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 현종 (27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현종은 1740년부터 1786년까지 재위한 베트남 레 왕조의 27대 황제이다. 그는 정왕의 허수아비 역할을 했으며, 떠이선 농민 운동으로 광남국과 찐씨 정권이 축출된 후 잠시 친정을 시도했으나 며칠 만에 사망했다. 그의 치세 동안 찐씨 정권이 실권을 잡았으며, 베트남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봉기인 떠이선 농민 운동이 일어났다. 현종은 1740년 즉위하여 경흥 연호를 사용했으며, 1786년 사망하여 반석릉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군주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베트남의 군주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 1717년 출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17년 출생 - 존 암스트롱
    존 암스트롱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한 미군 장군이자 토목 기술자, 펜실베이니아 주 의회 대표였으며, 키타닝 원정에서의 공훈으로 "키타닝의 영웅"이라 불렸고, 찰스턴 방어 성공, 대륙회의 대표 활동, 미국 헌법 지지, 디킨슨 대학 설립 기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1786년 사망 - 문효세자
    정조와 의빈 성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3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5세에 홍역으로 요절하여 정조에게 큰 슬픔을 안겼고, 그의 죽음은 조정의 정치적 상황에도 영향을 미쳤다.
  • 1786년 사망 - 의빈 성씨
    의빈 성씨는 조선 정조의 후궁으로, 문효세자를 낳았으나 요절했고, 임신 중에 사망하여 칠궁에 신위가 모셔졌다.
레 현종 (27대)
기본 정보
레현종의 초상
이름레현종 (Lê Hiển Tông, 黎顯宗)
레주이지에우 (Lê Duy Diêu, 黎維祧)
다른 이름레주이도안 (Lê Duy Đoan, 黎維𥚻)
묘호현종 (顯宗)
시호영황제 (Vĩnh Hoàng đế, 永皇帝)
존호연의흠공인자덕수황제 (淵懿欽恭仁慈德壽皇帝)
능호반석릉 (Bàn Thạch Lăng, 磐石陵)
출생일1717년 5월 20일
출생지동경, 대월
사망일1786년 8월 10일
사망지동경, 대월 만수전(萬壽殿)
재위1740년 ~ 1786년
즉위일1740년 6월 14일 (까인흥 원년 음력 5월 21일)
연호까인흥 (Cảnh Hưng, 景興) 1740년 ~ 1786년
왕조후 레 왕조
전임자레의종휘황제 (懿宗徽皇帝)
후임자레민황제 (愍皇帝)
가족 관계
부친레순종간황제 (純宗簡皇帝)
모친유신황태후 (柔愼皇太后)
정치
정치 체제대월 황제
섭정찐조아인 (Trịnh Doanh) (1740–1767)
찐섬 (Trịnh Sâm) (1767–1782)
찐깐 (Trịnh Cán) (1782)
찐똥 (Trịnh Tông) (1782–1786)
통치
재위 기간1740년 ~ 1786년

2. 생애

1735년 부황이 사망하자 장자였기에 뒤를 이어 즉위해야 했지만 정왕태비 무씨(武氏)의 압력으로 정주의 왕 정장이 여유조의 즉위를 취소하고 순종의 동생이자 여유조에겐 숙부인 여유신(의종)을 황제로 옹립한다. 5년 후, 숙부 의종이 양위하여 황제로 즉위한다.

즉위 이후 정왕의 허수아비 노릇을 했기에 별다른 행적은 없지만, 재위 말기에 베트남 역사상 최대 농민 규모인 떠이선 농민 운동이 일어나 광남국과 찐씨 정권이 축출된다. 찐씨가 축출되자 현종은 친정을 시도했지만 며칠 후 사망한다.

재위 기간은 가장 길었으나 오랫동안 실권을 잡지 못했으며, 그의 치세 동안 정영, 정삼, 정종이 실권을 잡고 대신 통치했다.

2. 1. 즉위 과정

2. 2. 찐씨 정권의 허수아비

2. 3. 떠이선 농민 운동 (서산 농민 봉기)

1785년, 명목상 제후국인 광남국에서 완악이 농민 봉기를 일으켰다.[7] 이 봉기는 베트남 역사상 최대 규모의 농민 봉기로, 떠이선 농민 운동으로 불린다.

현종은 실권이 없어 중립을 유지했고, 떠이선 세력의 완혜가 정씨를 축출하자 그를 정왕(鄭王)처럼 대우했으며 공주와 혼인시켰다.[7] 명목상으론 정씨가 없어지니 레 왕조가 서서히 힘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7]

2. 4. 사망

찐씨 정권이 축출되고 응우옌후에를 만난 후, 현종은 명목상 실권을 잡은 지 며칠 만에 사망했다. 대월사기전서에는 현종의 사인이 단순 병사로 기록되어 있으나, 청사고 월남전에는 농민 봉기로 놀라고 두려워한 나머지 죽게 된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당시 혼란스러웠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유해는 반석릉(磐石陵)에 매장되었다.

3. 연도별 기록

현종은 1740년 (영우 6년) 6월 14일에 즉위하여 연호를 경흥(景興)으로 개원하였다.[9] 1785년 (경흥 46년) 신하들이 존호 '연의흠공인자덕수황제'(淵懿欽恭仁慈德壽皇帝)를 올렸으며, 같은 해 9월 광남국에서 떠이선 농민 운동(봉기)이 일어났다.[9] 1786년 (경흥 47년) 7월 완혜를 원수부정익운위국공(元帥扶正翊運威國公)으로 책봉하였고, 같은 해 8월 10일 만수전(萬壽殿)에서 사망하였다.

4. 가계

4. 1. 후비

정순황태후(貞順皇太后) 진씨/Trần Thịvi는 원래 황후였으나 폐위되었다가 레 민제 즉위 후에 복원되어 황태후로 추존되었다. 소의(昭儀)로는 응우옌 티 후옌/Nguyễn Thị Huyềnvi과 응우옌 티 디에우/Nguyễn Thị Điềuvi가 있었다.

4. 2. 황자

안정황태자(安定皇太子) 레 주이 비(Lê Duy Vĩ/黎維禕/여유의)는 민제(愍帝)의 아버지이다. 왕세자 레 뒤이 비는 1771년 정씨 정권에 의해 처형되었다. 숭양공(Sùng NhượngCông/崇讓公) 레 주이 껀(Lê Duy Mật/黎維
|16px]]/여유근)은 1786년 이후 사망했다. 황자 레 주이 호안(Lê Duy Hoán/黎維𬓋/여유)은 (1759년 ~ 1817년) 응우옌 왕조 건국 후, 연사공(延嗣公)으로 봉하여 레 왕조의 제사를 받들었다. 그 외 자녀로는 공주 레 티 옥 헌과 공주 레 티 옥 빈이 있다.

4. 3. 황녀

레 현종에게는 여러 명의 황녀가 있었다.

  • 공주 여씨(黎氏)는 찐끄엉(鄭棡)의 아들 찐미엔(鄭𣏜)의 부인이 되었다.
  • 공주 레 티 응옥한/Lê Thị Ngọc Hânvi(黎氏玉昕, 1770년 ~ 1799년)은 응우옌후에(阮惠)의 황후였다.
  • 공주 레 티 응옥빈/Lê Thị Ngọc Bìnhvi(黎氏玉評, 1785년 ~ 1810년)은 응우옌꽝또안(阮光纘)의 황후이자 자롱 황제(嘉隆帝)의 후궁이었다.

5. 기타

승려 원소(元紹)에게 행단(行端) 시호를 내렸다.[8] 현종의 손자 민제(愍帝)는 응우옌푹아인(완복영)이 떠이선 왕조(서산조)를 무너뜨리고 응우옌 왕조를 건국한 후, 가경제의 배려로 유해가 본국으로 송환되어 반석릉 아래에 매장되었다.

6. 기년

현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
(西曆)
1740년1741년1742년1743년1744년1745년1746년1747년1748년1749년
간지
(干支)
경신(庚申)신유(辛酉)임술(壬戌)계해(癸亥)갑자(甲子)을축(乙丑)병인(丙寅)정묘(丁卯)무진(戊辰)기사(己巳)
연호
(年號)
경흥(景興)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현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
(西曆)
1750년1751년1752년1753년1754년1755년1756년1757년1758년1759년
간지
(干支)
경오(庚午)신미(辛未)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을해(乙亥)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기묘(己卯)
연호
(年號)
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현종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
(西曆)
1760년1761년1762년1763년1764년1765년1766년1767년1768년1769년
간지
(干支)
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
연호
(年號)
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현종31년32년33년34년35년36년37년38년39년40년
서력
(西曆)
1770년1771년1772년1773년1774년1775년1776년1777년1778년1779년
간지
(干支)
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갑오(甲午)을미(乙未)병신(丙申)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
연호
(年號)
31년32년33년34년35년36년37년38년39년40년
현종41년42년43년44년45년46년47년
서력
(西曆)
1780년1781년1782년1783년1784년1785년1786년
간지
(干支)
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유(癸卯)갑진(甲辰)을사(乙巳)병오(丙午)
연호
(年號)
41년42년43년44년45년46년47년


참조

[1] 서적 Truyện truyền kỳ Việt Nam 1999
[2]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000
[3] 서적 Vietnamese feminist poem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2007
[4] 서적 대월사기전서
[5] 서적 대월사기전서,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
[6] 서적 청실록, 청사고·월남전(越南傳)
[7] 기타
[8] 기타
[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