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산선은 1991년 착공하여 1996년에 개통된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노선이다. 지축역에서 대화역까지 총 11개 역이 있으며, 대부분의 열차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한다. 과거 부실 시공 및 관리 문제, 1995년 전동차 추돌 사고, 2006년 침수 사건 등 여러 사건이 있었으며, 운정신도시 연장 계획은 경제성 문제로 잠정 취소되었다. 현재 대화역에서 통일동산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3호선 - 지축차량사업소
지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및 한국철도공사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3호선과 4호선 폐차 관리, 3호선 전동차 일부를 관리한다.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서차량사업소
수서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3호선 차량기지로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8대를 관리하며,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이어져 입·출고 검수관리를 수행한다.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8호선
수도권 전철 8호선은 서울 강동구 암사동에서 경기 성남시 수정구 모란동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6년 개통 이후 2024년 별내선 개통으로 구리시와 남양주시까지 확장되었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 1996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있으며, 1996년 잠실~모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24년 암사~별내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고, 모란역에서 판교역, 별내별가람역에서 별내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 - 경기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기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일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명칭 | 일산선 (一山線) |
노선 종류 | 수도권 전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기점 | 지축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
종점 | 대화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
역 수 | 11개 |
노선 번호 | 319 |
개통일 | 1996년 1월 30일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영업 거리 | 19.2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복선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
신호 | ATC(수동운전), KTCS-M (시험 가동 중) |
영업 최고 속도 | ATC 구간 80km/h |
노선 색상 | |
운영 정보 | |
차량 기지 | 지축차량사업소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노선 연장 | |
총 길이 | 19.2 km |
지도 정보 | |
한국어 명칭 | |
한글 | 일산선 |
한자 | 一山線 |
로마자 표기 | Ilsanseon |
2. 역사
일산선은 1991년 3월 15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연장선으로 착공하여 1996년 1월 30일 개통했다. 개통 당시 지축역부터 대화역까지의 구간이 운행을 시작했으며,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을 개시했다.
개통 직후,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일산선의 소유권을 서울특별시로 이전하려 했으나, 서울특별시는 경기도 구간 운영에 따른 재정 부담 등을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3] 이에 따라 일산선은 한국철도공사가 계속 운영하게 되었다. 이후 2014년 12월 27일에는 원당역과 삼송역 사이에 원흥역이 추가로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4][7]
2. 1. 연혁
- 1991년 3월 15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연장선으로 착공하였다.
- 1995년 11월 24일: 시운전 중 발생한 일산선 전동차 추돌 사고로 인해 개통 일정이 두 달 연기되었다.
- 1996년 1월 30일: 지축역 ~ 대화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 개통 이후 한국철도공사 (당시 철도청)는 노선의 소유권을 서울특별시에 이전하려 했으나, 서울특별시는 서울교통공사가 경기도에 위치한 일산선을 운영할 경우 발생할 지출 증가를 우려하여 이를 거부했다.[3] 결국 일산선은 한국철도공사의 관할로 남게 되었다.
- 2000년 4월 1일: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명칭이 통합되었다.
- 2006년 7월 12일: 폭우로 인한 지하 구간 침수로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대곡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 2014년 12월 27일: 원당역과 삼송역 사이에 원흥역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7][4]
-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노선번호가 '''319'''로 변경되었다.[8]
-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대화역-삼송역 구간에서 KTCS-M 영업 시운전을 위한 임시열차가 운행되었다 (09:00 ~ 12:30).[9]
2. 2. 소유권 분쟁
일산선 완공 후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갑자기 노선의 소유권을 서울특별시로 넘기겠다고 발표했다.[3] 철도청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연결되는 일산선을 직접 운영할 경우 별도의 관리 시설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서울특별시에 운영을 맡아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서울특별시는 일산선이 경기도에 위치하여 운영이 어렵고 적자가 발생할 것을 우려해 철도청의 제안을 거절했다.[10][3] 이 소유권 문제로 인해 일산선 개통 일정이 여러 차례 미뤄졌으며, 이로 인해 일산신도시 주민들이 한동안 교통 불편을 겪어야 했다.[10] 결국 일산선은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관할로 남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3]3. 역 목록
3. 1. 역 목록
거리(km)
거리
(km)
수도권 전철 서해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교외선 (여객 영업 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