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 대학은 11세기부터 유럽에서 발전하기 시작한 교육 기관으로, 물리적인 캠퍼스 없이 교회나 가정 등에서 수업이 진행되었다. 대학은 학생이 강사를 고용하는 볼로냐형, 교회가 강사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파리형, 왕실이나 국가의 지원을 받는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형으로 구분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법학이, 북유럽에서는 신학이 주요 연구 분야로 발전했으며, 논리학이 학문 발달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대학은 학위 제도와 교과 조직을 발전시켰으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지역의 대학들은 독자적인 특징을 보였다. 1088년 볼로냐 대학교를 시작으로 다양한 대학들이 유럽 각지에 설립되었으며, 중세 시대의 지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문 - 지식인
지식인은 지성을 활용하여 비판적 연구와 사색으로 사회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사람을 뜻하며, 드레퓌스 사건 이후 긍정적 의미로 변화하여 공공 영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 학문 - 대학 선거구
대학 선거구는 대학교 졸업생에게 의회 대표를 선출할 권한을 주는 제도로, 여러 나라에서 시행되었으나 현재는 아일랜드 상원에서만 유지되며 불공정성, 정치적 중립성 침해 논란이 있다. - 중세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중세 -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은 9세기에 정치적 통일을 이루었고, 바이킹 침략과 노르만 정복을 거친 후 봉건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1707년 스코틀랜드와의 통합으로 대영제국이 성립되면서 잉글랜드 왕국은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 교육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교육사 - 초등학교
대한민국의 초등학교는 6세부터 12세까지 6년간의 의무교육 기관으로, 기초 학습 능력과 바른 생활 습관 함양에 중점을 두며, 역사적으로 서당에서 기원하여 국민학교를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중세 대학 | |
---|---|
지도 | |
명칭 | |
라틴어 | universitas |
라틴어 (다른 명칭) | studium universitas magistrorum universitas scholarium universitas magistrorum et scholarium |
영어 | Medieval university |
라틴어 (일반 연구) | Studium generale |
일본어 | 中世大学 |
한국어 | 중세 대학 |
개요 | |
정의 | 중세 시대에 고등 교육을 목적으로 조직된 조합 |
특징 | 학위 수여 기관 교사와 학생의 자치 단체 유럽 전역에 확산된 문화적 현상 |
역사 | |
기원 | 11세기 후반과 12세기 초반 서유럽에서 설립 |
발달 배경 | 도시의 성장 교회와 군주들의 지원 지적 호기심 증가 |
초기 대학 | 볼로냐 대학교 파리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
확산 | 13~15세기에 유럽 전역으로 확산 |
대학의 구조 | |
조직 | 학부 (예: 인문학부, 법학부, 의학부, 신학부) 대학 (college) 또는 기숙사 (hall) |
교수진 | 교수 (magister, doctor) 강사 (lecturer) 학사 (bachelor) |
학생 | 다양한 지역에서 온 학생들 성직자, 귀족, 평민 출신 |
교육 | 강의 (lectio) 토론 (disputatio) 시험 학위 수여 |
교육 과정 | |
7 자유 학예 | 문법 수사학 논리학 (삼학) 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 (사학) |
고등 학문 | 신학 법학 (교회법, 민법) 의학 |
영향 | |
사회적 영향 | 지식 전파 및 발전 전문 인력 양성 사회 변혁의 중심지 |
문화적 영향 | 학문적 전통 형성 언어 및 문학 발전 유럽 문화 형성 |
현대 대학과의 관계 | 현대 대학의 모태 학문 체계와 구조의 기초 |
참고 문헌 | |
ISBN | 0-521-36105-2 3-406-36956-1 |
2. 역사
중세 대학은 중세 기독교 사회에서 비롯된 공식적인 교육 기관으로, 12세기와 13세기 유럽 사회의 성장과 도시화에 따라 전문 성직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발전했다.[6][7] 그레고리오 개혁의 영향으로 교회법과 종교 행정 교육의 필요성이 커졌고, 그레고리오 7세는 대성당학교의 규제된 설립을 명령하여 초기 대학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
해스팅스 러시달은 중세 대학이 교수나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서 자발적으로 등장했다고 보았다.[14][15] 이러한 초기 대학으로는 볼로냐 대학교(1088년), 파리 대학교(약 1150년), 옥스퍼드 대학교(1167년) 등이 있다.
S. F. 알라타스는 초기 유럽 대학교가 이슬람 스페인과 시칠리아 에미르국의 마드라사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10] 조지 마키디시, 토비 허프, 노먼 다니엘은 실제 전승 증거가 부족하고 구조, 방법론, 교육 과정 등에서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11][12][13]
중세 대학의 발전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남유럽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북유럽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48] 볼로냐 대학교를 모델로 한 남유럽 대학들은 법학과 의학을 중시했고, 파리 대학교를 모델로 한 북유럽 대학들은 신학을 중심으로 교회 기관이 운영을 주도했다.[48]
# | 설립년도 | 명칭 | 당시 국가명 | 현재 국가명 |
---|---|---|---|---|
1 | 1088 | 볼로냐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이탈리아 |
2 | 1150 | 파리 대학교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 | 1096 | 옥스퍼드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
4 | 1204 | 비첸차 대학교 | 비첸차 | 이탈리아 |
5 | 1209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
6 | 1212 | 팔렌시아 대학교 | 레온 왕국 | 스페인 |
7 | 1218 | 살라망카 대학교 | 레온 왕국 | 스페인 |
8 | 1222 | 파도바 대학교 | 파도바 | 이탈리아 |
9 | 1224 |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10 | 1229 | 툴루즈 제1대학교 | 프랑스 | |
11 | 1235 | 오를레앙 대학교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2 | 1240 | 시에나 대학교 | 시에나 공화국 | 이탈리아 |
13 | 1241 | 발라돌리드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4 | 1261 | 노샘프턴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
15 | 1272 | 무르시아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6 | 1289 | 몽펠리에 대학교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7 | 1290 | 마체라타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18 | 1290 | 코임브라 대학교 | 포르투갈 왕국 | |
19 | 1293 | 알칼라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20 | 1300 | 레이다 대학교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21 | 1303 | 로마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2 | 1308 | 페루자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3 | 1321 | 피렌체 대학교 | 피렌체 공화국 | 이탈리아 |
24 | 1336 | 카메리노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5 | 1339 | 그르노블 대학교 | 도피네 | 프랑스 |
26 | 1343 | 피사 대학교 | 피사 공화국 | 이탈리아 |
27 | 1348 | 프라하 카렐 대학교 | 보헤미아 왕국 | 체코 |
28 | 1349 | 페르피냥 대학교 | 아라곤 연합 왕국 | 프랑스 |
29 | 1356 | 앙제 대학교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0 | 1361 | 파비아 대학교 | 비스콘티 가문 | 이탈리아 |
31 | 1364 | 야기엘로 대학교 | 폴란드 왕국 | 폴란드 |
32 | 1365 | 빈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
33 | 1367 | 페치 대학교 | 헝가리 왕국 | 헝가리 |
34 | 1379 | 에어푸르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35 | 1380 | 디라키움 대학교 | 중세 알바니아 왕국 | 알바니아 |
36 | 1386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37 | 1388 | 쾰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38 | 1391 | 페라라 대학교 | 에스테 가문 | 이탈리아 |
39 | 1396 | 자다르 대학교 | ||
40 | 1404 | 토리노 대학교 | 사보이아 공국 | 이탈리아 |
41 | 1409 | 라이프치히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42 | 1413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스코틀랜드 왕국 | |
43 | 1419 | 로스톡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44 | 1425 | 루뱅 대학교 | 브라반트 공국 | 벨기에 |
45 | 1432 | 캉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프랑스 |
46 | 1434 | 카타니아 대학교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47 | 1441 | 보르도 대학교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48 | 1446 | 지로나 대학교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49 | 1450 | 바르셀로나 대학교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50 | 1451 | 글래스고 대학교 | 스코틀랜드 왕국 | |
51 | 1456 |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2 | 1457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3 | 1459 | 바젤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4 | 1459 | 잉골슈타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5 | 1460 | 낭트 대학교 | 프랑스 | |
56 | 1464 | 부르주 대학교 | 프랑스 | |
57 | 1465 | 이스트로폴리타나 대학교 | 슬로바키아 | |
58 | 1470 | 베네치아 대학교 | 베네치아 공화국 | 이탈리아 |
59 | 1471 | 제노바 대학교 | 제노바 공화국 | 이탈리아 |
60 | 1474 | 사라고사 대학교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61 | 1476 | 마인츠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2 | 1476 | 튀빙겐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3 | 1477 | 웁살라 대학교 | 스웨덴 | |
64 | 1479 | 코펜하겐 대학교 | ||
65 | 1483 | 팔마 대학교 | 마요르카 왕국 | 스페인 |
66 | 1489 | 시구엔사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67 | 1495 | 애버딘 대학교 | 스코틀랜드 왕국 | |
68 | 1498 |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9 | 1499 | 발렌시아 대학교 | 발렌시아 왕국 | 스페인 |
2. 1. 기원
중세 대학은 일반적으로 중세 기독교적 환경에서 기원한 공식적인 기관으로 여겨진다.[6][7] 대학교 설립 이전 수백 년 동안 유럽의 고등 교육은 기독교 대성당학교와 수도원학교(''scholae monasticae'')에서 이루어졌으며, 수도사와 수녀들이 수업을 가르쳤다. 많은 곳에서 대학교의 직접적인 전신에 대한 증거는 서기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8]12세기와 13세기에 유럽 사회의 성장과 도시화가 증가함에 따라 전문 성직자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그레고리오 개혁이 교회법과 성사 연구를 강조함에 따라 주교들은 성직자를 교회법과 종교 행정의 보다 세속적인 측면(설교와 신학적 논의에 사용되는 논리와 논쟁, 재정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회계 등)에 대해 교육하기 위해 대성당학교를 설립했다. 그레고리오 7세는 현대 대학교의 개념을 홍보하고 규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의 1079년 교황령은 최초의 유럽 대학교로 변모한 대성당학교의 규제된 설립을 명령했다.[9]
학문은 교회 계급에서 승진하는 데 필수적이 되었고, 교사들도 명성을 얻었다. 각각 본질적으로 한 명의 교장이 운영하는 대성당학교의 수용력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 게다가 대성당학교 학생들과 작은 마을의 시민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그 결과 대성당학교는 볼로냐, 로마, 파리와 같은 대도시로 이전했다.
해스팅스 러시달(영어: Hastings Rashdall)은 중세 대학의 기원에 대한 현대적 이해[14]를 제시하며, 초기 대학들이 "교수 또는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서… 국왕, 교황, 왕자 또는 고위 성직자의 명시적인 허가 없이" 자발적으로 등장했다고 지적했다.[15]
이러한 유형의 초기 대학으로는 볼로냐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i Bologna)(1088년), 파리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de Paris)(약 1150년), 옥스퍼드 대학교(영어: University of Oxford)(1167년) 등이 있다.

초기의 여러 대학교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유사한 경로를 따라 발전해 갔지만, 초기의 발달 과정은 독특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유럽 남부와 유럽 북부의 대학교들은 매우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이탈리아와 프랑스 남부의 대학교들은 대체로 볼로냐 대학교를 모델로 삼았고, 유럽 북부의 대학교들은 한결같이 파리 대학교를 본보기로 삼았다[48].
S. F. 알라타스는 마드라사와 초기 유럽 대학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했고, 유럽 최초의 대학교가 이슬람 스페인과 시칠리아 에미르국의 마드라사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론했다.[10] 그러나 조지 마키디시, 토비 허프 그리고 노먼 다니엘은 이슬람 세계에서 기독교 유럽으로의 실제 전승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고 "이슬람 대학"(''madrasa'')과 유럽 대학교의 구조, 방법론, 절차, 교육 과정 및 법적 지위의 차이점을 강조하며 이에 의문을 제기했다.[11][12][13]
# | 설립년도 | 명칭 | 당시 국가명 | 현재 국가명 |
---|---|---|---|---|
1 | 1088 | 볼로냐 대학교(Università di Bologna) | 신성 로마 제국 | 이탈리아 |
2 | 1150 |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 | 1096 |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 잉글랜드 왕국 | |
4 | 1204 | 비첸차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Vicenza) | 비첸차 | 이탈리아 |
5 | 1209 |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 잉글랜드 왕국 | |
6 | 1212 | 팔렌시아 대학교 | 레온 왕국 | 스페인 |
7 | 1218 | 살라망카 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 레온 왕국 | 스페인 |
8 | 1222 | 파도바 대학교(Università di Padova) | 파도바 | 이탈리아 |
9 | 1224 |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Federico II)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10 | 1229 | 툴루즈 제1대학교(Université Toulouse 1 Capitole) | 프랑스 | |
11 | 1235 | 오를레앙 대학교(Université d'Orléan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2 | 1240 | 시에나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Siena) | 시에나 공화국 | 이탈리아 |
13 | 1241 | 발라돌리드 대학교(Universidad de Valladolid)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4 | 1261 | 노샘프턴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
15 | 1272 | 무르시아 대학교(Universidad de Murcia)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6 | 1289 | 몽펠리에 대학교(Université de Montpellier)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7 | 1290 | 마체라타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18 | 1290 | 코임브라 대학교(Universidade de Coimbra) | 포르투갈 왕국 | |
19 | 1293 | 알칼라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20 | 1300 | 레이다 대학교(Universitat de Lleid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21 | 1303 | 로마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2 | 1308 | 페루자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erugia) | 교황령 | 이탈리아 |
23 | 1321 | 피렌체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Firenze) | 피렌체 공화국 | 이탈리아 |
24 | 1336 | 카메리노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5 | 1339 | 그르노블 대학교 | 도피네 | 프랑스 |
26 | 1343 | 피사 대학교(Università di Pisa) | 피사 공화국 | 이탈리아 |
27 | 1348 | 프라하 카렐 대학교(Univerzita Karlova) | 보헤미아 왕국 | 체코 |
28 | 1349 | 페르피냥 대학교(Université de Perpignan) | 아라곤 연합 왕국 | 프랑스 |
29 | 1356 | 앙제 대학교(Université d'Anger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0 | 1361 | 파비아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avia) | 비스콘티 가문 | 이탈리아 |
31 | 1364 | 야기엘로 대학교(Uniwersytet Jagielloński) | 폴란드 왕국 | 폴란드 |
32 | 1365 | 빈 대학교(Universität Wien)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
33 | 1367 | 페치 대학교 | 헝가리 왕국 | 헝가리 |
34 | 1379 | 에어푸르트 대학교(Universität Erfurt) | 신성 로마 제국 | |
35 | 1380 | 디라키움 대학교 | 중세 알바니아 왕국 | 알바니아 |
36 | 1386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 신성 로마 제국 | |
37 | 1388 | 쾰른 대학교(Universität zu Köln) | 신성 로마 제국 | |
38 | 1391 | 페라라 대학교 | 에스테 가문 | 이탈리아 |
39 | 1396 | 자다르 대학교(Sveučilište u Zadru) | ||
40 | 1404 | 토리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Torino) | 사보이아 공국 | 이탈리아 |
41 | 1409 | 라이프치히 대학교(Universität Leipzig) | 신성 로마 제국 | |
42 | 1413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University of St Andrews) | 스코틀랜드 왕국 | |
43 | 1419 | 로스톡 대학교(Universität Rostock) | 신성 로마 제국 | |
44 | 1425 | 루뱅 대학교 | 브라반트 공국 | 벨기에 |
45 | 1432 | 캉 대학교 | 잉글랜드 왕국 | 프랑스 |
46 | 1434 | 카타니아 대학교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47 | 1441 | 보르도 대학교(Université de Bordeaux)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48 | 1446 | 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Gir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49 | 1450 | 바르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Barcel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50 | 1451 |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 스코틀랜드 왕국 | |
51 | 1456 |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2 | 1457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3 | 1459 | 바젤 대학교(Universität Basel) | 신성 로마 제국 | |
54 | 1459 | 잉골슈타트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5 | 1460 | 낭트 대학교(Université de Nantes) | 프랑스 | |
56 | 1464 | 부르주 대학교 | 프랑스 | |
57 | 1465 | 이스트로폴리타나 대학교 | 슬로바키아 | |
58 | 1470 | 베네치아 대학교 | 베네치아 공화국 | 이탈리아 |
59 | 1471 | 제노바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Genova) | 제노바 공화국 | 이탈리아 |
60 | 1474 | 사라고사 대학교(Universidad de Zaragoz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61 | 1476 | 마인츠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2 | 1476 | 튀빙겐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3 | 1477 |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et) | 스웨덴 | |
64 | 1479 | 코펜하겐 대학교(Københavns Universitet) | ||
65 | 1483 | 팔마 대학교 | 마요르카 왕국 | 스페인 |
66 | 1489 | 시구엔사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67 | 1495 | 애버딘 대학교(University of Aberdeen) | 스코틀랜드 왕국 | |
68 | 1498 |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9 | 1499 | 발렌시아 대학교(Universitat de València) | 발렌시아 왕국 | 스페인 |
2. 1. 1. 이탈리아와 유럽 남부 대학교의 기원
볼로냐 대학교는 이탈리아와 프랑스 남부 대학교들의 모델이 되었다.[48] 이탈리아에서는 세속적인 학문관이 주도적이었으며, 북부 유럽에서 주목받지 못하던 사장교과가 중요하게 다루어졌고, 심지어 성직자들도 이에 관심을 가졌다. 또한, 상당수의 교사가 비성직자였기 때문에, 신학보다 법학과 의학이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남부 유럽 대학교의 기원은 별도로 연구되기도 한다.[48]로마 제국의 물질적, 정신적 유산은 이탈리아에 그대로 전승되었다. 여러 차례 이민족의 침략에도 불구하고 도시들은 자율적 통치기구로서 권리와 특전을 유지했으며, 로마 시민은 로마법의 보호를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이탈리아 지방에는 통치계급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지배를 받지 않는 시민계급이 출현했다. 이들은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하며 학문적 관심을 가졌고, 도시의 지위가 향상되면서 카롤루스 대제로부터 이민족 보호를 받게 되었다. 이후 신성로마제국과 교회 간의 알력을 외교적으로 이용하여, 11세기경 도시들은 양측으로부터 벗어나 자치국가가 되었다.[49]
도시 세력이 강대해지면서 법률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이탈리아는 로마법 전통을 간직하여 법률 공부에 대한 꾸준한 관심이 있었으나, 도시 발달로 새로운 전기를 맞이했다. 법률 지식은 도시 외부 세력에 대한 권리 유지뿐 아니라 내부 규제를 위해서도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법률은 수사학의 한 분야로서 학교 교리가 되었고, 라틴어 쇠퇴와 함께 문법교육의 범주로 넘어가게 되었다.[50][51]
일반교육의 한 부분으로 법률 교과가 보편화된 후, 법률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이 파비아와 라벤나에서 등장했다. 파비아는 롬바르디아법, 라벤나는 로마법으로 유명했지만, 볼로냐가 이탈리아 최고의 학교이자 최초의 법률대학으로 탄생했다. 볼로냐는 이탈리아 북부에서 중앙으로 가는 도로들의 접점이자 상업 중심지였으며, 이르네리우스(Irnerius)라는 대법학자의 등장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볼로냐 대학교가 유럽 전역에서 법학으로 명성을 얻고 설립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 이르네리우스라는 점에는 대체로 동의하지만, 그의 개인적인 정보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당대 저명한 법학자이자 훌륭한 교사였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르네리우스의 교육 방식과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알기 어렵다.[52][53]
이르네리우스의 주된 공헌은 《로마법 대전 개요서》[54]의 새로운 부분을 조명한 것이다. 그는 법의 원칙적인 면만 논쟁하는 대신 표준적인 법조문 자체를 정밀하게 연구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52] 이르네리우스의 혁신으로 법학은 자유학과에 부속된 군소교과의 지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학문영역으로 발전했고, 볼로냐는 유럽 전역에서 최고 수준의 법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도시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55]
2. 1. 2. 유럽 북부 대학교의 기원
유럽 북부의 대학교들은 파리 대학교를 본보기로 삼았다.[48] 유럽 북부에서 교육은 교회가 주도했으며, 학생 대부분은 젊은 성직자였다. 따라서 신학이 주요 학문이었고, 교회 기관이 대학교 행정과 운영을 주도했다.[48]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는 논리학과 논리학의 신학적 적용을 중세 학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만들었다. 그는 9세기 중엽 프랑크 왕국 궁정학교 교원으로, 진정한 철학과 종교는 일치하며, 신학적 문제를 철학적 방법으로 해결하려 했다. 그는 삼단논법으로 정통 교리를 논리적으로 확인하고, '관념과 실재의 관계'라는 중세 철학의 중요한 문제에 접근했다.[57][58]
요하네스 스코투스의 선구적인 업적은 당대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신플라톤주의자인 포르피리오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입문》 번역을 통해 형이상학과 신학 문제가 신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포르피리오스가 제기한 추상적인 반립명제들은 11세기에 실념론과 유명론의 대립으로 나타났다. 실념론은 사물의 실재가 일반적 관념에서 얻어지며, 감각으로 지각되는 사물은 외견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유명론은 일반적 관념은 이름뿐이며, 개별적인 사물 각각이 실재라고 보았다.
이러한 대립은 신학과 결합하며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했다. 실념론은 개별자의 중요성을 부정하여 영혼 불멸이나 신의 존재를 의심할 여지를 남겼고, 유명론은 삼위일체 교리와 성변화에 모순되었다.[60]
안셀무스와 로스켈리누스가 각각 실념론과 유명론을 주장하며 중세 철학의 변화가 시작되었다. 안셀무스는 이성이 권위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로스켈리누스는 믿음보다 의심과 검증을 강조했다. 이 두 입장은 중세 후기부터 말기까지 끊임없이 논쟁했다.[60][61][62][63]
이러한 논쟁은 학문 발달을 촉진했고, 유럽 북부 대학교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당시 교회부설학교의 교육과 운영이 발전하고 거의 모든 도시에 학교가 설립되면서 많은 학생 집단이 스콜라 철학 논쟁에 참여했다.[60]
12세기 초, 샤르트르에는 베르나르 드 샤르트르라는 학자가 고대 문학을 교육하는 스투디움 게네랄레가 있었다. 대학교가 발전하면서 논리학 이외의 학문은 15세기 르네상스까지 뒷전에 밀려 있었다.[65]
파리 대학교는 카페 왕조가 파리를 수도로 지정하면서 도시적 지위가 높아졌고, 12세기 후반 프랑스 최고의 교육도시로 성장했다. 피에르 아벨라르는 파리 대학교를 유럽 북부 최고의 대학교로 만들었다.[68]
피에르 아벨라르는 유명론의 대가 로스켈리누스에게서 교육받은 후, 교회 권력이 미치지 않는 농촌에 학교를 설립했다. 파리로 돌아와 교회와의 변증법 논쟁에서 승리하고 세속학교를 설립하여 많은 학생들을 모았다. 신학 공부 후 노트르담대성당부설학교 교장이 되었고, 그의 명성은 유럽 전역에 퍼져 수만 명의 학생이 파리로 몰려들었다.[66]
2. 2. 설립 과정과 성숙기

12세기 초, 볼로냐와 파리는 여러 면에서 달랐지만, 학문적으로는 비슷하게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67] 저명한 학자들의 등장은 대학교 출현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들은 교육 범위를 넓히고 교수법을 혁신하여 이전 시기와 차별화된 학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을 끌어모았다.[67]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가 곧 대학교가 등장한 시기이다.[67] '수투디아 게네랄레'라는 이름은 유럽 전역에서 '공부 장소'로 통용되었지만, 아직 우니베르시타스로 성장한 것은 아니었다. 수투디아 게네랄레는 아테네나 알렉산드리아의 학교와 크게 다르지 않았고, 교원 자격 규정도 확정되지 않았다. 볼로냐에서는 학생을 모을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교원이 될 수 있었다.[67] 또한, 수투디아 게네랄레 단계에서는 학생이나 교원의 조합이 특권을 갖지 못했다. 그러나 수투디아 게네랄레 학생들 상당수는 고향을 떠나온 사람들이었고, 이는 이후 우니베르시타스 출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67]
우니베르시타스는 원래 교원이나 학생의 조합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였다. 이 조합은 12세기 유럽 전역에 형성된 길드를 본떠 교원이나 학생의 상호부조와 보호를 위해 조직되었다. 중세에는 공동체를 벗어난 사람은 위험에 처하기 쉬웠고,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교원과 학생이 조합을 결성한 것이다.[70]
파리와 볼로냐 모두에서 우니베르시타스 형태로 가장 먼저 형성된 것은 교원조합이었다. 1170년경 파리에서 공부하던 셀라의 요하네스(Johannes of Cella)가 교원 자격을 얻어 ‘저명한 교원 동호회’에 가입했다는 기록을 통해, 1150년과 1170년 사이에 초보적인 형태의 교원조합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파리 대학교의 설립연도로 추정된다.[68] 파리의 초기 교원조합은 길드와 같이 학생이 교원 자격을 얻는 데 필요한 조건을 규정했지만, 정관이나 공식적인 대표는 없었다.[68] 1215년 이전에 교원조합이 있었다는 기록만 전해질 뿐, 볼로냐의 교원조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69]
12세기 후반에 출현한 볼로냐의 학생조합은 도제의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회원으로 했다는 점에서 교원조합과 달랐다.[70] 이 학생조합은 외국 상인들이 조직한 상인협회와 유사했는데, 학생들 대부분이 자기방어와 상호부조를 위해 협동해야 할 외국인이었기 때문이다.[70] 볼로냐에 최초로 출현한 우니베르시타스는 총 4개였으며, 순전히 회원의 이익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71]
초기 조합은 조직력이 강하지 않았지만, 회원들은 여러 특혜를 받았다. 파리에서는 교원조합이나 학생조합 회원들을 성직자로 간주하여 교회재판소에서 재판을 받게 했다.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은 조합 회원들을 특별 계급으로 간주하여 특권을 부여했다.[73] 이후 조합원들은 세속 권력으로부터 각별한 대우를 받았다. 1158년 프리드리히 1세는 롬바르디아 지방 내 모든 학생들에게 특수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칙령(학자의 특권;''AUTHENTUCA HABITA'')을 발표했다.[74] 1200년 파리에서 시민과 학생 간의 갈등으로 인한 난투극 이후, 필리프 2세는 프랑스 학생에게도 유사한 특권을 부여했다.[75]
그러나 이러한 특권들은 교원과 학생 개개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우니베르시타스 자체에는 주어지지 않았다. 13세기가 되면서 몇몇 우니베르시타스들이 행정 기능을 갖는 법인으로 발전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이 법인은 여러 개의 수투디아 게네랄레가 연합한 형태였으며, 권력기관과의 마찰이 이러한 발전의 중요한 원인이었다.[76][77][78]
해스팅스 러시달(영어: Hastings Rashdall)은 중세 대학의 기원에 대한 현대적 이해[14]를 제시하며, 초기 대학들이 "교수 또는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서… 국왕, 교황, 왕자 또는 고위 성직자의 명시적인 허가 없이" 자발적으로 등장했다고 지적했다.[15] 이러한 유형의 초기 대학으로는 볼로냐 대학교(1088년), 파리 대학교(약 1150년), 옥스퍼드 대학교(1167년) 등이 있다.[16][17]

많은 경우 대학들은 세속 권력에 특권을 요청했고, 이것이 하나의 모델이 되었다. 황제 프리드리히 1세는 ''오텐티카 하비타''(1158년)에서 볼로냐 학생들에게 최초의 특권을 부여했다. 알렉산더 3세(라틴어: Alexander III)는 1179년 교회 학교 교수들이 가르칠 자격을 부여하는 데 수수료를 받는 것을 금지하고, 자격을 갖춘 교사에게 자격을 부여하도록 의무화했다.[20] 러시달은 대학의 완전성은 외부 개입으로부터 학자들을 보호하는 내부적으로 규제된 단체에서만 보존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파리 대학교는 그레고리오 9세(라틴어: Gregorius IX)가 교황령 ''파렌스 스키엔티아룸''(1231년)을 발표하면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20] ''스투디움 게네랄레''(대학)과 ''우니베르시타스''(학생 또는 교수 단체)는 이전에도 존재했지만, 교황령 발표 후 자치권을 획득했음을 의미한다. 1233년 교황령은 툴루즈에서 교사로 인정받은 사람이 어디서든 가르칠 권리(ius ubique docendi)를 가지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학을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20]
13세기까지 교회의 최고 직책 중 거의 절반이 학위를 가진 교수들이 차지했고, 고대 중세의 가장 위대한 신학자 중 일부인 토마스 아퀴나스(라틴어: Thomas Aquinas)와 로버트 그로세테스트(영어: Robert Grosseteste)는 중세 대학 출신이었다.
중세 대학의 발전은 아리스토텔레스(고대 그리스어: Ἀριστοτέλης)의 재소개와 일치했다. 유럽 대학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른 자연 과학 교과서를 교육과정의 중심에 두었고,[22] 그 결과 현대 대학보다 과학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23]
르네상스 기간 동안 대학의 교육과정이 아리스토텔레스 중심의 석학주의였기에 쇠퇴했다고 알려져 왔지만, 토비 허프(영어: Toby Huff)는 유럽 대학의 지속적인 중요성을 지적하며, 16세기와 17세기 과학 혁명(영어: Scientific Revolution)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폴란드어: Mikołaj Kopernik), 갈릴레오 갈릴레이(이탈리아어: Galileo Galilei), 티코 브라헤(덴마크어: Tycho Brahe), 요하네스 케플러(독일어: Johannes Kepler), 뉴턴은 모두 유럽 대학의 산물이었다.[24]
초기 중세 대학에는 현대 대학의 캠퍼스와 같은 물리적 시설이 없었다. 수업은 교회나 가정과 같이 공간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진행되었다. 대학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universitas''(대학 공동체)로 뭉친 개인들의 집합이었다. 그러나 곧 대학들은 교육 목적으로 건물을 임대하거나 구입하거나 건설하기 시작했다.[25]
대학은 일반적으로 강사의 급여 제공자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볼로냐처럼 학생들이 강사를 고용하고 급여를 지급하는 유형, 파리처럼 강사의 급여는 교회에서 지급하는 유형,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는 주로 왕실과 국가의 지원을 받는 유형이 있었다. 볼로냐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모든 것을 운영했고, 파리에서는 강사들이 학교를 운영했다. 파리에서는 주요 과목이 신학이었고, 볼로냐에서는 법학이었다.
강사와 학자들이 이동하는 것도 특징이었다. 대학들은 최고의 인기 강사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했고, 이는 교육의 시장화로 이어졌다. 피에르 아벨라르의 학생들은 그를 따라 멜랑, 코르베유, 파리로 갔는데,[26] 이는 인기 있는 강사가 학생들을 데리고 다녔음을 보여준다.
학생들은 성직자의 법적 지위를 가졌기 때문에, 교회법은 여성의 대학교 입학을 금지했다. 학생들은 성직자의 법적 보호를 받았고, 체벌로부터 면제되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도시 환경에서 세속 법을 처벌 없이 어길 수 있는 자유를 주었고, 도둑질, 강간, 살인과 같은 많은 학대 행위로 이어졌다.[42] 이는 세속 당국과 타운 앤 가운 간의 긴장 관계를 초래했다. 교수와 학생들은 때때로 도시를 떠나 수년 동안 돌아오지 않는 "파업"을 벌였다. 1229년 파리 대학교 파업이 그 예시이다.
유럽의 대부분 대학교는 교황청에 의해 studia generaliala로 인정되었으며, 교황령으로 증명되었다. 이들은 유럽 전역에 지식을 전파하도록 장려되었으며, 종종 다른 studium generalela에서 강의했다. 교황령이 확인한 특권 중 하나는 ius ubique docendila를 수여할 권리, 즉 어디에서든 가르칠 권리였다.[43]
# | 설립년도 | 명칭 | 당시 국가명 | 현재 국가명 |
---|---|---|---|---|
1 | 1088 | 볼로냐 대학교(Università di Bologna) | 신성 로마 제국 | 이탈리아 |
2 | 1257 |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 | 1096 |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 잉글랜드 왕국 | |
4 | 1204 | 비첸차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Vicenza) | 비첸차 | 이탈리아 |
5 | 1209 |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 잉글랜드 왕국 | |
6 | 1212 | 레온 왕국 | 스페인 | |
7 | 1218 | 살라망카 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 레온 왕국 | 스페인 |
8 | 1222 | 파도바 대학교(Università di Padova) | 파도바 | 이탈리아 |
9 | 1224 |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Federico II)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10 | 1229 | 툴루즈 제1대학교(Université Toulouse 1 Capitole) | 프랑스 | |
11 | 1235 | 오를레앙 대학교(Université d'Orléan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2 | 1240 | 시에나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Siena) | 시에나 공화국 | 이탈리아 |
13 | 1241 | 발라돌리드 대학교(Universidad de Valladolid)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4 | 1261 | 잉글랜드 왕국 | ||
15 | 1272 | 무르시아 대학교(Universidad de Murcia)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6 | 1289 | 몽펠리에 대학교(Université de Montpellier)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7 | 1290 | 교황령 | 이탈리아 | |
18 | 1290 | 코임브라 대학교(Universidade de Coimbra) | 포르투갈 왕국 | |
19 | 1293 | 알칼라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20 | 1300 | 레이다 대학교(Universitat de Lleid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21 | 1303 | 로마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2 | 1308 | 페루자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erugia) | 교황령 | 이탈리아 |
23 | 1321 | 피렌체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Firenze) | 피렌체 공화국 | 이탈리아 |
24 | 1336 | 교황령 | 이탈리아 | |
25 | 1339 | 도피네 | 프랑스 | |
26 | 1343 | 피사 대학교(Università di Pisa) | 피사 공화국 | 이탈리아 |
27 | 1348 | 프라하 카렐 대학교(Univerzita Karlova) | 보헤미아 왕국 | 체코 |
28 | 1349 | 페르피냥 대학교(Université de Perpignan) | 아라곤 연합 왕국 | 프랑스 |
29 | 1356 | 앙제 대학교(Université d'Anger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0 | 1361 | 파비아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avia) | 비스콘티 가문 | 이탈리아 |
31 | 1364 | 야기엘로 대학교(Uniwersytet Jagielloński) | 폴란드 왕국 | 폴란드 |
32 | 1365 | 빈 대학교(Universität Wien)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
33 | 1367 | 헝가리 왕국 | 헝가리 | |
34 | 1379 | 에어푸르트 대학교(Universität Erfurt) | 신성 로마 제국 | |
35 | 1380 | 중세 알바니아 왕국 | 알바니아 | |
36 | 1386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 신성 로마 제국 | |
37 | 1388 | 쾰른 대학교(Universität zu Köln) | 신성 로마 제국 | |
38 | 1391 | 에스테 가문 | 이탈리아 | |
39 | 1396 | 자다르 대학교(Sveučilište u Zadru) | ||
40 | 1404 | 토리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Torino) | 사보이아 공국 | 이탈리아 |
41 | 1409 | 라이프치히 대학교(Universität Leipzig) | 신성 로마 제국 | |
42 | 1413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University of St Andrews) | 스코틀랜드 왕국 | |
43 | 1419 | 로스톡 대학교(Universität Rostock) | 신성 로마 제국 | |
44 | 1425 | 루뱅 대학교 | 브라반트 공국 | 벨기에 |
45 | 1432 | 잉글랜드 왕국 | 프랑스 | |
46 | 1434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
47 | 1441 | 보르도 대학교(Université de Bordeaux)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48 | 1446 | 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Gir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49 | 1450 | 바르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Barcel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50 | 1451 |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 스코틀랜드 왕국 | |
51 | 1456 | 신성 로마 제국 | ||
52 | 1457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3 | 1459 | 바젤 대학교(Universität Basel) | 신성 로마 제국 | |
54 | 1459 | 신성 로마 제국 | ||
55 | 1460 | 낭트 대학교(Université de Nantes) | 프랑스 | |
56 | 1464 | 프랑스 | ||
57 | 1465 | 슬로바키아 | ||
58 | 1470 | 베네치아 대학교 | 베네치아 공화국 | 이탈리아 |
59 | 1471 | 제노바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Genova) | 제노바 공화국 | 이탈리아 |
60 | 1474 | 사라고사 대학교(Universidad de Zaragoz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61 | 1476 | 마인츠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2 | 1476 | 튀빙겐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3 | 1477 |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et) | 스웨덴 | |
64 | 1479 | 코펜하겐 대학교(Københavns Universitet) | ||
65 | 1483 | 팔마 대학교 | 마요르카 왕국 | 스페인 |
66 | 1489 | 시구엔사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67 | 1495 | 애버딘 대학교(University of Aberdeen) | 스코틀랜드 왕국 | |
68 | 1498 | 신성 로마 제국 | ||
69 | 1499 | 발렌시아 대학교(Universitat de València) | 발렌시아 왕국 | 스페인 |
2. 2. 1. 볼로냐 대학교의 성립
12세기 후반, 볼로냐에서 학생조합이 출현했는데, 이는 도제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회원으로 했다는 점에서 교원조합과 달랐다.[70] 이 학생조합은 외국 상인들이 조직한 상인협회와 유사한 성격을 띠었는데, 학생들 대부분이 자기방어와 상호부조를 위해 협동해야 할 외국인이었기 때문이다.[70]볼로냐에 최초로 등장한 우니베르시타스는 총 4개로, 롬바르디아, 토스카나, 로마, 울트라몬타나(Ultramontana) 출신 학생들이 각각 우니베르시타스를 이루었다.[71] 이들은 학문적 권위는 없었고, 순전히 회원의 이익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70]

초기 조합은 조직력이 약했지만, 회원들은 여러 특혜를 받았다. 이탈리아의 여러 도시들은 조합 회원들을 특별 계급으로 간주하여 특권을 부여했다.[73] 1158년 프리드리히 1세는 롬바르디아 지방 내 모든 학생들에게 특수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칙령(학자의 특권;''AUTHENTUCA HABITA'')을 발표했다.[74] 이 칙령에 따라 학생은 재판을 받을 때 재판관으로 자신의 선생이나 거주 도시의 주교를 선택할 수 있었다.
볼로냐 지역에서 우니베르시타스와 권력기관과의 마찰은 비교적 단순했다. 볼로냐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외국인이었고, 본국에서 높은 지위에 있는 계급 출신이었다. 이들은 볼로냐에서 교수들과 시 당국에 맞서 이익을 수호하고자 우니베르시타스를 조직했다.[79]
13세기 중엽, 볼로냐의 여러 군소 우니베르시타스들은 치트라몬타나 우니베르시타스[80]와 울트라몬타나 우니베르시타스[81]로 통합되었다. 이 두 우니베르시타스는 각각 회장을 선출하고 회원들은 복종을 맹약했다. 14세기 초 두 우니베르시타스는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후 대학행정기구로서 학교 운영을 총괄하였다. 문학부와 의학부 등 소수 인원의 수투디아 게네랄레는 통합 우니베르시타스에 소속되어 볼로냐 대학교의 구성원이 되었다.
볼로냐에서 학생의 우니베르시타스와 시 당국 간의 대립은 심각하지 않았다.[82] 시 당국에 대한 자치권 청원은 대부분 받아들여졌고, 학생 행동 통제를 위한 '우니베르시타스 회장'[rector]의 사법권도 인정받았다. 양측 간 불화의 주된 원인은 학생 관련 사법사건에 우니베르시타스 회장이 시청, 시의회, 시민들에게 권위를 행사하는 문제였다. 이 문제는 양측의 팽팽한 대립으로 이어졌고, 2세기 후 볼로냐 대학교가 쇠락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학생들이 볼로냐를 떠나려 하는 문제도 심각했다. 중세 대학은 건물이나 재산이 거의 없어 학생들이 공부 장소를 찾아 이동하는 것이 관례였다. 1215년 볼로냐의 많은 학생들이 이웃 도시로 이주하자, 시 의회는 우니베르시타스 회장에게 압력을 가해 이주를 종용하면 시민 명부에서 출교(黜敎)시키겠다고 위협했다.[83]
볼로냐에서 학생들은 교원들을 상대로 큰 승리를 거두었다. 12세기까지 볼로냐의 수투디아 게네랄레에서 교육과 학술은 박사조합이 담당했다. 그러나 일부 반동적인 박사들과 학생들의 조직적인 수업 거부로 학생들의 우니베르시타스는 교원들을 제압했다. 교원들은 우니베르시타스 회장에게 복종하고 학생 간부의 결정에 따라 강의를 운영해야 했다. 또한 정해진 속도로 강의하고 모든 내용을 다루며, 어려운 부분을 생략할 수 없었다. 교원들은 정관과 학칙을 위반하면 벌금형을 받았고, 계속 항거하면 교원조합에서 제명되어 강의를 할 수 없었다.[84]
장기적으로 학생 주도의 볼로냐 우니베르시타스는 자체 붕괴 원인이 되었다.[84] 13세기 후반, 볼로냐 시 당국은 학생들의 불만을 무마하고 대학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박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시작했다. 시 당국은 대학교개혁위원회(Board of Reformatores studii)를 구성해 교원 임면권을 일부 행사했다. 이 위원회는 조합의 횡포에 맞서 대학 운영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의 우니베르시타스는 쇠퇴했고, 18세기에 격변기를 맞아 볼로냐 대학교는 명성을 뒤로하고 사라졌다.[84]
2. 2. 2. 파리 대학교의 성립
파리와 볼로냐 모두에서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 형태로 가장 먼저 형성된 것은 교원조합이었다. 1170년경 파리에서 공부하던 셀라의 요하네스(Johannes of Cella)가 교원 자격을 얻어 ‘저명한 교원 동호회’에 가입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통해 1150년과 1170년 사이에 초보적인 형태의 교원조합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파리 대학교의 설립연도를 이 사이로 추정한다.[68]파리 초기 교원조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전해지는 자료에 따르면 교원 조합에는 길드처럼 학생이 교원 자격을 얻는 데 필요한 조건들이 규정되어 있었다. 파리에서 학생이 교원 자격을 얻으려면, 당시 유명한 교원 아래에서 5~7년간 도제 생활을 해야 했다. 도제 생활을 마친 학생은 스승의 추천과 소개를 통해 교원 조합에 정식으로 알려졌다. 이후 교원조합 입회식에서 기존 조합원들 앞에서 예비 강의를 한 뒤 정식 조합원이 되었다. 이 초기 형태의 교원 조합은 정립된 정관이 없었고, 공식적인 대표를 가진 공인된 법인이 아니었다.[68]
일반적으로 교원조합은 길드를 본떠 운영되었다. 파리 대학교의 중심을 이룬 문학부 학생들은 볼로냐 대학교 학생들처럼 부유하지도 않았고 사회 경험도 적었다. 때문에 교원과 학생 간의 갈등은 거의 없었고, 대학 기관과 시 당국 간의 갈등도 적었다.[68]
파리 대학교 체제 확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13세기 내내 계속된 교원조합과 노트르담 사원장 간의 갈등이었다. 원래 노트르담 사원장은 노트르담 대성당 부설학교 교장을 겸하면서 파리 교육계의 최고 권위자였으며, 파리의 모든 교원들은 사원장이 발급하는 교원 자격증을 소지해야 했다. 노트르담 사원장은 임의대로 교원 자격증을 수여하고 박탈할 권리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파리 내 교원과 학생 관련 모든 일을 관장할 수 있었다. 교원들은 노트르담 사원장이 교원 자격증을 수여하고 박탈할 권리를 가진다는 데는 동의했지만, 교원이 될 수 있는 조건을 정하는 것은 교원들에게 위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에 따라 교원들은 자신들이 내세우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자가 노트르담 사원장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도 교원조합 가입을 승인하지 않았다.[86]
교원들의 이러한 행동은 교회 간부들에게 공인된 권위에 대한 반란으로 간주되었으며, 교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봉쇄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86] 13세기 초반 10여 년간, 노트르담 사원장은 모든 교원에게 교회 기관에 대한 복종 서약을 강요하며 공격을 시작했다. 이에 대항하여 파리 교원조합은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게 노트르담 사원장이 제시하는 복종 서약의 타당성을 질의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는 복종 서약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했으며, 1212년 정식 교지를 내려 노트르담 사원장은 교원과 교원조합에 복종 서약을 강요할 수 없고, 교원조합에서 제출하는 명부의 모든 신규 교원에게 자격증을 발부해야 한다고 확정하였다.[86]
이러한 교황의 조치로 노트르담 사원장의 영향력은 문학부에만 한정되었다. 그러나 교황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파리 교회 기관들은 교원과 학생을 종속적인 지위에 두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85]했으며, 교원들이 대학교 운영 정관을 임의로 정했다는 이유로 대학교 전체를 파문하기도 했다.[68] 교원들은 계속해서 로마 교황에게 교회기관에 대항하는 청원서를 제출했고, 교황의 결정은 대부분 대학교와 교원에게 유리하게 내려졌다. 결국 노트르담 사원장이 교원과 학생을 억압하기 위해 운영하던 감옥은 폐쇄되고, 대학교 파문이 취소되었으며, 교황의 인준 없이는 대학교를 파문할 수 없게 되었다.[68]
그러나 파리 대학교의 문제는 교황의 결정으로 끝나지 않았다. 1229년 시민과 파리 대학교 학생 간의 갈등으로 파리 대주교의 묵인 하에 프랑스 국왕이 군대를 동원하여 많은 파리 대학생이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교원들은 이 사건 직후 강의를 중단했다. 그러나 강의 중단이 아무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하자, 대학교를 자진 폐쇄하기에 이르렀다. 많은 교원들이 영국의 옥스퍼드 지역으로 이주[87][88]하였고, 일부는 프랑스 내 신생 대학교로 흩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교원 입장에서 파리 대학교와 파리 교회 당국 간의 중재를 시도했고, 1231년 「학문의 모체(Parens Scientiarum)」라는 교지를 발표했다. 이 교지로 교원들은 강의 거부를 통해 그들의 입장을 관철할 수 있는 정식 권한을 갖게 되었고, 파리 대학교 규정을 자율적으로 정하고, 그 규정 준수를 구성원들에게 강제할 수 있는 완전한 권리를 갖게 되었다.[68] 이와 동시에 노트르담 사원장의 사법권은 더욱 약화되었다. 노트르담 사원장의 형법에 대한 권한은 완전히 소멸되었고, 민법 또는 종교 문제에 대한 사법권도 상당히 축소되었다.[68]
13세기 중반, 도미니코 수도회와 프란체스코 수도회 두 탁발 수도사 교단이 세력을 확대하면서 파리 대학교의 자유는 새로운 위협에 직면했다. 이들은 파리 대학교의 교원 임용 규정에 예외를 인정받아 신학교원으로 채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전 교황과 반대 정책을 시행하는 교황 알렉산데르 4세를 배경으로 모든 교원들의 반대를 뚫고 주장을 관철하였다. 그러나 후임 교황들이 교황 알렉산데르 4세의 정책을 취소하면서 탁발 수도사들이 얻은 권리 또한 취소되었다.[89]
13세기 전반에 걸친 투쟁은 파리 대학교 조직과 체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13세기 초 파리 대학교는 학부별로 엉성하게 엮인 교원과 학생 조합에 불과했고, 이 학부들은 노트르담 사원장의 교원 자격증으로 엮여 있었을 뿐이었다.[85] 반면, 13세기 말엽에는 개별 학부들이 참여하는 협의체가 있었고, 문학부 학장이 대학교 총장을 겸하고 있었다.[85]
노트르담 사원장에 공동으로 대항하는 과정에서 여러 교원 우니베르시타스들이 하나로 통폐합[90]되었고, 그중 학사 과정 교육을 담당하는 문학부 우니베르시타스가 두각을 나타냈다. 문학부가 대두된 이유는 문학부 교원 대부분이 젊었고, 노트르담 사원장에게 가장 많은 괴롭힘을 받았으며, 결과적으로 문학부 교원이 가장 강한 결속으로 저항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문학부 교원들은 볼로냐 대학교 법학도들의 선례를 따라 국가별 4개 조직[91]으로 규합되었다. 이 네 국가 우니베르시타스의 간부와 문학부 학장이 문학부 투쟁 정책을 결정하였다.[92]
파리 대학교와 노트르담 사원장 간 갈등이 첨예화되면서 문학부 교원들의 영향력이 꾸준히 증가했고, 문학부 학장과 산하 4개 우니베르시타스가 파리 대학교 특권 수호의 선봉장이 되었다. 문학부 문인(artists; 문학부 소속 교원)이 전체 교원 중 다수를 차지했고, 빈번한 소송과 투쟁 비용 대부분을 문학부에서 부담한 사실은 문학부의 전체 위상을 높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문학부 우니베르시타스 간부는 모든 학부 협의체에서 우위를 차지했고, 문학부 학장은 정관상 타 학부 학장과 동등한 지위에 있었으나, 파리 대학교 전체를 구성하는 7개 우니베르시타스[93]를 관장하는 총장을 겸하였다.[85][90]
3. 교과 조직 및 학위ㆍ학직의 발전
대학교의 조직과 운영 체제가 발전하면서 교과 조직도 함께 발전하였다. 13세기 초 학위 제도와 학위 수여가 등장하면서 교과 조직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전에는 학생이 교원 자격을 얻기 위해 도제가 장인이 되는 과정과 유사한 절차를 거쳤다. 학생은 교원 조합의 강좌를 4~5년 간 수강하면 교생이 되었고, 교생 자격으로 몇 년이 지나면 정식 교원이 되는 절차가 시작되었다.[94][95][96]
파리를 기준으로 북부에서는 노트르담 사원장이나 그에 준하는 교회 간부에게 교원 자격증을 신청하고, 교원 후보자의 스승은 교원 후보자를 교원조합에 정식으로 소개했다. 이후 교회 기관에서 자격증을 부여하면 교원조합에 가입하여 정식 교원이 되었다. 파리 이남의 경우도 파리 이북과 비슷했지만, 13세기 초반까지는 교회 기관의 허가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달랐다. 남부에서 교회 기관의 승인이 교원 자격의 필수 요건이 된 것은 1219년 교황 호노리오 3세가 볼로냐에서도 파리와 마찬가지로 교원 후보자들이 볼로냐 부주교의 인가를 받도록 한 이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교원 지위의 명예가 높아져 실제로 교원 활동을 할 의향이 없는 사람들도 교원 지위를 얻으려고 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가르치는 교사'와 '가르치지 아니하는 교사' 간의 구분이 생겼다. 그리하여 마스터(master)는 특별한 교육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를 의미하게 되었으며, 마스터의 자격 요건을 더욱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대학교에서 학위 제도가 출현한 것은 대학교 내의 편의나 효율을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13세기에 새로운 대학교들이 설립되면서 출신 대학교의 학위가 민감한 사안이 되었다. 당시 명성이 높았던 볼로냐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조차 상위 학부에서 각각 법학부와 신학부만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 있었고, 다른 학부에는 교원이 없거나 매우 형편없는 교원만 있었다. 따라서 여러 분야에 걸쳐 양질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여러 곳을 돌아다녀야 했다.
볼로냐 대학교나 파리 대학교와 같은 명문 학교는 자신들의 명성을 근거로 졸업생이나 교원 경력이 있는 자에게 '장소를 불문하고 가르칠 수 있는 권리(jus ubique docendi)'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새로운 시험이나 별도의 절차 없이 유럽 어디에서나 교원 자격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고, 대체로 관철되었다. 그러나 명문 대학교와 같은 명성을 가지지 못한 신생 대학교들은 명성 이외의 조건을 통해 그러한 권리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 교원자격특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13세기 초 교황이나 황제가 대학교의 설립에 관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의 출현을 계기로, 대학교가 적절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권력자의 설립 조서를 받아내는 데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즉, 유럽의 종교 지도자인 교황이나 유럽의 상징적 지배자인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대학교 인가를 득함으로써, 그 대학교에서 부여하는 학위가 보편타당성을 갖도록 한다는 것이다. 13세기 말엽에는 그러한 관례가 완전히 정립되어, 파리 대학교나 옥스퍼드 대학교와 같은 명문 대학교들 조차도 자신들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교황에게 교원자격특권을 인가해 줄 것을 요청할 정도였다.
대학교 학업은 문학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6년이 걸렸다(3학년 또는 4학년을 마치면 문학 학사 학위가 수여됨). 이를 위한 학업은 7개의 교양 과목(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 이론, 문법, 논리학, 수사학)을 가르치는 예술학부에서 이루어졌다.[29][30] 모든 강의는 라틴어로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라틴어로 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31] 트리비움은 문법, 논리학, 수사학의 세 과목으로 구성된, 가장 먼저 가르치는 과목이었다.[32] 콰드리비움은 산술, 기하, 음악, 천문학으로 구성되었다. 콰드리비움은 트리비움의 예비 과정 이후에 가르쳐졌으며 문학 석사 학위로 이어졌다.[33] 교육 과정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철학인 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도 포함되었다.[32]
철학과 신학에 대한 중세 사상의 많은 부분은 스콜라적 본문 해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스콜라 학파가 매우 인기 있는 교육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엘리우스 도나투스의 ''Ars grammatica''는 문법의 표준 교과서였으며, 프리스키아누스의 저작과 베튈의 에버하르트의 ''Graecismus''도 연구되었다.[34] 키케로의 저작은 수사학 연구에 사용되었다.[32] 논리학에 대한 연구 서적에는 포르피리오스의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서론, 질베르 드 라 포레의 ''De sex principiis'', 그리고 페트루스 히스파누스(후일 요한 21세 교황)의 ''Summulae Logicales''가 포함되었다.[35] 천문학의 표준 저서는 ''Tractatus de sphaera''였다.[35]
문학 석사 학위가 수여되면 학생은 대학을 떠나거나 더 높은 학부인 법학, 의학, 또는 신학 중 하나에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는데, 신학이 가장 권위 있는 학문이었다. 원래는 교황이 신학 연구를 통제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신학부를 가진 대학은 소수에 불과했다. 14세기 중반까지는 파리,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로마의 대학에서만 신학을 공부할 수 있었다. 프라하 대학교(1347년)의 설립이 이들의 독점을 종식시켰고, 그 후 다른 대학들도 신학부를 설립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36]
신학 연구의 인기 있는 교과서는 피터 롬바르드의 ''Sentences'' (''Quattuor libri sententiarum'')였으며, 신학생과 석사 모두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이 본문에 대한 강의를 하거나 광범위한 해설을 작성해야 했다.[37][38] 상위 학부의 연구는 석사 학위 또는 박사 학위(처음에는 두 학위가 동의어였음)를 받는 데 최대 12년이 걸릴 수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학사 및 면허 학위가 수여될 수도 있었다.[39]
강좌는 주제나 테마가 아닌 책에 따라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이나 성경의 책에 대한 강좌가 있을 수 있었다. 강좌는 선택 과목이 아니었다. 강좌는 정해져 있었고 모든 학생은 동일한 강좌를 수강해야 했다. 그러나 어떤 교사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지는 가끔 있었다.[40]
학생들은 종종 14세에서 15세에 대학에 입학했지만, 많은 학생들이 더 나이가 들었다.[41] 수업은 보통 오전 5시 또는 6시에 시작되었다.
3. 1. 볼로냐 대학교의 교과 조직 및 학위ㆍ학직의 발전
1219년 교황 호노리오 3세가 볼로냐에서도 파리와 마찬가지로 교원 후보자들이 볼로냐 부주교의 인가를 받도록 한 이후, 볼로냐 대학교에서 마스터(master)의 자격 요건이 가장 먼저 체계화되었다.[94][95][96] 중세에 ‘법학 지식’은 법률 운영과 그것에 관련있는 공인된 주석에 대한 지식을 의미했다. 따라서, 법률 문헌에 대한 강좌를 수강하고 그 내용에 대한 시험에 합격하는 것은 법학 학위를 받는데 중요한 요건이 되었다. 민법을 공부하는 학생은 5년 간의 공부를 마치고 나면, 학장에게 전체 범위 중 한 부분을 강의할 수 있게 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그러한 강의를 마친 후 1년 후엔 내용 전체를 강의할 자격을 요청할 수 있었다. 전체 범위의 강의를 마치면 별도의 시험 없이 학사학위[Bachelor]를 수여 받았다. 그 이후 2년간 더 강좌를 수강하고 공부하면, 박사학위[Doctorate]를 취득하기 위한 시험에 출원할 수 있었다.학사는 박사 학위 시험에 본격적으로 응시하기에 앞서, 지원하는 분야의 학장 앞에서 박사 학위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모든 요건을 갖추었고, 그에게 복종할 것을 선서했다. 학장이 시험 응시를 허가하면, 학사는 자신을 가르쳐준 박사를 통해 볼로냐 대주교에게 박사 학위 후보자로 추천된다. 그 다음 박사 학위 후보자는 비공개 시험에 응시한다. 비공개 시험에서 후보자는 여러 명의 박사들로부터 구술 문제 2개를 제시받고 몇 시간 뒤 답변한다. 첫 번째 문제의 답은 후보자를 가르친 2명의 박사 앞에서 진술하며, 두 번째 문제의 답은 여러 명의 박사 앞에서 진술한다. 이 비공개 시험에서 후보자가 합격하면, ‘후보자’ 신분에서 ‘유자격자’ 신분을 얻게 된다.
박사 학위 유자격자는 볼로냐 대성당에서 성대한 의식과 함께 거행되는 형식적인 공개 시험을 거쳐 정식 박사 학위를 취득하게 된다. 공개 시험은 유자격자가 법학의 한 주제에 대해 공개 강의를 진행하고 사전에 선발된 학생과 관련 주제에 대해 논변을 주고 받는 것이었다. 박사 학위를 취득하면 동시에 볼로냐 부주교로부터 교원 자격증을 수여받고, 교원의 의자[magisterial cathedra]에 앉을 자격이 주어졌다. 법률 교원에게는 로마법 대전과 기사 지위를 의미하는 금반지가 수여되었다.
3. 2. 파리 대학교의 교과 조직 및 학위ㆍ학직의 발전
파리 대학교의 교과 제도는 볼로냐 대학교와 매우 유사하게 발전하였다. 1215년, 파리 대학교에서는 문학 학위 취득에 필요한 교육 과정이 명확하게 규정되었다. 당시 파리 대학교의 7자유교과는 원래의 7자유교과와는 많이 달랐다. 가장 중요한 과목은 논리학이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 입문(On Aristotle's Categories)》을 주교재로 사용했다. 문법은 프리스키아누스(Priscianus)의 논문에 국한되었고, 문학은 가르치지 않았다. 수사학과 철학은 부차적인 과목으로 여겨져 휴일이나 국경일에만 읽혔다. 수사학 교재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4과(대수학, 기하학, 음악학, 천문학)가 포함되었다.이러한 교과 규정은 여러 차례 바뀌었다. 특히 13세기 중반에는 이전까지 이단시되어 일부 내용만 교과목으로 채택되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 중 더 많은 것들이 교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여기에는 《형이상학》과 《자연학》과 같이 당시에 새로 발굴된 저작들도 포함되었다. 14세기 중엽, 문학부의 교과 과정은 세 단계로 나뉘었다.
- 학사(Baccalaureate) 과정 - 문법, 논리학, 심리학
- 교사자격과정(Licence) 과정 - 자연철학(자연학)
- 교사임용(Mastership) 과정 - 도덕철학, 고급 자연철학(고급 자연학)
13세기 말에는 각 과정 이수 단계에 해당 교과에 대한 시험이 추가되었다. 학사 학위 지망자는 먼저 문법 교원과 논리학 교원과의 논변을 통해 능력을 입증하고, 파리 대학교 당국이 지정한 시험관 앞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구두시험을 보았다. 시험관은 지원자가 적절한 기간 동안 지정된 강의를 수강했는지, 공부한 내용을 잘 알고 있는지 '판정'했다. 이 판정을 통과하면 '결정' 과정에 들어갔다. 결정 과정에서 지원자는 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이를 반박하는 시험관에 대항해 자신의 입장을 변호했다. 이 과정은 수일간 계속되었고, 성공적으로 마치면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학사 학위자는 후속 강좌를 수강하고, 교과 내용에 대한 강의와 논변을 한 후, 노트르담 사원장에게 교원자격증[97]을 신청했다. 신청자는 노트르담 사원장과 4인의 시험관 앞에서 강의 시연을 하고, 강의 주제와 관련하여 사원장과 시험관들과 논변을 펼쳤다. 시험 통과 후, 입회식에서 자신이 속한 우니베르시타스(조합)에 선서를 하고, 기존 교원들과 형식적인 논변을 했다. 입회식이 끝나면 교원 자격증과 예모를 받고, 교원의 의자에 앉을 자격을 얻었다.
문학부 위의 세 상위학부(신학부, 법학부, 의학부)의 박사 학위 수여 절차도 문학부와 비슷했다. 신학부, 법학부, 의학부의 학위 지망자는 우선 문학부 공부를 얼마간 한 후[98], 일정 기간 동안 지정된 공부를 하고, 논변 위주의 시험을 거쳐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3. 3. 중세 대학에서의 교과 조직 및 학위ㆍ학직의 성격
대학교의 조직과 운영 체제가 발전하면서 교과 조직도 함께 발전하였다. 13세기 초 학위 제도와 학위 수여가 등장하면서 교과 조직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전에는 학생이 교원 자격을 얻기 위해 도제가 장인이 되는 과정과 유사한 절차를 거쳤다. 학생은 교원 조합의 강좌를 4~5년 간 수강하면 교생이 되었고, 교생 자격으로 몇 년이 지나면 정식 교원이 되는 절차가 시작되었다.파리를 기준으로 북부에서는 노트르담 사원장이나 그에 준하는 교회 간부에게 교원 자격증을 신청하고, 교원 후보자의 스승은 교원 후보자를 교원조합에 정식으로 소개했다. 이후 교회 기관에서 자격증을 부여하면 교원조합에 가입하여 정식 교원이 되었다. 파리 이남의 경우도 파리 이북과 비슷했지만, 13세기 초반까지는 교회 기관의 허가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달랐다. 남부에서 교회 기관의 승인이 교원 자격의 필수 요건이 된 것은 1219년 교황 호노리오 3세가 볼로냐에서도 파리와 마찬가지로 교원 후보자들이 볼로냐 부주교의 인가를 받도록 한 이후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교원 지위의 명예가 높아져 실제로 교원 활동을 할 의향이 없는 사람들도 교원 지위를 얻으려고 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가르치는 교사'[94]와 '가르치지 아니하는 교사'[95] 간의 구분이 생겼다. 그리하여 마스터(master)[96]는 특별한 교육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자를 의미하게 되었으며, 마스터의 자격 요건을 더욱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대학교에서 학위 제도가 출현한 것은 대학교 내의 편의나 효율을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13세기에 새로운 대학교들이 설립되면서 출신 대학교의 학위가 민감한 사안이 되었다. 당시 명성이 높았던 볼로냐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조차 상위 학부에서 각각 법학부와 신학부만 높은 수준으로 발전해 있었고, 다른 학부에는 교원이 없거나 매우 형편없는 교원만 있었다. 따라서 여러 분야에 걸쳐 양질의 교육을 받고자 하는 사람은 여러 곳을 돌아다녀야 했다. 예를 들어, 피에르 아벨라르는 투르와 파리에서 문법과 철학을 공부하고, 교회법 강의를 듣기 위해 볼로냐에 갔다가 다시 파리로 돌아와 신학을 공부한 후 영국의 대학교에서 교원이 되었다. 이처럼 학생들이 여러 곳을 옮겨 다니는 상황에서는 각 대학교에 있는 교원의 실력 차이가 매우 중요했다.
볼로냐 대학교나 파리 대학교와 같은 명문 학교는 자신들의 명성을 근거로 졸업생이나 교원 경력이 있는 자에게 '장소를 불문하고 가르칠 수 있는 권리(jus ubique docendi)'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새로운 시험이나 별도의 절차 없이 유럽 어디에서나 교원 자격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고, 대체로 관철되었다. 그러나 명문 대학교와 같은 명성을 가지지 못한 신생 대학교들은 명성 이외의 조건을 통해 그러한 권리를 확보하고자 했다. 스페인과 같이 국왕으로부터 교원자격특권을 받는 유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특권은 스페인 내의 대학교에 많은 학생이 유입되도록 기여했지만, 특권의 범위가 스페인 내로 한정되어 큰 효력을 갖지는 못했다.
이 교원자격특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13세기 초 교황이나 황제가 대학교의 설립에 관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방식의 출현을 계기로, 대학교가 적절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편적 권력자의 설립 조서를 받아내는 데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즉, 유럽의 종교 지도자인 교황이나 유럽의 상징적 지배자인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대학교 인가를 득함으로써, 그 대학교에서 부여하는 학위가 보편타당성을 갖도록 한다는 것이다. 유럽의 대학교들 중에서 최초의 학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학교들이 황제의 칙령이나 교황의 교지에 의해 설립된 것이 이 때문이다. 13세기 말엽에는 그러한 관례가 완전히 정립되어, 파리 대학교나 옥스퍼드 대학교와 같은 명문 대학교들 조차도 자신들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교황에게 교원자격특권을 인가해 줄 것을 요청할 정도였다.
대학교 학업은 문학 석사 학위를 받기 위해 6년이 걸렸다(3학년 또는 4학년을 마치면 문학 학사 학위가 수여됨). 이를 위한 학업은 7개의 교양 과목(산술, 기하, 천문학, 음악 이론, 문법, 논리학, 수사학)을 가르치는 예술학부에서 이루어졌다.[29][30] 모든 강의는 라틴어로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라틴어로 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31] ''트리비움''은 문법, 논리학, 수사학의 세 과목으로 구성된, 가장 먼저 가르치는 과목이었다.[32] ''콰드리비움''은 산술, 기하, 음악, 천문학으로 구성되었다. 콰드리비움은 트리비움의 예비 과정 이후에 가르쳐졌으며 문학 석사 학위로 이어졌다.[33] 교육 과정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세 가지 철학인 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도 포함되었다.[32]
철학과 신학에 대한 중세 사상의 많은 부분은 스콜라적 본문 해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스콜라 학파가 매우 인기 있는 교육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엘리우스 도나투스의 ''Ars grammatica''는 문법의 표준 교과서였으며, 프리스키아누스의 저작과 베튈의 에버하르트의 ''Graecismus''도 연구되었다.[34] 키케로의 저작은 수사학 연구에 사용되었다.[32] 논리학에 대한 연구 서적에는 포르피리오스의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서론, 질베르 드 라 포레의 ''De sex principiis'', 그리고 페트루스 히스파누스(후일 요한 21세 교황)의 ''Summulae Logicales''가 포함되었다.[35] 천문학의 표준 저서는 ''Tractatus de sphaera''였다.[35]
문학 석사 학위가 수여되면 학생은 대학을 떠나거나 더 높은 학부인 법학, 의학, 또는 신학 중 하나에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는데, 신학이 가장 권위 있는 학문이었다. 원래는 교황이 신학 연구를 통제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신학부를 가진 대학은 소수에 불과했다. 14세기 중반까지는 파리,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로마의 대학에서만 신학을 공부할 수 있었다. 프라하 대학교(1347년)의 설립이 이들의 독점을 종식시켰고, 그 후 다른 대학들도 신학부를 설립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36]
신학 연구의 인기 있는 교과서는 피터 롬바르드의 ''Sentences'' (''Quattuor libri sententiarum'')였으며, 신학생과 석사 모두 교육 과정의 일환으로 이 본문에 대한 강의를 하거나 광범위한 해설을 작성해야 했다.[37][38] 상위 학부의 연구는 석사 학위 또는 박사 학위(처음에는 두 학위가 동의어였음)를 받는 데 최대 12년이 걸릴 수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학사 및 면허 학위가 수여될 수도 있었다.[39]
강좌는 주제나 테마가 아닌 책에 따라 제공되었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이나 성경의 책에 대한 강좌가 있을 수 있었다. 강좌는 선택 과목이 아니었다. 강좌는 정해져 있었고 모든 학생은 동일한 강좌를 수강해야 했다. 그러나 어떤 교사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지는 가끔 있었다.[40]
학생들은 종종 14세에서 15세에 대학에 입학했지만, 많은 학생들이 더 나이가 들었다.[41] 수업은 보통 오전 5시 또는 6시에 시작되었다.
4. 영국 제도 지역의 대학교
볼로냐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는 최초의 대학교 형태로, 이후 설립된 대학교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여러 대학교들이 이 두 대학교의 형태를 모방했지만, 각자의 특성을 간직했다. 특히,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지역의 대학교들은 파리 대학교의 선례를 따르면서도 볼로냐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는 볼 수 없는 독자적인 성격을 보였다.
잉글랜드의 대학교 형태는 잉글랜드 최초의 대학교인 옥스퍼드 대학교를 통해 잘 나타난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기원은 12세기 초 형성된 '공부조직(study organization)'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성립 초기부터 파리 대학교에 준하는 명성을 지녔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조직과 교과 구조는 파리 대학교의 것을 많이 모방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는 파리 대학교와 같은 학위 시험이 없었다. 가장 중요한 차이는 두 대학교의 사원장 지위와 관련된 것이었다. 옥스퍼드는 큰 교회를 가진 사원도시가 아니었고, 옥스퍼드를 관장하는 사원장은 옥스퍼드에서 약 60마일 떨어진 링컨의 주교가 임명했다. 이 때문에 파리 대학교의 발전을 이끈 대학교와 교회 기관 사이의 갈등은 벌어지지 않았다.
옥스퍼드 대학교 성립 초기부터 옥스퍼드 사원장은 신학부 교원들 중에서 선발되었고, 사원장은 교회 간부이자 대학교 간부였다. 사실상 옥스퍼드 사원장은 대학교 총장과 사원장의 지위를 겸하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행정 대표인 두 명의 학감을 종속시켰다. 14세기 후반, 옥스퍼드 사원장의 권위는 매우 강력해져서 전통적인 교회 통치 체계의 간섭과 통제를 받지 않았다. 그 결과, 옥스퍼드 대학교는 당시 다른 대학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학문적 자유를 누렸고, 대륙에서 학문이 경직된 후에도 참신한 사고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체제 변혁이 일어나는 동안, 유럽 전체 대학교의 형태를 변화시킨 '학생 생활의 변화'가 일어났다. 대학생들이 점점 식당과 기숙사를 중심으로 무리를 지어 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식당과 기숙사는 옥스퍼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중세의 풍습으로 인해 대학 주택에는 집단 숙박 시설이 형성되었고, 파리 대학교에는 13세기 초에 잉글랜드의 숙박시설과 유사한 거주시설이 이미 들어서고 있었다.
중세 대학교 인근 숙박 시설의 최초 형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대표를 선출하고, 대표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숙박소(hall and college)'였다. 최초의 '기숙사(dormitory)'는 대학교의 설립자나 후원자가 가난한 학생들을 위해 세운 '보조를 받은 숙박소'였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후원을 받는 것은 단순히 매월 재정 지원을 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종교 기관과의 연관을 맺는 것을 의미했다.
옥스퍼드의 경우, 오늘날의 대학교에서 보는 것과 같은 비종교적인 기숙시설이 아닌, 대학교회(collegiate church) 형태의 기숙사가 있었다. 옥스퍼드의 대학교회와 연합교회(collegiate church) 간의 차이는 '교단과 학교를 위하여 설립된 것이 아니라 학교와 교단을 위하여(''ad orandum et studendum ad studendum et orandum'')' 설립되었다는 점이다. 옥스퍼드에 새로이 출현한 기숙사는, 수도회들이 그 교단에 속하는 수도사들이 배우고 가르치는 일에 종사할 수 있도록 대학교 인근에 지어준 집이었다. 대학교의 기숙사에 거주하는 교원과 학생들은 하급생들에 대한 교육적 지도와 함께 대학교의 정식 교원들이 하는 정규 강의에 대한 보강 수업을 필수적인 의무로 담당하였다.
초기 형태의 기숙사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1264년 잉글랜드의 사원장 머튼의 월터(Walter de Merton)가 설립한 머튼 칼리지(Merton College)이다.[99] 월터는 '옥스퍼드와 그 인근 지역에 있는 대학교에 소속 되어있는 20여명의 학자와 두세 명의 성직자의 생계를 위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장원 2개를 옥스퍼드 대학교에 기증하였다. 1274년에는 월터가 자신의 장원 전체를 기증하고, 대학교 내에 성 요한 부설교회를 설립했다. 이렇게 대학교의 재산이 늘어가자, 여러 명의 학생과 학자들이 계속 유입되었다. 월터는 자신이 설립한 칼리지의 운영규정을 정했는데, 그 규정은 후대의 모든 칼리지들에서 사용하는 고전적 규범이 되었다.
칼리지에서 수업을 하는 방식은 옥스퍼드 전체로 확산되었다. 15세기 말경에는 옥스퍼드 우니베르시타스에 소속되어 있던 17개의 칼리지[100]에서 이루어지는 강좌가 우니베르시타스의 강좌를 대치하게 되었다. 옥스퍼드 대학생들은 우니베르시타스에 출석하지 않아도 되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우니베르시타스) 소속 교원들도 반드시 우니베르시타스 강좌의 강의를 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1518년 옥스퍼드 교수단이 '학생들이 아무도 출석하지 않는 강의를 꼬박 한 시간씩 강제로 할 의무를 삭제해 주도록' 요청한 사실로 보아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것이었다.
학교의 규모가 옥스퍼드 대학교에 비해 훨씬 컸던 파리 대학교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일어났다. 그러나 옥스퍼드 대학교에 거주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학사나 교원(석사)인 것에 비해, 파리 대학교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주로 학사 과정에 있는 학생(무학위자)이었다. 때문에, 파리 대학교에서는 우니베르시타스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와 달리, 칼리지에 대해 강력한 행정력을 행사하였고, 칼리지의 발전이 파리 대학교 전체의 발전을 이끌었다. 즉, 칼리지가 우니베르시타스의 강의를 제공하는 기관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 결과 중세 말기 파리 대학교의 칼리지는 기숙사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한편, 옥스퍼드 대학교에서는 칼리지가 각각 독립되어 운영되었고, 중세 이후 오늘날까지도 개별 칼리지들이 자유를 누리고 있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칼리지들만의 문화인 개인면담수업(tutorial institution) 등의 전통과 중세의 학제 등이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스코틀랜드 지역의 대학교는 잉글랜드와는 상당히 다른 조건에서 성립되었다. 유리한 조건을 갖춘 여러 나라에서 대학교가 학문의 중심이 되어 세력을 확장해가던 시기, 스코틀랜드는 정부의 세력도 미약하고 잉글랜드와 끊임없이 전쟁을 치르면서 나라의 기틀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코틀랜드에서는 학문에 관심을 둘 겨를이 없었고, 스코틀랜드의 학생들은 자기 나라에서 받을 수 없는 교육을 받기 위해 다른 나라로 빠져나갔다. 상황이 이러했기 때문에 15세기에 이르러서야 스코틀랜드 최초의 대학인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가 설립(1411)되었다.
스코틀랜드의 최초 대학교인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1450), 애버딘 대학교(1494)의 설립자는 모두 대학교가 소재한 도시의 주교였다. 이 대학교들은 모두 신학과 법학(교회법, 민법)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대학교의 설립은 당시 스코틀랜드의 국력에서 무리였으며, 목표한 바는 성취되지 않았고, 7자유교과를 교육하는 문학부만이 미약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스코틀랜드 대학교의 기본 구조가 정립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초기의 대학교들은 법학 교육을 위해 설립되었기 때문에, 볼로냐 대학교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학교 운영에 참여할 기회를 주었지만, 학생들의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학교 운영은 교원의 손에 넘어가고 말았다. 스코틀랜드의 대학교들은 사실상 북부 독일과 네덜란드의 신흥 대학을 모방한 셈이었다. 초기의 스코틀랜드 대학교에서 학생들은 여러 교원이 각자 살고 있는 여러 개의 산포된 교육동(paedagogies)에 가서 교육을 받았지만, 머지않아 독일의 대학교처럼 칼리지(거주 단위)와 우니베르시타스(행정단위)가 동일한 위상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에서는 우니베스시타스가 아닌 칼리지가 학위를 수여하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처럼 우니베르시타스와 칼리지가 사실상 하나였던 스코틀랜드의 대학교에서는 교원의 지위가 보장되고, 강의를 할 권리를 소속 교원이 독점하게 되었다. 이는 끊임없이 교원이 바뀌는 당대의 대학교의 관행과 비교해보면, 오늘날의 대학 교원 제도와 유사한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학교와 중세 스코틀랜드 대학교 간의 대학 교원 제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중세 스코틀랜드 대학교에서는 교원이 하나의 학문분야에 관련된 강의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교원이 한 집단의 학생을 담임하여, 그들에게 교과과정상의 모든 강좌를 교수했다. 이 제도는 스코틀랜드 이외 지역에서는 절대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것으로, 18세기 이 제도가 완전히 철폐될 때까지 스코틀랜드 지역 대학교의 질적 수준 저하를 가져온 커다란 원인이었다.
5. 중세 대학교 목록 (설립년도 순)
해스팅스 러시달(영어: Hastings Rashdall)은 중세 대학의 기원에 대한 현대적 이해[14]를 제시하며, 초기 대학들이 교수 또는 학생들의 학문적 길드로서 국왕, 교황, 왕자 또는 고위 성직자의 명시적인 허가 없이 자발적으로 등장했다고 지적했다.[15]
이러한 유형의 초기 대학으로는 볼로냐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i Bologna)(1088년), 파리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de Paris)(약 1150년), 옥스퍼드 대학교(영어: University of Oxford)(1167년), 모데나 대학교(1175년), 팔렌시아 대학교(스페인어: Universidad de Palencia)(120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영어: University of Cambridge)(1209년), 살라망카 대학교(스페인어: Universidad de Salamanca)(1218년), 몽펠리에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de Montpellier)(1220년), 파도바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1222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Federico II)(1224년), 툴루즈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Toulouse Capitole)(1229년), 오를레앙 대학교(프랑스어: Université d'Orléans)(1235년), 시에나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egli Studi di Siena)(1240년), 발라돌리드 대학교(스페인어: Universidad de Valladolid)(1241년), 노샘프턴 대학교(1261년), 코임브라 대학교(포르투갈어: Universidade de Coimbra)(1288년), 마체라타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egli Studi di Macerata)(1290년), 피사 대학교(이탈리아어: Università di Pisa)(1343년), 프라하 카를 대학교(체코어: Univerzita Karlova)(1348년), 야기엘로 대학교(폴란드어: Uniwersytet Jagielloński)(1364년), 빈 대학교(독일어: Universität Wien)(1365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독일어: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1386년),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영어: University of St Andrews)(1413년) 등이 있다.[16][17]
# | 설립년도 | 명칭 | 당시 국가명 | 현재 국가명 |
---|---|---|---|---|
1 | 1088 | 볼로냐 대학교(Università di Bologna) | 신성 로마 제국 | 이탈리아 |
2 | 1096 |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 | 잉글랜드 왕국 | |
3 | 1204 | 비첸차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Vicenza) | 비첸차 | 이탈리아 |
4 | 1209 | 케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 | 잉글랜드 왕국 | |
5 | 1212 | 팔렌시아 대학교|Universidad de Palenciaes | 레온 왕국 | 스페인 |
6 | 1218 | 살라망카 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 레온 왕국 | 스페인 |
7 | 1222 | 파도바 대학교(Università di Padova) | 파도바 | 이탈리아 |
8 | 1224 |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Napoli Federico II)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9 | 1229 | 툴루즈 제1대학교(Université Toulouse 1 Capitole) | 툴루즈 백작령|County of Toulouse영어 | 프랑스 |
10 | 1235 | 오를레앙 대학교(Université d'Orléan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1 | 1240 | 시에나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Siena) | 시에나 공화국 | 이탈리아 |
12 | 1241 | 발라돌리드 대학교(Universidad de Valladolid)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3 | 1257 | 파리 대학교(Université de Pari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4 | 1261 | 노샘프턴 대학교|University of Northampton (thirteenth century)영어 | 잉글랜드 왕국 | |
15 | 1272 | 무르시아 대학교(Universidad de Murcia)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16 | 1289 | 몽펠리에 대학교(Université de Montpellier)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17 | 1290 | 코임브라 대학교(Universidade de Coimbra) | 포르투갈 왕국 | |
18 | 1290 | 마체라타 대학교|University of Macerata영어 | 교황령 | 이탈리아 |
19 | 1293 | 알칼라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20 | 1300 | 레이다 대학교(Universitat de Lleid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21 | 1303 | 로마 대학교 | 교황령 | 이탈리아 |
22 | 1308 | 페루자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erugia) | 교황령 | 이탈리아 |
23 | 1321 | 피렌체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Firenze) | 피렌체 공화국 | 이탈리아 |
24 | 1336 | 카메리노 대학교|University of Camerino영어 | 교황령 | 이탈리아 |
25 | 1339 | 그르노블 대학교|University of Grenoble영어 | 도피네 | 프랑스 |
26 | 1343 | 피사 대학교(Università di Pisa) | 피사 공화국 | 이탈리아 |
27 | 1348 | 프라하 카렐 대학교(Univerzita Karlova) | 보헤미아 왕국 | 체코 |
28 | 1349 | 페르피냥 대학교(Université de Perpignan) | 아라곤 연합 왕국 | 프랑스 |
29 | 1356 | 앙제 대학교(Université d'Angers)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30 | 1361 | 파비아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Pavia) | 비스콘티 가문 | 이탈리아 |
31 | 1364 | 야기엘로 대학교(Uniwersytet Jagielloński) | 폴란드 왕국 | 폴란드 |
32 | 1365 | 빈 대학교(Universität Wien) | 신성 로마 제국 | 오스트리아 |
33 | 1367 | 페치 대학교|University of Pécs영어 | 헝가리 왕국 | 헝가리 |
34 | 1379 | 에어푸르트 대학교(Universität Erfurt) | 신성 로마 제국 | |
35 | 1380 | 디라키움 대학교|University of Dyrrachium영어 | 중세 알바니아 왕국 | 알바니아 |
36 | 1386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 신성 로마 제국 | |
37 | 1388 | 쾰른 대학교(Universität zu Köln) | 신성 로마 제국 | |
38 | 1391 | 페라라 대학교|University of Ferrara영어 | 에스테 가문 | 이탈리아 |
39 | 1396 | 자다르 대학교(Sveučilište u Zadru) | 크로아티아-달마티아 왕국|Croatia in the union with Hungary영어 | |
40 | 1404 | 토리노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Torino) | 사보이아 공국 | 이탈리아 |
41 | 1409 | 라이프치히 대학교(Universität Leipzig) | 신성 로마 제국 | |
42 | 1413 |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University of St Andrews) | 스코틀랜드 왕국 | |
43 | 1419 | 로스톡 대학교(Universität Rostock) | 신성 로마 제국 | |
44 | 1425 | 루뱅 대학교 | 브라반트 공국 | 벨기에 |
45 | 1432 | 캉 노르망디 대학교|University of Caen Lower Normandy영어 | 잉글랜드 왕국 | 프랑스 |
46 | 1434 | 카타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tania영어 | 시칠리아 왕국 | 이탈리아 |
47 | 1441 | 보르도 대학교(Université de Bordeaux) | 프랑스 왕국 | 프랑스 |
48 | 1446 | 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Gir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49 | 1450 | 바르셀로나 대학교(Universitat de Barcelon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50 | 1451 | 글래스고 대학교(University of Glasgow) | 스코틀랜드 왕국 | |
51 | 1456 | 에른스트 모리츠 아르트 대학교 그라이프스발트|University of Greifswald영어 | 신성 로마 제국 | |
52 | 1457 |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53 | 1459 | 바젤 대학교(Universität Basel) | 신성 로마 제국 | |
54 | 1459 | 잉골슈타트 대학교|University of Ingolstadt영어 | 신성 로마 제국 | |
55 | 1460 | 낭트 대학교(Université de Nantes) | 프랑스 | |
56 | 1464 | 부르주 대학교|University of Bourges영어 | 프랑스 | |
57 | 1465 | 이스트로폴리타나 대학교|Universitas Istropolitana영어 | 슬로바키아 | |
58 | 1470 | 베네치아 대학교 | 베네치아 공화국 | 이탈리아 |
59 | 1471 | 제노바 대학교(Università degli Studi di Genova) | 제노바 공화국 | 이탈리아 |
60 | 1474 | 사라고사 대학교(Universidad de Zaragoza) | 아라곤 연합 왕국 | 스페인 |
61 | 1476 | 마인츠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2 | 1476 | 튀빙겐 대학교 | 신성 로마 제국 | |
63 | 1477 | 웁살라 대학교(Uppsala universitet) | 스웨덴 | |
64 | 1479 | 코펜하겐 대학교(Københavns Universitet) | ||
65 | 1483 | 팔마 대학교 | 마요르카 왕국 | 스페인 |
66 | 1489 | 시구엔사 대학교 | 카스티야 왕국 | 스페인 |
67 | 1495 | 애버딘 대학교(University of Aberdeen) | 스코틀랜드 왕국 | |
68 | 1498 |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Viadrina European University영어 | 신성 로마 제국 | |
69 | 1499 | 발렌시아 대학교(Universitat de València) | 발렌시아 왕국 | 스페인 |
참조
[1]
서적
1992
[2]
서적
Foreword. The University as a European Instit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
서적
The Universities and Scholastic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
백과사전
History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ies
Encyclopædia Britannica
[5]
서적
Geschichte der Universität in Europa
C.H. Beck
1993
[6]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7]
간행물
1999
[8]
서적
Education and Culture in the Barbarian West: From the Sixth through the Eighth Centur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78
[9]
서적
Catholic Encyclopedia
Robert Appleton
1913
[10]
학술지
From Jami'ah to University: Multiculturalism and Christian–Muslim Dialogue
https://zenodo.org/r[...]
2006
[11]
학술지
Madrasa and University in the Middle Ages
1970
[12]
서적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13]
학술지
Review of ''The Rise of Colleges. Institutions of Learning in Islam and the West'' by George Makdisi
1984
[14]
서적
Universities and Schooling in Medieval Society
Brill
2000
[15]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895
[16]
뉴스
10 of the Oldest Universities in the World
https://www.topunive[...]
Top Universities
2016-09-16
[17]
뉴스
The 13 Oldest Universities In The World
https://theculturetr[...]
Culture Trip
null
[18]
서적
Storia d'Italia
UTET
1981-08-07
[19]
서적
Storia dello Studium di Napoli in età sveva
Mario Adda Editore
2010
[20]
웹사이트
Quality Assurance in a Globaliz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ionio.gr/[...]
2007
[21]
서적
Universities and Schooling in Medieval Society
Brill
2000
[22]
서적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23]
서적
Science in the Medieval Universit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84
[24]
서적
Rise of Early Modern science
[25]
서적
University Build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6]
서적
Rebirth, reform and resilience: Universities in transition 1300–1700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84
[27]
서적
Medieval Violence: Physical Brutality in Northern France, 1270-1330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02-21
[28]
서적
Life in the Medieval University
1931
[29]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936
[30]
서적
The Faculty of Ar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31]
서적
Life in the Medieval University
1912
[32]
서적
1912
[33]
백과사전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null
1905
[34]
서적
1912
[35]
서적
1912
[36]
서적
Geschichte der Universität in Europa 1: Mittelalter
Beck
1993
[37]
학술지
Peter Lombard on God's Knowledge: Sententiae, Book I, Distinctions 35-38, as the Basis for Later Theological Discussions.
2017-06-16
[38]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
[39]
서적
1997
[40]
서적
Curricula and intellectual trends
1997
[41]
서적
1987
[42]
서적
1987
[43]
서적
1987
[44]
웹사이트
[45]
서적
1992
[46]
백과사전
History of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ies.
[47]
서적
Geschichte der Universität in Europa
C.H. Beck
1993
[48]
서적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Routledge
2003
[49]
논문
중세도시의 의의와 성격
[50]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McFarland & Co.
2008
[51]
서적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Routledge
2003
[52]
서적
The Origins of Medieval Jurisprudence: Pavia and Bologna, 850-1150
Yale University Press
1988
[53]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54]
서적
로마법 대전
[55]
서적
The university in medieval life, 1179-1499
McFarland & Co.
2008
[56]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2003
[57]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58]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2003
[59]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1936
[60]
서적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Routledge
2003
[61]
서적
중세 스콜라 철학 : 신앙과 이성 사이의 조화와 갈등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3
[62]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2003
[63]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64]
서적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Routledge
2003
[65]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66]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67]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68]
논문
중세 파리 대학의 네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서양사학회
1995
[69]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70]
논문
서양 중세 대학의 형성과 전개 : 내적 동인과 외부 세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1997
[71]
본문
[72]
서적
The Universities of Europe in the Middle Ages
(출판사 정보 없음)
[73]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74]
논문
Quality Assurance in a Globalized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An Historical Perspective
(출판사 정보 없음)
[75]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76]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77]
서적
중세대학과 크리스챤 휴머니즘
주류
[78]
서적
중세대학의 기원
탐구당
[79]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80]
본문
[81]
본문
[82]
서적
중세대학의 설립과 발전
문음사
[83]
논문
중세 대학 발생 및 성장의 사회적 배경 연구 : 12.13세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84]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85]
간행물
파리 대학 : 소르본의 기원과 교육여건
한국서양문화사학회
[86]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87]
본문
[88]
서적
옥스퍼드 & 케임브리지
갑인공방
[89]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90]
논문
중세 파리대학의 학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91]
본문
[92]
서적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93]
본문
[94]
본문
[95]
본문
[96]
본문
[97]
본문
[98]
본문
[99]
본문
[100]
본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