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엽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엽역은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에 속하며, 주변에 학교, 상업 시설, 공공기관 및 일산호수공원 등 다양한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전철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주엽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주엽역 |
한자 표기 | 注葉驛 |
로마자 표기 | Juyeop Station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중앙로 1432 (주엽동 166-7)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 |
역 번호 | 310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96년 1월 30일 |
관리역 | 코레일 서울본부 대곡관리역 |
역 등급 | 배치간이역 |
이용 정보 | |
일일 승차 인원 (2023년) | 9,004명 |
일일 승강 인원 (2023년) | 18,074명 |
2012년 일일 평균 승객 수 (3호선) | 18,687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309 대화 |
다음 역 | 정발산 311 |
역간 거리 (대화역) | 1.4km |
역간 거리 (정발산역) | 1.6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대화 기점 1.4km |
2. 역사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1]
- 2005년 1월 1일: 한국 국철의 상하 분리와 함께 공사화되어, 한국철도공사의 역이 되었다.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2]
-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통과 함께 역번호가 기존 311에서 310으로 변경되었다.[3]
2. 1. 개요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통으로 역 번호가 311에서 310으로 변경되었다.2. 2. 연혁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1]
- 2009년 12월 1일: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2]
- 2014년 12월 27일: 원흥역 개통과 함께 역번호를 기존 311에서 310으로 변경[3]
3. 역 구조
주엽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다.
G | 지상층 | 출구 |
---|---|---|
L1 | 로비 |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
L2 |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 |
북쪽 방면 | ← 일산선 대화 방면 (종착역) | |
남쪽 방면 | 일산선 오금 방면 (정발산) → |
3. 1. 개요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8개다.
3. 2.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주엽역 주변은 일산신도시 개발과 함께 조성된 지역으로, 상업, 교육, 문화 시설이 다양하게 위치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일산호수공원이 근처에 있으며, 그랜드백화점 일산점,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홈플러스 킨텍스점, 롯데시네마 주엽관 등이 있다. 이마트 타운 킨텍스점에는 이마트 킨텍스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일렉트로마트 킨텍스점 등이 입점해 있다. EBS 디지털통합사옥, 일산소방서 주엽119안전센터, 신한은행 일산중앙지점, KB국민은행 주엽역 지점도 주변에 위치한다.[1]
인근 학교로는 강선초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문촌초등학교, 문화초등학교, 발산중학교, 고양신일초등학교, 오마초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주엽고등학교, 주엽초등학교, 한수중학교, 한수초등학교가 있다. 주엽어린이도서관도 가까운 거리에 있다.[1]
4. 1. 개요
'''주엽역''' 주변은 일산신도시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 다양한 상업 시설과 문화 시설이 밀집해 있다. 특히, 동양 최대 규모의 인공 호수 공원인 일산호수공원이 가까이 있어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다.[1]
주엽역 인근에는 그랜드백화점 일산점,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홈플러스 킨텍스점, 롯데시네마 주엽관, 이마트 타운 킨텍스점 (이마트 킨텍스점, 이마트 트레이더스 킨텍스점, 일렉트로마트 킨텍스점 포함) 등 다양한 쇼핑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1] EBS 디지털통합사옥도 주엽역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1]
교육 시설로는 강선초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문촌초등학교, 문화초등학교, 발산중학교, 고양신일초등학교, 주엽고등학교, 주엽초등학교, 한수중학교, 한수초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등이 있다.[1] 주엽어린이도서관도 인근에 위치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교육 및 문화 서비스를 제공한다.[1]
4. 2. 시설
주엽역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위치하고 있다.
주요 시설 |
---|
학교 |
---|
5. 이용객 변동
수도권 전철 3호선 주엽역의 이용객 수는 개통 초기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대 초반에는 하루 평균 1만 4천여 명이 이용할 정도로 크게 늘었다.[6][5] 2010년대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하루 평균 9천여 명이 이용하고 있다.[6][5]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이용객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6]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3호선 | 승차 | 9,712 | 9,754 | 10,030 | 6,955 | [6] |
하차 | 9,874 | 10,066 | 10,343 | 7,07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3호선 | 승차 | 7,282 | 8,196 | 9,004 | [6] | |
하차 | 7,314 | 8,225 | 9,074 |
5.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 주엽역의 이용객 수는 개통 초기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대 초반에는 하루 평균 1만 4천여 명이 이용할 정도로 크게 늘었다.[6][5] 2010년대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여전히 하루 평균 9천여 명이 이용하고 있다.[6][5]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이용객 수가 일시적으로 감소했으나, 2022년부터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6]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4,069 | 14,823 | 14,625 | 14,592 | 11,984 | 11,490 | 11,101 | 10,500 | 10,172 | 9,600 | [6] | |||
하차 | 3,167 | 11,911 | 13,622 | 14,230 | 12,084 | 11,659 | 11,400 | 10,854 | 10,560 | 9,80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3호선 | 승차 | 9,278 | 9,200 | 9,236 | 9,575 | 9,761 | 9,650 | 9,615 | [6] | ||||||
하차 | 9,441 | 9,271 | 9,451 | 9,857 | 10,090 | 9,923 | 9,80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3호선 | 승차 | 9,712 | 9,754 | 10,030 | 6,955 | 7,282 | 8,196 | 9,004 | [6] | ||||||
하차 | 9,874 | 10,066 | 10,343 | 7,073 | 7,314 | 8,225 | 9,074 |
5. 2. 연도별 이용객 변동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3호선 | 승차 | 4,069 | 14,823 | 14,625 | 14,592 | 11,984 | 11,490 | 11,101 | 10,500 | 10,172 | 9,600 | [6] | |||
하차 | 3,167 | 11,911 | 13,622 | 14,230 | 12,084 | 11,659 | 11,400 | 10,854 | 10,560 | 9,803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3호선 | 승차 | 9,278 | 9,200 | 9,236 | 9,575 | 9,761 | 9,650 | 9,615 | 9,712 | 9,754 | 10,030 | 6,955 | 7,282 | 8,196 | [6] |
하차 | 9,441 | 9,271 | 9,451 | 9,857 | 10,090 | 9,923 | 9,803 | 9,874 | 10,066 | 10,343 | 7,073 | 7,314 | 8,225 |
노선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출처 | |
---|---|---|---|---|---|---|---|---|---|---|---|---|
-- 3호선 | 승차 인원 | 4,069 | 14,823 | 14,625 | 14,592 | 11,984 | 11,490 | 11,101 | 10,500 | 10,172 | 9,600 | [5] |
하차 인원 | 3,167 | 11,911 | 13,622 | 14,230 | 12,084 | 11,659 | 11,400 | 10,854 | 10,560 | 9,803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출처 | |
-- 3호선 | 승차 인원 | 9,278 | 9,200 | 9,236 | 9,575 | 9,761 | 9,650 | 9,615 | 9,712 | 9,754 | 10,030 | [5] |
하차 인원 | 9,441 | 9,271 | 9,451 | 9,857 | 10,090 | 9,923 | 9,803 | 9,874 | 10,066 | 10,343 | ||
노선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3호선 | 승차 인원 | 6,955 | 7,282 | 8,196 | 9,004 | |||||||
하차 인원 | 7,073 | 7,314 | 8,225 | 9,074 |
6. 인접한 역
- - 일산선
대화역 (309) - '''주엽역''' (310) - 정발산역 (311)
참조
[1]
웹사이트
주엽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8-01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4-10-06
[3]
웹사이트
Juyeop
https://web.archive.[...]
Seoul Metro
2016-08-01
[4]
웹사이트
주엽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8-02-28
[5]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6]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