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발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발산역은 대한민국 3호선의 전철역으로,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해 있다. 1996년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는 일산 호수공원, 롯데백화점 일산점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라페스타와 웨스턴돔과 같은 대형 쇼핑 구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시의 전철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고양시의 전철역 - 대곡역 (고양)
    대곡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일산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GTX-A노선 환승역으로, 1996년 개통 이후 지속적인 노선 확충을 통해 교통 허브로 성장하였으나 복잡한 환승 구조로 편의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교대역 (서울)
    교대역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이며, 1982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인근의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법조 타운, 교육 기관, 학원가가 밀집해 있다.
  • 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 홍제역
    홍제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역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하며 1985년 개통 이후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주변에 교육기관과 상업 시설이 위치하고 4개의 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정발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정발산역 역명판
역명판
역 이름정발산 (고양아람누리)
한자 표기鼎鉢山驛
로마자 표기Jeongbalsannyeok
부역명고양아람누리
위치
주소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70 (마두1동)
운영 정보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일산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번호311
역 종류배치간이역
승강장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연혁
개업일1996년 1월 30일
통계
2012년 일평균 승차 인원18,670명 (3호선)
2016년 일평균 승차 인원9,349명
노선 정보
영업 거리대화 기점 3.0 km
이전 역310 주엽 (1.6 km)
다음 역마두 312 (0.9 km)

2. 역사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2006년 7월 12일 : 집중 호우로 공사 현장의 흙탕물이 역내로 흘러들어 침수되었다.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4년 12월 27일 : 원흥역 개통과 함께 역번호를 기존 312에서 311로 변경

2. 1. 개요

2. 2. 연혁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2014년 12월 27일 : 원흥역 개통과 함께 역번호를 기존 312에서 311로 변경

2006년 7월 12일 : 집중 호우로 공사 현장의 흙탕물이 역내로 흘러들어 침수되었다.

2. 3. 역명 논란

정발산역 공사 당시 역명은 마두역이었으나[5] 당시 장항동 주민들이 마두동에 어중간히 걸쳐있던 정발산역과 마두역의 명칭 제정에 이의를 제기하여[6] 현재의 역명으로 바꾸었다.[7]

3. 역 구조

정발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과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 할 수 있기는 하지만, 두개의 출구 중 한 쪽만 횡단이 가능하다.

상행주엽 · 대화 방면
하행지축 · 충무로 · 옥수 · 오금 방면


3. 1. 승강장

정발산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대합실을 통과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두 개의 출구 중 한 쪽만 횡단이 가능하다.

상행18px 일산선주엽대화 방면
하행백석⋅충무로옥수오금 방면


4. 역 주변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 고양등기소, 고양세무서, 고양 아람누리, 고양일산우체국, 라페스타, 롯데백화점 일산점, 롯데시네마 라페스타관, 아람누리도서관, 웨스턴 돔,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일산동구보건소, 일산동구청, 일산동부경찰서, 일산소방서, CGV일산, 일산 호수공원, MBC 드림센터, 정발산공원, 홈플러스 일산점, 정발중학교, KT 고양지사빌딩, 근로복지공단 고양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양일산지사, 국민연금공단 고양일산지사 등이 있다. 1번 출구는 호수공원, 2번 출구는 롯데백화점, 라페스타 상가 및 음식점, 3번 출구는 고양교육지원청, 4번 출구는 일산동 행정복지센터, 정발중학교와 연결된다. 정발산역 근처에는 "라페스타"와 "웨스턴돔"이라는 두 개의 대형 쇼핑 구역이 있다.

4. 1. 주요 시설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 고양등기소, 고양세무서, 고양 아람누리, 고양일산우체국, 라페스타, 롯데백화점 일산점, 롯데시네마 라페스타관, 아람누리도서관, 웨스턴 돔,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일산동구보건소, 일산동구청, 일산동부경찰서, 일산소방서, CGV일산, 일산 호수공원, MBC 드림센터, 정발산공원, 홈플러스 일산점, 정발중학교, KT 고양지사빌딩, 근로복지공단 고양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양일산지사, 국민연금공단 고양일산지사 등이 있다. 1번 출구는 호수공원, 2번 출구는 롯데백화점, 라페스타 상가 및 음식점, 3번 출구는 고양교육지원청, 4번 출구는 일산동 행정복지센터, 정발중학교와 연결된다. 정발산역 근처에는 "라페스타"와 "웨스턴돔"이라는 두 개의 대형 쇼핑 구역이 있다.

5. 이용객 변동

wikitable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3호선승차14,3746,4976,9348,2067,4397,7517,7297,7568,2798,232[8]
하차11,0636,0277,3197,4327,3818,1148,2328,3288,7838,744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
3호선승차8,3268,6558,9949,4069,5949,5139,3499,2859,0868,9366,0016,1836,901[8]
하차8,9799,2579,67610,03810,22610,1349,9379,8819,6649,4546,2546,2467,104


6. 인접한 역

wikitable


참조

[1] 웹사이트 정발산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6-08-01
[2] 웹사이트 Monthly Number of Passengers between Subway Stations http://www.ktdb.go.k[...]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2014-10-06
[3] 웹사이트 Jeongbalsan http://dmzap1.seoulm[...] Seoul Metro 2016-08-01
[4]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5] 문서 현재의 마두역은 공사 당시 낙민역이었다.
[6] 뉴스 네이버 디지털 뉴스 아카이브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4-10-11
[7] 문서 장항동 주민들은 장항역을 원했지만 [[장항선]] [[장항역]]과의 역명 중복 관계로 채택되지 않았다.
[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