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에서 시작하여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목포 ~ 부산 구간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신안군, 목포시, 무안군, 영암군, 강진군, 장흥군, 보성군, 순천시, 광양시, 하동군, 사천시, 진주시, 창원시, 부산광역시가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등 고속도로와 여러 국도, 지방도와 교차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낙동남로에는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안군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신안군의 교통 - 흑산공항
  • 부산 서구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부산 서구의 교통 - 구덕로
    부산 중구와 서구를 연결하는 구덕로는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및 5101호선과 일부 구간이 겹치며, 서구청, 부산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등 주요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부산 중구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부산 중구의 교통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국도 제2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2
노선 이름국도 제2호선
다른 이름신안부산선
로마자 표기Gukdo Je I(2) Hoseon
총 연장477.4 km
제정일1971년 8월 31일
도로 방향동서
노선 정보
기점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기점 방향서쪽
주요 경유지전라남도 신안군
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장흥군
전라남도 보성군
전라남도 순천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남도 하동군
경상남도 사천시
경상남도 진주시
경상남도 창원시
부산광역시
종점부산광역시 중구
종점 방향동쪽
주요 교차 도로
주요 교차 도로남해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2. 연혁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호선''' 목포 ~ 부산선이 됨.[5]
  • 1972년 11월 30일 : 노선 개량으로 인해 창원군 진전면 양촌리 806m 구간을 680m로, 창원군 진북면 지산리 1.391km 구간을 1.207km로 도로구역 변경.[6]
  • 1978년 1월 31일 :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 430m 구간 개통, 기존 320m 구간 폐지.[7]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변경된 2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8]
  • 1981년 8월 17일 : 국도로 승격된 목포시 석현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178km 구간 개통, 기존 지정 구간인 목포시 대의동2가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322km 구간 폐지.[9]
  • 1988년 8월 18일 : 골약육교(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746m 구간 개통.[10]
  • 1989년 3월 11일 : 의창군 진동면 사동리, 진동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1]
  • 1996년 7월 1일 : 종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함.[12]
  • 1998년 9월 28일 :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0.9km 구간 확장 개통.[13]
  • 1998년 12월 28일 : 삼호 ~ 성전간 도로(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 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25.04km 구간 확장 개통.[14]
  • 1999년 11월 4일 : 삼계교(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 삼계리) 3.05km 구간 개통.[15]
  • 1999년 12월 31일 : 지원교(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 섬거리) 560m 구간 재가설 개통, 기존 250m 구간 폐지.[16]
  • 2000년 2월 24일 : 남강댐 건설로 수몰되는 사천시 곤명면 정곡리 ~ 신흥리 2.7k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17]
  • 2001년 1월 22일 : 광양 ~ 골약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 중군동) 6.9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1년 8월 25일 :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신안 ~ 부산선'이 됨.[19]
  • 2001년 9월 28일 : 진해 ~ 부산간 도로 및 장복터널(진해시 서중동 ~ 용원동) 8.4km 구간 확장 개통, 진해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진해시 가주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6.33km 구간 확장 개통, 순아3구 ~ 명지간 도로(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순아3구 ~ 명지 나들목) 1.902km 구간 개통.[20][21][22]
  • 2002년 12월 30일 : 강진군 군동면 라천리 ~ 장흥군 장흥읍 금산리 14.5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2년 12월 31일 : 성전 ~ 강진간 도로(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 군동면 라천리) 13.04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3년 1월 17일 : 진주 ~ 진성간 도로(진주시 가좌동 ~ 진성면 상촌리) 13.1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1km 구간 폐지.[25][26]
  • 2004년 1월 19일 : 진해시 여좌동 ~ 풍호동 8.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91km 구간 폐지.[27]
  • 2004년 9월 13일 : 광양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월전 ~ 세풍간 도로(순천시 해룡면 월전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5.8km 구간,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삼향 ~ 삼호 ~ 청호간 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면 서호리) 1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8][29]
  • 2004년 12월 23일 : 진성 ~ 이반성, 이반성 ~ 임곡간 도로(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19.3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7km 구간 폐지.[30][31][32]
  • 2006년 9월 18일 :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4.94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64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9.54km 구간 임시개통.[33]
  • 2006년 12월 19일 :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200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68m) 총 468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5.65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95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10.56km) 폐지, 현동 ~ 내서간 도로 중 현동 나들목 구간(마산시 예곡동 ~ 우산동) 1.24km 구간 개통.[34][35][36]
  • 2006년 12월 27일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7]
  • 2007년 3월 6일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세풍 분기점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신대 분기점 3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8년 6월 19일 : 마창대교(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8.59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9]
  • 2008년 7월 1일 :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km 구간 신설 개통.[40]
  • 2008년 8월 28일 :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산정동 3.563km 구간 개통.[41]
  • 2009년 7월 28일 :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3.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 미력면 도개리 13.16km 구간 폐지.[42]
  • 2010년 5월 31일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 진동면 인곡리 8.4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3]
  • 2010년 12월 28일 :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44][45][46]
  • 2011년 6월 10일 :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7]
  • 2011년 10월 11일 :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2011년 10월 17일까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임시 개통.[48]
  • 2011년 12월 23일 : 구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인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이 국도로 이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개통.[49][50]
  • 2012년 1월 18일 :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임시 개통.[51]
  • 2012년 1월 20일 : 신대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임시 개통.[52]
  • 2012년 2월 17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km 구간 임시 개통.[53]
  • 2012년 2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km 구간 확장 개통.[54]
  • 2012년 4월 12일 :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확장 개통.[55][56]
  • 2012년 7월 16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 ~ 서호리 8.5km 구간 폐지.[57]
  • 2012년 10월 23일 : 구 서해안고속도로(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4.40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8]
  • 2012년 11월 30일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km 구간 폐지.[60]
  • 2013년 10월 7일 :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 ~ 완암동 2.90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1]
  • 2016년 3월 15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 및 정촌 ~ 호탄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3.48km 구간 개통, 기존 진주시내 10.48km 구간 폐지.[62][63]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진주시 시내 구간을 해제하고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노선 변경.[64]
  • 2017년 6월 27일 : 삼도대교 개통.[65]
  • 2017년 9월 : 진주혁신도시 연결램프(진주시 문산읍 옥산리) 600m 구간 개통.[66]
  • 2017년 9월 29일 : 진상 ~ 하동간 도로 1공구(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7.0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12.87km 구간 폐지.[67]
  • 2018년 2월 14일 :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1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68]
  • 2018년 9월 21일 : 하동군 북천면에서 추진중인 코스모스 축제기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10월 7일까지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북천면 방화리 ~ 옥정리) 4.1km 구간 임시 개통.[69]
  • 2018년 12월 13일 : 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0]
  • 2018년 12월 28일 :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 1공구(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북천면 옥정리) 16.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 북천면 옥정리 24.92km 구간 폐지.[71][72]
  • 2019년 1월 30일 : 하동 ~ 완사간 도로 2공구(하동군 북천면 옥정리 ~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3.6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73][74]
  • 2019년 2월 1일 : 2월 7일까지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9년 2월 18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자동차 전용도로 총 연장을 16km에서 15.2km로 정정.[76]
  • 2019년 3월 28일 : 세풍 ~ 중군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순천시 조례동 상비 교차로 ~ 광양시 성황동 15km 구간 폐지.[77]
  • 2019년 4월 4일 :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신설 개통.[78]
  • 2019년 12월 19일 : 중군 ~ 진정간 도로(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7.7km 구간 폐지.[79]
  • 2021년 3월 29일 : 추포 ~ 암태간 도로(신안군 암태면 수곡리) 1.82km 구간 신설 개통.[80]
  • 2023년 11월 30일 : 창원 양곡 ~ 석동간 도로 6.78km 구간 신설 개통.[81]

2. 1. 노선 지정 및 변경

2. 2. 도로 개량 및 확장


  • 1972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군 진전면 양촌리 806m 구간을 680m로, 창원군 진북면 지산리 1.391km 구간을 1.207km로 도로구역 변경[6]
  • 1978년한국어 1월 31일한국어: 광양군 진상면 섬거리 430m 구간 개통, 기존 320m 구간 폐지[7]
  • 1981년한국어 8월 17일한국어: 국도로 승격된 목포시 석현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178km 구간 개통, 기존 목포시 대의동2가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1.322km 구간 폐지[9]
  • 1988년한국어 8월 18일한국어: 골약육교(광양군 골약면 중군리) 746m 구간 개통[10]
  • 1989년한국어 3월 11일한국어: 의창군 진동면 사동리, 진동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1]
  • 1998년한국어 9월 28일한국어: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영암군 삼호면 용앙리) 10.9km 구간 확장 개통[13]
  • 1998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삼호 ~ 성전간 도로(영암군 삼호면 산호리 ~ 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25.04km 구간 확장 개통[14]
  • 1999년한국어 11월 4일한국어: 삼계교(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 삼계리) 3.05km 구간 개통[15]
  • 1999년한국어 12월 31일한국어: 지원교(광양시 진상면 지원리 ~ 섬거리) 560m 구간 재가설 개통, 기존 250m 구간 폐지[16]
  • 2000년한국어 2월 24일한국어: 남강댐 건설로 수몰되는 사천시 곤명면 정곡리 ~ 신흥리 2.7km 구간 이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17]
  • 2001년한국어 1월 22일한국어: 광양 ~ 골약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용강리 ~ 중군동) 6.9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1년한국어 9월 28일한국어: 진해 ~ 부산간 도로 및 장복터널(진해시 서중동 ~ 용원동) 8.4km 구간 확장 개통, 진해 ~ 부산간 도로(경상남도 진해시 가주동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6.33km 구간 확장 개통, 순아3구 ~ 명지간 도로(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순아3구 ~ 명지 나들목) 1.902km 구간 개통[20][21][22]
  • 2002년한국어 12월 30일한국어: 강진군 군동면 라천리 ~ 장흥군 장흥읍 금산리 14.5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2년한국어 12월 31일한국어: 성전 ~ 강진간 도로(강진군 성전면 성전리 ~ 군동면 라천리) 13.04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3년한국어 1월 17일한국어: 진주 ~ 진성간 도로(진주시 가좌동 ~ 진성면 상촌리) 13.18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1km 구간 폐지[25][26]
  • 2004년한국어 1월 19일한국어: 진해시 여좌동 ~ 풍호동 8.7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91km 구간 폐지[27]
  • 2004년한국어 12월 23일한국어: 진성 ~ 이반성, 이반성 ~ 임곡간 도로(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 마산시 진전면 임곡리) 19.34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7km 구간 폐지[30][31][32]
  • 2006년한국어 9월 18일한국어: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4.94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64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9.54km 구간 임시개통[33]
  • 2006년한국어 12월 19일한국어: 진주 ~ 완사간 도로(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200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68m 구간) 총 468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사천시 곤명면 봉계리 ~ 정곡리 5.65km 구간, 사천시 곤명면 신흥리 ~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1.95km 구간, 진주시 내동면 삼계리 ~ 독산리 2.96km 구간 (총 10.56km) 폐지, 현동 ~ 내서간 도로 중 현동 나들목 구간(마산시 예곡동 ~ 우산동) 1.24km 구간 개통[34][35][36]
  • 2007년한국어 3월 6일한국어: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세풍 분기점 ~ 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신대 분기점 3km 구간 확장 개통[38]
  • 2008년한국어 7월 1일한국어: 마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우산 ~ 귀곡간 도로 및 마창대교, 마산시 현동 ~ 창원시 양곡동) 10.47km 구간 신설 개통[40]
  • 2008년한국어 8월 28일한국어: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산정동 3.563km 구간 개통[41]
  • 2009년한국어 7월 28일한국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3.5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성군 보성읍 봉산리 ~ 미력면 도개리 13.16km 구간 폐지[42]
  • 2010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진동우회도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봉곡리 ~ 임곡리 1.09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진동면 인곡리 9.18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 임곡리 1.6km 구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근곡리 ~ 진동면 인곡리 6.75km 구간 폐지[44][45][46]
  • 2011년한국어 10월 11일한국어: 코리아 그랑프리 개최로 2011년한국어 10월 17일한국어까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임시 개통[48]
  • 2011년한국어 12월 23일한국어: 구 서해안고속도로 구간인 목포 나들목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이 국도로 이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무안군 삼향면 맥포리 ~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 15.2km 구간 개통[49][50]
  • 2012년한국어 1월 18일한국어: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임시 개통[51]
  • 2012년한국어 1월 20일한국어: 신대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임시 개통[52]
  • 2012년한국어 2월 17일한국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3.5km 구간 임시 개통[53]
  • 2012년한국어 2월 29일한국어: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km 구간 확장 개통[54]
  • 2012년한국어 4월 12일한국어: 신대 교차로 ~ 세풍 교차로(순천시 해룡면 신대리 ~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3.55km 구간 확장 개통[55][56]
  • 2012년한국어 7월 16일한국어: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 ~ 서호리 8.5km 구간 폐지[57]
  • 2012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동전리 ~ 우산동 6.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 ~ 우산동 1.05km 구간 폐지[60]
  • 2016년한국어 3월 15일한국어: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 및 정촌 ~ 호탄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가좌동) 3.48km 구간 개통, 기존 진주시내 10.48km 구간 폐지[62][63]
  • 2017년한국어 6월 27일한국어: 삼도대교 개통[65]
  • 2017년한국어 9월한국어: 진주혁신도시 연결램프(진주시 문산읍 옥산리) 600m 구간 개통[66]
  • 2017년한국어 9월 29일한국어: 진상 ~ 하동간 도로 1공구(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7.0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12.87km 구간 폐지[67]
  • 2018년한국어 2월 14일한국어: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1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68]
  • 2018년한국어 9월 21일한국어: 하동군 북천면에서 추진중인 코스모스 축제기간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10월 7일한국어까지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북천면 방화리 ~ 옥정리) 4.1km 구간 임시 개통[69]
  • 2018년한국어 12월 28일한국어: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 1공구(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북천면 옥정리) 16.2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 북천면 옥정리 24.92km 구간 폐지[71][72]
  • 2019년한국어 1월 30일한국어: 하동 ~ 완사간 도로 2공구(하동군 북천면 옥정리 ~ 사천면 곤명면 봉계리) 3.6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73][74]
  • 2019년한국어 2월 1일한국어: 2월 7일한국어까지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9년한국어 3월 28일한국어: 세풍 ~ 중군간 도로(광양시 광양읍 세풍리 ~ 성황동) 9.2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순천시 조례동 상비 교차로 ~ 광양시 성황동 15km 구간 폐지[77]
  • 2019년한국어 4월 4일한국어: 압해 ~ 암태간 도로 1공구 및 천사대교(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9.801km 구간 신설 개통[78]
  • 2019년한국어 12월 19일한국어: 중군 ~ 진정간 도로(광양시 성황동 ~ 진월면 마룡리) 7.8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7.7km 구간 폐지[79]
  • 2021년한국어 3월 29일한국어: 추포 ~ 암태간 도로(신안군 암태면 수곡리) 1.82km 구간 신설 개통[80]
  • 2023년한국어 11월 30일한국어: 창원 양곡 ~ 석동간 도로 6.78km 구간 신설 개통.[81]

3. 주요 경유지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를 거치는 주요 도로이다. 경유지는 다음과 같다.



신안군 - 목포시 - 무안군 - 영암군 - 강진군 - 장흥군 - 보성군 - 순천시 - 광양시

하동군 - 사천시 - 진주시 - 창원시

강서구 - 사하구 - 서구 - 중구

3. 1. 전라남도

신안군 (장산면, 신의면, 하의면, 도초면, 비금면, 암태면, 압해읍) - 목포시 (연산동, 대양동) - 무안군 (삼향읍, 일로읍) - 영암군 (학산면, 삼호읍, 미암면, 학산면) - 강진군 (성전면, 강진읍, 군동면) - 장흥군 (장흥읍, 부산면, 장동면) - 보성군 (보성읍, 미력면, 득량면, 조성면, 벌교읍) - 순천시 (별량면, 인월동, 대룡동, 야흥동, 교량동, 덕월동, 오천동, 풍덕동, 연향동, 조례동, 해룡면) - 광양시 (광양읍, 중군동, 성황동, 중동, 마동, 광영동, 금호동, 태인동, 진월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

3. 2. 경상남도

이름[3]한국어 이름연결위치참고
섬진교섬진교하동군하동읍전라남도 - 경상남도 경계선
지방도 58호선 중복
섬진교사거리섬진교사거리국도 19호선, 국도 59호선
(섬진강대로)
국도 19호선, 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중복
하동고등학교, 하동초등학교하동고등학교, 하동초등학교
하동경찰서하동경찰서군청로, 향교1길
하동시외버스터미널하동시외버스터미널국도 19호선
(중앙로)
하동역하동역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중복
비파삼거리비파삼거리공서륜동장로
적량면삼거리적량면삼거리정량로적량면
횡천초등학교횡천초등학교횡천면
횡천삼거리횡천삼거리지방도 1003호선
(청학로)
국도 59호선 중복
지방도 58호선, 1003호선 중복
횡천면사무소, 횡천중학교횡천면사무소, 횡천중학교
대덕삼거리대덕삼거리국도 59호선
(돌고지로)
감당삼거리감당삼거리지방도 1003호선
(진양로)
양보면지방도 58호선, 1003호선 중복
황토재황토재지방도 58호선 중복
북천면
방화보건진료소방화보건진료소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1005호선
(곤북로)
지방도 58호선, 1005호선 중복
북천역, 북천면사무소북천역, 북천면사무소
대야교대야교지방도 1005호선
(옥단로)
원전 교차로원전 교차로지방도 58호선
(곤명1로)
사천시곤명면지방도 58호선 중복
봉계 교차로봉계 교차로곤명1로
오랑교오랑교
오랑 교차로오랑 교차로오랑길
새동 교차로새동 교차로목성로
매화 교차로매화 교차로작팔길
정곡 교차로정곡 교차로지방도 1001호선
(곤수로, 흥신로)
완사역
(완사역 교차로)
완사역, 완사역 교차로
완사교완사교
연평 교차로연평 교차로연평길
내평 교차로내평 교차로내척로 577번길
솔티교, 양지교솔티교, 양지교진주시내동면
정동 교차로정동 교차로내척로 577번길
마동교마동교지방도 1049호선
(내척로)
배양교배양교지방도 1049호선
(호반로)
삼계교삼계교
삼계 교차로삼계 교차로삼계로, 칠봉산길
산기 교차로산기 교차로칠봉산길
모산 교차로모산 교차로산유로, 칠봉산길
내동 교차로내동 교차로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순환로)
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중복
화개 교차로화개 교차로국도 3호선, 국도 33호선
(진주대로)
정촌면
죽봉 교차로죽봉 교차로화개길 194번길
옥산1육교옥산1육교가좌동
옥산 교차로옥산 교차로진마대로
영천강1교영천강1교문산읍
문산 교차로문산 교차로지방도 1009호선
(워라산로)
상문 교차로상문 교차로지방도 1007호선
(문산로)
지방도 1007호선 중복
진성 교차로진성 교차로지방도 1007호선
(동부로)
진성면지방도 1007호선 중복
진성고가교진성고가교
진성터널진성터널우측 터널: 약 570m
좌측 터널: 약 510m
천곡1교, 천곡2교천곡1교, 천곡2교
무촌 교차로무촌 교차로동부로사봉면
무촌교무촌교
반성 교차로반성 교차로동부로
반성철도육교반성철도육교일반성면
반성2교반성2교
이반성면
수목원 교차로수목원 교차로동부로, 수목원로, 대천길
이반성 교차로이반성 교차로지방도 30호선
(오봉산로)
길성 교차로길성 교차로길성길, 진마대로 2520번길
발산재발산재
창원시마산합포구 진전면
봉암 교차로봉암 교차로지방도 1029호선
(팔룡산로)
동산 교차로동산 교차로팔룡산로
세월2교세월2교
임곡 교차로임곡 교차로삼진의거대로호산 교차로 경유
국도 14호선 연결 (거제 방면)
대산 교차로대산 교차로국도 14호선
(남해안대로, 삼진의거대로)
국도 14호선 중복
진목 교차로진목 교차로국도 77호선, 지방도 67호선
(삼진의거대로)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진전터널진전터널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550m
좌측 터널: 약 600m
마산합포구 진북면
예곡 교차로예곡 교차로의림로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지산 분기점지산 분기점국도 79호선건설 중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대평 교차로대평 교차로지방도 1021호선
(학동로)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진동 교차로진동 교차로국도 79호선, 지방도 67호선
(진북산업로)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지방도 67호선 중복
진북터널진북터널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약 927m
마산합포구 진동면
태봉교태봉교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신대방삼거리신대방삼거리삼진의거대로
오산 교차로오산 교차로오산3길
태봉 교차로태봉 교차로태봉2길
동전터널, 신동전터널동전터널, 신동전터널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동행: 신동전터널
(약 1080m)
서행: 동전터널
(약 609m)
마산합포구
현동 분기점현동 분기점국도 5호선국도 5호선, 국도 14호선, 국도 77호선, 국도 79호선 중복
현동 교차로현동 교차로국도 5호선
(경남대로)
국도 14호선, 국도 79호선
(밤밭고개로)
가포터널가포터널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1,230m
좌측 터널: 약 1,235m
가포 교차로가포 교차로드림베이대로국도 77호선 중복
마창대교마창대교국도 77호선 중복
유료도로
성산구
마창대교 요금소, 귀산고개마창대교 요금소, 귀산고개국도 77호선 중복
귀산1교귀산1교귀산로
귀산터널귀산터널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345m
좌측 터널: 약 403m
양곡터널양곡터널국도 77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1,135m
좌측 터널: 약 1,046m
양곡 나들목양곡 나들목남해안대로, 봉양로국도 77호선 중복
장복터널장복터널국도 77호선 중복
약 840m
진해구
장복로사거리장복로사거리장복산길국도 77호선 중복
가마니골삼거리가마니골삼거리여좌천로
시민회관사거리시민회관사거리
진해고가교진해고가교여좌로
여좌고가교여좌고가교
경화고가교경화고가교태백로, 태백서로
새마을사거리새마을사거리조천로, 진해대로 624번길
경화역
(경화역삼거리)
경화역, 경화역삼거리경화로
중앙고삼거리중앙고삼거리경화시장로
상공회의소 삼거리상공회의소삼거리진해대로 728번길
3호광장3호광장국도 25호선
(해원로)
돌리사거리, 석동주민센터돌리사거리, 석동주민센터돌리로, 진해대로 776번길
진해경찰서
(경찰서삼거리)
진해경찰서, 경찰서삼거리
만리들사거리만리들사거리석동로
냉천사거리냉천사거리냉천로
자은교사거리자은교사거리자은로
해군아파트사거리해군아파트사거리덕산로
자은본동사거리자은본동사거리진해대로 975번길
풍호초등교사거리풍호초등교사거리풍호로
풍호사거리
(풍호고가교)
풍호사거리, 풍호고가교천자로
창원시청, 진해구청진해구청
대발령
(만남의 광장)
대발령, 만남의광장
대발령삼거리대발령삼거리명제로
어은삼거리어은삼거리어은로
천자 교차로천자 교차로웅천로
웅동 나들목웅동 나들목국도 58호선
(남명로)
국도 77호선 중복
대장천교대장천교국도 77호선 중복
의곡 교차로의곡 교차로보배로
송곡삼거리송곡삼거리안청로
용원택지용원택지앙골로
회야골삼거리회야골삼거리용원북로
용재삼거리용재삼거리용원동로
용원삼거리용원삼거리만금로
녹송교녹송교국도 77호선 중복
부산광역시로 이어짐


3. 3.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 녹산동 · 명지동) - 사하구 (하단동 · 당리동 · 괴정동) - 서구 (대신동 · 부민동 · 아미동 · 충무동) - 중구 (남포동 · 동광동1가)

4. 구간별 도로

국도 제2호선은 구간별로 도로의 특징이 다르며, 확장 및 개량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 신안 ~ 목포: 신안군 장산면에서 목포시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압해대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왕복 2차선이다. 압해대교, 서남문대교, 천사대교 등 연도교가 건설되었으며, 앞으로도 연도교 건설이 계속될 예정이다.
  • 목포 ~ 광양: 목포시에서 광양시 진월면까지는 4차로 이상의 고속화도로이다. 1989년부터 7.44조을 투입하여 확·포장 공사가 진행되었고, 2004년 12월에 전 구간이 완료되었다.[82] 영산강하굿둑의 교통량을 분담하고 서해안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무영로가 있다.
  • 하동 ~ 진주: 굴곡이 심한 기존 2차선 도로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06년 12월 20일 사천시 곤명면에서 진주시 내동면 구간이 우선 개통되었으나[83], 하동군사천시 곤명면을 잇는 구간은 2차로 축소 건설 계획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84] 이명박 정부의 2차선 축소 건설안에 하동군이 반발하여 4차로 건설을 촉구했고, 2009년 예산으로 65억의 정부 예산을 배정받았으나, 전 구간 4차선 건설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85] 해당 구간의 도로명은 아래 표와 같다.


구간도로명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교 ~ 사천시 곤명면 봉계2교충무공로
사천시 곤명면 봉계2교 ~ 진주시 내동면 내동 교차로경서대로


  • 진주 ~ 창원: 진주시에서 창원시를 잇는 구간은 4차선 확장 및 이설 공사가 진행되었다. 2004년 12월 23일 진주시 ~ 창원시 진전면 구간이 4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86], 현동 나들목 주변 구간은 2006년 12월 21일 이설 개통되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 현동 구간은 2010년 12월 선형 개량 공사가 완료되었다. 마창대교는 2008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 창원 ~ 부산: 2001년 10월 27일,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을 잇는 16.7km 구간이 왕복 4~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서 송곡삼거리 구간은 왕복 4차로, 송곡삼거리에서 녹산교까지는 왕복 6차로, 녹산교부터는 왕복 8차로로 이어져 부산 시내에 이른다. 녹산교는 확장 공사가 늦어져 왕복 4차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이후 시내 구간은 차로 수가 4~8차로로 자주 바뀐다.

4. 1. 신안 ~ 목포 구간

신안군 장산면을 기점으로 하여, 신의면, 하의면, 도초면, 비금면, 암태면, 압해읍을 거쳐 압해대교목포시와 연결된다. 현재 압해대교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이며, 하의도 - 도초도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연도교로 연결될 예정이다. 현재 완공된 교량은 목포 - 압해 사이의 압해대교, 비금 - 도초 사이의 서남문대교, 압해 - 암태 사이의 천사대교이다.

4. 2. 목포 ~ 광양 구간

목포시에서 광양시 진월면에 이르는 구간은 현재 4차로 이상의 고속화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1989년부터 7.44조을 투입해 4차로 이상 확포장 공사에 들어가, 보성군 ~ 광양시 구간(62.6km)은 1998년에, 목포시와 강진군을 잇는 구간(38.1km)은 2002년에, 강진군장흥군을 잇는 구간은 2003년에 각각 확장 개통되었다. 나머지 장흥군 ~ 보성군 구간(22km)은 2004년 12월에 개통하면서 목포-광양 구간(150.5km)의 4차로 이상 확포장공사가 모두 완료되었다[82]. 이외에, 영산강하굿둑의 교통량을 분담하고, 서해안고속도로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우회도로인 무영로가 있다.

4. 3. 하동 ~ 진주 구간

하동군~진주시 구간은 기존 2차선 도로의 굴곡이 심하여, 이를 4차선 고속화도로로 개량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1997년 12월 착공하여 사천시 곤명면에서 진주시 내동면을 잇는 구간이 2006년 12월 20일 우선 개통되었다.[83] 그러나 잔여 구간인 하동군사천시 곤명면을 잇는 구간에 대해 건설교통부가 기존 4차로 계획을 2차로로 축소하려 하자, 하동군수와 하동군 의회가 반발했다.[84]

2008년 5월, 이명박 정부가 2차선 축소 건설을 포함한 국가기간 교통망 수정계획 안을 발표하자, 하동군은 국토해양부에 건의하여 원래 계획대로 4차로 건설을 촉구했다. 그 결과, 2009년 예산으로 65억의 정부 예산을 배정받았다. 그러나 B/C 타당성 조사 결과, 전 구간 4차선 건설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85]

해당 구간의 도로명은 다음과 같다.

구간도로명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교 ~ 사천시 곤명면 봉계2교충무공로
사천시 곤명면 봉계2교 ~ 진주시 내동면 내동 교차로경서대로


4. 4. 진주 ~ 창원 구간

진주시에서 창원시를 잇는 구간은 4차선 확장 이설공사가 진행되었다. 진주시 ~ 창원시 진전면 구간은 1996년 4월에 착공하여 2004년 12월 23일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어 개통되었으며[86], 현동 나들목 주변 구간은 2006년 12월 21일 이설 개통되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 현동 구간은 2010년 12월 선형 개량공사가 완료되었다.

한편, 현동 나들목과 창원시 삼귀동을 잇는 마창대교2004년 4월에 착공하여 2008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4. 5. 창원 ~ 부산 구간

2001년 10월 27일창원시 진해구 웅천동과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을 잇는 총연장 16.7km 구간이 기존 왕복 2 ~ 4차로에서 왕복 4 ~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서 송곡삼거리 구간은 왕복 4차로, 송곡삼거리에서 녹산교까지는 왕복 6차로, 녹산교부터는 왕복 8차로로 이어져 부산 시내에 이른다. 단, 녹산교는 확장 공사가 늦어져 교량 구간은 왕복 4차로로만 활용하고 있다. 이후로는 시내 구간마다 차로 수가 4 ~ 8차로로 자주 바뀐다.

5. 노선

(공설운동장로)하동군 고전면고절터널국도 제59호선과 중복
연장 999m적량 교차로경서대로하동군 적량면국도 제59호선과 중복횡천 교차로국도 제59호선
지방도 제1003호선
(경서대로)
횡천강변길하동군 횡천면국도 제59호선과 중복황치산터널하동군 북천면연장 1490m방화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경서대로)직전터널연장 245m북천터널연장 600m초량터널사천시 곤명면연장 280m원전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곤명1로)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정곡 교차로지방도 제1001호선
(곤수로)
(흥신로)완사역
(완사역 교차로)내동 교차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
(순환로)진주시 내동면국도 제3, 33호선과 중복화개 교차로국도 제3호선
국도 제33호선
(진주대로)진주시 정촌면옥산 교차로진마대로진주시 가호동문산 교차로지방도 제1009호선
(월아산로)진주시 문산읍상문 교차로지방도 제1007호선
(문산로)지방도 제1007호선과 중복진성 교차로지방도 제1007호선
(동부로)진주시 진성면지방도 제1007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진성터널상행 연장 570m
하행 연장 510m이반성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
(오봉산로)진주시 이반성면임곡 교차로삼진의거대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호산 교차로 통해서
국도 제14호선 거제 방면 진출입대산 교차로국도 제14호선
(남해안대로)
삼진의거대로국도 제14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진목 교차로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삼진의거대로)국도 제14, 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지산 분기점국도 제7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진함로)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국도 제14, 77, 7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진북 교차로지방도 제1021호선
(학동로)국도 제14, 77, 79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진북터널국도 제14, 77, 79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916m
하행 연장 927m동전터널
신동전터널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국도 제14, 77, 79호선과 중복
신동전터널 상행 전용
(연장 1080m)
동전터널 하행 전용
(연장 609m)현동 분기점국도 제5호선
(구산중앙로)국도 제5, 14, 77, 79호선과 중복현동 교차로국도 제5호선
(경남대로)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79호선
(밤밭고개로)창원시 마산합포구국도 제5, 14, 77, 79호선과 중복가포터널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1230m
하행 연장 1235m가포 교차로드림베이대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마창대교창원시 성산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유료도로양곡 나들목남해안대로
봉양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장복터널창원시 진해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연장 840m3호광장국도 제25호선
(해원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웅동 교차로
(마천육교)국도 제58호선
(웅장로)
남영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의곡 교차로보배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송곡삼거리안청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용원택지 교차로안골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회야골삼거리용원북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용재삼거리용원동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용원삼거리만금로
진해산업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용원삼거리만금로
소사-녹산간 도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녹송육교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가락대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부산광역시'''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녹송육교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가락대로)
부산광역시 강서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성산삼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생곡로)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명지 나들목부산광역시도 제31호선
(공항로)
르노삼성대로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낙동강하구둑부산광역시 사하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하구둑 교차로강변대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하단역국도 제77호선과 중복
하단 교차로낙동대로
승학로
하신중앙로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사하구청입구)낙동대로398번길부산광역시 사하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상행 좌회전 불가
사하역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괴정사거리
(괴정역)
사하로
낙동대로216번길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대티터널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연장 401m
서대신사거리
(서대신역)
대영로
대티로
구덕로321번길
부산광역시 서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구덕운동장꽃마을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구덕운동장삼거리망양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동대신사거리
(동대신역)
대영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부용사거리부용로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자갈치 교차로
(자갈치역)
보수대로
자갈치로15번길
부산광역시 중구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옛시청 교차로
(옛시청사거리)
국도 제7호선
(중앙대로)
태종로
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종점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으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시점
종점
총연장
(km)
차로수지정일
서해안고속도로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목포 나들목)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죽림 분기점)4.40542012년 10월 23일
무영로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리(죽림 분기점)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은곡리(서영암 나들목)15.242004년 9월 13일
에프1경주장로전라남도 영암군 학산읍 은곡리(서영암 나들목)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서호리(서호 교차로)15.242004년 9월 13일
충무공로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월전리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세풍 교차로)5.842004년 9월 13일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세풍리(세풍 교차로)전라남도 광양시 성황동(성황 교차로)9.342006년 12월 27일
전라남도 광양시 성황동(성황 교차로)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마룡리(마룡 교차로)7.8142018년 12월 13일
순환로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내동 교차로)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화개 교차로)7.042011년 6월 10일
정촌우회로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화개리(화개 교차로)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옥산 교차로)
남해안대로(마창대교)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현동(현동 교차로)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양곡 나들목)8.5942008년 6월 19일
남해안대로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임곡 교차로)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인곡리(신대방 교차로)8.454, 62010년 5월 31일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양곡동(양곡 나들목)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동(완암 나들목)2.90842013년 10월 7일


7. 중앙버스전용차로

2008년 7월 2일부터 부산에서는 최초로 낙동남로의 하단교차로 ~ 낙동강하구둑 입구 구간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제가 시범 실시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는 서울에서 실시되고 있는 중앙전용차로와 원리는 같으나, 서울과는 달리 평일 출ㆍ퇴근 시간에만 운영되며, 토ㆍ일ㆍ공휴일 및 평일의 다른 시간대에는 일반 차로로 운영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버스전용차로 운영시간은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 출근시간 (07:00 ∼ 09:00)과 퇴근시간 (17:30 ∼ 20:30)이며, 시내버스,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과 36인승 이상 대형 승합자동차의 통행이 가능하다.

8. 교차하는 도로


'''IS''': 교차로, '''IC''': 분기점

국도 제2호선이 교차하는 도로는 다음과 같다.

종류도로
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0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9호선
지방도지방도 제801호선, 지방도 제805호선, 지방도 제819호선, 지방도 제830호선, 지방도 제839호선, 지방도 제843호선, 지방도 제845호선, 지방도 제861호선, 지방도 제863호선, 지방도 제865호선, 지방도 제895호선


8. 1.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죽림 분기점), 남해고속도로 (서영암 나들목, 강진무위사 나들목, 벌교 나들목, 순천만 나들목), 순천완주고속도로 (동순천 나들목)

8. 2. 국도

8. 3. 지방도

이름[87]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북강항지방도 제805호선신안군장산면기점
소작인항쟁비공원지방도 제805호선
(중부로)
지방도 제805호선과 중복
암태중학교입구장단고길
기동삼거리지방도 제805호선
(중부로)
석포 교차로지방도 제801호선
(영산로)
영암군 학산면
채지 교차로
(독천육교)
지방도 제819호선
(흑석로)
지방도 제819호선과 중복
학산 교차로지방도 제819호선
(영암로)
영암군 미암면
남성전삼거리지방도 제830호선
(금강로)
송계로
강진군 성전면상행 성전아랫삼거리와 연결
하행 신제 교차로와 연결
장동 교차로
(반산1교)
지방도 제839호선
(북교반산로)
장흥군 장동면
조리 교차로
(조리교)
지방도 제895호선
(일림로)
보성군 보성읍
군두사거리지방도 제845호선
(충의로)
보성군 득량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장좌 교차로
(장좌육교)
지방도 제843호선
(남하로)
채동선로
보성군 벌교읍고흥 나들목과 간접 연결
세승 교차로(서)
(세승교)
지방도 제863호선
(해광로)
순천시 해룡면
초남 교차로지방도 제865호선
(제철로)
광양시 골약동
신금 교차로
(신금3교)
지방도 제861호선
(강변로)
광양시 옥곡면의암 교차로와 연결
신구 교차로지방도 제861호선
(섬진강매화로)
광양시 진월면
송금 교차로지방도 제861호선
(섬진강매화로)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text
[3] text
[4] text
[5]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506호 http://theme.archive[...] 1972-11-30
[7]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0호 http://theme.archive[...] 1978-01-31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9] 간행물 광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2호 http://theme.archive[...] 1981-08-17
[10] 간행물 이리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48호 http://theme.archive[...] 1988-08-18
[1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9-03-11
[12]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55호 http://theme.archive[...] 1998-09-28
[1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30호 http://theme.archive[...] 1998-12-31
[1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45호 http://theme.archive[...] 1999-11-04
[1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17호 http://theme.archive[...] 2000-02-12
[1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6호 http://theme.archive[...] 2000-02-23
[1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고시 제2001-7호 http://gwanbo.mois.g[...] 2001-01-22
[19] 간행물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2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83호 http://gwanbo.mois.g[...] 2001-09-21
[2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84호 http://gwanbo.mois.g[...] 2001-09-21
[2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185호 http://gwanbo.mois.g[...] 2001-09-21
[2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7호 http://gwanbo.mois.g[...] 2003-01-22
[2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2-232호 http://gwanbo.mois.g[...] 2002-12-28
[2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2호 http://gwanbo.mois.g[...] 2003-01-10
[2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호 http://gwanbo.mois.g[...] 2003-01-10
[2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5호 http://www.gyeongnam[...] 2004-01-15
[2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2호 2004-09-13
[2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4호 2004-09-13
[3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25호 http://www.gyeongnam[...] 2004-12-21
[3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26호 http://www.gyeongnam[...] 2004-12-23
[3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26호 http://gwanbo.mois.g[...] 2004-12-21
[3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40호 http://www.gyeongnam[...] 2006-09-21
[3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08호 http://www.gyeongnam[...] 2006-12-14
[3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09호 http://www.gyeongnam[...] 2006-12-14
[3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213호 http://www.gyeongnam[...] 2006-12-21
[3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74호 http://news.jeonnam.[...] 2006-12-27
[3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0호 http://www.jeonnam.g[...] 2007-02-27
[39]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8-426호, 마산시공고 제2008-711호, 창원시공고 제2008-489호 http://www.gyeongnam[...] 2008-06-19
[40] 간행물 경상남도공고 제2008-438호, 창원시공고 제2008-741호, 마산시공고 제2008-184호 http://www.gyeongnam[...] 2008-06-19
[4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67호 http://gwanbo.mois.g[...] 2008-08-28
[4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9-132호 http://gwanbo.mois.g[...] 2009-07-29
[4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87호 http://gwanbo.mois.g[...] 2010-05-31
[4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88호 http://gwanbo.mois.g[...] 2010-12-23
[45]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289호 http://gwanbo.mois.g[...] 2010-12-23
[4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호 http://gwanbo.mois.g[...] 2011-01-14
[47]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6호 http://gwanbo.mois.g[...] 2011-06-10
[4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29호 http://gwanbo.mois.g[...] 2011-10-07
[49] 뉴스 목포나들목∼죽림나들목 관리권 이양 http://www.gyotongn.[...] 교통신문 2011-12-22
[5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162호 http://gwanbo.mois.g[...] 2011-12-22
[5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5호 http://gwanbo.mois.g[...] 2012-01-18
[5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4호 http://gwanbo.mois.g[...] 2012-01-18
[5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6호 http://gwanbo.mois.g[...] 2012-02-21
[5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1호 http://gwanbo.mois.g[...] 2012-02-24
[5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35호 http://gwanbo.mois.g[...] 2012-04-12
[5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55호 http://gwanbo.mois.g[...] 2013-05-30
[5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81호 http://gwanbo.mois.g[...] 2012-07-16
[5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24호 http://gwanbo.mois.g[...] 2012-10-23
[5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25호 http://gwanbo.mois.g[...] 2012-12-03
[60]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26호 http://gwanbo.mois.g[...] 2012-12-03
[61] 간행물 창원시공고 제2013-1903호 http://inews.changwo[...] null
[6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41호 http://gwanbo.mois.g[...] 2016-03-15
[6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42호 http://gwanbo.mois.g[...] 2016-03-15
[6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172호 http://gwanbo.mois.g[...] 2016-04-08
[65] 뉴스 신안, 삼도대교 개통…목포-하의도까지 30분 단축 https://news.sbs.co.[...] SBS 뉴스 2017-06-26
[66]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65호 http://gwanbo.mois.g[...] 2017-09-01
[6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66호 http://gwanbo.mois.g[...] 2017-10-10
[6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호 http://gwanbo.mois.g[...] 2017-02-13
[69]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179호 http://gwanbo.mois.g[...] 2018-09-20
[7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23호 http://gwanbo.mois.g[...] 2018-12-13
[7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4호 http://gwanbo.mois.g[...] 2018-12-27
[72]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8-265호 http://gwanbo.mois.g[...] 2018-12-27
[73]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4호 http://gwanbo.mois.g[...] 2019-01-29
[74]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5호 http://gwanbo.mois.g[...] 2019-01-29
[7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4호 http://gwanbo.mois.g[...] 2019-01-10
[7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7호 http://gwanbo.mois.g[...] 2019-02-18
[7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56호 http://gwanbo.mois.g[...] 2019-03-28
[7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55호 http://gwanbo.mois.g[...] 2019-03-26
[7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251호 http://gwanbo.mois.g[...] 2019-12-13
[8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61호 https://gwanbo.go.kr[...] 2021-03-26
[81] 간행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제2023-261호 https://gwanbo.go.kr[...] 2023-11-24
[82] 뉴스 목포~광양 주행 40분 빨라진다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4-01-14
[83] 뉴스 진주∼완사 도로공사 완전 개통 https://news.naver.c[...] 건설교통부 2006-12-19
[84] 뉴스 하동군, 중단위기 놓인 국도2호선 당초계획 강력 건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6-11
[85] 뉴스 하동군 관내 국도건설사업비 267억원 확보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2-01
[86] 뉴스 진주~마산 국도 전구간 확장 완료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4-12-23
[87]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