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깐 (6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깐은 1633년 찐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682년 찐딱 사후 찐 주의 6대 통치자가 되었다. 그는 1674년 정남왕으로 봉해졌으며, 통치 기간 동안 행정 개혁과 법률 개정을 통해 후 레 왕조의 북방 지역을 부흥시켰다. 1694년 란쌍 왕국 내전을 틈타 공격하여 분열시켰으며, 1706년 레 희종을 퇴위시키고 레 유종을 옹립했다. 1709년 사망하여 융단 시호와 소조 묘호를 받았으며, 강왕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1709년 사망 - 다카쓰카사 노부코
다카쓰카사 노부코는 도쿠가와 마사코를 고미즈오 천황의 중궁으로 삼는 데 관여하고,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결혼하여 에도 성 오오쿠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일화를 남겼으며, 쓰나요시 사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 1709년 사망 - 마쓰다이라 무네나가
마쓰다이라 무네나가는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생모 게이쇼인의 친척으로 다카모리 번 2만 석을 받아 다이묘가 되었으나 23세에 사망했다. - 1633년 출생 - 김만기 (조선)
김만기는 조선 후기 문신이자 서예가로, 1653년 문과 급제 후 효종과 숙종 대에 걸쳐 요직을 역임하며 서인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고, 딸이 숙종의 비인 인경왕후가 되면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저서로는 《서석문집》이 있다. - 1633년 출생 -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
세바스티앙 르 프레스트르 드 보방은 루이 14세 시대 프랑스의 군사이자 기술자로서 요새 건축과 공성전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도시 계획 및 행정 개혁에도 참여하여 프랑스 사회 발전에 기여했고, 그가 건설한 요새 중 12곳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찐깐 (6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정남왕 (Định Nam Vương/定南王) |
휘 | 찐깐 (Trịnh Căn/鄭根) |
묘호 | 소조 (Chiêu Tổ/昭祖) |
시호 | 강왕 (Khang Vương/康王) |
절일 | 융단 (Dung Đoạn/融斷) |
다른 이름 | 부군공 (Phú Quận Công/富郡公) 의국공 (Nghi Quốc Công/宜國公) |
종교 | 불교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633년 7월 18일 |
출생지 | 동경, 북베트남 |
사망일 | 1709년 6월 17일 |
사망지 | 동경, 북베트남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찐 딱 |
어머니 | 부티응옥레 (Vũ Thị Ngọc Lễ) |
배우자 | 응우옌티응옥풍 (Nguyễn Thị Ngọc Phụng) 팜티응옥꾸옌 (Phạm Thị Ngọc Quyền) 응오티응옥우옌 (Ngô Thị Ngọc Uyên) |
자녀 | 찐 빈 더 많은 아들과 딸 |
통치 정보 | |
직위 | 정주 |
칭호 | 통킹의 군주 |
재위 기간 | 1682년 ~ 1709년 |
전임자 | 찐 딱 |
후임자 | 찐 끄엉 |
연호 | 빈틴(永盛) |
왕조 정보 | |
왕가 | 찐 주 |
2. 생애
찐깐은 득롱 5년 6월 13일(1633년 7월 18일) 찐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틴득 4년(1656년) 6월, 부도장(副都將) 겸 태보(太保) 겸 '''부군공'''(Phú Quận Công/富郡公)으로 진봉되었고, 좌국영(佐國營)을 설치하였으며, 군대를 거느리고 예안처(乂安處)로 나아가 응우옌 주의 군대와 교전하였다. 틴득 5년(1657년) 5월, 무치예안(撫治乂安, 예안을 위무하고 다스리는 직책)을 겸했고, 태부(太傅)로 승진하였다.
빈토 3년(1660년) 12월,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총정병(總政柄) 겸 태위(太尉) 겸 '''의국공'''(Nghi Quốc Công/宜國公)으로 진봉되었고, 이국부(理國府)를 설치하였다. 즈엉득 원년(1672년) 6월, 찐딱의 명을 받들어 군사를 이끌고 응우옌 주를 쳤으며, 어림군을 이끌고 대거 남하하여 광남의 응우옌푹빈/阮福瀕중국어을 토벌했다. 즈엉득 3년 7월 18일(1674년 8월 19일), 원수(元帥) 겸 전국정(典國政) 겸 '''정남왕(Định Nam Vương/定南王)'''으로 진봉되었다.
찐호아 3년 8월 23일(1682년 9월 24일), 찐딱이 죽자 뒤를 이었고, 조정으로부터 '''정남왕'''에 봉해졌다. 찐호아 5년(1684년) 10월, 대원수(大元帥) 겸 총국정(總國政) 겸 상성부사(上聖父師) 겸 성공인명위덕'''정왕'''(盛功仁明威德定王)으로 진봉되었다.
찐깐의 통치 기간에 찐-응우옌 분쟁은 이미 끝이 난 상태였다. 찐깐은 행정 개혁에 힘을 쏟아 정기적인 심사를 통해 관직을 임명하고 면직하였다. 동시에 법률을 개혁하여 민중들이 도박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찐깐의 치세 아래 찐 주가 지배하던 후 레 왕조의 북방 지역은 부흥하기 시작했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당시를 "기강이 떨쳐 일어났고, 상벌은 엄격하고 밝았으며, 공격은 맡은 직분이 많았고, 백관이 법을 받들었고, 서민들은 생업에 편안히 종사하였으니, 빈찌와 찐호아 시기의 정치는 중흥(中興)의 첫머리라 이름 얻었다."라고 일컬었다.
찐호아 15년(1694년) 7월, 란쌍 왕국의 왕 수리냐 봉사/Sourigna Vongsa영어가 병사하자 란쌍은 내전이 일어났다. 찐깐은 이를 틈타 란쌍을 공격했다.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의 무력 개입 아래 란쌍 왕국은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 3개의 소국으로 분열되었고, 모두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에 동시에 조공하였다.
빈틴 2년(1706년) 4월, 찐깐이 레 희종을 핍박하여 퇴위하도록 하였고, 레 유종이 뒤를 이었다.
빈틴 5년 5월 10일(1709년 6월 17일), 찐깐이 병사하니, 향년 77세이다. 시호를 '''융단'''(Dung Đoạn/融斷), 묘호를 '''소조'''(Chiêu Tổ/昭祖)라고 하였고, '''강왕'''(Khang Vương/康王)으로 존봉하였다.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홍유신지웅재선의부도립정연의신지성무문공승렬현모감헌병철보국수방광전진후제치수준성업대공회강진기수내녕외강왕(洪猷神智雄才宣義敷道立政淵懿神智聖武文功承烈顯謨監憲秉哲保國綏方光前振後制治垂準盛業大功恢綱振紀綏內寧外康王)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권력 승계
찐깐은 득롱 5년 6월 13일(1633년 7월 18일) 찐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틴득 4년(1656년) 6월, 부도장(副都將) 겸 태보(太保) 겸 '''부군공'''(Phú Quận Công/富郡公)으로 진봉되었고, 좌국영(佐國營)을 설치하였으며, 군대를 거느리고 예안처(乂安處)로 나아가 응우옌 주의 군대와 교전하였다. 틴득 5년(1657년) 5월, 무치예안(撫治乂安, 예안을 위무하고 다스리는 직책)을 겸했고, 태부(太傅)로 승진하였다.빈토 3년(1660년) 12월,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총정병(總政柄) 겸 태위(太尉) 겸 '''의국공'''(Nghi Quốc Công/宜國公)으로 진봉되었고, 이국부(理國府)를 설치하였다. 즈엉득 원년(1672년) 6월, 찐딱의 명을 받들어 군사를 이끌고 응우옌 주를 쳤으며, 어림군을 이끌고 대거 남하하여 광남의 을 토벌했다. 즈엉득 3년 7월 18일(1674년 8월 19일), 원수(元帥) 겸 전국정(典國政) 겸 '''정남왕(Định Nam Vương/定南王)'''으로 진봉되었다.
찐호아 3년 8월 23일(1682년 9월 24일), 찐딱이 죽자 뒤를 이었고, 조정으로부터 '''정남왕'''에 봉해졌다. 찐호아 5년(1684년) 10월, 대원수(大元帥) 겸 총국정(總國政) 겸 상성부사(上聖父師) 겸 성공인명위덕'''정왕'''(盛功仁明威德定王)으로 진봉되었다.
2. 2. 찐-응우옌 분쟁과 남정
찐깐은 1672년 아버지 찐딱의 명을 받아 군사를 이끌고 응우옌 주를 공격했다. 1682년 찐딱이 사망하자 찐깐이 뒤를 이었다. 찐깐은 1674년에 원수 겸 전국정 겸 '''정남왕'''(Định Nam Vương/定南王)으로 진봉되었다. 찐깐의 통치 기간에 찐-응우옌 분쟁은 이미 끝이 난 상태였다.찐깐은 행정 개혁에 힘을 쏟아 정기적인 심사를 통해 관직을 임명하고 면직하였다. 또한 법률을 개혁하여 도박을 금지시켰다. 찐깐의 치세 아래 찐 주가 지배하던 후 레 왕조의 북방 지역은 부흥하기 시작했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기강이 떨쳐 일어났고, 상벌은 엄격하고 밝았으며, 공격은 맡은 직분이 많았고, 백관이 법을 받들었고, 서민들은 생업에 편안히 종사하였으니, 빈찌와 찐호아 시기의 정치는 중흥(中興)의 첫머리라 이름 얻었다."라고 평가를 받았다.
1694년, 란쌍 왕국의 왕 수리냐 봉사가 병사하자 란쌍은 내전이 일어났다. 찐깐은 이를 틈타 란쌍을 공격했다.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의 무력 개입 아래 란쌍 왕국은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 3개의 소국으로 분열되었고, 모두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에 동시에 조공하였다.
2. 3. 통치와 개혁
찐깐은 찐딱의 넷째 아들로, 1633년 7월 18일에 태어났다. 1656년 부도장 겸 태보 겸 부군공으로 진봉되었고, 좌국영을 설치하여 군대를 이끌고 응우옌 주의 군대와 교전했다. 1657년에는 예안을 위무하고 다스리는 무치예안을 겸했고, 태부로 승진했다. 1660년,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 겸 총정병 겸 태위 겸 의국공으로 진봉되었고, 이국부를 설치했다. 1672년, 찐딱의 명을 받들어 군사를 이끌고 응우옌 주를 쳤다. 1674년, 원수 겸 전국정 겸 정남왕으로 진봉되었다.1682년, 찐딱이 죽자 찐깐이 뒤를 이었다. 1684년, 대원수 겸 총국정 겸 상성부사 겸 성공인명위덕정왕으로 진봉되었다. 찐깐의 통치 기간에 찐-응우옌 분쟁은 이미 끝난 상태였기 때문에, 찐깐은 행정 개혁에 힘을 쏟아 정기적인 심사를 통해 관직을 임명하고 면직하였다. 또한 법률을 개혁하여 민중들이 도박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찐깐의 치세 아래 찐 주가 지배하던 후 레 왕조의 북방 지역은 부흥하기 시작했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당시를 "기강이 떨쳐 일어났고, 상벌은 엄격하고 밝았으며, 공격은 맡은 직분이 많았고, 백관이 법을 받들었고, 서민들은 생업에 편안히 종사하였으니, 빈찌와 찐호아 시기의 정치는 중흥의 첫머리라 이름 얻었다."라고 일컬었다.
1694년, 란쌍 왕국의 왕 수리냐 봉사가 병사하자 란쌍은 내전이 일어났고, 찐깐은 이를 틈타 란쌍을 공격했다.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의 무력 개입 아래 란쌍 왕국은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의 3개의 소국으로 분열되었고, 모두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에 동시에 조공하였다.
1706년, 찐깐은 레 희종을 핍박하여 퇴위하도록 하였고, 레 유종이 뒤를 이었다.
1709년 6월 17일, 찐깐이 병사하니, 향년 77세였다. 시호는 융단, 묘호는 소조, 강왕으로 존봉되었다.
2. 4. 란쌍 왕국 개입
찐호아 15년(1694년), 란쌍 왕국의 왕 수리냐 봉사/Sourigna Vongsa영어가 병사하자 란쌍은 내전이 일어났다. 찐깐은 이를 틈타 란쌍을 공격했다.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의 무력 개입 아래 란쌍 왕국은 3개의 소국(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으로 분열되었고, 모두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에 동시에 조공하였다. 그 후 참파삭이 대월의 지배하에 들어갔다.2. 5. 퇴위와 죽음
찐호아 3년 8월 23일(1682년 9월 24일), 찐딱이 죽자 뒤를 이었다. 찐호아 5년(1684년) 10월, 대원수(大元帥) 겸 총국정(總國政) 겸 상성부사(上聖父師) 겸 성공인명위덕'''정왕'''(盛功仁明威德定王)으로 진봉되었다.찐깐의 통치 기간에 찐-응우옌 분쟁은 이미 끝이 난 상태였다. 찐깐은 행정 개혁에 힘을 쏟아 정기적인 심사를 통해 관직을 임명하고 면직하였다. 동시에 법률을 개혁하여 민중들이 도박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찐깐의 치세 아래 찐 주가 지배하던 후 레 왕조의 북방 지역은 부흥하기 시작했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당시를 "기강이 떨쳐 일어났고, 상벌은 엄격하고 밝았으며, 공격은 맡은 직분이 많았고, 백관이 법을 받들었고, 서민들은 생업에 편안히 종사하였으니, 빈찌와 찐호아 시기의 정치는 중흥(中興)의 첫머리라 이름 얻었다."라고 일컬었다.
찐호아 15년(1694년) 7월, 란쌍 왕국의 왕 수리냐 봉사/Sourigna Vongsa영어가 병사하자 란쌍은 내전이 일어났다. 찐깐은 이를 틈타 란쌍을 공격했다.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의 무력 개입 아래 란쌍 왕국은 비엔티안 왕국, 루앙프라방 왕국, 참파삭 왕국 3개의 소국으로 분열되었고, 모두 찐 주와 아유타야 왕조에 동시에 조공하였다.
빈틴 2년(1706년) 4월, 찐깐이 레 희종을 핍박하여 퇴위하도록 하였고, 레 유종이 뒤를 이었다.
빈틴 5년 5월 10일(1709년 6월 17일), 찐깐이 병사하니, 향년 77세이다. 시호를 '''융단'''(Dung Đoạn/融斷), 묘호를 '''소조'''(Chiêu Tổ/昭祖)라고 하였고, '''강왕'''(Khang Vương/康王)으로 존봉하였다.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홍유신지웅재선의부도립정연의신지성무문공승렬현모감헌병철보국수방광전진후제치수준성업대공회강진기수내녕외강왕(洪猷神智雄才宣義敷道立政淵懿神智聖武文功承烈顯謨監憲秉哲保國綏方光前振後制治垂準盛業大功恢綱振紀綏內寧外康王)이 되었다.
3. 가족 관계
3. 1. 부인
wikitable
3. 2. 아들
찐깐에게는 세 명의 아들이 있었다.[9] 첫째 아들은 찐빈으로 1651년에 태어나 1678년에 사망했으며, 묘미숙비 팜 티 응옥꾸옌(Mieu My Thuc Phi Pham Thi Ngoc Quyen) 소생이다. 찐빈은 찐 주의 추존 군주가 되었다.[9] 둘째 아들은 찐주옌(Trịnh Duyện)이며, 셋째 아들은 찐응우(Trịnh Ngũ)이다.[9]3. 3. 딸
참조
[1]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2011
[2]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000
[3]
서적
Silk for Silver: Dutch-Vietnamese Relations ; 1637–1700
2007
[4]
서적
東洋歴史大辞典
臨川書店
1986-10-01
[5]
문서
소의(昭儀) / 숙훈(淑訓)
[6]
문서
경군공(Quỳnh Quận Công/瓊郡公) 팜 시 까우(Phạm sĩ Cầu/范士球/범사구)
[7]
문서
겸군공(Kiêm Quận Công/兼郡公)
[8]
문서
보모(保母)
[9]
문서
영량후(Vinh Lương Hầu/榮良侯)
[10]
문서
빈군공(Bân Quận Công/彬郡公) 찐텁(Trịnh Thập/鄭拾/정습)
[11]
문서
정상후(Trinh Tường Hầu/貞祥侯) 레 티 뜨엉(Lê Thì Đường/黎時棠/여시당)
[12]
문서
충군공(Trung Quận Công/忠郡公) 레 티 리에우(Lê Thì Liêu/黎時寮/여시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