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령은 군대의 장교 계급 중 하나로, 중세 유럽에서 기원하여 19세기 말 전문적인 군사 계급으로 발전했다. 주로 연대급 부대를 지휘하는 연대장에게 부여되며, 20세기 공산주의 군대에서는 상급 대령 계급이 존재하기도 했다. 한국군의 대령은 육군, 해군, 공군 모두 존재하며, 연대장 직책을 주로 맡는다. 대령의 명칭과 역할은 국가별로 다르며, 계급장은 각 군의 복제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경매인의 직함으로, 켄터키주에서는 명예 칭호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령 - 아시미 고이타
    아시미 고이타는 말리의 군인으로, 2020년과 2021년 쿠데타를 주도하여 과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말리 군사 학교를 졸업하고 말리 내전에 참여했으며, 러시아와 관계를 강화하고 2024년 육군 장군으로 진급했다.
  • 대한민국 해군 대령 - 안진생
    안진생은 독립운동가 안정근의 아들이자 외교관, 기업인으로서, 항일 운동과 레지스탕스 활동에 참여했고 해군 장교와 대한조선공사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여러 국가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의 차관 도입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 공군 대령 -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대한민국 공군을 지휘·감독하는 최고위직이며, 초대 공군참모총장은 김정렬이다.
  • 대한민국 공군 대령 - 이웅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군 상위였던 이웅평은 1983년 미그 19 전투기를 몰고 대한민국으로 귀순하여 대한민국 공군 소령으로 임관 후 대령으로 예편, 공군대학 정책연구위원 및 교관으로 활동하다 2002년 간기능부전증으로 사망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대령
계급 정보
군사 계급대령
군종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등
NATO 코드
계급 코드OF-5
호칭 및 약칭
영어Colonel
약칭Col
한국어대령 (大領)
약칭 (한국어)대령
자격 및 역할
지휘 범위일반적으로 연대급 부대 지휘관
책임대규모 부대 지휘 및 관리
작전 계획 수립 및 지휘
군사 훈련 및 교육
인사 및 행정 관리
진급중령에서 진급
다음 계급준장
국가별 대령
영연방영국 및 영연방 국가 군대에서 사용하는 계급
미국미국 군대에서 사용하는 계급
대한민국대한민국 군대에서 사용하는 계급
일본일본 자위대에서 사용하는 계급 (1등 육좌, 1등 해좌, 1등 공좌)
프랑스프랑스 군대에서 사용하는 계급 (Colonel)
독일독일 연방군에서 사용하는 계급 (오버스트)
러시아러시아군에서 사용하는 계급 (폴코브니크)
기타
비군사적 사용일부 국가에서 경찰 및 기타 준군사 조직에서 사용
어원프랑스어 "colonne" (기둥)에서 유래

2. 역사와 기원

대령 계급의 기원은 후기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500년경 스페인은 군대의 일부를 1,000~1,250명의 병사로 구성된 20개의 'colunelas'(대대)로 재편성했다.[1] 각 'colunela'는 'cabo de colunela'가 지휘했다. 국왕 직속 부대는 'coronelas'라고 불렸고, 지휘관은 'coronels'이라고 불렸다.[1]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는 1508년에 자신의 군대를 'coronelías'로 나누고 각각을 'coronel'이 이끌게 했다.[2]

16세기 프랑스 군대는 이 조직 구조를 채택하여 'colunelas'를 연대로 개명하고, 'colonel'로 음역했다. 영국은 프랑스에서 이 부대와 계급을 받아들였지만, 스페인어 발음 'coronel'을 채택하여 'kernel'로 발음이 변형되었다.[1] "Colonel"은 라틴어 columnala, 이탈리아어 colonnait, 프랑스어 colonne프랑스어에서 유래한 "column"이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1]

17세기 군대가 용병 중심에서 국민군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대령(일반적으로 귀족 출신)은 군주와 군사 계약을 맺는 계약자가 되었다. 대령은 연대 유지 권한을 구매했다.

19세기 말 대령은 전문적인 군사 계급으로 발전했으며, 연대 또는 동급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가 보유하는 계급이 되었다.

20세기 공산주의 군대에서는 대령 계급을 세분화하여 상급 대령 계급을 만들기도 했다. (예: 북한, 중국)[10]

2. 1. 한국군 대령

한국군에서 대령 계급의 명칭은 '대령(大領)'이며, 이는 조선시대 오위(五衛) 체제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있다.[10]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대령 계급을 운용한다.

대령은 주로 연대장을 맡는다. 자위대의 경우, 육상자위대는 一等陸佐|잇토우 리쿠사일본어, 해상자위대는 一等海佐|잇토우 카이사일본어, 항공자위대는 一等空佐|잇토우 쿠우사일본어가 대령에 해당한다.

3. 역할과 책임

대령은 주로 연대급 부대의 지휘관(연대장)을 맡는다. 해군에서는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등 대형 군함의 함장이나 전대 사령관을 맡을 수 있다. 공군에서는 비행단장 등을 역임한다.[10] NATO 계급 부호에서 '''OF-5'''에 해당하며, 육군 대령(Colonel), 해군 대령(Captain)에 상응한다.[8][9]


  • 육군에서는 주로 연대장을 맡으며, 연대를 폐지한 국가에서는 여단장을 역임하는 경우도 있다.
  • 해군에서는 주로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등 비교적 대형 군함의 함장 또는 구축대, 잠수대 등 사령관을 맡는다.
  • 공군에서는 주로 군 또는 비행단 사령관 등을 역임한다.

4. 나라별 명칭

대령은 나라마다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다음은 각 나라별 대령 또는 그에 상응하는 계급 명칭이다.

국가육군해군공군
대좌(大佐)
대령(大領)
대좌(大佐)
대좌(大佐)
1등 육좌(一等陸佐)1등 해좌(一等海佐)1등 공좌(一等空佐)
대교(大校)
대교(大校)
พันโท|판토thนาวาโท|나와토thนาวาอากาศโท|나와아깟토th
Lieutenant-colonel|리외트낭코로넬프랑스어Capitaine de frégate|카피텐 드 프레가트프랑스어Lieutenant-colonel|리외트낭코로넬프랑스어
Colonel|커널영어Captain|캡틴영어Colonel|커널영어
Lieutenant Colonel|루테넌트 커널영어Commander|커맨더영어Wing Commander|윙 커맨더영어
Oberst|오버스트deKapitän zur See|카피텐 추어 제deOberst|오버스트de



영어권에서는 육군 대령을 커넬(Colonel), 해군 대령을 캡틴(Captain)이라고 부르는 등, 육군과 해군 대령의 호칭에 차이가 있다.

4. 1. 영어권

미국 육군, 공군, 해병대에서는 Colonel 계급을 사용하고, 해군, 해안경비대에서는 Captain 계급을 사용한다.[1]

캐나다 육군과 공군에서는 Colonel / Colonel을 사용하고, 해군에서는 Captain / Capitaine de vaisseau을 사용한다.[1]

영국 육군과 해병대에서는 Colonel을 사용하고, 해군에서는 Captain을 사용하며, 공군에서는 Group captain을 사용한다.[1]

4. 2. 동아시아

4. 3. 유럽

프랑스, 독일, 러시아의 대령 계급은 다음과 같다.

  • 육군/공군:Oberst
  • 해군:Kapitän zur See
  • 의무병과 군:Oberstarzt(육/공군 군의·치과), Oberstapotheker(육/공군 약제과), Oberstveterinär(육/공군 수의과), Flottenarzt(해군 군의·치과), Flottenapotheker(해군 약제과)

  • 전군:Полковник (Polkovnik)
  • 함상:Капитан 1-го ранга (Kapitan pervogo ranga, 1등 함장)


유럽에서 육군 대령의 호칭에는 "Colonel" 계열 외에도, 독일어권 및 북유럽에서 많이 사용되는 Oberst(옛날에는 "Obrist"라고도 함)와 러시아 및 슬라브어권에서 많이 사용되는 Полковник(Polkovnik)의 두 계열이 있다. 전자는 "최고급 야전 지휘관", 후자는 "연대 지휘관" 정도의 의미이다(러시아어로 연대는 폴크(Полкru, 라틴 문자: Polk)라고 불린다).

유럽 각국에서는 해군 대령은 육군 대령과 완전히 다른 호칭을 사용한다. 공군 대령은 육군 대령과 다른 호칭을 사용하는 국가도 있지만, 육군 대령과 같은 호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5. 계급장

대한민국 국군의 대령 계급장은 대나무 꽃 세 개(♦♦♦)로 표시된다. 각 군별 계급장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육군해군해병대공군
육군 대령 계급장
해군 대령 계급장
해병대 대령 계급장
공군 대령 계급장


6. 기타 용도

"대령"이라는 용어는 군사 계급 외에도 다른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 일부 국가에서는 경찰이나 준군사 조직에서도 대령 계급을 사용한다. 경찰예비대의 경찰관(1950년~1952년)에서는 '''일등경찰정'''(一等警察正), 보안관(1952년~1954년)에서는 '''일등보안정'''(一等保安正), 해상경비관(1952년)에서는 '''일등해상경비정'''(一等海上警備正), 경비관(1952년~1954년)에서는 '''일등경비정'''(一等警備正)이 각각 상당한다.
  • 미국에서는 경매인의 직함으로도 "대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미국 남북 전쟁 당시 군대가 압수한 물품을 사단 대령이 경매로 판매했다는 설이 있다.[6][7]
  • 켄터키 대령은 켄터키주에서 수여하는 최고의 명예 칭호이다. 주지사와 국무장관이 지역 사회, 주 또는 국가에 대한 공헌을 인정하여 개인에게 수여한다. 가장 잘 알려진 켄터키 대령은 KFC로 유명한 할랜드 샌더스이다.
  • 자위대에서는 '''일등육좌'''(一等陸佐)・'''일등해좌'''(一等海佐)・'''일등공좌'''(一等空佐)(약칭은 '''일좌'''(一佐)이며, 등급이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된다)에 해당한다.
  • 일반적으로 연대장·군장에 보직되며, 육해공 공통의 직책으로는 자위대 지역협력본부장이나 방위주재관의 대부분이 일좌이다.
  • 경찰에서는 경시장 또는 경시정에 상당하고, 방위성의 문관을 포함한 중앙관청에서는 본성 과장 또는 본성 실장에 상당한다.
  • 일좌는 직책에 따라 (일)~(삼)으로 분류된다.
  • 2018년부터, 연대장 등 경험자를 대상으로 예비일등육좌의 채용이 시작되었다.

7.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Why is the Colonel Called Kernal? https://media.defens[...] Office of History, Sacramento Air Logistics Center 2022-10-04
[2] 웹사이트 Los tercios españoles. La batalla de Pavía http://www.militar.o[...]
[3] 웹사이트 The Prince of Wales. http://www.princeofw[...] 2012-10-17
[4] 웹사이트 their colonel-in-chief. http://www.theroyals[...] 2007-12-19
[5] 뉴스 Minister Benschop bevorderd tot Generaal-Majoor https://www.suriname[...] 2020-07-14
[6] 서적 The auction companion https://books.google[...] Harper & Row 1981-12-29
[7] 간행물 History of Auctions: From ancient Rome to todays high-tech auctions http://www.auctionee[...] 2008-06-22
[8]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9] 기타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10] 웹사이트 陸海空軍軍官士官任官條例 https://law.moj.gov.[...] 中華民國政府 2023-09-17
[11] 웹사이트 衛門府条 http://www.sol.dti.n[...] 2023-11-05
[12] 웹사이트 左衛士府条 http://www.sol.dti.n[...] 2023-11-05
[13] 웹사이트 左兵衛府条 http://www.sol.dti.n[...] 2023-11-05
[14] 웹사이트 左右兵衛佐 http://www.sol.dti.n[...] 2023-11-05
[15] 웹사이트 左右衛門佐 http://www.sol.dti.n[...] 2023-11-05
[16] 웹사이트 検非違(使)佐 http://www.sol.dti.n[...] 2023-11-05
[17] 웹사이트 四部官(四等官/四分官) http://www.sol.dti.n[...] 2023-11-05
[18] 웹사이트 府の四部官(四等官・四分官)とその官位相当 http://www.sol.dti.n[...] 2023-11-05
[19] 위키소스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20]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1] 기타 「御沙汰書 9月 官位相当表の件御達」
[22] 웹사이트 7. 法令の種別、法令番号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2023-12-02
[23] 기타 「弁官往復閏 7月 官位相当表の義々付上申」
[24] 기타 「海軍ハ英式ニ依テ興スヘキヲ山尾民部権大丞ニ令ス」
[25] 기타 「常備兵員海軍ハ英式陸軍ハ仏式ヲ斟酌シ之ヲ編制ス因テ各藩ノ兵モ陸軍ハ仏式ニ基キ漸次改正編制セシム」
[26] 간행물 陸軍史の窓から(第1回)「階級呼称のルーツ」 https://kaikosha.or.[...] 偕行社 2023-11-12
[27] 기타 「職員録・明治四年四月・職員録改(下)」
[28] 기타 「職員録・明治四年六月・職員録改」
[29] 기타
[30] 기타
[31]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2] 기타 「兵部省官等改定・二条」 国立公文書館
[33] 기타 「御沙汰書 岡田武一兵部省出仕外数件太政官御達」
[34] 기타 「戊1号大日記 中島中佐大佐昇任の件太政官御達」
[35] 기타 「記録材料・海軍省報告書第一」
[36] 간행물 「水夫水兵本部ノ管轄ヲ廃シ造船局ノ管轄トス」 国立公文書館
[37] 간행물 「戊1号大日記 赤塚中佐大佐昇任御達其外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8] 간행물 「官員ノ初任ニ在リテ位ニ叙スル総テ本官相当ニ二等ヲ下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39] 간행물 「11月2日 任陸軍大佐正6位曽我祐準外7名右2部差出」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0]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十二月・諸官省官員録(袖珍)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1] 간행물 「職員録・明治四年十二月・諸官省官員録(袖珍)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2]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陸軍省武官)」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3]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4] 간행물 「官等改正」 国立公文書館
[4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6] 간행물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海軍省)」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4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48] 간행물 「陸海軍武官官等表改正・二条」 国立公文書館
[49] 아카이브
[50] 아카이브
[51] 간행물 「諸兵合併連隊操練天覧可被為在に付隊員兵員取調可申出高松藩以下順達」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2] 간행물 「高橋熊太郎、布施保練兵天覧に付連隊司令申付候事外」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3] 간행물 「大坂兵部省出張所ニテ歩兵第一聯隊第一大隊ヲ編制ス」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54] 아카이브
[55] 아카이브
[56] 웹사이트 「大尉」「大佐」の読みは?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19-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