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반은 불환과를 증득한 후 색계에 태어나기 전, 중유 상태에서 열반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중반은 번뇌와 근기에 따라 속반, 비속반, 경구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속반은 번뇌가 적어 빠르게 열반에 도달하고, 비속반은 번뇌와 근기가 중간 정도이며, 경구반은 번뇌가 많아 열반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불환을 증득한 수행자는 욕계의 번뇌를 끊고 색계 또는 무색계에 태어나며,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을 행색 또는 행색계,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을 행무색 또는 무색반이라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중반
불교
구분불교 용어
의미다음 생으로 넘어가는 중간 시기, 또는 그 시기에 해탈하는 것
산스크리트어안타라-파리니르바인 (antara-parinirvāyin), 안타라-파리니브르티 (antarā-parinivṛti)
팔리어안타라파리닙바인 (antarāparinibbāyin)
영어중간 상태 (intermediate state), 중간에 해탈을 얻는 자 (one who attains liberation in between)

2. 중반(中般)의 3유형

중반(中般)은 불환과를 증득한 후 색계에 태어나기 전, 즉 중유(中有, 바르도) 상태에서 열반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중반은 번뇌의 정도와 수행 능력(근기)의 차이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13][14][15][16][17]

유형번뇌근기설명
속반하품(下品)상품(上品)중유에서 신속하게 열반을 증득
비속반중품(中品)중품(中品)중유에서 얼마 동안 머문 후 열반을 증득
경구반상품(上品)하품(下品)중유에서 오랜 시간 지난 후 열반을 증득


2. 1. 속반(速般)

중유에서 신속하게 열반을 증득하는 불환의 유형으로, 하품의 번뇌가 현행하는 상품의 근기를 가진 경우이다.[13][14][15][16][17] 번뇌는 약하지만 수행 능력은 뛰어나 빠르게 열반에 도달한다.

2. 2. 비속반(非速般)

번뇌근기가 모두 중간 정도인 중품(中品)이어서 중유에서 얼마 동안 머문 후 열반을 증득하는 불환의 유형이다.[13][14][15][16][17]

2. 3. 경구반(經久般)

경구반은 번뇌가 강하지만 수행 능력은 부족하여 열반에 도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상품(上品)의 번뇌가 현행하는 하품(下品)의 근기를 가진 불환이 중유에서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열반을 증득하는 유형이다.[13][14][15][16][17]

3. 색계 불환과 무색계 불환

불환과를 증득한 수행자는 욕계의 번뇌는 끊었지만, 남아있는 번뇌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색계 또는 무색계에 태어나게 된다.[22][23]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욕계, 색계, 무색계의 수혹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수혹욕계색계무색계합계
부파불교98수면 중 수혹탐 · 진 · 만 · 무명 (4)탐 · 만 · 무명 (3)탐 · 만 · 무명 (3)10가지
대승불교128근본번뇌 중 수혹탐 · 진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6)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탐 · 만 · 무명 ·
유신견 · 변집견 (5)
16가지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은 행색(行色, rūpa-gasa) 또는 행색계(行色界, rūpōpagasa)라고 불리며,[18][19][24][25] 무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은 행무색(行無色, ārūpya-gasa) 또는 무색반(無色般)이라고 불린다.[20][26][27][28][29][30][31]

3. 1. 색계 불환 (行色)

욕계에서 98수면 또는 128번뇌 중 욕계의 수혹만을 끊은 불환(아나함)은 목숨을 마친 후 색계에 태어나 열반에 이른다.[22][23] 이러한 유형의 불환을 전통적인 용어로 행색(行色, rūpa-gasa) 또는 행색계(行色界, rūpōpagasa)라고 한다.[18][19][24][25]

색계로 가서 열반에 드는 불환에는 중반, 생반, 유행반, 무행반, 상류반의 5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5종불환(五種不還)이라 한다.[18][19][20]

욕계색계에는 각각 중유(中有)가 존재한다.[21]

3. 2. 무색계 불환 (行無色)

불환 (아나함)은 욕계의 수혹 뿐만 아니라 색계의 수혹까지 끊은 수행자를 말한다. 이들은 목숨을 마친 후 무색계에 태어나 열반에 이른다.[22][23] 욕계색계에는 중유가 있지만, 무색계에는 없기 때문에[21] 무색계 불환은 생반, 유행반, 무행반, 상류반의 4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2][23] 무색계 불환은 무색반이라고도 불린다.[20][26][27][28][29][30][31]

4.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혹 비교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貪) · (慢) · 무명(無明) ·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貪) · (慢) · 무명(無明) ·
유신견(有身見) · 변집견(邊執見)16가지


참조

[1] DDB 中般 2022-08-29
[2] DDB 中般涅槃 2022-08-29
[3]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9
[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9
[5]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9
[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9
[7] 불교사전 中般(중반) 2022-08-29
[8] 불교사전 중반[中般] 시공 불교사전 2022-08-29
[9] 불광대사전 中般 불광대사전 2022-08-29
[10] 불광대사전 中般涅槃 불광대사전 2022-08-29
[11] 불학사전 中般 2022-08-29
[12] 불학사전 中般涅槃 2022-08-29
[13]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9
[14]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9
[15]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9
[1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9
[17] 불학사전 中般涅槃補特伽羅 2022-08-29
[18]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19]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0] 불광대사전 五種不還 불광대사전 2022-08-31
[21] 불광대사전 中有 불광대사전 2022-08-31
[22] 논문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31
[23]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31
[24] 불학사전 行色 2022-08-31
[25] 불학사전 行色界 2022-08-31
[26] 불학사전 行無色 2022-08-31
[27] 불교사전 무색반[無色般]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28] 불교사전 七種不還(칠종불환) 2022-08-31
[29] 불교사전 칠종불환[七種不還] 시공 불교사전 2022-08-31
[30] DDB 七種不還 2022-08-31
[31] 불학사전 七種不還 202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