-

| 하지키가네(弾き金|탄금일본어)

| 용수철

|-

| 히바사미(Hibasami)

| 해머 암

|}

3. 2. 총열 및 부속품

쓰쓰(筒|통일본어)는 총열을, 슈구치(銃口|총구일본어)는 총구를 의미한다. 가루카(朔杖|삭장일본어)는 꽂을대를, 아마오이(雨覆い일본어)는 총열 보호 덮개를 뜻한다. 뵤우(鋲|일본어)는 리벳이다. 히나와토시 아나(Hinawa tōshi ana)는 화약심지 구멍, 두가네(Dugane)는 개머리판 링, 모토 마에테(Moto maete)는 뒷겨냥쇠, 나카 마에테(Naka maete)는 중간 겨냥쇠, 사키 마에테(Saki maete)는 앞겨냥쇠, 메쿠기 아나(Mekugi ana)는 핀 구멍이다.

3. 3. 화문 및 개머리판


  • 히부타(火蓋|화개일본어) - 화문개(화문의 덮개)[1]
  • 히자라(火皿|화명일본어) - 화문(점화약을 넣는 부분)[1]
  • 다이(台|대일본어) - 개머리판[1]
  • 시바히키가네(Shiba-hikigane) – 엉덩이 보호대[2]
  • 지이타(Jiita) – 판[2]
  • 유오진테쓰(Yuojintetsu) – 방아쇠 보호대[2]
  • 우데누키(Udenuki) – 슬링 구멍[2]

4. 성능 및 문제점

종자도총은 초창기에는 조잡하여 전투용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었으나, 일본에서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화력과 연사력을 향상시켰다. 1560년대에는 교차 사격 전술을 도입하여 연사력 문제를 보완하기도 했다.[34] 그러나 장전 시간이 길고 비거리가 짧았으며, 화약이 총 안에 내장되어 있어 폭발 위험이 있었다. 내구성도 부족하여 파손 우려가 컸고, 실제로 파손이 자주 발생했다.

4. 1. 성능

초창기 일본에 전래된 화승총은 매우 조잡하여 전투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일본은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화력과 연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560년대에는 교차 사격 전술을 도입하여 연사력 문제를 보완하였다.[34]

4. 2. 문제점

장전 시간이 길고 비거리가 짧아, 여러 명이 번갈아 사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화약이 총 안에 내장되어 있어 폭발 위험이 있었고, 내구성이 부족하여 파손 우려가 컸으며, 실제로 파손이 자주 발생했다.

5. 어원

일본에서 화승총은 흔히 '철포'(일본어 발음으로 뎃포)라고 불렸으며, '무데뽀(無鐵砲, 무철포)'라는 말은 '철포 없이 전쟁에 나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29]

원구 때 "철포"라는 화약을 사용하는 소리가 나는 무기가 있었는데, 총이 일본에 전래된 후 "철포"라는 글자를 붙였다고도 한다.

6. 현대의 종자도총

오늘날 종자도총은 골동품으로 거래되거나 역사 재현 행사 및 사격 스포츠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과 서구의 고대 화기 판매업자와 사무라이 골동품상에게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일본의 현대 종자도총 총병들은 전투에서 종자도총을 사용하는 것을 재현하고, 흑색화약 애호가들은 종자도총을 표적 사격에 사용한다.[27]

마쓰모토 성 포병대의 현대 호술 사수
현대 호술 사수

참조

[1]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s://books.google[...] NIAS Press 2002
[3]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s://books.google[...]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NIAS Press
[4]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https://archive.org/[...] David R Godine 2011-09-22
[5] 웹사이트 弓・弓矢の基本知識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2-12-04
[6] 웹사이트 弓矢を学ぶ(弓編)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2-12-04
[7] 서적 The Bewitched Gun: The Introduction of the Firearm in the Far East by the Portuguese; Espingarda Feiticeira: A Introducao Da Arma De Fogo Pelos Portugueses No Extremo-Oriente https://books.google[...] Texto Editora
[8]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to Japan
[9]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0] 서적 (Noel Perrin 저서)
[11] 서적 The Gunpowder Age
[12] 서적 Firearms: A Global History to 1700
[13] 서적 (Noel Perrin 저서)
[14] 서적 (Noel Perrin 저서)
[15] 서적 (Noel Perrin 저서)
[16] 웹사이트 TEPPŌ Japanese Matchlock Guns http://www.thefights[...]
[17] 서적 War and State Building in Medieval Japa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Noel Perrin 저서)
[19] 서적 (Noel Perrin 저서)
[20] 문서 Satake-Shi at harimaya.com
[21] 뉴스 味方の軍にも鉄砲を撃ちまくって全滅させた…伊達政宗が大坂の陣で張り切りすぎて残した"最悪の伝説" https://president.jp[...] 2023-12-09
[22] 서적 (Noel Perrin 저서)
[23] 서적 (Noel Perrin 저서)
[24] 서적 (Noel Perrin 저서)
[25] 팟캐스트 The Myth of Samurai Giving Up the Gun http://www.samuraipo[...] 2013-08-13
[26] 학술지 The Social Life of Firearms in Tokugawa Japan 2009-05-01
[27] 웹사이트 Home http://www.gunsamura[...]
[28] 웹사이트 鉄砲/鉄炮(てっぽう)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国語辞書 2020-11-06
[29] 서적 カラー版 戦国武器甲冑辞典 株式会社誠文堂新光社 2015-04-16
[30] 서적 真説 鉄砲伝来
[31] 문서 스프링필드 M1903 소총, M1 가랜드, M1 카빈 사용에 대한 설명
[32] 웹사이트 許可を受けた銃砲刀剣類の数の推移 https://www.npa.go.j[...]
[33] 문서 警察관, 자위관, 해상보안관, 세관 직원, 마약 단속반 등 장비 수에 대한 설명
[34] 서적 大人の常識力を鍛える!! 日本「歴史力」検定 リイド社
[35] 웹사이트 アジアージュ http://www.kyuhaku.j[...]
[36] 간행물 「長崎県北松浦郡鷹島周辺海底に眠る元寇関連遺跡・遺物の把握と解明」 http://www.jsps.go.j[...] 琉球大学
[37] 논문 硝石の舎密学と技術史 https://hdl.handle.n[...] 金沢大学埋蔵文化財調査センター 2006-03-31
[38]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books.google.[...]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NIAS Press 2002
[39]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http://books.google.[...] David R Godine 2011-09-22
[40] 서적 The bewitched gun: the introduction of the firearm in the Far East by the Portuguese 1994
[41] 서적 Tanegashima: the arrival of Europe in Japan http://books.google.[...]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Taylor & Francis 2002
[42] 서적 The connoisseur's book of Japanese swords http://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1998
[43]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4]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5]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6]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7]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8]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49] 서적 War and state building in medieval Japan http://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50]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51]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52]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53] 서적 Giving up the gun: Japan's reversion to the sword, 1543-1879
[54] Podcast The Myth of Samurai Giving Up the Gun http://samuraiarchiv[...] Samurai Archives Podcast
[55] 저널 The Social Life of Firearms in Tokugawa Japan http://www.tandfonli[...] 201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용어설명
히키가네(引鉄|인철일본어)방아쇠
가라쿠리(機関|기관일본어)발사 장치
요징가네(用心金|용심금일본어)방아쇠울
뵤우({{lang|ja|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