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58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58호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서 출발하여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거쳐 김해시, 밀양시를 지나 경상북도 청도군을 잇는 일반 국도이다. 2001년 '진해~청도선'으로 신설되었으며, 여러 차례 구간 개통 및 확장 공사를 거쳤다.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에서 김해시 삼계동까지 21.86km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경유지로는 창원시 진해구, 부산광역시 강서구, 김해시, 밀양시, 청도군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58호선 - 사포로
사포로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을 주요 경유지로 하며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4호선, 지방도 제1080호선 등과 연결되는 도로이다. - 국도 제58호선 - 삼랑진 나들목
삼랑진 나들목은 2006년 중앙고속도로 민자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에 위치한 나들목으로, 국도 제58호선과 연결되며 삼랑진 요금소가 있다. - 청도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청도군의 교통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밀양시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밀양시의 교통 - 상동역 (밀양)
상동역은 경상남도 밀양시 상동면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6년 유천역으로 개업하여 2000년 역명이 변경되었고,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국도 제58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번호명 | 국도 제58호선 |
노선명 | 진해~청도선 |
일반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대체 이름 | 국도 제58호선 |
유지 | (정보 없음) |
총연장 | 82.8 km |
총연장 정보 출처 | (정보 없음) |
총연장 참고 | (정보 없음) |
제정 | 2001년 8월 25일 |
폐지 | (정보 없음) |
노선 정보 |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종점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
벨트웨이 도시 | (정보 없음)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창원시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 |
주요 교차 도로 | 중앙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
카운티 | (정보 없음) |
도시 | (정보 없음) |
스퍼 타입 | (정보 없음) |
스퍼 오브 | (정보 없음) |
이전 타입 | (정보 없음) |
이전 노선 | (정보 없음) |
다음 타입 | (정보 없음) |
다음 노선 | (정보 없음) |
검색 | (정보 없음) |
2. 연혁
2001년 8월 25일 '진해~청도선'으로 '''국도 제58호선'''을 새로 신설하였다.[4] 2008년 12월 30일에는 생림~삼랑진간 도로(김해시 생림면 마사리~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2.0 km 구간을 임시 개통하였고,[5] 2009년 3월 9일 김해~생림간 도로(김해시 삼계동~생림면 봉림리) 9.26 km 구간을 확장 개통하였다.[6] 2010년 11월 17일 생림~삼랑진간 도로(김해시 생림면 봉림리~생철리) 3.3 km 구간을 확장 개통하였다.[7]
2012년 2월 15일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김해시 삼계동 21.8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하였다.[8][9] 2018년 5월 18일 소사~녹산간 도로 개통과 함께 웅동~장유간 도로(창원시 진해구 남양동~소사동 소사 교차로) 1.2 km 구간을 임시 개통하였으며,[10] 2018년 5월 30일 웅동~장유간 도로(창원시 진해구 소사동 소사 교차로~김해시 장유동) 6.9 km 구간을 조기 개통하였다.[11]
2018년 9월 18일 밀양역~삼랑진간 도로(밀양시 삼랑진읍 청학리~가곡동) 4.26 km 구간을 확장 개통하고[12] 기존 4.98 km 구간을 폐지하였다.[13] 2019년 11월 29일 웅동~장유간 도로(김해시 장유동~응달동) 1.16 km 구간을 신설 개통하였고,[14] 2024년 10월 4일 무계~삼계 도로(김해시 주촌면 천곡리~삼계동) 5.9 km 구간을 신설 개통하였다.[15]
2. 1. 개요
2. 2. 상세
3. 주요 경유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양동 · 소사동 · 대장동 · 마천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사동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동 · 응달동 · 이동 · 명법동 · 풍유동 · 주촌면 · 삼계동 · 생림면) - 밀양시 (삼랑진읍 · 남포동 · 가곡동 · 상남면 · 부북면 · 상동면)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 매전면)
3. 1. 개요
3. 2. 상세
경상남도 진해, 창원에서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거쳐 경상남도 김해시,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을 잇는다.4. 노선
'''IS''': 교차로, '''IC''': 인터체인지
4. 1. 개요
4. 2. 경상남도·부산광역시
경상남도 구간은 창원시 진해구 남영로, 월남로의 공단 교차로에서 시점이 시작되어 웅동 교차로에서 국도 제2호선 및 국도 제77호선(진해대로)과 교차한다. 이후 소사 교차로에서 소사-녹산간 도로와 교차하고, 웅동터널을 지나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진입한다. 웅동터널은 상행 2,163m, 하행 2,170m이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서는 지사 교차로에서 과학산단로와 교차하고 지사터널을 지나 경상남도 김해시로 진입한다. 지사터널의 길이는 1,296m이다.김해시 구간에서는 율하교를 지나 장유 교차로에서 율하로, 응달 교차로에서 장유로와 교차한다. 이동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1020호선(칠산로)과 교차하며, 풍유 교차로에서 금관대로와 만난다. 농소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14호선(동서대로)과 중복된다. 주촌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1042호선(서부로)과 교차하고, 이후 다시 국도 제14호선(동서대로)과 중복으로 교차한다. 대리 교차로를 지나 삼계터널(연장 878m)을 통과한 후 삼계 교차로에서 생림대로와 교차한다.
김해시 생림면 구간에서는 나밭고개사거리에서 나전로와 만나고, 하라전 교차로, 사촌삼거리를 거친다. 사촌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나전로)과 중복된다. 봉림 교차로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봉림로)과 다시 교차하고 봉림삼거리, 생철 교차로, 마사 교차로를 지난다.
밀양시 구간에서는 삼랑진교를 건너 삼랑진읍으로 진입한다. 삼랑진교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1022호선(삼랑진로)과 중복으로 교차하고, 낙동강역과 송진초등학교를 지난다. 송지사거리에서 지방도 제1022호선(천태로)과 교차하며, 삼랑진 나들목에서 중앙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미전삼거리, 새나루고개, 용성교, 청학 교차로, 청학교, 임천교, 금곡1교(하행 전용)를 지난다. 금곡터널(상행 713m, 하행 678m)과 남포터널(상행 123m, 하행 100m)을 통과한다. 남포1교, 남포 교차로, 멍에실입구를 지나고, 원곡지하차도를 거쳐 밀양역에 이른다. 가곡삼거리, 예림교를 지나 예림사거리에서 국도 제25호선(밀양대로)과 중복으로 교차한다.
밀양시 부북면 구간에서는 마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25호선(밀양대로)과 다시 교차하고, 사포 교차로, 전사포 교차로, 후사포 교차로, 송악 교차로, 제대 교차로를 거친다. 제대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1080호선(점필재로)과 교차한다. 운전 교차로에서 국도 제24호선(창밀로)과 중복으로 교차하고, 춘화육교, 춘화삼거리를 거쳐 국도 제24호선(창밀로)과 다시 교차한다. 위양지를 지나 말치고개를 통해 상동면으로 이어진다. (말치고개 구간은 미개통 구간이다) 여수마을을 지나 옥산마을에서 국도 제25호선(새마을로)과 중복으로 교차하며 옥산삼거리를 지난다. 그 후 유천교를 건넌다.
2016년 이전에는 김해시 장유동 행정복지센터 사거리에서 시작하여 대동1단지사거리(무계지하차도), 외덕삼거리, 서김해 나들목, 외동사거리, 동성아파트삼거리, 축협삼거리,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생명과학고사거리, 평전사거리, 내동사거리, 우암삼거리, 칼삼거리, 연지2교사거리, 노인복지관사거리, 김해신도시삼거리, 조은금강병원사거리, 동신아파트삼거리, 삼계사거리, 삼계정수장을 거쳐 나밭고개사거리로 이어지는 구간이었다.
응달 교차로에서 이동 교차로, 풍유 교차로를 거쳐 농소2교 북단, 주촌 교차로, 대박교 남단, 대리 교차로, 삼계 교차로까지의 구간은 2018년 완공 예정이다.
4. 3. 경상북도
유천교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있으며 청도군 청도읍에 위치한다.[16][3] 청도읍 내에서는 구촌2길, 지전길과 교차한다. 매전면에는 매전초등학교가 있으며, 매전삼거리에서 국도 제20호선(청려로)과 교차하며 끝난다.[16][3]5. 도로명
경상남도
- 창원시 진해구 마천육교~김해시 이동 이동 교차로: 웅장로
- 김해시 이동 이동 교차로~삼계동 삼계 교차로: 도로명 미정
- 김해시 삼계동 삼계 교차로~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교 교차로: 생림대로
-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교 교차로~가곡동 원곡지하차도 동단: 삼랑진로
- 밀양시 가곡동 원곡지하차도 동단~가곡삼거리: 밀양시
- 밀양시 가곡동 가곡삼거리~상남면 예림사거리: 가곡7길
- 밀양시 상남면 예림사거리~부북면 마암 교차로: 밀양대로
- 밀양시 부북면 마암 교차로~운전 교차로: 사포로
- 밀양시 부북면 운전 교차로~춘화삼거리: 창밀로
- 밀양시 부북면 춘화삼거리~위양지: 위양로
- 밀양시 상동면 말치고개~(옥산마을): 여수길
- 밀양시 상동면 (옥산마을)~옥산삼거리: 새마을로
- 밀양시 상동면 옥산삼거리~유천교: 청매로
경상북도
5. 1. 개요
5. 2. 상세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 총연장 (km) | 차로수 | 지정일 | ||
---|---|---|---|---|---|
웅장로 무계~삼계간 도로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웅동 교차로)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삼계 교차로) | 21.86 | 4 | 2012년 1월 25일 |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간행물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5]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8-845호
http://www.gyeongnam[...]
2008-12-18
[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69호
http://gwanbo.mois.g[...]
2009-03-09
[7]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10-822호
http://www.gyeongnam[...]
2010-11-18
[8]
간행물
부산광역시공고 제2012-125호
https://news.busan.g[...]
2012-02-15
[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4호, 창원시공고 제2012-72호, 김해시공고 제2012-76호
http://gwanbo.mois.g[...]
2012-02-02
[1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99호
http://gwanbo.mois.g[...]
2018-05-18
[1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00호
http://gwanbo.mois.g[...]
2018-05-25
[1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4호
http://gwanbo.mois.g[...]
2018-09-14
[1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5호
http://gwanbo.mois.g[...]
2018-09-14
[1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10호
http://gwanbo.mois.g[...]
2019-11-27
[1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4-202호
http://gwanbo.mois.g[...]
2024-10-02
[16]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