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먼지 진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먼지 진드기는 집먼지진드기과에 속하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진드기이다. 크기는 0.2~0.3mm로 매우 작으며, 사람과 동물의 피부 조각, 곰팡이를 먹고 산다.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나 배설물은 알레르겐으로 작용하여 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며, 드물게는 경구 진드기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기도 한다. 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실내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침구류를 자주 세탁하며,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집먼지 진드기
개요
집먼지 진드기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집먼지 진드기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학명Dermatophagoides spp.
일반 명칭집먼지 진드기
크기약 0.2 ~ 0.3mm
서식 장소침대, 카펫, 천으로 덮인 가구, 옷 등
먹이사람과 동물의 비듬, 곰팡이
건강 문제알레르기천식, 습진, 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 유발
종류
주요 종세로무늬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farinae)
유럽집먼지진드기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기타 종Euroglyphus maynei
Dermatophagoides microceras
Blomia tropicalis
특징
생김새흰색 또는 반투명하며, 매우 작아서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움.
생활 조건따뜻하고 습한 환경 (온도 25°C, 습도 75% 최적)에서 잘 번식함.
수명약 2~3개월
배설물알레르기 유발 물질 포함.
작고 건조하여 공기 중에 쉽게 떠다님.
서식 환경
선호 환경섬유, 침구류, 카펫, 천 소파 등 먼지가 많은 곳.
사람이 생활하는 곳.
번식 조건높은 습도와 온도 선호.
사람의 각질(비듬)을 먹고 번식.
알레르기 유발
주요 원인집먼지 진드기의 배설물, 사체, 껍질 등이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작용함.
관련 질환알레르기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결막염 등
증상 완화정기적인 침구류 세탁 및 햇볕에 건조.
진공 청소기를 이용한 실내 청소.
알레르기 침구 사용.
실내 습도 조절.
예방 및 관리
침구 관리1~2주마다 55°C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
햇볕에 말리거나 고온 건조.
알레르기성 침구 커버 사용.
실내 환경 관리실내 습도 50% 이하로 유지.
진공 청소기로 자주 청소 (특히 침대, 카펫).
HEPA 필터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 사용 권장.
카펫, 천 소파 대신 가죽, 나무 소재 사용 고려.
기타 방법살충제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 (인체에 유해할 수 있음).
집먼지 진드기 제거 스프레이, 피톤치드 활용.
추가 정보
참고 자료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게 집먼지 진드기는 중요한 알레르겐임.
집먼지 진드기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 가능함.

2. 종류

현재까지 알려진 종은 다음과 같다.[3]


  • 블로미아 트로피칼리스(Blomia tropicalis)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파리나에(Dermatophagoides farinae, '''아메리카 집먼지 진드기''')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프테로니시누스(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유럽 집먼지 진드기''')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에반시(Dermatophagoides evans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마이크로세라스(Dermatophagoides microceras)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할테로필루스(Dermatophagoides halterophilus)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시보니(Dermatophagoides siboney)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네오트로피칼리스(Dermatophagoides neotropicalis)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알렉스파이니(Dermatophagoides alexfain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아니소포다(Dermatophagoides anisopoda)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키로비(Dermatophagoides chirov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디아니(Dermatophagoides deane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르완다에(Dermatophagoides rwandae)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셰레메테로스키(Dermatophagoides scheremeterosky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셰르메테프스키(Dermatophagoides scheremetewskyi)
  • 데르마토파고이데스 심플렉스(Dermatophagoides simplex)
  • 유로글리푸스 메이네이(Euroglyphus maynei, '''메인 집먼지 진드기''')
  • 유로글리푸스 롱기오르(Euroglyphus longior)
  • 히르스티아 도미콜라(Hirstia domicola)
  • 말레이오글리푸스 카르멜리투스(Malayoglyphus carmelitus)
  • 말레이오글리푸스 인터메디우스(Malayoglyphus intermedius)
  • 피로글리푸스 아프리카누스(Pyroglyphus africanus)
  • 스투르노파고이데스 브라질리엔시스(Sturnophagoides brasiliensis)
  • 수이다시아 폰티피카(Suidasia pontifica)

3. 생물학적 특징

집먼지 진드기는 매우 작고 반투명한 몸체 때문에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4] 보통 몸길이는 0.2~0.3mm 정도이며,[5] 줄무늬가 있는 큐티클층으로 덮여있다. 배설물은 10~40μm 크기이다.[6]

암컷 집먼지 진드기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짝짓기를 한 암컷은 최대 70일 정도 생존하며, 생애 마지막 5주 동안 60~100개의 알을 낳는다.[10] 수명은 대략 65~100일 정도이다.[9] 온도 20~30℃, 습도 60~80%의 환경을 선호하며,[24]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습한 지역에서 더 많이 발견된다.[11] ''Blomia tropicalis'' 종은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만 발견된다.[12] 미국 가정의 약 84%에서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이 검출되었고,[13] 유럽에서는 조사 대상 가구의 68%에서 Der p 1 또는 Der f 1 알레르겐이 검출되었다.[14]

카펫, 침대, 베개, 이불, 소파 등에서 많이 발견되며,[22] 사람을 물지는 않는다.[22][23]

3. 1. 먹이

집먼지 진드기는 사람 및 다른 동물의 피부 조각과 일부 곰팡이를 먹고 산다. 가정에서 흔히 발견되는 16종의 종에서 ''Dermatophagoides farinae''의 곰팡이 먹이 선택이 시험관 내에서 관찰되었는데, 일반적으로 ''Alternaria alternata'', ''Cladosporium sphaerospermum'' 및 ''Wallemia sebi''를 선호했고, ''Penicillium chrysogenum'', ''Aspergillus versicolor'' 및 ''Stachybotrys chartarum''은 싫어했다.[7]

하우스 더스트의 원인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는 참진드기의 먹이는 먼지나 사람의 각질, 음식물 찌꺼기, 곤충의 사체 등이다.[25] 각질, 등에서 1g당 약 300마리가 서식하고 있다고 한다.[25]

3. 2. 천적

털진드기, , 가짜전갈이 집먼지 진드기의 천적이다.[8]

4. 질병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알레르겐)이다.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나 배설물은 강한 알레르기 활성을 띠며, 미세 입자 형태로 흡입될 경우 흡입 알레르기의 가장 중요한 알레르겐이 된다.[22]

알레르겐에 노출된 후 일시적으로 천식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른 기침, 가슴 답답함, 흉부 압박감, 목구멍에 가래가 걸린 듯한 느낌 등 비전형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다.

집먼지 진드기는 기관지 천식이나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되며,[24] 하우스 더스트의 원인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4. 1. 알레르기 비염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나 배설물에 포함된 단백질(특히 트로포미오신)은 알레르기 비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물질(알레르겐)이다.[24] 트로포미오신은 갑각류 알레르기의 원인이기도 하다.[16][17]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발작적인 재채기를 연속적으로 한다.
  • 맑은 콧물이 흐른다.
  • 눈과 코가 가렵다.
  • 코막힘이 발생한다.


재채기와 콧물은 아침 기상 시에 심했다가 오후에 감소하며, 코막힘은 계속된다. 가려움증은 코, 눈, 목, 귀 등에도 발생한다. 코막힘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만성적이며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그 외에 눈물, 두통, 후각 감퇴, 폐쇄성 비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16]

4. 2. 천식

집먼지 진드기 항원은 천식 발생 및 악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4]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평소에는 증상이 없다가 여러 원인에 의해 갑자기 증상이 나빠지는 것을 '천식 발작' 또는 '천식의 급성 악화'라고 한다. 천식 발작의 징후는 다음과 같다.

  • 증상이 급격히 심해짐
  • 기관지확장제 효과 없음
  • 호흡곤란으로 인한 언어 장애


심한 천식 발작은 즉각적인 응급 치료 및 입원 치료가 필요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마른 기침, 흉부 압박감, 목구멍에 가래가 걸린 듯한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집먼지 진드기 항원은 천식 환자의 60~90%에서 천식 발병 및 중증도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4. 3. 기타 알레르기 질환

집먼지 진드기는 아토피 피부염 등 다른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24] 드물게 오염된 밀가루 섭취 시 경구 진드기 아나필락시스(팬케이크 증후군)를 유발할 수 있다.[18][19]

5. 예방 및 관리

집먼지 진드기는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지만, 꾸준한 실내 환경 관리를 통해 개체 수를 줄이고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집먼지 진드기는 온도 20~30℃, 습도 60~80%의 환경을 좋아하므로, 이러한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24]

5. 1. 침구류 관리

세탁이 어려운 침대 매트리스, 소파, 베개 속에는 비닐 커버를 씌워 각질이나 비듬 등이 천에 남아있지 않도록 한다.[22] 이불과 베개 커버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55℃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22]

5. 2. 실내 청소

집먼지 진드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민감한 사람의 경우 집 안의 먼지를 잘 제거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히 침대 매트리스와 카펫을 자주 진공 청소기로 청소하는 것이 좋다. 카펫이나 두꺼운 커튼, 털이 북슬북슬한 담요 등 천 제품의 사용을 줄이거나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세탁이 어려운 침대 매트리스와 소파, 베개 속에는 비닐 커버를 씌워 각질이나 비듬 등이 천에 남아있지 않도록 한다. 이불과 베개 커버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55°C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 환기를 자주 해 실내의 먼지 밀도를 낮추는 것도 한 방법이다. 평소에 청소기를 사용하면 집먼지 진드기 구제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25]

5. 3. 환경 관리

집먼지 진드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민감한 사람의 경우 집 안의 먼지를 잘 제거하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히 침대의 매트리스와 카펫을 자주 진공 청소하는 것이 좋다. 동시에 천 제품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카펫이나 두꺼운 커튼, 털이 북슬북슬한 담요 등은 자주 청소하거나 친환경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세탁이 어려운 침대 매트리스와 소파, 베개 속에는 비닐 커버를 씌워 각질이나 비듬 등이 천에 남아있지 않도록 한다. 이불과 베개 커버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55°C 이상의 뜨거운 물로 세탁한다. 환기를 자주 해 실내의 먼지 밀도를 낮추는 것도 한 방법이다.[22]

참조

[1] 웹사이트 Best Fabrics to Exclude Dust Mites http://housedustmite[...] HouseDustMite.com 2019-01-24
[2] 웹사이트 House dust mites—''Dermatophagoides'' spp. http://entnemdept.uf[...] Department of Entomology & Nemotology, University of Florida, and Florida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Consumer Services, Division of Plant Industry 2017-04-01
[3] 웹사이트 House Dust Mites: Ecology, Biology, Prevalence, Epidemiology and Elimination https://www.research[...] 2021-05-25
[4] 웹사이트 Why study the major cause of allergy, the house dust mite? http://housedustmite[...] HouseDustMite.com 2019-01-24
[5] 웹사이트 The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http://www.microbiol[...] MicrobiologyBytes 2007-01-01
[6] 웹사이트 House dust mite excrements/ faeces HDM excrements https://www.citeqbio[...] 2018-10-01
[7] 논문 Fungal food choices of Dermatophagoides farinae affect indoor fungi selection and dispersal 2013-04-01
[8] 웹사이트 House dust mites: Agents of allergy http://www.acari.be/[...] acari.be 2019-01-24
[9] 논문 The Role of Dust Mites in Allergy 2018-06-23
[10] 웹사이트 Biology of house dust mites and storage mites https://www.research[...] 2024-05-20
[11] 논문 The diversity of arthropods in homes across the United States as determined by environmental DNA analyses 2016-01-01
[11] 간행물 Why Do Dust Mites Seem to Shun the Western U.S.? https://blogs.scient[...] 2017-02-16
[12] 논문 Mite Fauna Assessment in Houses of Two distinct Socioeconomic Groups From Southern Brazil 2018-05-04
[13] 논문 House dust mite allergen in US beds: Results from the first national survey of lead and allergens in housing 2003-02-01
[14] 논문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house dust mite allergens in Europe: The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II https://www.jacionli[...] 2006-09-01
[15] 웹사이트 Dust Mites https://www.lung.org[...] 2023-03-04
[16] 논문 Allergens and molecular diagnostics of shellfish allergy: Part 22 of the Series Molecular Allergology 2016-11-01
[17] 논문 Seafood Allergy, Toxicity, and Intolerance: A Review 2016-08-01
[18] 논문 "[Oral anaphylaxis by ingestion of mite contaminated food in Panama City, 2011-2014]" 2015-06-01
[19] 논문 Pancake Syndrome (Oral Mite Anaphylaxis) 2009-01-01
[20] 웹사이트 히ョウヒダニとは https://kotobank.jp/[...] 2021-03-23
[21] 웹사이트 チリダニとは https://kotobank.jp/[...] 2021-03-23
[22] 웹사이트 ダニを知る|害虫を知る|アース害虫駆除なんでも事典 https://webcache.goo[...] 2021-03-23
[23] 웹사이트 チリダニ|た行|ぜん息の用語集|ぜん息基礎知識|ぜん息などの情報館|大気環境・ぜん息などの情報館|独立行政法人環境再生保全機構 https://www.erca.go.[...] 2021-03-23
[24] 문서 ダニおよびダニアレルゲン http://www.201807031[...]
[25] 웹사이트 チリダニ|西宮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nishi.or[...] 2021-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