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령은 군대의 계급 중 하나로, 소령 다음, 대령의 바로 아래 계급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어깨에 은색 별 두 개를 계급장으로 사용하며,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모두 동일하다. 중령은 부대의 중간 간부로서 대대장, 함정장 등의 직책을 맡으며, 전시 및 평시에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여 작전 계획 수립 및 실행을 담당한다. 각 나라별로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 명칭은 다르며, 대한민국은 중령, 미국은 육군, 공군, 해병대에서 Lieutenant Colonel, 해군과 해안경비대에서는 Commander, 일본 자위대에서는 2등육좌, 2등해좌, 2등공좌가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공군 중령 - 현승종
    현승종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교육자, 정치인으로서 고려대학교 교수, 성균관대학교와 한림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제24대 국무총리를 지냈으며 유니세프한국위원회 회장으로서 아동 권리 보호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 해군 중령 - 김동한 (1919년)
    김동한은 천주교 순교자 집안 출신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초대 군종 신부이자 김수환 추기경의 형이며, 사제 서품 후 사목 활동과 해군 군종 신부로 복무하며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설립하여 초대 회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해군 중령 - 이국종
    이국종은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장 및 외상외과 교수로 재직하며 중증외상 환자 치료에 헌신하고 아덴만 여명 작전의 석해균 선장과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의 귀순 병사 수술을 집도하여 널리 알려진 대한민국의 외상외과 의사이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중령
중령
중령 계급장
중령 계급장
군대 계급
소속장교
계급 수준대령 아래
소령
NATO 코드OF-4
어원
어원'Lieutenant'는 '대리' 또는 '대신'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colonel'은 군대를 지휘하는 지휘관을 뜻함.
각국별 명칭
대한민국중령
일본中佐 (주사)
영국 및 영연방 국가Lieutenant colonel
미국Lieutenant colonel
프랑스Lieutenant-colonel
독일Oberstleutnant
역할
역할대부분의 군대에서 중령은 대대 또는 그에 상응하는 부대를 지휘한다.
또한, 연대 본부에서 참모로 복무하거나, 더 큰 조직의 참모진에서 고위직을 맡을 수 있다.
미국 육군의 중령은 대대를 지휘하거나 여단급 이상의 참모 직책을 맡는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육군해병대에서는 대대장, 연대 참모, 사단 참모 등의 직책을 수행하며, 해군공군에서는 함정 부장, 비행대대장 또는 작전처장 등의 직책을 수행한다.
각 군별 계급 비교 (비교표)
육군, 공군 (비-영연방)중령
해군, 해안경비대프리깃함 함장 또는 해군 중령
공군 (영연방)윙 커맨더

2. 계급장

대한민국 국군의 중령 계급장은 군별로 디자인이 다르다. 육군은 포제 정장의 경우 , 포제 견장의 경우 , 금속제의 경우 , 해군은 , 해병대는 , 공군은 의 계급장을 사용한다. 육군 계급장의 경우, 다양한 디자인이 존재한다는 점을 참고해야 한다.

2. 1.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

대한민국 국군에서 중령 계급은 소령 다음, 대령 위의 계급이다. 계급장은 어깨에 은색 별 두 개를 단다.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동일한 계급장을 사용하며, 해병대 역시 같은 계급장을 사용한다. 중령은 부대의 중간 간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대대장이나 함정장 등의 직책을 맡는다. 하지만, 직책은 계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중령이 아닌 다른 계급의 장교가 대대장이나 함정장을 맡는 경우도 있다. 중령은 군 생활에서 상당한 경력과 경험을 쌓은 장교로서, 상급 장교의 지시를 받아 부대를 운영하고 관리하며, 부하 장교와 병사들을 지휘한다. 전시 또는 평시에 있어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며, 작전 계획 수립 및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부대의 사기 진작과 훈련 수준 향상에 힘써야 할 책임이 있다.

3. 나라별 OF-4 명칭

각국의 중령 계급에 해당하는 계급 명칭은 국가와 군 종류에 따라 다르다.

대한민국은 중령(中領)을 사용한다. 일본은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에서 각각 2等 陸佐(니토우 리쿠사), 2等 海佐(니토우 카이사), 2等 空佐(니토우 쿠우사)를 사용하며, 북한은 중좌(中佐)를 사용한다. 중국과 대만은 중교(中校)를 사용하고, 태국은 육군, 해군, 공군에서 각각 พันโท(판토), นาวาโท(나와토), นาวาอากาศโท(나와 아깟토)를 사용한다.

프랑스는 육군, 공군, 국가헌병대에서 Lieutenant-colonel(뤼트넌 콜로넬)을, 해군에서는 Capitaine de frégate(카피텐 드 프레가트)를 사용한다. 미국은 육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에서 Lieutenant Colonel(루터넌트 커널)을, 해군과 해안경비대에서는 Commander(커맨더)를 사용한다. 영국은 육군과 해병대에서 Lieutenant Colonel(루터넌트 커널), 해군에서 Commander(커맨더), 공군에서는 Wing Commander(윙 커맨더)를 사용하며, 독일은 육군과 공군에서 Oberstleutnant(오버스트 로이트난트), 해군에서는 Fregattenkapitän(프레가텐 카피텐)을 사용한다.

3. 1. 과거

과거 대한민국에서는 대한제국 시대에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을 부령(副領)이라 불렀다. 일본 제국에서는 중좌(中佐)로 불렸다.

3. 2.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중령(中領) 계급을 사용한다. 일본은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에서 각각 2等 陸佐(니토우 리쿠사), 2等 海佐(니토우 카이사), 2等 空佐(니토우 쿠우사)를 사용한다. 북한은 중좌(中佐)를 사용하며, 대만과 중국은 중교(中校)를 사용한다. 태국은 육군, 해군, 공군에서 각각 พันโท(판토, 육군중령), นาวาโท(나와토, 해군중령), นาวาอากาศโท(나와 아깟토, 공군중령)을 사용한다. 프랑스는 육군, 공군, 국가헌병대에서 Lieutenant-colonel(뤼트넌 콜로넬)을, 해군에서는 Capitaine de frégate(카피텐 드 프레가트)를 사용한다. 미국은 육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에서 Lieutenant Colonel(루터넌트 커널)을, 해군과 해안경비대에서는 Commander(커맨더)를 사용한다. 영국은 육군과 해병대에서 Lieutenant Colonel(루터넌트 커널), 해군에서 Commander(커맨더), 공군에서는 Wing Commander(윙 커맨더)를 사용한다. 독일은 육군과 공군에서 중령(Oberstleutnant, 오버스트 로이트난트)을, 해군에서는 중령(Fregattenkapitän, 프레가텐 카피텐)을 사용한다.

4. 역사

중령 계급의 역사는 군대가 조직된 이래로 이어져 왔다. 초기에는 주로 함선이나 부대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담당했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함대 지휘, 참모 역할, 기술 및 행정 분야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 중령은 함정 지휘관이나 참모 등 중요한 직책을 맡는 경우가 많으며, 군사 전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물이 임명된다. 대령으로의 승진을 목표로,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능력 향상에 힘쓰는 계급이기도 하다. 해군의 발전과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4. 1. 육군 중령

유럽과 미국에서 중령 계급(Lieutenant Colonel, Oberstleutnant 등)은 원래 대령(Colonel, Oberst 등)의 대리 역할을 담당하는 계급이었다. 과거 대령은 자신의 재산으로 연대를 운영했기 때문에, 능력이나 경험과 무관하게 부유한 귀족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위부터 승진한 귀족 자제들, 특히 재산을 상속받지 못한 차남이나 삼남, 혹은 하급 귀족 출신들이 경험을 쌓아 중령까지 진급하는 경우가 있었다. 평민 출신으로 하사관이나 병에서 소위로 시작하여 중령까지 승진한 경우도 있었으나, 소수에 불과했다. 경험 많은 중령들은 연대장을 보좌하고, 실질적으로 연대 운영을 담당하는 경우도 많았다. 영국에서는 젠트리 출신이 자비로 연대를 설립할 경우, 연대장으로 임명되더라도 최초 계급은 중령이었다.

4. 2. 해군 중좌

해군 중령은 해군의 장교 계급 중 하나로, 대령 바로 아래 계급에 해당한다. 해군 중령의 역사는 해군이 조직된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초기에는 주로 함선의 지휘 및 작전 수행을 담당하는 역할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대 해군에서는 함대나 부대의 지휘, 참모 역할, 기술 및 행정 분야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해군의 중령은 함정 지휘관이나 참모 등 중요한 직책을 맡는 경우가 많으며, 군사 전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인물이 임명된다. 중령은 상위 계급인 대령으로의 승진을 목표로,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업무 능력 향상에 힘쓴다. 특히, 해군의 발전과 국가 안보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계급이다.

5. 각국의 호칭

각국의 중령 호칭은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르다. 일본의 경우, 과거 구 일본군에서는 중좌(中佐)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870년에 신설된 이 계급은 해군과 육군 대좌 아래, 소좌 위에 위치했으며, 종오위 상당의 계급이었다.[3] 중좌라는 명칭은 일본 독자적인 조어일 가능성이 높다.[12] 폐번치현 이후 해군 중좌의 임관이 늘었고, 육군은 다소 늦게 중좌 계급을 도입했다.[23][24][29] 메이지 시대를 거치면서 서구 근대군 계급 서열에 맞춰졌으며, 고등관 사등 상당으로 분류되었다.[45][46][47] 현재 일본 자위대에서는 육상자위대의 2등육좌(二等陸佐), 해상자위대의 2등해좌(二等海佐), 항공자위대의 2등공좌(二等空佐)가 중령에 해당하며, 이들은 이좌(二佐) 또는 2좌(2佐)로 약칭된다.[48] 각 군마다 다른 계급장을 사용한다. 육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는 두 줄 위에 벚꽃 별 두 개, 해상자위대는 금선 세 줄에 벚꽃이 있다.[48]

미국은 육군, 공군, 해병대에서 Lieutenant Colonel(루테넌트 커널)을, 해군과 해안경비대에서는 Commander(코맨더)를 사용한다. 영국은 육군에서 Lieutenant-Colonel(레프테넌트 커널), 해군에서 Commander(코맨더), 공군에서 Wing Commander(윙 코맨더)를 사용한다. 프랑스는 육군, 공군, 국가헌병대에서 lieutenant-colonel(뤼트넌 콜로넬), 해군에서는 capitaine de frégate(카피테인 드 프레가트)를 사용한다. 독일은 육군과 공군에서 Oberstleutnant(오베르슈톨토이턴트), 해군에서는 Fregattenkapitän(프레가텐카피텐)을 사용한다. 이탈리아는 육군, 공군, 카라비니에리, 재무경찰에서 Tenente colonnello, 해군에서는 Capitano di fregata를 사용한다. 중국 인민해방군과 타이완은 중교(中校)를 사용하며, 대한민국은 중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좌를 사용한다.[49]

5. 1. 일본

일본에서는 중령(中佐, ちゅうさ, chūsa)이라는 계급이 사용된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군에서 채택된 계급 체계에서 중령은 소령과 대령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계급이었다. 일본 제국 육군과 해군 모두에서 중령 계급이 존재했으며, 각 군의 조직 및 임무에 따라 중령의 역할과 책임은 다소 상이했다. 특히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막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아시아 여러 국가를 침략하는 과정에서 많은 중령들이 작전 지휘관으로서 활약했지만, 이는 결국 주변국에 엄청난 고통을 안겨주었고, 전쟁 책임의 한 축을 이루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전후, 자위대가 창설된 이후에도 중령 계급은 유지되었으나, 전쟁 전과는 달리, 자위대의 평화유지 활동 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역할이 변화하였다. 현재 일본 자위대의 중령은 부대의 중간 간부로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중령 진급은 장기 복무와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야 가능하며, 진급 과정은 상당히 경쟁적이다.

5. 1. 1. 구 일본군

구 일본군에서 중좌는 1870년 10월 12일(明治3年9月18日) 태정관의 사타에 의해 해군과 육군 대좌 아래, 소좌 위에 신설된 계급으로, 종오위 상당이었다.[3]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발발(1870년 7월 19일) 이후, 일본은 국외 중립을 유지하기 위해 소함대를 편성했고, 이 지휘관의 계급을 정하는 과정에서 중좌 계급이 확정되었다.[7] [8] [9] 해군은 영국식, 육군은 프랑스식 군제를 참고하여 편제되었으며,[10] [11] 중좌라는 명칭은 중국 고전이나 청나라 이전 문헌에는 없어 일본 독자적인 조어일 가능성이 높다.[12]

1871년 1월, 중좌로 임명된 인물들이 있었으나, 초임 중좌는 모두 본관 상당의 2등하인 종육위에 서위되었다.[14] 같은 해 1월 7일, 해군 중좌로 임명된 나카지마 시로우와 아카츠카 타로우 중, 아카츠카 타로우는 불효를 이유로 사직했다.[15] 1월 23일에는 나카무타 쿠라노스케가 임명되었으나, 이후 4월 3일에 다시 임명되었다.[16] [17] [18] 1871년 4월 조사 직원록에는 해군 중좌로 나카지마 사케이가, 육군 중좌는 아무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19] 6월 조사에서는 해군과 육군 중좌 모두 기록되지 않았다.[20]

폐번치현 이후인 1871년 8월의 관제 개정 및 병부성 관등 개정[23] [24] 이후, 해군 중좌의 임관이 늘어났다. 10월 3일에는 아카츠카 마사나리가 임명되었고,[25] 11월 15일에는 곤도 마코토가 소좌에서 중좌 겸 병학교 중교수로 임명되었다.[26] 12월 31일에는 야나기 나라에츠와 이시이 타다스케가 소좌에서 중좌로 임명되었다.[27] [28] 육군은 폐번치현 이후인 7월이나 관제 개정 이후인 8월보다 늦은 11월 1일에 하야시 키요야스와 다나카 하루카제가 임명되었다.[29] 12월 조사 직원록에는 해군 중좌 5명과 육군 중좌 2명이 기록되었다.[30] 메이지 5년 5월 조사 관원전서에는 육군 중좌 7명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다.[31] 메이지 5년 1월의 관등 개정[32] 및 병부성 폐지, 육군성·해군성 설치[34]를 거쳐, 1873년 5월 8일 태정관 포달 제154호에 의한 개정으로 중좌는 육해군 무관 관등표에 계속 사용되었다.[36] [37] 이 시기 중좌는 서구 근대군 계급 서열에 맞춰졌다.[45] [46] 대일본제국 육해군의 중좌는 고등관 사등 상당으로 훈육등 6등 내지 3등에 서위되었고, 무공이 뛰어난 경우 공 4급 내지 2급의 공급에 서위되어 금시훈장을 수여받았다.[47]

5. 1. 2. 자위대

일본 자위대에서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은 육상자위대는 2등육좌(二等陸佐), 해상자위대는 2등해좌(二等海佐), 항공자위대는 2등공좌(二等空佐)이다. 이들은 이좌(二佐) 또는 2좌(2佐)로 약칭된다. 계급장은 각 군마다 다르며, 육상자위대와 항공자위대는 두 줄 위에 벚꽃 별 두 개가 나란히 있는 모양이고, 해상자위대는 금선 세 줄에 벚꽃이 있다.

육상자위대의 경우, 중령은 연대, 군 등의 부대장이나 주둔지 업무대장, 대대장, 보급처 처장 등의 직책을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지방 또는 사단 대전차대장, 육상총대 직할부대의 교육대장(예: 수륙기동단의 수륙기동교육대장)도 담당한다. 또한, 각종 병과학교(고사학교, 정보학교, 항공학교, 시설학교, 시스템통신·사이버학교, 무기학교, 수품학교, 위생학교, 화학학교)의 교도대장, 간부후보생학교의 후보생대장 및 교도대장 등의 보직도 맡는다. 사령부(육상총대, 지방총감부)의 과장이나 반장 직책도 중령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경우에는 1좌(대령)의 보직(예: 지방혼성단의 육조교육대장, 제1공정단, 수륙기동단, 제1헬리콥터단, 시스템통신단, 제1특과단, 고사특과단, 시설단, 후지교도단 등의 단본부 고급참모)에 임명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1좌로의 승진을 앞둔 2좌(중령)에게 주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본 경찰의 경시 또는 중앙관청 본성 과장보좌에 상당하는 직책이라고 볼 수 있다.[48]

5. 2. 제 외국

미국 육군, 공군, 해병대의 중령 계급은 ''Lieutenant Colonel''(루테넌트 커널)이며, 해군과 해안경비대는 ''Commander''(코맨더)이다. 영국 육군의 중령 계급은 ''Lieutenant-Colonel''(레프테넌트 커널), 해군은 ''Commander''(코맨더), 공군은 ''Wing Commander''(윙 코맨더)이다. 프랑스 육군, 공군, 국가헌병대의 중령 계급은 ''lieutenant-colonel''(뤼트넌 콜로넬)이며, 해군은 ''capitaine de frégate''(카피테인 드 프레가트)이다. 독일 연방군 육군과 공군의 중령 계급은 ''Oberstleutnant''(오베르슈톨토이턴트), 해군은 ''Fregattenkapitän''(프레가텐카피텐)이다. 이탈리아 육군, 공군, 카라비니에리, 재무경찰의 중령 계급은 ''Tenente colonnello''이며, 해군은 ''Capitano di fregata''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의 중령 계급은 중교(中校)이고, 타이완 또한 중교이다.[49] 대한민국은 중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좌이다.

6. 유명한 중령

== 유명한 중령 ==

각 분야에서 활약한 유명한 중령들을 소개한다. 다만, '중령'이라는 계급은 국가와 군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므로, 아래 인물들은 각자의 소속 국가 및 군대에서 중령에 해당하는 계급을 가졌거나, 중령에 준하는 직책을 역임한 인물들이다.


  • 기타가와 슈타(橘周太) - 대일본제국 육군 중좌(소좌. 전사 후 중좌로 진급), 러일전쟁의 군인
  • 가토우 타다오(加藤建夫) - 대일본제국 육군 중좌(전사 후 소장으로 진급), 가토 준 전투대
  • 세지마 류조(瀬島龍三) - 대일본제국 육군 중좌, 대본영 참모, 전 이토추 상사 회장
  • 니시타케 이치(西竹一) - 대일본제국 육군 중좌(전사 후 대좌로 진급)
  • 츠지 마사노부(辻政信) - 대일본제국 육군 중좌(최종 계급은 대좌). '작전의 신'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노몬한, 가달카날 등의 전투를 참모로서 지휘했다. 전후에는 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을 역임했다. 그의 전쟁범죄 혐의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존재한다.
  • 유이 기미야(油井亀美也) - 우주비행사. 전 항공자위대 2등공좌(중좌 상당)
  • 이와사키 타카히로(岩崎貴弘) - 곡예비행사. 전 항공자위대 2등공좌(중좌 상당)





6. 1. 구 일본군

구 일본군에는 다양한 중령들이 있었으나, 한국 관점에서 특별히 유명하거나 악명 높았던 인물들은 자료 부족으로 상세히 다루기 어렵습니다.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인들의 고통을 야기했던 일본군 장교들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부분적으로만 남아 있으며, 그중 중령 계급의 인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자료 발굴을 통해 더욱 자세한 내용을 보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일본군 중령들은 일제의 침략전쟁을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았으며, 이는 한국인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음을 상기해야 합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 한국인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의 중요성을 되새겨야 할 것입니다.

6. 2. 자위대

자위대 출신 인물로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가 있다. 그는 자위대 출신 최초의 일본 총리로서, 강력한 자위대를 통한 일본의 안보 강화를 주장했다. 하지만 그의 정책은 주변국들과의 갈등을 심화시키기도 했다. 다른 유명 인물로는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가 있는데, 그는 자위대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의 평화주의적 성향과 연관이 있다. 물론 이 두 인물 외에도 많은 자위대 출신 인물들이 일본 사회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행보와 정책에 대해서는 국제 사회의 꾸준한 비판적인 시선이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Army Officer's Guide Stackpole Books 2005
[2] 웹사이트 Officers' rank insignia http://www.army.mod.[...]
[3] 위키소스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 간행물 御沙汰書 9月 官位相当表の件御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6] 웹사이트 7. 法令の種別、法令番号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7] 간행물 孛仏交戦ニ関シ局外中立ヲ布告シ艦隊ヲ編制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 간행물 弁官往復閏 7月 官位相当表の義々付上申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9] 간행물 御沙汰書 7月 小艦隊指揮従6位相当に被定旨御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0] 간행물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1] 간행물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2] 학술지 陸軍史の窓から(第1回)「階級呼称のルーツ」 https://kaikosha.or.[...] 偕行社 2022-05
[13] 간행물 職員録・明治三年十一月・職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4] 간행물 官員ノ初任ニ在リテ位ニ叙スル総テ本官相当ニ二等ヲ下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5] 간행물 弁官往復 12月 赤塚中佐辞表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6] 간행물 御沙汰書 11月 中島四郎外3名任官等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7] 간행물 弁官往復12月 中牟田倉之助達書差戻の義弁官より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8] 간행물 海軍諸達 柳楢悦小佐任官外件に太政官御達他1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19]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四月・職員録改(下)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0]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六月・職員録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4] 간행물 兵部省官等改定・二条 国立公文書館
[25] 간행물 海軍諸達留 赤塚直成任中佐の件太政官御達他1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6] 간행물 戊1号大日記 近藤真琴任中佐並兼官外数件御達省達他5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7] 간행물 戊1号大日記 柳少佐昇任宣下御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8] 간행물 戊1号大日記 石井忠亮外2名中少佐任官太政官御達他1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9] 간행물 11月2日 任陸軍大佐正6位曽我祐準外7名右2部差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0]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十二月・諸官省官員録(袖珍)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1]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陸軍省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3] 간행물 官等改正 国立公文書館
[3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5]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7] 기록 「陸海軍武官官等表改正・二条」
[38] 기록
[39] 기록
[40] 기록 「諸兵合併連隊操練天覧可被為在に付隊員兵員取調可申出高松藩以下順達」
[41] 기록 「高橋熊太郎、布施保練兵天覧に付連隊司令申付候事外」
[42] 기록 「大坂兵部省出張所ニテ歩兵第一聯隊第一大隊ヲ編制ス」
[43] 기록
[44] 기록
[4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46] 기록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47] 서적 日本の勲章-日本の表彰制度- 第一法規出版 1965-01-00
[48] 웹사이트 自衛隊しまなみ通信 http://www.mod.go.jp[...] 自衛隊広島地方協力本部
[49] 웹사이트 陸海空軍軍官士官任官條例 https://law.moj.gov.[...] 中華民國政府 2019-12-04
[50] 서적 Army Officer's Guide, 50th Edition Stackpole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