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치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치메이는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초기에 활동한 혁명가이다. 1878년 저장성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경감학교를 졸업하고 중국혁명동맹회에 가입했다. 신해혁명 당시 상하이 도독을 역임했으며, 위안스카이의 중화민국 임시정부에서 공상총장을 지냈다. 위안스카이의 제제 운동에 반대하며 혁명 활동을 벌이다 1916년 암살당했다. 한국 독립운동가 신규식과 함께 신아동제사를 조직하는 등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기려 196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경찰관 - 멍훙웨이
중국 공안부 부부장 출신 멍훙웨이는 인터폴 총재를 지냈으나, 귀국 후 뇌물 수수 혐의로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그의 아내는 프랑스로 망명하는 등 국제적 논란을 일으켰다. - 중국의 경찰관 - 겅후이창
겅후이창은 허베이성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국가안전부 부부장과 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홍콩, 마카오, 대만 및 해외 화교 연락위원회 부주임을 맡고 있다. - 살해된 작가 - 테오 반 고흐 (영화 감독)
네덜란드의 영화 감독이자 텔레비전 프로듀서, 신문 칼럼니스트인 테오 반 고흐는 빈센트 반 고흐의 동생인 화상 테오 반 고흐의 증손으로, 사회 문제 비판과 이슬람 비판 활동을 펼치다 2004년 이슬람 극단주의자에게 암살당했다. - 살해된 작가 -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기원전 100년 로마에서 태어나 갈리아 전쟁과 로마 내전에서의 승리로 유명한 로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제1차 삼두정치를 통해 갈리아 총독으로 임명되어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 내전을 일으켰고, 로마를 장악한 후 개혁을 단행했으나 반대파에 의해 암살당하여 로마 공화정의 종말을 가져왔다. - 중화민국의 개신교도 - 쑹자수
중국의 사업가이자 감리교 선교사였던 쑹자수는 찰리 쑹이라는 영어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쑹아이링, 쑹칭링, 쑹메이링 세 딸과 쑹쯔원 등의 자녀를 두어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가문인 쑹 가문을 형성했고, 쑨원의 혁명 운동을 후원했다. - 중화민국의 개신교도 - 양허링
양허링은 마카오 출신으로 쑨원의 동지로서 흥중회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쑨원을 도와 혁명 자금을 지원하고 국민당 고문을 지내다 1934년 사망했다.
천치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천치메이 |
원어 이름 | 陳其美 |
로마자 표기 | Chen Qíměi |
출생일 | 1878년 1월 17일 |
출생지 | 청나라 저장성 후저우 우싱 |
사망일 | 1916년 5월 18일 |
사망지 | 중화민국 상하이 |
사망 원인 | 암살 |
국적 | 중화민국 |
정당 | 중국 국민당 |
경력 | |
직업 | 정치인, 군인, 혁명가 |
소속 | 청나라 자금성 경비전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 도독부 |
기타 경력 | 중화민국 공상총장 중화혁명당 상임대표최고위원 |
가족 관계 | |
친척 | 천궈푸(조카) 천청(조카) 천리푸(조카) 천제루(조카딸) |
형제 | 천치차이(아우) |
군사 경력 | |
복무 | 청나라 궁정 경찰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 도독부 |
복무 기간 | 1908년 12월 1일 ~ 1911년 3월 1일 1912년 2월 29일 ~ 1916년 5월 18일 |
계급 | 청 제국 경찰 경위 중화민국 명예 국민혁명군 원수 |
학력 | |
학력 | 중화민국 난징 국방참모학교 |
훈장 | |
서훈 | 1968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2. 생애
1878년 청나라 저장성 후저우 부 우청현에서 태어나 우싱구에서 성장하였다. 1906년 일본 도쿄에서 경감학교(警監學校)를 졸업하고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에 가입했다. 1908년 상하이로 돌아와 장쑤성과 저장성 일대에서 혁명 활동을 벌였다.
1908년 12월 15일 청나라 말단 경관 직위에 입문했으나 1911년 3월 1일 사퇴했다. 그해 10월, 우창 봉기가 일어나자 11월 3일 동지들을 이끌고 상하이 제도국을 공격하여 점령, '상하이 도독'으로 추대되었다. 위안스카이가 쑨원에 이어 중화민국 임시정부 제2대 임시 대총통에 올랐을 때 내각에서 공상총장에 취임하였다.
1913년 7월 6일 제2차 혁명 때 위안스카이에게 축출되어 쑨원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했다. 1915년 위안스카이의 '제제(帝制) 운동'에 반대, 위안스카이 정권에 대항하는 군사 활동을 위해 귀국하여 비밀리에 혁명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1916년 5월 18일 상하이에서 위안스카이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
천치메이는 한국의 독립운동지사들과 교류했는데, 신규식과 함께 신아동제사를 조직하여 한·중 혁명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78년 청나라 저장성 후저우 부 우싱구에서 태어났다.[1] 1906년 일본 도쿄에서 경감학교(警監學校)를 졸업하고 같은 해 겨울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에 가입하였다.[1] 1908년 상하이로 돌아와 장쑤성과 저장성 일대에서 혁명 활동을 하였다.[1]2. 2. 중국 동맹회 활동과 신해혁명
1906년 일본 도쿄에서 경감학교(警監學校)를 졸업하고 그해 겨울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에 가입했다.[1] 1908년 상하이로 돌아와 장쑤성과 저장성 일대에서 혁명 활동을 벌였다.[1]1908년 12월 15일 청 제국 말단 경관 직위에 입문했고, 1911년 3월 1일 경관 직위에서 사퇴했다. 그해 10월, 우창 봉기가 일어나자 11월 3일 동지들을 이끌고 상하이 제도국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이후 '상하이 도독'으로 추대되었다.[1]
1911년 7월, 상하이에 동맹회 지부가 설립되자 서무부장에 임명되었다.[1] 우창 봉기가 발발하자 상하이 봉기를 계획하여 11월 3일에 실행했다. 봉기는 성공하여 11월 6일, 상하이 각계의 추대를 받아 후군 도독이 되었다.[1]
장쑤성·저장성 등의 혁명파와 연합하여 난징을 공격, 12월 2일 점령했다. 이로써 난징에 쑨원을 맞이하여 중화민국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1]
2. 3. 중화민국 초기 활동과 반(反) 위안스카이 투쟁
1878년 청나라 저장성 후저우 부 우청현에서 출생하였으며 후저우부 우싱구에서 성장하였다. 1906년 일본 도쿄에서 경감학교(警監學校)를 졸업하였으며, 같은 해 겨울 중국혁명동맹회(中國革命同盟會)에 가입하였다.1908년 상하이로 돌아와 장쑤성과 저장성 일대에서 혁명 활동을 벌였다. 1908년 12월 15일 청 제국 말단 경관 직위에 입문, 1911년 3월 1일 경관 직위에서 사퇴하였다. 그 해 10월, 우창 봉기가 일어나자 11월 3일 동지들을 이끌고 상하이 제도국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이후 '상하이 도독'으로 추대되었으며, 위안스카이가 쑨원에 이어 중화민국 임시정부 제2대 임시 대총통에 올랐을 때, 내각에서 공상총장에 취임하였다.
1912년 3월, 위안스카이가 임시 대총통에 취임하자, 탕샤오이 내각의 공상총장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탕샤오이가 위안스카이와 대립하여 내각이 붕괴되자, 천치메이도 항의하며 사임했다. 게다가 후군도독에서도 파면되었다.
1913년 7월 6일, 제2차 혁명이 일어났을 때, 위안스카이에게 축출되어 쑨원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같은 해 7월, 상하이 토원군 총사령으로 추대되어 19일에 상하이 독립을 선언했다. 그러나 육해군 정규 부대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9월에 패배하여 11월에 일본으로 망명했다.
1914년 7월, 도쿄에서 중화혁명당이 성립되자, 천치메이도 이에 가입하여 총무부장에 임명되었다. 그 후, 귀국하여 위안스카이 토벌 활동에 종사했다.
1915년 위안스카이의 '제제(帝制) 운동'에 반대 운동을 벌였고, 위안스카이 정권에 대항하는 군사 활동을 위해 귀국하여 비밀리에 혁명 활동을 벌였다. 같은 해 2월부터 상하이에서 봉기를 획책하여 12월 5일에 거병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1916년부터 호국전쟁(제3차 혁명)에 호응하여 상하이 등에서 반(反) 위안 활동을 이어갔으나, 자금 부족 등으로 활동은 정체되었다.
1916년 5월 18일, 베이징 정부 측 군인인 장쭝창이 보낸 자객에 의해 상하이에서 암살되었다. 향년 40세 (만 39세).
2. 4. 암살
1915년 위안스카이의 제제(帝制) 운동에 반대하여, 위안스카이 정권에 대항하는 군사 활동을 위해 귀국하여 비밀리에 혁명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1916년 5월 18일 상하이에서 위안스카이가 보낸 자객에게 암살되었다. 장쭝창이 보낸 자객이었으며, 향년 40세 (만 39세)였다.[1]3. 한국과의 관계
천치메이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들과 교류하였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신규식이다. 그는 신규식과 함께 신아동제사를 조직하여 한·중 혁명 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1]
참조
[1]
서적
The Zhangs from Nanxun
https://books.google[...]
CF Press
[2]
서적
Sun Yat-sen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Chinese Civilization,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