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유럽의 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 유럽의 과학은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 고대 지식의 단절과 함께 시작되었으나, 12세기 르네상스를 통해 그리스 및 아랍 과학 저술 번역이 이루어지면서 발전했다. 중세 대학교를 중심으로 스콜라 철학자들이 경험주의적 방법론과 수학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과학적 개념을 제시했으며, 비잔틴과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아 고대 지식을 서유럽에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1277년 파리 대주교의 금령 이후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며 근대 과학의 싹이 텄고, 기술 발전은 농업 생산성 증가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세 유럽의 과학 |
---|
2. 중세 과학의 발전과 유산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은 과학적 발전을 자연스럽게 뒤따르게 한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중세에서의 과학과 기술의 관계는 이러한 생각이 당연하지만은 않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이 시기 유럽의 기술 분야에서는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깊이 땅을 갈 수 있는 쟁기, 말이 끄는 밭갈이 농기구 등이 개발되었고, 물레방아나 풍차와 같은 새로운 동력 수단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여러 지역에서 3포 농법을 통한 윤작을 시행하기 시작하여 농작물의 토지 단위당 소출이 급격히 커졌다. 그 영향은 매우 분명해서 인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로마의 전성기 이후 사라져 가던 도시가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경작지가 부족해지고 일손이 남아돌게 되었는데, 이는 십자군 운동의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기도 하였다.
수많은 과학사학자들은 고대, 중세 학자들의 활동 중 현대 과학 활동의 연속선상으로 볼 수 있는 내용들을 찾았고 그 내용, 용어, 방법론, 목적 등은 현대 과학의 연속선상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나 중세의 학자들은 현대의 과학자들과 전혀 다른 의문의 틀안에서 활동하곤 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13세기에 이미 옥스퍼드 연구자들(Oxford Calculators)은 상당히 정교한 실험과학의 성과를 논하였다. 14세기 중반 머튼 칼리지를 중심으로 한 수학자들은 17세기에 갈릴레이가 수학적인 식으로 운동을 나타내려 했던 것과 유사하게 물체의 움직이는 속도와 움직인 거리를 기하학적인 도형으로 나타내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료들을 내보이면서 중세 사가들은 종종 13~14세기에 이미 근대 과학의 싹이 돋아나고 있었다고도 이야기한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과학 혁명 이후 근대 과학의 직접적인 뿌리라고 보기는 힘들다. 근대 과학의 태동을 위해서는 르네상스 시기의 독특한 연금술적, 마술적, 플라톤적 분위기가 필요했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5세기에 로마 제국의 권력이 서방에서 실질적으로 종식되면서 서유럽은 중세 시대로 접어들었고, 이는 대륙의 지적 생산에 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커다란 어려움을 겪었다. 고대의 대부분의 고전 과학 논문들은 그리스어로 쓰여졌고, 단순화된 요약본과 편집본만 남겨진 채로 이용 불가능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 시대와 중세 초기의 과학 저술들은 읽혀지고 연구되었으며, 이성의 빛 아래서 이해될 수 있는 신성하게 제정된 법칙에 따라 기능하는 일관된 체계로서 자연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이러한 연구는 중세 초기에도 계속되었고, 12세기 르네상스를 통해 그리스어 및 아랍어 과학 저술의 번역을 통해 이 연구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다. 과학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중세 대학교 내에서 더욱 발전했으며, 여기서 이러한 저술들이 연구되고 발전되어 우주 현상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발전은 오늘날 일반 대중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중세 과학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이론이 오늘날 쓸모없게 되었고, 중세를 "개인의 경험과 합리적인 활동보다 종교 권위의 말을 우선시"하는 소위 "암흑 시대"로 희화화했기 때문이다.[2]
2. 1. 서유럽 중세 과학의 특징
5세기에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이후, 서유럽은 지적 생산성이 크게 감소하는 시기를 겪었다.[2] 고대의 과학 논문들은 대부분 그리스어로 쓰여졌기 때문에, 단순화된 요약본과 편집본만이 남아 접근하기 어려웠다.[2] 그러나 12세기 르네상스를 통해 그리스어 및 아랍어 과학 저술이 번역되면서 학문적 관심이 되살아났다.[2] 중세 대학교의 설립은 과학 연구와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2] 제라르 드 크레모나와 같은 학자들은 아랍어 서적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지식 확산에 기여했다.[14][15]
스콜라 철학은 신학과 과학의 조화를 추구했으며, 로버트 그로세테스트와 로저 베이컨은 경험주의적 방법론과 수학적 분석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 철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과학적 개념을 제시했다.[2] 특히 베이컨은 ''관찰'', ''가설'', ''실험'', 그리고 독립적인 ''검증''의 반복적인 순환을 강조하며, 과학적 방법의 초석을 다졌다.[2]

윌리엄 오컴은 오컴의 면도날로 알려진 간결성의 원리를 제시하여, 불필요한 가정을 배제하는 현대 과학 방법론의 기초를 마련했다. 장 뷔리당은 임페투스 이론을 발전시켜 관성 개념의 기초를 닦았으며, 니콜 오렘은 지구의 운동 가능성을 제시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에 도전했다.

이처럼 중세 서유럽의 과학은 고대 지식의 보존과 번역, 대학 중심의 연구, 스콜라 철학자들의 새로운 방법론 도입을 통해 발전했다.
2. 2. 중세 이슬람과 비잔틴 과학의 영향
비잔틴 과학은 고전 지식을 이슬람 세계와 르네상스 이탈리아로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세 아랍 지식을 르네상스 이탈리아로 전파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25] 풍부한 역사 기록 전통은 훌륭한 예술, 건축, 문학 및 기술적 업적의 기반이 된 고대 지식을 보존했다.비잔틴 과학자들은 위대한 고대 그리스 수학자들의 유산을 보존하고 이어받아 수학을 실천에 옮겼다. 초기 비잔티움 시대(5세기~7세기)의 건축가이자 수학자였던 밀레투스의 이시도르와 트랄레스의 안테미우스는 복잡한 수학 공식을 사용하여 웅장한 "성 소피아 대성당"을 건설했는데, 이는 당시와 그 이후 수 세기 동안 놀라운 기하학, 대담한 설계 및 높이로 인해 뛰어난 기술적 혁신이었다. 후기 비잔티움 시대(9세기~12세기)의 미카엘 프셀로스와 같은 수학자들은 수학을 세상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간주했다.
500년대의 비잔틴 학자 요한 필로포노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에 대한 가르침에 체계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최초의 사람이었다.[19] 이는 10세기 후인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갈릴레오는 과학 혁명 동안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주장하면서 자신의 저작에서 필로포노스를 상당 부분 인용했다.[20][21]
비잔틴 제국은 초기에 중세 이슬람 세계에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 및 수학 관련 텍스트를 아랍어로 번역하도록 제공했다. 이후 무슬림 세계가 등장하면서 그레고리오스 키오니아데스와 같은 비잔틴 과학자들은 자파르 이븐 무하마드 아부 마샤르 알 발키,[22] 이븐 유누스, 알 하자니,[23] 무하마드 이븐 무사 알-콰리즈미[24] 및 나시르 알딘 알 투시 등의 이슬람 천문학, 수학 및 과학에 관한 아랍어 텍스트를 중세 그리스어로 번역했다. 또한 일부 비잔틴 과학자들은 고대 그리스어 용어 대신 특정 과학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아랍어 음역을 사용하기도 했다(예: 고대 그리스어 ''호로스쿠푸스'' 대신 아랍어 ''탈레이'' 사용). 따라서 비잔틴 과학은 고대 그리스 지식을 서유럽과 이슬람 세계에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슬람 지식을 서유럽에 전달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중세 과학과 신학의 관계
중세 초기에는 기독교 신학과 그리스 자연 철학은 서로 도움을 주는 관계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 철학을 사용하여 신의 계시를 설명하려 했다. 그러나 12세기 후반 이후 인간의 이성이 강조되고 자연주의적인 경향을 띤 아리스토텔레스 학문이 아랍어를 통해 유입되면서 심한 갈등이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결정론적인 인과관계는 기적의 존재와 신의 전능성을 주장하는 기독교 교리와 상충했다.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스콜라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과 자연 철학을 통해 성경에 나타나는 계시 세계를 설명하려 노력했다. 예를 들어, 성찬식에서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피로 변하는 것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와 속성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중세 대학의 교양 학부 학자들은 점차 신학적 논의를 이성적으로 비판하기 시작했고, 이는 신학자들에게 위협으로 다가왔다.
결국 1277년 파리 대주교는 지나친 이성적 접근을 금지하는 금령을 내렸다. 이 금령 이후 학자들은 신의 전능함을 전제하는 토론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과학적 논의를 발전시켰다. 예를 들어, 지구가 움직일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가상 실험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의 한계를 지적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14세기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머튼 칼리지에서 물리 현상에 대한 수학적 연구가 시도되었고, 파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과는 다른 우주의 모습을 모색하는 학자들이 나타났다.
4.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비판과 근대 과학의 싹
1277년 파리 대주교의 금령은 종교적인 문제들에 대한 지나친 이성적 접근을 금지했지만, 역설적으로 학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이끌어냈다. 신의 전지전능함을 전제로 한 토론은 인간의 이성에 얽매이지 않고 현상을 기술하는 경험 과학의 등장을 촉진했다는 주장도 있다.
14세기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머튼 칼리지에서는 수학과 물리학의 영역을 구분했던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벗어나 물리 현상에 대한 수학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토마스 브래드와딘과 옥스퍼드 계산자들은 운동학을 역학과 구분하고 순간 속도를 연구하여 평균 속도 정리를 공식화했다. 이들은 갈릴레오 갈릴레이보다 앞서 "낙하하는 물체의 법칙"을 증명했다.
파리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관과는 다른 우주의 모습을 모색하는 학자들이 생겨났으며, 장 뷔리당은 관성 개념의 전 단계인 임페투스 이론을 발전시켰다. 니콜 오렘은 지구가 움직이고 천체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이론에 대한 단순성의 주장을 제시하기도 했지만, 결국에는 일반적인 의견으로 돌아갔다.
이처럼 14세기에는 수학적이고 경험적인 연구 방법이 발전했으며, 이는 근대 과학 혁명기의 과학과 유사한 형태를 띠었다. 과학 역사가 로널드 넘버스는 방법론적 자연주의에 대한 현대 과학적 가정이 이러한 중세 사상가들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지적한다.
5. 중세 과학과 기술의 관계
중세 시대에는 깊이 땅을 갈 수 있는 쟁기, 말이 끄는 밭갈이 농기구, 물레방아, 풍차 등의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농업 생산성 증가와 도시 발전에 기여했다. 3포 농법을 통한 윤작 시행으로 농작물의 토지 단위당 소출이 급격히 커졌고, 인구 증가와 로마 전성기 이후 사라져 가던 도시가 다시 등장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인구 증가는 경작지 부족과 일손 과잉을 야기했고, 이는 십자군 운동의 중요한 배경이 되기도 하였다.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은 기술의 발전은 과학적 발전을 자연스럽게 뒤따르게 한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중세에서의 과학과 기술의 관계는 이러한 생각이 당연하지만은 않음을 보여 준다.
6. 한국 중세(고려) 시대의 과학 기술
참조
[1]
웹사이트
Pierre Maurice Marie Duhem
https://web.archive.[...]
2011-07-26
[2]
서적
When Science & Christianity Meet
University of Chicago Pr.
[3]
서적
Roman Science
U of Wisconsin P
[4]
서적
The Foundations of Modern Science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 of South Carolina Pr.
[6]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 of South Carolina Pr.
[7]
간행물
Anglo-Saxon Plant Remedies and the Anglo-Saxons
[8]
간행물
Gregory of Tours, Monastic Timekeeping, and Early Christian Attitudes to Astronomy
[9]
서적
Astronomies and Cultures in Early Medieval Europe
Cambridge Univ. Pr.
[10]
서적
Mathematics and the Divine: A Historical Study
Elsevier
[11]
서적
Science in Western and Eastern Civilization in Carolingian Times
Birkhäuser Verlag
[12]
서적
Ordering the Heavens: Roman Astrology and Cosmology in the Caroligian Renaissance
Brill
[13]
서적
The Renaissance of the Twelfth Century
Harvard UP
[14]
서적
Science in Medieval Islam: An Illustrated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15]
서적
A Source Book in Medieval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Essays in the History of Mechanics
Springer-Verlag
[17]
서적
Le Livre du ciel et du mond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8]
서적
Science without God: Natural Laws and Christian Belief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웹사이트
John Philoponus & #124;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0-05-07
[20]
서적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stronomy, Containing the Eight Divided Books of Abu Ma'shar Abalachus
http://www.wdl.org/e[...]
2013-07-16
[23]
간행물
Gregory Chioniades and Palaeologan Astronomy
[24]
간행물
'Reviews: ''The Astronomical Works of Gregory Chioniades, Volume I: The Zij al- Ala''i'' by Gregory Chioniades, David Pingree; ''An Eleventh-Century Manual of Arabo-Byzantine Astronomy'' by Alexander Jones'
1991-03
[25]
간행물
Gregory Chioniades and Palaeologan Astronomy
[26]
간행물
'Charting the “Rise of the West”: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 Europe, A Long-Term Perspective from the Sixth through Eighteenth Centu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