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열반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통해 도달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의미하며,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와 팔리어 '닙바나'에서 유래하여 '불어 끄다', '소멸하다'라는 뜻을 지닌다. 열반은 탐욕, 분노,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가 소멸된 상태로, 윤회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며, 초기불교에서는 열반적정으로 표현된다. 부파불교에서는 유여열반과 무여열반으로 구분하며, 대승불교에서는 본래자성청정열반, 무주처열반 등 다양한 열반 개념을 제시한다. 한국 불교는 대승불교의 전통을 계승하여 열반을 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로 이해하며,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마니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열반과 유사한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불교 경전인 《열반경》에 따르면 깨우침 또는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은 열반에 도달하는 것과 동일하며 불성(佛性 Buddha-nature)을 깨치는 것과 동일하다.[82][83]
영적 해방에 대한 개념은 브리하다라냐카 우파니샤드의 4.4.6절과 같은 베다 경전과 우파니샤드에 나타난다.[15] "꺼진, 소멸된" 해방 상태를 의미하는 '열반'이라는 용어는 베다의 여러 곳과 불교 이후의 바가바타 푸라나에 더 많이 나타나지만, 베다나 우파니샤드에서 사용되었다는 의견에는 신뢰를 주지 않는다. 콜린스는 "불교도들이 이를 ''열반''이라고 처음 부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15]
부파불교에서는 열반이란 번뇌가 소멸된 경지를 말하는 것으로 '''유여열반'''(有餘涅槃)과 '''무여열반'''(無餘涅槃)의 '''2종열반'''(二種涅槃)으로 나뉜다고 보았다. 유여열반은 '''유여의열반'''(有餘依涅槃)이라고도 하며 무여열반은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이라고도 한다.[80]
대승불교에서는 열반에 적극적인 의의를 부여하여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 외에 자성청정열반(본래자성청정열반), 무주처열반 등의 교의를 가르친다.[80]
2. 다른 명칭
성철은 해탈, 여래, 열반, 불성 및 아뇩보리는 본질은 같으나 이름만 다를 뿐이라고 하였다.[82]
열반의 원어는 nirvāṇa|니르바나sa, nibbāna|닙바나pi로, "사라졌다"는 의미이다.[62] "열반"은 이 원어들의 음역이다. 음역으로는 그 외에 泥曰(니와쓰), 泥洹(나이온), 열반나, 涅隸槃那 등이 있다.
nirvāṇasa는 멸, 적멸, 멸도, 적 등으로 한역된다. 또한 해탈, 택멸(擇滅), 이계(離繫) 등과 동의어로 여겨진다. 석가모니의 입멸을 위대한 반열반, 즉 대반열반(mahāparinirbāṇa|마하파리니르바나pi) 또는 대원적이라고 한다.
3. 경론별 설명
L. S. Cousins는 대중적인 용법에서 열반은 "불교 훈련의 목표, 평화롭고 명료한 정신 상태를 방해하는 정신적 요소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것과, 그들이 유도하는 정신적 잠에서 깨어나는 상태"라고 말했다.[16]
열반(''nibbana'')은 문자 그대로 "불어 끄기" 또는 "소멸"을 의미하며,[3] 불교에서 해탈의 목표를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오래된 용어이다. 이는 번뇌를 소멸하는 것을 의미하며, 윤회로부터의 해방을 가져다준다.[3] 열반은 불교의 사성제 교리에서 "고통의 소멸"에 대한 세 번째 진리의 일부이며, 팔정도의 목표이다.
불교 학술 전통에서는 붓다가 깨달음과 죽음에서 두 종류의 열반을 깨달았다고 여긴다. 첫 번째는 sopadhishesa-nirvanasa(유여열반, 남는 것이 있는 열반)라고 불리며, 두 번째는 파리니르바나 또는 anupadhishesa-nirvanasa(무여열반, 남는 것이 없는 열반, 또는 최종 열반)이라고 불린다.[3]
불교 전통에서 열반은 윤회와 관련된 고통을 야기한다고 하는 '불'을 끄는 것으로 묘사된다.[28] 불교 경전은 이러한 "세 가지 불" 또는 "세 가지 독"을 탐욕(라가), 증오(드베샤), 무지(아비자) 또는 어리석음(모하)으로 식별한다.
열반의 상태는 불교에서 모든 번뇌의 소멸, 모든 행위의 소멸, 번뇌와 행위의 결과인 윤회와 고통의 소멸,[3] 연료가 부족하여 불이 꺼지는 것, 삶의 얽힘(''vana'')을 버리는 것, 그리고 욕망의 제거로 묘사된다.
해탈은 ''무아''(아트만sa 무아, 자아가 없음)와 동일하게 묘사된다.[30][31] 불교에서 해탈은 모든 것과 존재가 자아가 없는 것으로 이해될 때 성취된다.[31][32] 열반은 또한 ''공''(공)을 성취하는 것과 동일하게 묘사되며, 모든 것 안에 본질이나 근본적인 본성이 없고 모든 것이 비어 있다. 그러나 상좌부 불교에서는 단지 "욕망의 파괴"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의 "지식의 대상"인 별개의 실체로 간주되는 유일한 무조건적인 존재로 여겨진다.[30]
열반에 대한 해석은 대승불교와 부파불교에서 다르며 대승과 부파의 각 내부에도 다른 설이 있다.
3. 1. 잡아함경
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에서 사리불은 외도 수행자인 염부차의 질문에 답하며, 열반은 탐
3. 2. 초기불교
고타마 붓다는 현실의 생사의 고(苦) 세계를 일체개고(一切皆苦)라고 보았고, 고(苦)를 멸(滅)한 이상(理想)의 세계를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하였다.[81] 열반은 탐욕(貪慾), 분노(憤怒), 어리석음(愚痴) 등 인간의 마음을 더럽히는 번뇌의 불이 꺼지고 아무 것에도 어지럽혀지지 않은 이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열반의 이상경(理想境)은 일체의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解脫) 있으므로 적정(寂靜)한 것이라 하여 일반적으로 '''열반적정'''(涅槃寂靜)이라고 한다.[81]
고타마 붓다 생존 당시 인도에서는 여러 인생관이 존재하여 각기 이상세계를 제시했으나, 단순한 관념이거나 사후에만 달성 가능한 것이었다. 반면 고타마 붓다가 이상으로 한 적정(寂靜)한 열반은 세계와 인생에 대한 올바른 지혜(반야 보리)를 통해 현세에 실현되는 것이었다.[81]
L. S. Cousins는 대중적인 용법에서 열반은 "불교 훈련의 목표, 평화롭고 명료한 정신 상태를 방해하는 정신적 요소를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것과, 그들이 유도하는 정신적 잠에서 깨어나는 상태"라고 말했다.[16]
열반(''nibbana'')은 문자 그대로 "불어 끄기" 또는 "소멸"을 의미한다. 불교에서 해탈의 목표를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오래된 용어이며, 번뇌를 소멸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윤회(''윤회'')로부터의 해방을 가져다준다.[3]
불교 학술 전통에서 붓다는 깨달음과 죽음에서 두 종류의 열반을 깨달았다고 여겨진다. 첫 번째는 여여열반(남는 것이 있는 열반)이고, 두 번째는 ''파리니르바나'' 또는 무여열반(남는 것이 없는 열반, 또는 최종 열반)이다.
불교 전통에서 열반은 윤회와 관련된 고통을 야기하는 '불'을 끄는 것으로 묘사된다.[28] 불교 경전은 "세 가지 불" 또는 "세 가지 독"을 ''라가''(탐욕, 감각적 쾌락), ''드베샤''(혐오, 증오), ''아비자'' 또는 ''모하''(무지, 망상)로 식별한다.
상응부잠부카다카 상응에서, 수행자가 "열반이란 무엇인가?"라고 묻자 사리뿟따는 삼독의 소멸이라고 대답했다.[76] 열반에 이르는 길은 팔정도라고 답했다.[76]
증지부 바라문품에서, 어떤 바라문이 "열반의 현증(sandiṭṭhikaṃ; 삼증의 하나)은 언제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라고 질문하자 석가는 "삼독의 소멸이 이루어지면, 마음의 괴로움(dukkhaṃ domanassaṃ)의 수로부터 해방됨을 현증한다"라고 대답했다.[77]
자설경에서 석가는 열반의 경지에 대해 무색계선정의 더욱 상위 상태라고 설하고 있다.[78]
4. 부파불교
'''여'''(餘)는 '''여의'''(餘依)의 줄임말이고, 여의(餘依)는 '아직 남아 있는 의신(依身) 즉 소의신(所依身) 즉 육체'를 말하는데, 육체가 존재함에 따라 그에 따라 아직 남아 있는 마음(情)과 형상(形象: 즉 육체)을 뜻한다. 이런 문맥에서, 유여열반 또는 유여의열반은 육체를 지니면서도 번뇌를 끊었을 경우를 의미하며, 무여열반 또는 무여의열반은 육체도 소멸했을 경우를 의미한다.[80]
후자의 경우를 전통적인 용어로 '''회신멸지'''(灰身滅智)의 상태라고 한다. 즉 회신멸지는 무여열반의 동의어로서 몸(身)을 재로 만들고 지혜(智)를 멸한다는 뜻인데, '''분신회지'''(焚身灰智: 몸을 태워 없애고 지혜를 재로 만든다.)'''회멸'''(灰滅) 또는 '''회단'''(灰斷)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몸(身)은 육체를 뜻하고 지혜(智)는 반야 또는 진여의 무분별지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번뇌에 물든 상태의) 마음(心) 즉 6식(六識) 즉 정(情)을 뜻한다.
따라서 무여열반 또는 무여의열반은 몸(身)과 마음(心)을 모두 돌이켜 공적(空寂) 무위(無爲)의 열반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부파불교의 최종 목적이다.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무여열반 또는 무여의열반이 소승불교 즉 성문 연각의 2승(二乘)의 최종 목표 또는 최종 목적이다.
부파불교에서는 열반은 번뇌가 완전히 소멸함으로써 드러나는 경지라고 보는데 그래서 열반을 택멸(擇滅)이라고도 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열반 즉 택멸을 별도의 실체 즉 실법(實法)이라고 보았다. 반면 경량부에서는 번뇌가 완전히 소멸된 상태를 열반 또는 택멸이라 명명한 것일 뿐으로, 열반은 실법이 아니며 가법(假法)이라고 보았다.
5. 대승불교
대승불교에서는 상·락·아·정의 사덕을 갖추지 못한 부파불교의 열반을 유위 열반으로 여기고, 이 사덕을 갖춘 열반을 무위 열반으로 보아 최상의 것으로 여긴다.
유식종에서는 본래자성청정열반, 유여의열반, 무여의열반, 무주처열반의 네 종류 열반을 구분한다. 지론종과 섭론종에서는 성정열반, 방편정열반의 두 열반을, 천태종에서는 성정열반, 원정열반, 방편정열반의 세 열반을 구분한다.
5. 1. 중관학파
대승불교의 중관학파에서는 일체법의 '''실상'''(實際 모습)이 곧 열반이며, 실상은 인연에 의해 생기는 일체의 법의 '''공성'''(空性)을 말하는 것이므로, 일체의 법과 분리된 것이 아니기에 열반과 생사윤회의 세간 사이에는 아무런 간격도 없다고 본다.
5. 2. 유식유가행파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열반을 본래자성청정열반, 유여의열반, 무여의열반, 무주처열반의 네 가지로 구분한다. 이를 '''4종열반'''이라 한다. 4종열반 교의에 따르면,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은 부파불교의 2종열반에 해당한다.
유식유가행파는 열반(해탈)과 보리(아뇩다라샴막삼보리)를 다른 경지로 구분한다. 번뇌장(아집)을 멀리 떠난 상태인 열반은 4종열반 중 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부파불교의 2종열반)을 말한다. 소지장(법집)을 멀리 떠난 상태인 보리는 성불의 경지로서 4종열반 중 무주처열반에 해당한다.
5. 3. 지론종
대승불교에 속한 중국의 지론종에서는 열반을 '''성정열반'''(性淨涅槃)과 '''방편정열반'''(方便淨涅槃)의 2종으로 구분한다.
5. 4. 천태종
대승불교의 천태종에서는 성정열반(性淨涅槃) · 원정열반(圓淨涅槃) · 방편정열반(方便淨涅槃)의 3열반으로 구분한다.[1]
6. 한국 불교의 열반관
한국 불교는 대승불교의 전통을 이어받아, 열반을 단순한 소멸이 아닌 적극적인 깨달음의 경지로 이해한다. 고려 시대에는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통해, 단박에 깨닫고 점차 수행하여 열반에 이르는 길이 강조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숭유억불 정책 속에서도 불교의 명맥이 유지되었으며, 서산대사와 사명대사 같은 고승들이 나타나 불교의 가르침을 널리 전파했다. 현대 한국 불교는 다양한 종파와 수행법이 공존하며, 열반을 향한 정진을 이어가고 있다.
7.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마니교의 열반
힌두교의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베다와 초기 우파니샤드에는 '열반'이라는 구원론적 용어가 나타나지 않는다.[48] 이 용어는 바가바드 기타[48]와 니르바나 우파니샤드와 같은 텍스트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부처 이후 시대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48]
불교와 힌두교 문헌에서 열반의 개념은 다르게 설명된다.[48] 힌두교에는 모든 살아있는 존재 안에 아트만(영혼, 자아)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반면,[36][37][38] 불교는 무아 교리를 통해 어떤 존재에도 아트만이 없다고 주장한다.[39][40]
힌두교에서 고대 구제론적 개념은 해탈(mokṣa)이며, 자기 인식, 즉 영원한 존재인 아트만과 형이상학적 브라만의 연결(범아일여)을 통해 생과 사의 순환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해탈(mokṣa)은 '자유', '놓아주다', '해방하다', '풀려나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자이나교에서는 열반과 해탈(모크샤)을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시크교는 니르반(nirbā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신에 대한 헌신을 통해 윤회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강조한다. 마니교의 경우, 13-14세기 문헌에서 열반(parnirvana)이 빛의 영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나타난다.
8. 어원
산스크리트어 nirvāṇa|니르바나sa, 팔리어 nibbāna|닙바나pi는 "불어 끄다", "소멸되다"라는 의미이다.[3] 이는 전치사 nis|밖으로sa와 동사 어근 vā|불다sa의 과거 분사 형태 vāna|불어 불린sa가 결합한 nirvāṇa|불어 꺼진, 소멸된sa에서 유래했다.[16] L. S. Cousins에 따르면, 열반은 불교 수행의 목표로서, 평화롭고 명료한 정신 상태를 방해하는 정신적 요소를 최종적으로 제거하고, 그들이 유도하는 정신적 잠에서 깨어나는 상태를 의미한다.[16]
원어는 nirvāṇa|니르바나sa(nibbāna|닙바나pi)이며,[62] "사라졌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열반"은 이러한 원어들의 소리를 따라 표기한 것이다. 음역으로는 泥曰(니와쓰), 泥洹(나이온), 열반나, 涅隸槃那 등이 있다.
nirvāṇa|니르바나sa는 멸, 적멸, 멸도, 적 등으로 한역된다. 또한 해탈, 택멸(擇滅), 이계(離繫) 등과 같은 의미로 여겨진다. 석가모니의 입멸을 대반열반(大般涅槃, mahāparinirbāṇa|마하파리니바나pi)이라고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irvana
http://dictionary.re[...]
2016-03-08
[2]
서적
Therava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āres to Modern Colombo
Routledge
[3]
서적
Introducing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웹사이트
Donald S. lopez Jr., Nirvana,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9-29
[5]
서적
What Christians Can Learn from Buddhism: Rethinking Salvation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6]
웹사이트
IN THE PRESENCE OF NIBBANA:Developing Faith in the Buddhist Path to Enlightenment
http://www.dhammatal[...]
What-Buddha-Taught.net
[7]
웹사이트
The Soka Gakkai Dictionary of Buddhism, vimoksha
https://web.archive.[...]
[8]
서적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9]
서적
On World Religions: Diversity, Not Dissens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10]
논문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Philosophy Documentation Center
[11]
서적
Religion and Anthrop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Great Being
https://books.google[...]
Wipf
[13]
논문
MODELS OF AND FOR THE STUDY OF THE JAINS
Brill Academic
[14]
서적
Buddh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5]
서적
Theosophy Or Psychological Relig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Concise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archive.org/[...]
[17]
서적
Jainism: An Indian Religion of Salva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8]
웹사이트
Bhāvanā
https://dsal.uchicag[...]
Chipstead
[19]
웹사이트
Bhāvana" and "Bhāvanā
http://www.sanskrit-[...]
[20]
서적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books.google[...]
T. & T. Clark
[21]
서적
Circulation of Fire in the Ved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2]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books.google[...]
Encyclopædia Britannica
1997
[23]
웹사이트
The Words of My Perfect Teacher
https://web.archive.[...]
Shambhala
1998
[24]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5]
논문
Is Karma Evolutionary?
[26]
서적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System of the Vedanta: According to Badarayana's Brahma-Sutras and Shankara's Commentary thereon
https://books.google[...]
KB Classics
[28]
웹사이트
nirvana
https://www.britanni[...]
[29]
서적
Buddhism: A Moder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30]
서적
[31]
서적
Early Buddhism: A New Approach : the I of the Behol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
서적
Buddhist Thought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서적
The Notion of Emptiness in Early Buddhism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4]
서적
Understanding Eastern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서적
Buddhahood Embodied: Sources of Controversy in India and Tibe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36]
웹사이트
Atman (in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6-01
[37]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6-10-05
[38]
서적
The Hindu World
Routledge
2004
[39]
웹사이트
Anatt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40]
서적
[41]
웹사이트
मुच
http://www.ibiblio.o[...]
Monier-Williams Sanskrit English Dictionary
[42]
서적
Philosophies of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서적
Introducing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44]
서적
The Bhagavad Gita: Twenty-fifth–Anniversary Edi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6-10-05
[45]
서적
The Bhagavad Gita – According to Gandhi
North Atlantic Books
[46]
서적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ubl.
[47]
서적
The Assembly of listeners: Jains in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Uttaradhyayana Sutra, Jain Sutras Part II, Sacred Books of the East, Vol. 45
http://www.sacred-te[...]
The Clarendon Press
2007-12-19
[49]
웹사이트
Uttaradhyayana Sutra, Jain Sutras Part II, Sacred Books of the East, Vol. 45
http://www.sacred-te[...]
The Clarendon Press
2007-12-19
[50]
서적
The Sikh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Sussex Academic Press
[51]
서적
Sikhism: A Guide for the Perplexe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Sikhism
https://books.google[...]
Hemkunt Press
[53]
서적
The A to Z of Sikh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54]
서적
The Gnostic Bible: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Shambhala Publications
[55]
서적
Introducing Philosoph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56]
웹사이트
Nirvan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57]
서적
What Christians Can Learn from Buddhism: Rethinking Salvation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58]
웹사이트
IN THE PRESENCE OF NIBBANA:Developing Faith in the Buddhist Path to Enlightenment
http://www.dhammatal[...]
What-Buddha-Taught.net
2014-10-22
[59]
웹사이트
The Soka Gakkai Dictionary of Buddhism, vimoksha
http://www.sgilibrar[...]
2014-02-17
[60]
서적
Nirvana
[61]
서적
On World Religions: Diversity, Not Dissens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62]
서적
テーラワーダ仏教「自ら確かめる」ブッダの教え
Evolving
2018
[63]
웹사이트
Atman (in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2
[64]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65]
서적
The Hindu World
Routledge
2004
[66]
웹사이트
Anatt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67]
서적
[68]
웹사이트
मुच
Monier-Williams Sanskrit English Dictionary
[69]
서적
Philosophies of Ind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0]
서적
Collected Papers on Jaina Studies
Motilal Banarsidass Publ.
[71]
서적
The Assembly of listeners: Jains in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72]
논문
On the Metaphor of the Raft in the Mahāparinibbānasutta
2018
[73]
논문
仏教の幸福観を考える: 仏教辞典と若干の初期仏典を手がかりとして
2023
[74]
불교경전
사응부 육처사응 10.Saḷa-vaggo
[75]
불교경전
스타니파타 제4장 771
[76]
불교경전
사응부 잠부카다카사응 Nibbānasuttaṃ
[77]
불교경전
증장부 삼집(증장부) 바라문품
[78]
불교경전
소부(파리) 자설경 파타리촌인품
[79]
서적
원역 「법구경(단마파다)」 일일일화
佼成出版社
2003
[80]
백과사전
열반
[81]
백과사전
열반적정
[82]
웹사이트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http://ccbs.ntu.edu.[...]
2010-01-09
[83]
웹사이트
Buddhist Enlightenment vs Nirvana
http://www.urbandhar[...]
2010-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