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산업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산업로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소사동, 석동, 여좌동을 지나는 도로이다. 2009년에 창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일부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21년과 2023년에 걸쳐 해당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주요 시설물로는 용원삼거리, 용원터널, 안평 교차로, 두동교, 내곡교, 마천터널, 소사 교차로, 진해IC, 진해터널, 석동IC, 경화IC, 장복터널, 장복IC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시의 도로 - 밀양대로
밀양대로는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부터 밀양시 산내면을 잇는 도로로, 여러 국도 및 지방도가 중첩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 밀양시의 주요 기관 및 시설들이 주변에 위치한다. - 창원시의 도로 - 창원대로
창원대로는 창원시 의창구에서 성산구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여러 국도 및 지방도와 연결되며 2009년 시·군에 걸쳐 있는 도로로 고시되었다. -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 - 장산로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장산로는 올림픽 교차로와 좌동지하차도를 잇는 자동차 전용 도로로, 장산1터널, 2터널, 3터널을 포함하여 해운대구 우동과 좌동을 주요 경유지로 한다. - 대한민국의 자동차 전용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 경상남도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상남도의 도로 - 거가대로
거가대로는 경상남도 거제시와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잇는 총연장 약 20km의 자동차 전용도로이자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의 일부 구간으로, 거가대교를 포함한 교량과 터널로 구성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환경 문제 논란도 있었다.
진해산업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창원시도 |
노선명 | 진해산업로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
종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국도 제2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77호선 |
2. 주요 경유지
2. 1. 창원시 진해구
창원시 진해구의 용원동, 소사동, 석동, 여좌동을 지난다.3. 역사
진해산업로는 창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건설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이 도로는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착공 및 개통되었다.
착공 시기 | 구간 | 거리 |
---|---|---|
2009년 | 진해구 소사동 ~ 석동 | 7.03km[1] |
2013년 6월 3일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 창원시 성산구 웅남동 | 6.78km[2] |
개통 시기 | 구간 | 거리 |
2021년 3월 31일 | 진해구 소사동 ~ 석동 | 7.03km |
2023년 11월 30일 | 진해구 석동 ~ 창원시 성산구 웅남동 | 6.78km |
3. 1. 착공
진해산업로는 2009년에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에서 석동까지의 7.03km 구간이 착공되었다.[1] 2013년 6월 3일에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에서 창원시 성산구 웅남동까지의 6.78km 구간이 착공되었다.[2]3. 2. 개통
웅남동~長栍|장승중국어이고개 구간은 2013년 6월 3일에 착공하였으며,[1] 소사동~長栍|장승중국어이고개 구간은 2009년에 착공하였다.[2]2021년 3월 31일 소사동~석동 7.03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고, 2023년 11월 30일 석동~웅남동 6.78km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4. 노선
(안평1교)
(소사교)
(마창대교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