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찐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섬은 1739년에 태어나 1782년에 사망한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레 왕조 시기 찐 주의 지배자였다. 찐조아인의 아들로 태어나 왕세자를 거쳐 1767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레주이비를 제거하고, 떠이선 왕조와 연합하여 응우옌 주를 공격했으나, 만년에 아들을 폐하고 서자를 세우는 등 실정을 거듭했다. 묘호는 성조, 시호는 성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1739년 출생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1739년 출생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 1782년 사망 - 다니엘 베르누이
    다니엘 베르누이는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로 유체역학, 특히 베르누이 원리로 유명하며, 유체 운동 이론 제시, 기대효용 이론 연구, 천연두 예방 접종 효과 분석 등 다양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782년 사망 - 앤 보니
    앤 보니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활동한 아일랜드계 여성 해적으로, 캘리코 잭 랙험과 함께 해적 활동을 했으며 메리 리드와 용맹을 떨쳤고, 사형 선고 후 행적이 묘연하여 대중문화에서 여성 해적의 상징으로 재해석된다.
찐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삼 (『정가정보』에서)
칭호정도왕 (靖都王)
본명찐섬 (Trịnh Sâm/鄭森)
찐섬 (鄭森)
시호성왕 (盛王)
묘호성조 (聖祖)
봉호정국공 (靖國公)
신상 정보
출생1739년 2월 9일
사망1782년 9월 13일 (43세)
가족 관계
아버지찐조아인
어머니응우옌티응옥지엠 (阮氏玉焰)
배우자즈엉티응옥호안
쩐티록
호앙티응옥코안
당티후에
자녀찐카이
찐깐
찐티응옥안 공주
찐티응옥란 공주
정치
작위찐 주의 군주, 정주의 군주
통치 기간1767년 - 1782년
종교불교
서명 종류인장
인장Seal of Trịnh Lords (Tĩnh Đô vương 靖都王).svg
전임자찐조아인
후임자찐깐
기타 정보
왕조찐 주

2. 생애

찐섬은 빈흐우 5년(1739년 3월 18일)에 찐조아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까인흥 14년(1753년) 12월에 왕세자가 되었다. 까인흥 19년(1758년) 10월에는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장정기(掌政機) 겸 태위(太尉) 겸 '''정국공(靖國公)'''으로 봉해졌다. 그는 문학을 애호하고 유학적 교양을 갖춘 인물이었다. 까인흥 28년(1767년)에 아버지 찐조아인(정영)이 사망하자 뒤를 이어, 원수총국정(元帥總國政) 겸 '''정도왕(靖都王)'''으로 진봉되었다.

까인흥 30년(1769년) 레주이비를 폐위하고 레주이껀을 황태자로 세웠으며, 까인흥 32년(1771년)에는 레주이비와 그 일파를 숙청하였다. 같은 해 남방에서 떠이선 세력이 봉기하자 응우옌 주의 쇠락을 틈타 응우옌후에와 연합하여 응우옌 주를 공격, 푸쑤언을 함락시켰다. 그러나 온역으로 인해 군사를 철수해야 했고, 이후 응우옌 주는 멸망하였다.

찐섬은 떠이선 왕조를 경계하여 응우옌푹아인을 지원하기도 하였다. 그는 장자 찐똥을 폐하고 서자 찐깐을 세자로 세우는 등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했다. 까인흥 43년(1782년) 9월 13일에 4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사후 묘호는 '''성조'''(聖祖), 시호는 '''성왕'''(盛王)으로 추존되었다. 찐섬의 사후, 탕롱에서 반란이 일어나 찐깐이 축출되는 등 찐씨 정권은 혼란에 빠졌다.

2. 1. 초기 생애 및 권력 승계

빈흐우 5년(1739년 3월 18일) 찐조아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7] 까인흥 14년(1753년) 12월, 왕세자(王世子)로 세워졌다.[7]

까인흥 19년(1758년) 10월,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장정기(掌政機) 겸 태위(太尉) 겸 '''정국공(靖國公)'''으로 봉해졌고, 양국부(諒國府)를 설치하였다.[7]

대월사기전서속편》에 따르면 찐섬은 왕세자 시절에 문학을 애호하였고, 유학자의 교양이 있었다.[7] 당시 황태자 레주이비 또한 재능이 뛰어난 인물이었고, 찐조아인은 레주이비를 중시하여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 태자비로 삼았다.[7] 찐조아인은 군신 관계를 매우 중시하여 자신은 신하이며 후 레 왕조의 황제가 군주라고 여겼다.[7] 한번은 레주이비와 찐섬이 함께 찐조아인을 알현하였는데, 찐조아인은 주연을 베풀고 레주이비를 초대하였다.[7] 찐조아인의 정비(正妃) 응우옌씨(阮氏)는 왕세자와 황태자 사이 군신 관계가 애매해진다고 함께 식사할 수 없다고 여겨 찐섬을 다그쳐 나가도록 하였다.[7] 이후 찐섬은 레주이비와 틈이 벌어졌다.[7]

까인흥 28년 1월 17일(1767년 2월 15일), 찐조아인이 병사하자 찐섬이 뒤를 이었다.[7] 그해 5월 4일(1767년 5월 31일), 원수총국정(元帥總國政) 겸 '''정도왕(靖都王)'''으로 진봉되었다.[7]

2. 2. 레주이비 폐위 및 떠이선 당의 난

까인흥 30년(1769년) 3월, 찐섬은 레주이비와 찐조아인의 첩이 간통하였다고 무함하여, 현종을 압박해 레주이비를 폐출하고 둘째 아들 레주이껀을 황태자로 세우도록 하였다.[7] 그해 8월 11일(1769년 9월 10일), 대원수총국정(大元帥總國政) 겸 상사(上師) 겸 '''정왕'''(Tĩnh Vương/靖王)으로 진봉되었다.[7]

까인흥 32년(1771년) 12월, 레주이비와 그의 당우들을 죽였고, 레주이비의 자녀들을 모두 감금하였다.[7] 같은 해 베트남 남방에서 떠이선 세력이 봉기를 일으키자 응우옌 주의 통치가 흔들리기 시작했다.[7] 찐섬은 응우옌 주가 날로 쇠락하는 것을 보고 떠이선의 응우옌후에와 연합하였다.[7]

까인흥 35년(1774년) 11월 15일 , 호앙응우푹을 장수로 하여 응우옌 주의 군주 응우옌푹투언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켰다.[7]

까인흥 36년(1775년) 2월, 찐 주의 군사가 일거에 응우옌 주의 수도 푸쑤언을 공격해 깨뜨렸다.[7] 그러나 같은 해 10월, 군중에 온역(瘟疫)이 돌자 군사의 주력이 광남(廣南) 지역에서 철군하였고, 해당 지역이 떠이선 군에게 넘어갔다.[7]

까인흥 38년(1777년), 응우옌 주의 응우옌푹투언응우옌푹즈엉이 자딘(嘉定), 빈롱(永隆) 일대에서 응우옌후에에게 사로잡혀 살해되었다.[7] 응우옌 주는 이로써 무너졌다.[7] 찐섬은 떠이선 왕조가 찐 주의 최대 위협이 될 것임을 인지하고 응우옌푹아인을 지원하여 그로 하여금 응우옌 주를 회복하도록 하려고 시도했다.[7] 이때 떠이선 조정은 응우옌 주와 교전하고 있었으므로 찐 주를 공격할 겨를이 없었다.[7]

2. 3. 찐-응우옌 전쟁 (1774년-1775년)

까인흥 35년 10월 12일(1774년 11월 15일), 찐섬은 호앙응우푹을 장수로 파견해 응우옌 주의 군주 응우옌푹투언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켰다.[6] 찐섬은 응우옌 주가 날로 쇠락하는 것을 보고 떠이선 세력응우옌후에와 연합하였다.

까인흥 36년(1775년) 2월, 찐 주의 군사가 일거에 응우옌 주의 수도 푸쑤언을 공격해 함락시켰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군중에 온역(瘟疫)이 발생하자 주력 부대가 광남(廣南) 지역에서 철수하였고, 해당 지역은 떠이선 군에게 넘어갔다.[6]

2. 4. 만년 및 사망

까인흥 43년 9월 13일(1782년 10월 19일)에 찐섬이 병으로 사망하니, 향년 44세(만 세)였다.[7] 유언으로 자신이 총애하던 자식인 찐깐에게 뒤를 잇게 하고 호앙딘바오 등 7인에게 보정(輔政)을 맡겼다. 묘호는 '''성조'''(聖祖)이며, '''성왕'''(盛王)으로 존봉되었는데, 이는 찐섬이 생전에 지정한 것이었다. 찐 주의 역대 군주들은 소천흥운제치개강홍량영유정성인효성왕(紹天興運制治開疆洪量英猷正誠仁孝盛王)으로 미자(美字)를 추가하였다.[7]

찐섬이 사망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삼부군(三府軍)이 수도 탕롱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찐깐찐똥에게 쫓겨났다.

베트남의 소설 《황려일통지(皇黎一統志)》는 찐섬이 응우옌 주를 공격하여 멸망시킨 공적은 인정했지만, 한편으로는 찐섬이 장자를 폐하고 둘째 아들을 세운 것, 즉 적자를 폐하고 서자를 세운 행실을 찐씨 정권 멸망의 시작으로 보았다.

찐섬은 말년에 애첩 당 티 후에의 참언을 믿고 세자 찐쫑(후의 찐 카이)을 폐하고, 총애하던 서자인 찐깐을 세자로 책립했다. 찐섬의 사후, 마지막 응우옌 주 생존자인 응우옌 아인(자롱 황제)이 남쪽을 다시 찾으려는 시도를 반복하였으나, 떠이선 형제들은 응우옌 주 충성파와 싸우느라 북쪽의 찐씨를 신경 쓸 여유가 없었다. 1782년 찐섬이 죽으면서 베트남에 대한 통제권을 찐깐에게 넘기려 했지만, 장남인 찐 카이가 군대를 조직하여 이복 동생과 싸웠다. 이 내전은 떠이선(응우옌후에 휘하)이 남쪽을 장악해 가던 결정적인 시기에 찐씨를 치명적으로 분열시켰다.[1][2][3]

3. 가족 관계


  • '''조부''' : 희조(Hy Tổ|히또vi) 인왕(Nhân Vương, Nhân Vương|니언브엉vi) 찐끄엉(정강)
  • '''조모''' : 자덕태비(Từ Đức Thái Phi|뜨득타이피vi) 부 티 응옥응우옌(Vũ Thị Ngọc Nguyên|부 티 응옥응우옌vi)
  • '''부친''' : 의조(Nghị Tổ|응이또vi) 은왕(Ân Vương, Ân Vương|언브엉vi) 찐조아인(정영)
  • '''모친''' : 자택태비(Từ Triệt Thái Phi|뜨찌엣타이피vi) 응우옌 티 응옥지엠(Nguyễn Thị Ngọc Diễm|응우옌 티 응옥지엠vi)

3. 1. 왕자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단남왕
(Đoan Nam Vương)
찐똥
(Trịnh Tông)
1763년 ~ 1786년태비
즈엉 티 응옥호안
[17]찐 주의 제12대 군주.[18]
2공국공
(Cung Quốc Công)
충민
(Xung Mẫn)
찐깐
(Trịnh Cán)
1777년 ~ 1782년선비
당 티 후에
[19]찐 주의 제11대 군주.[16]


  • 계실: 楊氏玉歡|양씨옥환중국어
  • 측실: Đặng Thị Huệ|등씨혜중국어
  • 자녀
  • * 장남: 정해 (어머니는 양씨)
  • * 차남: 鄭檊|정간중국어 (어머니는 등씨)

3. 2. 왕녀

봉호이름생모비고
1옥영군주
Ngọc Ánh Quận Chúa|응옥아인 군주vi
玉映郡主중국어
찐 티 응옥로안
Trịnh Thị Ngọc Loan|찐 티 응옥로안vi
鄭氏玉𣡵|정씨옥란중국어
의숙정비
호앙 티 응옥프엉[20]
[21][7]
2옥란군주
Ngọc Lan Quận Chúa|응옥란 군주vi
玉蘭郡主중국어
찐 티 응옥쑤옌
Trịnh Thị Ngọc Xuyên|찐 티 응옥쑤옌vi
鄭氏玉栓|정씨옥전중국어
의숙정비
호앙 티 응옥프엉[22]
[23][21][7]


4. 대중 문화

1989년 베트남 영화 스튜디오에서 제작하고 테 아인이 찐 섬 역을 맡은 영화 ''Đêm hội Long Trì''가 있다.[1]

참조

[1] 서적 The Vietnam Forum https://books.google[...] Council on Southeast Asia Studies at Yale University 2023-07-31
[2] 서적 Chuyện các bà hoàng trong lịch sử Việt Nam https://books.google[...] Nhà xuất bản Văn hóa thông tin 2023-07-31
[3] 서적 Huang Li yi tong zhi: chapitres 1-4 . trad. du sino-vietnamien et notes par Phan Thanh-Thủy https://books.google[...]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23-07-31
[4] 서적 東洋歴史大辞典 臨川書店 1986-10-01
[5] 문서
[6] 문서 東南アジア史 I 大陸部
[7] 간행물 《南風》合刊第廿二卷·第一百二十五期·〈鄭氏世家(續)〉
[8] 문서 휘음경덕단자정비(徽音敬德端慈正妃)
[9] 문서 후혜공(Hậu Huệ Công/厚惠公)
[10] 문서
[11] 문서 《大越史記全書續編》1170頁
[12] 문서 공빈(恭嬪)
[13] 문서 호경공(Hạo Khánh Công/浩慶公)
[14] 문서
[15] 문서 수용(修容) / 태비(太妃)
[16] 문서 《大越史記全書續編》1189頁
[17] 문서 세자(世子) / 계자(季子)
[18] 문서 《大越史記全書續編》1153頁
[19] 문서 전도왕(Điện Đô Vương/奠都王)
[20] 문서 당충후(Đang Trung Hầu/璫忠侯) 부이 테 또아이(Bùi Thế Toại/裴世遂/배세수)
[21] 문서 《皇黎一統志·第一回》
[22] 문서 인충후(Lân Trung Hầu/璘忠侯) 당 딘 런(Đặng Đình Lân/鄧廷璘/등정린) - 선비의 동생.
[23] 문서 《大越史記全書續編》1194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