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싱가포르, 라오스, 베트남, 인도와의 경제 및 무역 관계를 관할하기 위해 설립한 공식 대표부이다. 1995년 8월에 설립되어 홍콩과 아세안 국가 간의 경제적 교류를 담당했으며, 이후 자카르타와 방콕에 대표부가 추가 설립되면서 업무가 분담되었다. 현재는 싱가포르, 라오스, 베트남, 인도와의 경제 및 무역 관계를 증진하고, 사회 문화적 교류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 주재 공관 - 주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
주싱가포르 대한민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싱가포르 간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며, 1975년 양국 수교 이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싱가포르 주재 공관 - 주싱가포르 타이베이 대표처
주싱가포르 타이베이 대표처는 싱가포르 주재 대만 대표부로, 영사 업무, 정보, 경제, 관광 홍보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싱가포르 거주 대만 국적자에게 영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는 홍콩 정부가 타이베이에 설립하여 홍콩과 대만 간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대만 거주 홍콩 시민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5월 무기한 잠정 폐쇄되었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대한민국에 설치한 공식 대표 기관으로, 홍콩과 한국 간의 경제, 무역, 투자 관계 증진 및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다.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현지어 이름 | |
약칭 | 해당 없음 |
설립일 | 1995년 8월 |
설립 근거 | 해당 없음 |
전신 | 해당 없음 |
해산일 | 해당 없음 |
후신 | 해당 없음 |
소재지 | 038989 테마세크 대로 9번지 선텍시티 선텍 타워 2동 34층 1호 |
직원 | 해당 없음 |
예산 | 해당 없음 |
모토 | 해당 없음 |
기관장 | 해당 없음 |
기관장 이름 | 해당 없음 |
기관장2 | 해당 없음 |
기관장2 이름 | 해당 없음 |
상급 기관 | 상무경제발전국 |
산하 기관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웹사이트 |
관할 국가 및 지역 | |
관할 국가 |
2. 역사
1990년 홍콩 입법국의 제안으로 설립 논의가 시작되었고,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세안)과의 경제 및 무역 관계 증진을 목표로 1995년 8월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1][2][6]
2010년대 들어 아세안 지역의 경제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대표부의 업무 부담이 증가했다.[3] 이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201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6][3], 2019년 태국 방콕에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4][5]를 추가로 설립하여 일부 업무를 분담시켰다.
2. 1. 설립 배경
1990년 홍콩 입법국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잠재적인 사업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경제 무역 사무소 개설을 홍콩 정부에 제안했다. 당시 홍콩 정부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세안)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홍콩으로의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홍콩의 상업적,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이에 따라 1995년 8월,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이 대표부는 홍콩과 아세안 10개국 간의 경제 및 무역 관계 증진을 목표로 활동을 시작했다.[2][6]
2. 2. 설립 과정
1990년, 홍콩 입법국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잠재적인 사업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경제 무역 사무소를 열 것을 홍콩 정부에 제안했다.[1] 당시 홍콩 정부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세안)의 큰 시장 규모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홍콩의 국제적인 상업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싱가포르에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1] 그 결과, 1995년 8월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고, 홍콩과 아세안 10개국 사이의 경제 및 무역 관계를 담당하게 되었다.[2][6]2010년대에 들어 아세안 지역의 경제가 성장하면서, 아세안은 일본과 미국을 넘어 홍콩의 두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3] 이에 따라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업무 부담도 점차 커졌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2016년 중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새로 설립하고, 기존 주싱가포르 대표부가 맡았던 업무 일부를 이전했다.[6][3]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2019년 2월에는 태국 방콕에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하여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업무를 추가로 분담시켰다.[4][5] 하지만 인도 뭄바이에 새로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설립되기 전까지 인도 관련 업무는 계속해서 주싱가포르 대표부가 담당하기로 했다.[5]
2. 3. 역할 변화
2010년대 들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아세안)`은 경제 성장에 힘입어 일본, 미국을 제치고 홍콩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로 부상했다.[3] 이에 따라 기존에 아세안 10개국 전체를 담당하던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업무 부담도 증가했다.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늘어난 업무를 분담하고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경제무역대표부를 추가로 설립했다. 2016년 중반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열어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일부 관할 업무를 넘겼다.[6][3] 이어 2019년 2월에는 태국 방콕에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남아시아에서의 잠재적 기회를 발굴하도록 했으며, 이 과정에서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업무 일부가 다시 이관되었다.[4][5]
다만, 인도 뭄바이에 새로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설립되기 전까지 인도 관련 업무는 주싱가포르 대표부가 계속 담당할 예정이다.[5]
3. 기능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를 대표하여 홍콩과 싱가포르, 라오스, 베트남, 인도 간의 관계를 관할하는 공식 대표부이다.[5] 이 대표부는 홍콩 정부가 동남아시아에 최초로 설립한 경제무역대표부이기도 하다.[6] 주요 기능은 관할 국가들과의 경제·무역 관계를 증진하고, 정부 기관 및 기타 기관과의 유대를 강화하며, 사회·문화적 교류를 촉진하는 것이다.[6][5] 현재 홍콩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간의 관계는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에서 관할하고 있다.[3]
3. 1. 경제·무역 관계 촉진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홍콩과 지역 간의 양자 경제 및 무역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싱가포르, 라오스, 베트남, 인도 4개국의 모든 수준에서 정부 기관 및 기타 기관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6][5] 대표부는 이와 동시에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홍콩과 관할 국가 간의 양자 업무를 처리하고 매년 홍콩에 대한 홍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조직하고 참여한다.[6][5]3. 2. 문화 교류 증진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홍콩과 관할 국가인 싱가포르, 라오스, 베트남, 인도 간의 교류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6][5] 또한 매년 홍콩을 알리는 홍보 활동을 적극적으로 조직하고 참여한다.[6][5]4. 역대 대표
wikitext
대 | 이름 | 임기 |
---|---|---|
1대 | 曹萬泰|초우만타이중국어 | 1995년 8월 18일 ~ 1998년 8월 5일 |
2대 | 張雲正|정완징중국어 | 1998년 8월 6일 ~ 2001년 10월 7일 |
3대 | 鄭偉源|정와이윈중국어 | 2001년 10월 8일 ~ 2004년 12월 |
4대 | 林錦光|람감궝중국어 | 2005년 1월 20일 ~ 2008년 6월 16일 |
5대 | 周舜宜|자우선이중국어 | 2008년 6월 17일 ~ 2011년 7월 17일 |
6대 | 方毅|퐁응아이중국어 | 2011년 7월 18일 ~ 2015년 8월 23일 |
7대 | 陸嘉健|룩가긴중국어 | 2015년 8월 24일 ~ 2019년 3월 10일 |
8대 | 黃俊濤|웡전토우중국어 | 2019년 11월 25일 ~ 현재 |
참조
[1]
웹인용
立法局會議過程正式紀錄 一九九○年十月十七日
https://www.legco.go[...]
2020-12-16
[2]
웹인용
臨立會文件CB(1)621號
https://www.legco.go[...]
2020-12-16
[3]
웹인용
立法會CB(1)642/15-16(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20-12-25
[4]
웹인용
香港駐曼谷經濟貿易辦事處投入運作
https://www.info.gov[...]
2020-12-26
[5]
웹인용
立法會CB(1)1238/17-18(08)號文件
https://www.legco.go[...]
2020-12-25
[6]
웹인용
立法會CB(1)173/18-19(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20-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