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반 국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반 국도는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 공로국에서 계획 및 관리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중장거리 수송의 간선 역할을 한다. 국도는 'G'와 세 자리 숫자로 표기되며, G100번대(수도 방사선), G200번대(남북 종단), G300번대(동서 횡단)의 세 종류가 있다. G500번대는 주요 도시 및 지역을 연결하는 연락선 역할을 하며, G000번대는 과거 고속도로에 할당되었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2. 관리

중국의 일반 국도는 국무원 교통운수부 공로국이 계획 및 관리하고 있다. 최근 점차 충실해진 고속도로와 함께 중장거리 수송의 간선이 되고 있다.

3. 번호 체계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반 국도는 다른 나라와 달리 '''G'''가 앞에 온다.[2] 각 노선은 "G"(궈다오/国道중국어의 첫 글자)와 세 자리 숫자로 불린다. G100번대, G200번대, G300번대의 3종류가 있다. 도로 표지판은 붉은 바탕에 흰색 글자로 "G101"과 같이 쓰여 있다.[2]

4. 주요 국도

중화인민공화국 공로 0km 표지(도로원표)는 베이징 톈안먼 광장 남쪽 첸먼에 2008년에 설치되었다.

4. 1. G100번대 (수도 방사선)

G100번대는 베이징을 기점으로 하는 방사형 국도로,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2008년에는 톈안먼 광장 남쪽 첸먼에 "중국 공로 0km" 표지(도로원표)가 설치되었다.

4. 2. G200번대 (남북 종단)

G200번대는 주로 중국 대륙을 남북으로 잇는 국도이다.[3] 228번 국도는 1981년 제정된 노선과 새로 조성된 노선으로 나뉘며, 226번 국도는 폐지되어 윈난성도 제S218호선으로 개편되었다.[3]

4. 3. G300번대 (동서 횡단)

G300번대 노선은 주로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반 국도이다.

  • 301 (쑤이펀허-만저우리) 1,680 km
  • 302 (훈춘-알산) 1,028 km
  • 303 (지안-아바그 기) 1,263 km
  • 304 (단둥-후린거얼) 889 km
  • 305 (좡허-시우짐친 기) 815 km
  • 306 (수이중-주언가다부키) 497 km
  • 307 (황화-산단) 1,351 km
  • 308 (원덩-스자좡) 637 km
  • 309 (칭다오-란저우) 2,208 km
  • 310 (롄윈강-궁허) 1,613 km
  • 311 (롄윈강-롼촨) 748 km
  • 312 (상하이-후얼궈스) 4,967 km
  • 314 (우루무치-훙치라푸) 1,948 km
  • 315 (시닝-토르가르트 고개) 3,063 km
  • 316 (창러-퉁런) 2,915 km
  • 317 (청두-갈) 2,043 km
  • 318 (상하이-냐람) 5,476 km
  • 319 (가오슝-청두) 2,984 km
  • 320 (상하이-루이리) 3,695 km
  • 321 (광저우-청두) 2,220 km
  • 322 (루이안-유이관) 1,039 km
  • 323 (루이진-칭수이허) 2,915 km
  • 324 (푸저우-쿤밍) 2,712 km
  • 325 (광저우-난닝) 868 km
  • 326 (슈산-허커우) 1,562 km
  • 327 (롄윈강-구위안) 424 km
  • 328 (치둥-라오허커우) 224 km
  • 329 (저우산-루산) 292 km
  • 330 (둥터우-허페이) 327 km
  • 331 (단둥-알타이)
  • 332 (뤄베이-에부두그)
  • 333 (산허-모린 다와얼)
  • 334 (룽징-둥우짐친 기)
  • 335 (청더-초체크)
  • 336 (톈진-선무)
  • 337 (황화-위린)
  • 338 (하이싱-톈쥔)
  • 339 (빈저우 항구-위린)
  • 340 (둥잉 항구-쯔창)
  • 341 (황다오-하이옌)
  • 342 (르자오-펑)
  • 343 (다펑-루스)
  • 344 (둥타이-링우)
  • 345 (치둥-나취)
  • 346 (상하이-안캉)
  • 347 (난징-들링하)
  • 348 (우한-다리)
  • 349 (마르캄-사가)
  • 350 (리촨-루훠)
  • 351 (타이저우-샤오진)
  • 352 (장자제-차오자)
  • 353 (닝더-궁산)
  • 354 (난창-싱이)
  • 355 (푸저우-바마)
  • 356 (메이저우-시창)
  • 357 (둥산-루수이)
  • 358 (스스-수이커우)
  • 359 (포산-푸닝)
  • 360 (원창-린가오)
  • 361 (링수이-창장)


현재 313번 국도는 없어졌으며, 간쑤성도 제S313호선으로 격하된 형태로 개편되었다.

4. 4. G500번대 (연락선)

G500번대 국도는 501호선에서 582호선까지 존재한다. 그러나 명목상 인가된 노선은 있지만, 실제 개통된 도로는 없다.

G500번대 국도는 주요 도시 및 지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일부는 미개통 상태이다. G500/600/700번대 노선은 주로 연락선 국도이다.

  • G501 국도: 집현 - 솽야산 - 보청 - 밀산

4. 5. G000번대 (구 고속도로)

G000번대는 주간선 국도로 제정되었지만 전부 고속도로로 승격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 고속도로에 할당되었던 번호로, 당시에는 주요 간선 고속도로를 "5수직7수평"으로 하여 남북 5개 노선과 동서 7개 노선을 정했다. 하지만 고속도로가 발전함에 따라 2005년 이후 고속도로는 새로운 노선 번호 체계인 "7918망"이 채택되어 G000번대는 해소되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문서 없어진 G000번대의 국도는 G010, G015, G020, G025, G030, G035, G040, G045, G050, G055, G065, G075호선이 대표적이다.
[2] 문서 한국은 [[국도 제1호선]]과 같은 연산자가, 일본은 [[국도 제4호선 (일본)]]과 같이 표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베트남 같은 경우 [[국도 제1A호선 (베트남)|1A]]와 같은 국도 번호 체계가 표기되어 있다. 그러니까 중국은 국도 번호를 앞에 G000호선으로 매겨지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3] 문서 중국 228번 국도는 1981년 제정판은 [[대만]]에 있고, 현재는 둥베이 일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어, [[2013년]]에 새롭게 제정된 번호를 부여하고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게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