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군수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군수 선거는 창녕군수를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시작되었으며, 역대 민선 군수와 선거 결과를 제공한다. 역대 선거에서 다양한 정당과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재보궐선거도 여러 차례 치러졌다.
역대 민선 창녕군수들의 명단과 임기, 소속 정당은 다음과 같다.
2. 역대 민선 창녕군수
선거 정당 군수 1995년 민주자유당 김진백 1998년 한나라당 김진백 2002년 한나라당 김종규 2006년 무소속 김종규 2006년 무소속 하종근 2007년 무소속 김충식 2010년 한나라당 김충식 2014년 새누리당 김충식 2018년 자유한국당 한정우 2022년 국민의힘 김부영 2023년 무소속 성낙인
2. 1. 역대 군수 목록
선거 | 정당 | 군수 |
---|---|---|
1995년 | 민주자유당 | 김진백 |
1998년 | 한나라당 | 김진백 |
2002년 | 한나라당 | 김종규 |
2006년 | 무소속 | 김종규 |
2006년 | 무소속 | 하종근 |
2007년 | 무소속 | 김충식 |
2010년 | 한나라당 | 김충식 |
2014년 | 새누리당 | 김충식 |
2018년 | 자유한국당 | 한정우 |
2022년 | 국민의힘 | 김부영 |
2023년 | 무소속 | 성낙인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202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까지 치러진 역대 창녕군수 선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 역대 선거 결과
선거 당선인 정당 득표율(%) 비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진백 민주자유당 35.57 초선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진백 한나라당 57.29 재선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종규 한나라당 54.73 초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종규 무소속 43.43 재선 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하종근 무소속 61.59 초선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충식 무소속 45.77 초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충식 한나라당 58.20 재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충식 새누리당 76.80 3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한정우 자유한국당 52.03 초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김부영 국민의힘 49.59 초선 202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성낙인 무소속 24.21 초선
3. 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김진백 후보가 창녕군수로 당선되었다.
3. 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김진백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진백 | 한나라당 | 23,081 | 57.29% |
하진 | 무소속 | 8,938 | 22.18% |
신윤태 | 자유민주연합 | 8,268 | 20.52% |
합계 | 40,287 | 100% |
3. 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수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김종규 후보가 54.7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하진 후보는 45.26%를 득표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종규 | 한나라당 | 20,817 | 54.73% |
하진 | 무소속 | 17,216 | 45.26% |
합계 | 38,033 | 100% |
3. 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수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종규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5. 2006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종규 군수의 사퇴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무소속 하종근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하종근 | 무소속 | 18,573 | 61.59% |
이재환 | 한나라당 | 11,578 | 38.40% |
합계 | 30,151 |
3. 6.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하종근 군수의 사퇴로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 김충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3. 7.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김충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3. 8.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김충식 후보가 76.80%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3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하강돈 후보는 14.88%, 무소속 김영준 후보는 8.31%를 득표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김충식 | 24,871 | 76.80% |
무소속 | 하강돈 | 4,819 | 14.88% |
무소속 | 김영준 | 2,691 | 8.31% |
합계 | 32,381 | 100% |
3. 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녕군수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한정우 후보가 52.0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배종열 후보는 41.4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한정우 | 자유한국당 | 19,860 | 52.03% |
배종열 | 더불어민주당 | 15,816 | 41.44% |
김종규 | 무소속 | 1,353 | 3.54% |
하강돈 | 무소속 | 1,136 | 2.97% |
합계 | 38,165 | 100% |
3. 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국민의힘 김부영 후보가 49.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한정우 후보는 37.25%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더불어민주당 김태완 후보는 10.75%, 무소속 유영식 후보는 2.39%를 득표하였다.
3. 11. 202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부영 군수의 사망으로 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 성낙인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성낙인 | 무소속 | 7,229 | 24.21 |
박상제 | 무소속 | 6,411 | 21.47 |
하종근 | 무소속 | 6,258 | 20.96 |
한정우 | 무소속 | 5,948 | 19.92 |
성기욱 | 더불어민주당 | 3,217 | 10.77 |
배효문 | 무소속 | 599 | 2.00 |
하강돈 | 무소속 | 191 | 0.63 |
합계 | 29,853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