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도 제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에서 시작하여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목포 ~ 부산 구간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신안군,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강진군, 장흥군, 보성군, 순천시, 광양시, 하동군, 사천시, 진주시, 창원시, 부산광역시가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등 고속도로와 여러 국도, 지방도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낙동남로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신안군의 교통 - 흑산공항
- 부산 서구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부산 서구의 교통 - 구덕로
부산 중구와 서구를 연결하는 구덕로는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및 5101호선과 일부 구간이 겹치며, 서구청,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부산 중구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부산 중구의 교통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국도 제2호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
노선 번호 | 2 |
노선 이름 | 국도 제2호선 |
다른 이름 | 신안부산선 |
로마자 표기 | Gukdo Je I(2) Hoseon |
총 연장 | 477.4 km |
제정일 | 1971년 8월 31일 |
도로 방향 | 동서 |
노선 정보 | |
기점 |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
기점 방향 | 서쪽 |
주요 경유지 | 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부산광역시 |
종점 | 부산광역시 중구 |
종점 방향 | 동쪽 |
주요 교차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
2. 연혁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호선''' 목포 ~ 부산선이 됨.[5]
- 1972년 11월 30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창원군 진전면 양촌리 806m 구간을 680m로, 창원군 진북면 지산리 1.391km 구간을 1.207km로 도로구역 변경.[6]
- 1978년 1월 31일 :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 430m 구간 개통, 기존 320m 구간 폐지.[7]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2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8]
- 1981년 8월 17일 : 국도로 승격된 목포시 석현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178km 구간 개통, 기존 지정 구간인 목포시 대의동2가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322km 구간 폐지.[9]
- 1988년 8월 18일 : 골약육교(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746m 구간 개통.[10]
- 1989년 3월 11일 : 의창군 진동면 사동리, 진동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1]
- 1996년 7월 1일 : 종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함.[12]
- 1998년 9월 28일 :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0.9km 구간 확장 개통.[13]
- 1998년 12월 28일 : 삼호 ~ 성전간 도로(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 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25.04km 구간 확장 개통.[14]
- 1999년 11월 4일 : 삼계교(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 삼계리) 3.05km 구간 개통.[15]
- 1999년 12월 31일 : 지원교(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 섬거리) 560m 구간 재가설 개통, 기존 250m 구간 폐지.[16]
- 2000년 2월 24일 : 남강댐 건설로 수몰되는 사천시 곤명면 정곡리 ~ 신흥리 2.7k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17]
- 2001년 1월 22일 : 광양 ~ 골약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 중군동) 6.9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1년 8월 25일 :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신안 ~ 부산선'이 됨.[19]
- 2001년 9월 28일 : 진해 ~ 부산간 도로 및 장복터널(진해시 서중동 ~ 용원동) 8.4km 구간 확장 개통, 진해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진해시 가주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6.33km 구간 확장 개통, 순아3구 ~ 명지간 도로(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순아3구 ~ 명지 나들목) 1.902km 구간 개통.[20][21][22]
- 2002년 12월 30일 : 강진군 군동면 라천리 ~ 장흥군 장흥읍 금산리 14.5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2년 12월 31일 : 성전 ~ 강진간 도로(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 군동면 라천리) 13.04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3년 1월 17일 : 진주 ~ 진성간 도로(진주시 가좌동 ~ 진성면 상촌리) 13.1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1km 구간 폐지.[25][26]
- 2004년 1월 19일 : 진해시 여좌동 ~ 풍호동 8.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91km 구간 폐지.[27]
- 2004년 9월 13일 : 광양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월전 ~ 세풍간 도로(순천시 해룡면 월전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5.8km 구간,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삼향 ~ 삼호 ~ 청호간 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면 서호리) 1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8][29]
- 2004년 12월 23일 : 진성 ~ 이반성, 이반성 ~ 임곡간 도로(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19.3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7km 구간 폐지.[30][31][32]
- 2006년 9월 18일 :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4.94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64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9.54km 구간 임시개통.[33]
- 2006년 12월 19일 :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200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68m) 총 468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5.65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95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10.56km) 폐지, 현동 ~ 내서간 도로 중 현동 나들목 구간(마산시 예곡동 ~ 우산동) 1.24km 구간 개통.[34][35][36]
- 2006년 12월 27일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7]
- 2007년 3월 6일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세풍 분기점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신대 분기점 3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8년 6월 19일 : 마창대교(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8.5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9]
- 2008년 7월 1일 :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km 구간 신설 개통.[40]
- 2008년 8월 28일 :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산정동 3.563km 구간 개통.[41]
- 2009년 7월 28일 :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3.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 미력면 도개리 13.16km 구간 폐지.[42]
- 2010년 5월 31일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 진동면 인곡리 8.4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3]
- 2010년 12월 28일 :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44][45][46]
- 2011년 6월 10일 :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7]
- 2011년 10월 11일 :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2011년 10월 17일까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임시 개통.[48]
- 2011년 12월 23일 : 구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인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이 국도로 이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개통.[49][50]
- 2012년 1월 18일 :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임시 개통.[51]
- 2012년 1월 20일 : 신대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임시 개통.[52]
- 2012년 2월 17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km 구간 임시 개통.[53]
- 2012년 2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km 구간 확장 개통.[54]
- 2012년 4월 12일 :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확장 개통.[55][56]
- 2012년 7월 16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 ~ 서호리 8.5km 구간 폐지.[57]
- 2012년 10월 23일 : 구 서해안고속도로(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4.40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8]
- 2012년 11월 30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km 구간 폐지.[60]
- 2013년 10월 7일 :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 완암동 2.90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1]
- 2016년 3월 15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 및 정촌 ~ 호탄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3.48km 구간 개통, 기존 진주시내 10.48km 구간 폐지.[62][63]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진주시 시내 구간을 해제하고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노선 변경.[64]
- 2017년 6월 27일 : 삼도대교 개통.[65]
- 2017년 9월 : 진주혁신도시 연결램프(진주시 문산읍 옥산리) 600m 구간 개통.[66]
- 2017년 9월 29일 : 진상 ~ 하동간 도로 1공구(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7.0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12.87km 구간 폐지.[67]
- 2018년 2월 14일 :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1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68]
- 2018년 9월 21일 : 하동군 북천면에서 추진중인 코스모스 축제기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10월 7일까지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북천면 방화리 ~ 옥정리) 4.1km 구간 임시 개통.[69]
- 2018년 12월 13일 : 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0]
- 2018년 12월 28일 :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 1공구(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북천면 옥정리) 16.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 북천면 옥정리 24.92km 구간 폐지.[71][72]
- 2019년 1월 30일 : 하동 ~ 완사간 도로 2공구(하동군 북천면 옥정리 ~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3.6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73][74]
- 2019년 2월 1일 : 2월 7일까지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9년 2월 18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자동차 전용도로 총 연장을 16km에서 15.2km로 정정.[76]
- 2019년 3월 28일 : 세풍 ~ 중군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순천시 조례동 상비 교차로 ~ 광양시 성황동 15km 구간 폐지.[77]
- 2019년 4월 4일 :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신설 개통.[78]
- 2019년 12월 19일 : 중군 ~ 진정간 도로(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7.7km 구간 폐지.[79]
- 2021년 3월 29일 : 추포 ~ 암태간 도로(신안군 암태면 수곡리) 1.82km 구간 신설 개통.[80]
- 2023년 11월 30일 : 창원 양곡 ~ 석동간 도로 6.78km 구간 신설 개통.[81]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호선''' 목포 ~ 부산선으로 지정.[5]
- 1996년 7월 1일: 종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12]
- 2001년 8월 25일: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으로 연장하면서 '신안 ~ 부산선'이 됨.[19]
2. 2. 도로 개량 및 확장
- 1972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군 진전면 양촌리 806m 구간을 680m로, 창원군 진북면 지산리 1.391km 구간을 1.207km로 도로구역 변경[6]
- 1978년한국어 1월 31일한국어: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 430m 구간 개통, 기존 320m 구간 폐지[7]
- 1981년한국어 8월 17일한국어: 국도로 승격된 목포시 석현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178km 구간 개통, 기존 목포시 대의동2가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322km 구간 폐지[9]
- 1988년한국어 8월 18일한국어: 골약육교(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746m 구간 개통[10]
- 1989년한국어 3월 11일한국어: 의창군 진동면 사동리, 진동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1]
- 1998년한국어 9월 28일한국어: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0.9km 구간 확장 개통[13]
- 1998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삼호 ~ 성전간 도로(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 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25.04km 구간 확장 개통[14]
- 1999년한국어 11월 4일한국어: 삼계교(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 삼계리) 3.05km 구간 개통[15]
- 1999년한국어 12월 31일한국어: 지원교(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 섬거리) 560m 구간 재가설 개통, 기존 250m 구간 폐지[16]
- 2000년한국어 2월 24일한국어: 남강댐 건설로 수몰되는 사천시 곤명면 정곡리 ~ 신흥리 2.7k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17]
- 2001년한국어 1월 22일한국어: 광양 ~ 골약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 중군동) 6.9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1년한국어 9월 28일한국어: 진해 ~ 부산간 도로 및 장복터널(진해시 서중동 ~ 용원동) 8.4km 구간 확장 개통, 진해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진해시 가주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6.33km 구간 확장 개통, 순아3구 ~ 명지간 도로(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순아3구 ~ 명지 나들목) 1.902km 구간 개통[20][21][22]
- 2002년한국어 12월 30일한국어: 강진군 군동면 라천리 ~ 장흥군 장흥읍 금산리 14.5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2년한국어 12월 31일한국어: 성전 ~ 강진간 도로(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 군동면 라천리) 13.04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3년한국어 1월 17일한국어: 진주 ~ 진성간 도로(진주시 가좌동 ~ 진성면 상촌리) 13.1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1km 구간 폐지[25][26]
- 2004년한국어 1월 19일한국어: 진해시 여좌동 ~ 풍호동 8.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91km 구간 폐지[27]
- 2004년한국어 12월 23일한국어: 진성 ~ 이반성, 이반성 ~ 임곡간 도로(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19.3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7km 구간 폐지[30][31][32]
- 2006년한국어 9월 18일한국어: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4.94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64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9.54km 구간 임시개통[33]
- 2006년한국어 12월 19일한국어: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200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68m 구간) 총 468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5.65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95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10.56km) 폐지, 현동 ~ 내서간 도로 중 현동 나들목 구간(마산시 예곡동 ~ 우산동) 1.24km 구간 개통[34][35][36]
- 2007년한국어 3월 6일한국어: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세풍 분기점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신대 분기점 3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8년한국어 7월 1일한국어: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km 구간 신설 개통[40]
- 2008년한국어 8월 28일한국어: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산정동 3.563km 구간 개통[41]
- 2009년한국어 7월 28일한국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3.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 미력면 도개리 13.16km 구간 폐지[42]
- 2010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44][45][46]
- 2011년한국어 10월 11일한국어: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2011년한국어 10월 17일한국어까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임시 개통[48]
- 2011년한국어 12월 23일한국어: 구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인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이 국도로 이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개통[49][50]
- 2012년한국어 1월 18일한국어: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임시 개통[51]
- 2012년한국어 1월 20일한국어: 신대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임시 개통[52]
- 2012년한국어 2월 17일한국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km 구간 임시 개통[53]
- 2012년한국어 2월 29일한국어: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km 구간 확장 개통[54]
- 2012년한국어 4월 12일한국어: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확장 개통[55][56]
- 2012년한국어 7월 16일한국어: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 ~ 서호리 8.5km 구간 폐지[57]
- 2012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km 구간 폐지[60]
- 2016년한국어 3월 15일한국어: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 및 정촌 ~ 호탄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3.48km 구간 개통, 기존 진주시내 10.48km 구간 폐지[62][63]
- 2017년한국어 6월 27일한국어: 삼도대교 개통[65]
- 2017년한국어 9월한국어: 진주혁신도시 연결램프(진주시 문산읍 옥산리) 600m 구간 개통[66]
- 2017년한국어 9월 29일한국어: 진상 ~ 하동간 도로 1공구(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7.0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12.87km 구간 폐지[67]
- 2018년한국어 2월 14일한국어: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1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68]
- 2018년한국어 9월 21일한국어: 하동군 북천면에서 추진중인 코스모스 축제기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10월 7일한국어까지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북천면 방화리 ~ 옥정리) 4.1km 구간 임시 개통[69]
- 2018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 1공구(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북천면 옥정리) 16.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 북천면 옥정리 24.92km 구간 폐지[71][72]
- 2019년한국어 1월 30일한국어: 하동 ~ 완사간 도로 2공구(하동군 북천면 옥정리 ~ 사천면 곤명면 봉계리) 3.6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73][74]
- 2019년한국어 2월 1일한국어: 2월 7일한국어까지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9년한국어 3월 28일한국어: 세풍 ~ 중군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순천시 조례동 상비 교차로 ~ 광양시 성황동 15km 구간 폐지[77]
- 2019년한국어 4월 4일한국어: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신설 개통[78]
- 2019년한국어 12월 19일한국어: 중군 ~ 진정간 도로(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7.7km 구간 폐지[79]
- 2021년한국어 3월 29일한국어: 추포 ~ 암태간 도로(신안군 암태면 수곡리) 1.82km 구간 신설 개통[80]
- 2023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 양곡 ~ 석동간 도로 6.78km 구간 신설 개통.[81]
3. 주요 경유지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를 거치는 주요 도로이다.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 '''전라남도'''
신안군 - 목포시 - 무안군 - 영암군 - 강진군 - 장흥군 - 보성군 - 순천시 - 광양시
- '''경상남도'''
하동군 - 사천시 - 진주시 - 창원시
- '''부산광역시'''
강서구 - 사하구 - 서구 - 중구
3. 1.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신의면, 하의면, 도초면, 비금면, 암태면, 압해읍) - 목포시 (연산동, 대양동) - 무안군 (삼향읍, 일로읍) - 영암군 (학산면, 삼호읍, 미암면, 학산면) - 강진군 (성전면, 강진읍, 군동면) - 장흥군 (장흥읍, 부산면, 장동면) - 보성군 (보성읍, 미력면, 득량면, 조성면, 벌교읍) - 순천시 (별량면, 인월동, 대룡동, 야흥동, 교량동, 덕월동, 오천동, 풍덕동, 연향동, 조례동, 해룡면) - 광양시 (광양읍, 중군동, 성황동, 중동, 마동, 광영동, 금호동, 태인동, 진월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3. 2. 경상남도
이름[3] | 한국어 이름 | 연결 | 위치 | 참고 | |
---|---|---|---|---|---|
섬진교 | 섬진교 | 하동군 | 하동읍 | 전라남도 - 경상남도 경계선 지방도 58호선 중복 | |
섬진교사거리 | 섬진교사거리 | 국도 19호선, 국도 59호선 (섬진강대로) | 국도 19호선, 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중복 | ||
하동고등학교, 하동초등학교 | 하동고등학교, 하동초등학교 | ||||
하동경찰서 | 하동경찰서 | 군청로, 향교1길 | |||
하동시외버스터미널 | 하동시외버스터미널 | 국도 19호선 (중앙로) | |||
하동역 | 하동역 | 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중복 | |||
비파삼거리 | 비파삼거리 | 공서륜동장로 | |||
적량면삼거리 | 적량면삼거리 | 정량로 | 적량면 | ||
횡천초등학교 | 횡천초등학교 | 횡천면 | |||
횡천삼거리 | 횡천삼거리 | 지방도 1003호선 (청학로) | 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1003호선 중복 | ||
횡천면사무소, 횡천중학교 | 횡천면사무소, 횡천중학교 | ||||
대덕삼거리 | 대덕삼거리 | 국도 59호선 (돌고지로) | |||
감당삼거리 | 감당삼거리 | 지방도 1003호선 (진양로) | 양보면 | 지방도 58호선, 1003호선 중복 | |
황토재 | 황토재 | 지방도 58호선 중복 | |||
북천면 | |||||
방화보건진료소 | 방화보건진료소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지방도 1005호선 (곤북로) | 지방도 58호선, 1005호선 중복 | ||
북천역, 북천면사무소 | 북천역, 북천면사무소 | ||||
대야교 | 대야교 | 지방도 1005호선 (옥단로) | |||
원전 교차로 | 원전 교차로 | 지방도 58호선 (곤명1로) | 사천시 | 곤명면 | 지방도 58호선 중복 |
봉계 교차로 | 봉계 교차로 | 곤명1로 | |||
오랑교 | 오랑교 | ||||
오랑 교차로 | 오랑 교차로 | 오랑길 | |||
새동 교차로 | 새동 교차로 | 목성로 | |||
매화 교차로 | 매화 교차로 | 작팔길 | |||
정곡 교차로 | 정곡 교차로 | 지방도 1001호선 (곤수로, 흥신로) | |||
완사역 (완사역 교차로) | 완사역, 완사역 교차로 | ||||
완사교 | 완사교 | ||||
연평 교차로 | 연평 교차로 | 연평길 | |||
내평 교차로 | 내평 교차로 | 내척로 577번길 | |||
솔티교, 양지교 | 솔티교, 양지교 | 진주시 | 내동면 | ||
정동 교차로 | 정동 교차로 | 내척로 577번길 | |||
마동교 | 마동교 | 지방도 1049호선 (내척로) | |||
배양교 | 배양교 | 지방도 1049호선 (호반로) | |||
삼계교 | 삼계교 | ||||
삼계 교차로 | 삼계 교차로 | 삼계로, 칠봉산길 | |||
산기 교차로 | 산기 교차로 | 칠봉산길 | |||
모산 교차로 | 모산 교차로 | 산유로, 칠봉산길 | |||
내동 교차로 | 내동 교차로 | 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순환로) | 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중복 | ||
화개 교차로 | 화개 교차로 | 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진주대로) | 정촌면 | ||
죽봉 교차로 | 죽봉 교차로 | 화개길 194번길 | |||
옥산1육교 | 옥산1육교 | 가좌동 | |||
옥산 교차로 | 옥산 교차로 | 진마대로 | |||
영천강1교 | 영천강1교 | 문산읍 | |||
문산 교차로 | 문산 교차로 | 지방도 1009호선 (워라산로) | |||
상문 교차로 | 상문 교차로 | 지방도 1007호선 (문산로) | 지방도 1007호선 중복 | ||
진성 교차로 | 진성 교차로 | 지방도 1007호선 (동부로) | 진성면 | 지방도 1007호선 중복 | |
진성고가교 | 진성고가교 | ||||
진성터널 | 진성터널 | 우측 터널: 약 570m 좌측 터널: 약 510m | |||
천곡1교, 천곡2교 | 천곡1교, 천곡2교 | ||||
무촌 교차로 | 무촌 교차로 | 동부로 | 사봉면 | ||
무촌교 | 무촌교 | ||||
반성 교차로 | 반성 교차로 | 동부로 | |||
반성철도육교 | 반성철도육교 | 일반성면 | |||
반성2교 | 반성2교 | ||||
이반성면 | |||||
수목원 교차로 | 수목원 교차로 | 동부로, 수목원로, 대천길 | |||
이반성 교차로 | 이반성 교차로 | 지방도 30호선 (오봉산로) | |||
길성 교차로 | 길성 교차로 | 길성길, 진마대로 2520번길 | |||
발산재 | 발산재 | ||||
창원시 | 마산합포구 진전면 | ||||
봉암 교차로 | 봉암 교차로 | 지방도 1029호선 (팔룡산로) | |||
동산 교차로 | 동산 교차로 | 팔룡산로 | |||
세월2교 | 세월2교 | ||||
임곡 교차로 | 임곡 교차로 | 삼진의거대로 | 호산 교차로 경유 국도 14호선 연결 (거제 방면) | ||
대산 교차로 | 대산 교차로 | 국도 14호선 (남해안대로, 삼진의거대로) | 국도 14호선 중복 | ||
진목 교차로 | 진목 교차로 | 국도 77호선, 지방도 67호선 (삼진의거대로)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 ||
진전터널 | 진전터널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550m 좌측 터널: 약 600m | |||
마산합포구 진북면 | |||||
예곡 교차로 | 예곡 교차로 | 의림로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 ||
지산 분기점 | 지산 분기점 | 국도 79호선 | 건설 중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 ||
대평 교차로 | 대평 교차로 | 지방도 1021호선 (학동로)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 ||
진동 교차로 | 진동 교차로 | 국도 79호선, 지방도 67호선 (진북산업로)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 ||
진북터널 | 진북터널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약 927m | |||
마산합포구 진동면 | |||||
태봉교 | 태봉교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 |||
신대방삼거리 | 신대방삼거리 | 삼진의거대로 | |||
오산 교차로 | 오산 교차로 | 오산3길 | |||
태봉 교차로 | 태봉 교차로 | 태봉2길 | |||
동전터널, 신동전터널 | 동전터널, 신동전터널 |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동행: 신동전터널 (약 1080m) 서행: 동전터널 (약 609m) | |||
마산합포구 | |||||
현동 분기점 | 현동 분기점 | 국도 5호선 | 국도 5호선,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 ||
현동 교차로 | 현동 교차로 | 국도 5호선 (경남대로) 국도 14호선, 국도 79호선 (밤밭고개로) | |||
가포터널 | 가포터널 | 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1,230m 좌측 터널: 약 1,235m | |||
가포 교차로 | 가포 교차로 | 드림베이대로 | 국도 77호선 중복 | ||
마창대교 | 마창대교 | 국도 77호선 중복 유료도로 | |||
성산구 | |||||
마창대교 요금소, 귀산고개 | 마창대교 요금소, 귀산고개 | 국도 77호선 중복 | |||
귀산1교 | 귀산1교 | 귀산로 | |||
귀산터널 | 귀산터널 | 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345m 좌측 터널: 약 403m | |||
양곡터널 | 양곡터널 | 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1,135m 좌측 터널: 약 1,046m | |||
양곡 나들목 | 양곡 나들목 | 남해안대로, 봉양로 | 국도 77호선 중복 | ||
장복터널 | 장복터널 | 국도 77호선 중복 약 840m | |||
진해구 | |||||
장복로사거리 | 장복로사거리 | 장복산길 | 국도 77호선 중복 | ||
가마니골삼거리 | 가마니골삼거리 | 여좌천로 | |||
시민회관사거리 | 시민회관사거리 | ||||
진해고가교 | 진해고가교 | 여좌로 | |||
여좌고가교 | 여좌고가교 | ||||
경화고가교 | 경화고가교 | 태백로, 태백서로 | |||
새마을사거리 | 새마을사거리 | 조천로, 진해대로 624번길 | |||
경화역 (경화역삼거리) | 경화역, 경화역삼거리 | 경화로 | |||
중앙고삼거리 | 중앙고삼거리 | 경화시장로 | |||
상공회의소 삼거리 | 상공회의소삼거리 | 진해대로 728번길 | |||
3호광장 | 3호광장 | 국도 25호선 (해원로) | |||
돌리사거리, 석동주민센터 | 돌리사거리, 석동주민센터 | 돌리로, 진해대로 776번길 | |||
진해경찰서 (경찰서삼거리) | 진해경찰서, 경찰서삼거리 | ||||
만리들사거리 | 만리들사거리 | 석동로 | |||
냉천사거리 | 냉천사거리 | 냉천로 | |||
자은교사거리 | 자은교사거리 | 자은로 | |||
해군아파트사거리 | 해군아파트사거리 | 덕산로 | |||
자은본동사거리 | 자은본동사거리 | 진해대로 975번길 | |||
풍호초등교사거리 | 풍호초등교사거리 | 풍호로 | |||
풍호사거리 (풍호고가교) | 풍호사거리, 풍호고가교 | 천자로 | |||
창원시청, 진해구청 | 진해구청 | ||||
대발령 (만남의 광장) | 대발령, 만남의광장 | ||||
대발령삼거리 | 대발령삼거리 | 명제로 | |||
어은삼거리 | 어은삼거리 | 어은로 | |||
천자 교차로 | 천자 교차로 | 웅천로 | |||
웅동 나들목 | 웅동 나들목 | 국도 58호선 (남명로) | 국도 77호선 중복 | ||
대장천교 | 대장천교 | 국도 77호선 중복 | |||
의곡 교차로 | 의곡 교차로 | 보배로 | |||
송곡삼거리 | 송곡삼거리 | 안청로 | |||
용원택지 | 용원택지 | 앙골로 | |||
회야골삼거리 | 회야골삼거리 | 용원북로 | |||
용재삼거리 | 용재삼거리 | 용원동로 | |||
용원삼거리 | 용원삼거리 | 만금로 | |||
녹송교 | 녹송교 | 국도 77호선 중복 부산광역시로 이어짐 |
3. 3.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 녹산동 · 명지동) - 사하구 (하단동 · 당리동 · 괴정동) - 서구 (대신동 · 부민동 · 아미동 · 충무동) - 중구 (남포동 · 동광동1가)4. 구간별 도로
국도 제2호선은 구간별로 도로의 특징이 다르며, 확장 및 개량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 신안 ~ 목포: 신안군 장산면에서 목포시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압해대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왕복 2차선이다. 압해대교, 서남문대교, 천사대교 등 연도교가 건설되었으며, 앞으로도 연도교 건설이 계속될 예정이다.
- 목포 ~ 광양: 목포시에서 광양시 진월면까지는 4차로 이상의 고속화도로이다. 1989년부터 7.44조원을 투입하여 확·포장 공사가 진행되었고, 2004년 12월에 전 구간이 완료되었다.[82] 영산강하굿둑의 교통량을 분담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무영로가 있다.
- 하동 ~ 진주: 굴곡이 심한 기존 2차선 도로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06년 12월 20일 사천시 곤명면에서 진주시 내동면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으나[83], 하동군과 사천시 곤명면을 잇는 구간은 2차로 축소 건설 계획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84] 이명박 정부의 2차선 축소 건설안에 하동군이 반발하여 4차로 건설을 촉구했고, 2009년 예산으로 65억원의 정부 예산을 배정받았으나, 전 구간 4차선 건설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85] 해당 구간의 도로명은 아래 표와 같다.
- 진주 ~ 창원: 진주시에서 창원시를 잇는 구간은 4차선 확장 및 이설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4년 12월 23일 진주시 ~ 창원시 진전면 구간이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86], 현동 나들목 주변 구간은 2006년 12월 21일 이설 개통되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 현동 구간은 2010년 12월 선형 개량 공사가 완료되었다. 마창대교는 2008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 창원 ~ 부산: 2001년 10월 27일,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을 잇는 16.7km 구간이 왕복 4~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서 송곡삼거리 구간은 왕복 4차로, 송곡삼거리에서 녹산교까지는 왕복 6차로, 녹산교부터는 왕복 8차로로 이어져 부산 시내에 이른다. 녹산교는 확장 공사가 늦어져 왕복 4차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이후 시내 구간은 차로 수가 4~8차로로 자주 바뀐다.
4. 1. 신안 ~ 목포 구간
신안군 장산면을 기점으로 하여, 신의면, 하의면, 도초면, 비금면, 암태면, 압해읍을 거쳐 압해대교로 목포시와 연결된다. 현재 압해대교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이며, 하의도 - 도초도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연도교로 연결될 예정이다. 현재 완공된 교량은 목포 - 압해 사이의 압해대교, 비금 - 도초 사이의 서남문대교, 압해 - 암태 사이의 천사대교이다.4. 2. 목포 ~ 광양 구간
목포시에서 광양시 진월면에 이르는 구간은 현재 4차로 이상의 고속화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1989년부터 7.44조원을 투입해 4차로 이상 확포장 공사에 들어가, 보성군 ~ 광양시 구간(62.6km)은 1998년에, 목포시와 강진군을 잇는 구간(38.1km)은 2002년에, 강진군과 장흥군을 잇는 구간은 2003년에 각각 확장 개통되었다. 나머지 장흥군 ~ 보성군 구간(22km)은 2004년 12월에 개통하면서 목포-광양 구간(150.5km)의 4차로 이상 확포장공사가 모두 완료되었다[82]. 이외에, 영산강하굿둑의 교통량을 분담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우회도로인 무영로가 있다.4. 3. 하동 ~ 진주 구간
하동군~진주시 구간은 기존 2차선 도로의 굴곡이 심하여, 이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1997년 12월 착공하여 사천시 곤명면에서 진주시 내동면을 잇는 구간이 2006년 12월 20일 우선 개통되었다.[83] 그러나 잔여 구간인 하동군과 사천시 곤명면을 잇는 구간에 대해 건설교통부가 기존 4차로 계획을 2차로로 축소하려 하자, 하동군수와 하동군 의회가 반발했다.[84]2008년 5월, 이명박 정부가 2차선 축소 건설을 포함한 국가기간 교통망 수정계획 안을 발표하자, 하동군은 국토해양부에 건의하여 원래 계획대로 4차로 건설을 촉구했다. 그 결과, 2009년 예산으로 65억원의 정부 예산을 배정받았다. 그러나 B/C 타당성 조사 결과, 전 구간 4차선 건설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85]
해당 구간의 도로명은 다음과 같다.
4. 4. 진주 ~ 창원 구간
진주시에서 창원시를 잇는 구간은 4차선 확장 이설공사가 진행되었다. 진주시 ~ 창원시 진전면 구간은 1996년 4월에 착공하여 2004년 12월 23일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어 개통되었으며[86], 현동 나들목 주변 구간은 2006년 12월 21일 이설 개통되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 현동 구간은 2010년 12월 선형 개량공사가 완료되었다.한편, 현동 나들목과 창원시 삼귀동을 잇는 마창대교는 2004년 4월에 착공하여 2008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4. 5. 창원 ~ 부산 구간
2001년 10월 27일에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을 잇는 총연장 16.7km 구간이 기존 왕복 2 ~ 4차로에서 왕복 4 ~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서 송곡삼거리 구간은 왕복 4차로, 송곡삼거리에서 녹산교까지는 왕복 6차로, 녹산교부터는 왕복 8차로로 이어져 부산 시내에 이른다. 단, 녹산교는 확장 공사가 늦어져 교량 구간은 왕복 4차로로만 활용하고 있다. 이후로는 시내 구간마다 차로 수가 4 ~ 8차로로 자주 바뀐다.
5. 노선
(공설운동장로)
연장 999m
지방도 제1003호선
(경서대로)
횡천강변길
(경서대로)
(곤명1로)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곤수로)
(흥신로)
(완사역 교차로)
국도 제33호선
(순환로)
국도 제33호선
(진주대로)
(월아산로)
(문산로)
(동부로)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하행 연장 510m
(오봉산로)
국도 제14호선 거제 방면 진출입
(남해안대로)
삼진의거대로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삼진의거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진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학동로)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상행 연장 916m
하행 연장 927m
신동전터널
신동전터널 상행 전용
(연장 1080m)
동전터널 하행 전용
(연장 609m)
(구산중앙로)
(경남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
상행 연장 1230m
하행 연장 1235m
유료도로
봉양로
연장 840m
(해원로)
(마천육교)
(웅장로)
남영로
진해산업로
소사-녹산간 도로
(가락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