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 (군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수(撤收)는 원래 은행에서 돈을 인출한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단어로, 군사 작전이나 기업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군사 작전에서의 철수는 적의 공세나 치안 악화로 인해 해당 지역을 유지할 수 없어 부대가 후퇴하는 것을 의미하며, 전술적 철수, 위장 퇴각, 패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기업 경영에서는 불황 등으로 특정 사업이나 지역에서 사업을 중단하는 것을, 스포츠계에서는 선수 획득, 팀의 지속 참전 등을 단념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군사작전 - 저강도 분쟁
저강도 분쟁은 특정 국가나 집단 간에 발생하는 제한적 규모의 무력 충돌로,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기술적 특징과 사회문화적 영향을 가진다. - 유형별 군사작전 - 군사 기만
군사 기만은 적을 속여 아군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고자 고대부터 현대까지 사용된 전략적 행위로, 적의 판단을 흐리게 하거나 오판을 유도하여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군사 철수 -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는 2005년 아리엘 샤론 총리의 주도하에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에서 군대와 정착촌을 철수한 사건으로, 정착민 철수와 정착촌 파괴 등의 과정을 거쳐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의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으나, 국경 통제 문제와 파타-하마스 간의 분쟁 등의 과제를 안게 되었다. - 군사 철수 -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철수는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전쟁의 장기화로 경제적 부담과 국내 비판 여론에 직면하여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정책 추진과 함께 1988년 5월부터 1989년 2월까지 군대를 철수시킨 사건이다. - 기동 전술 - 포위
포위는 적을 둘러싸 공격하거나 항복을 받아내는 군사 전략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한반도에서도 대비가 중요하게 논의된다. - 기동 전술 - 기동전
기동전은 적의 군사력 파괴보다 기동을 통해 심리적 마비를 유도하여 최소한의 전투로 승리하는 전쟁 수행 방식으로, 특정 목표물 파괴, 적군 고립, 취약점 공략 등을 통해 효율적인 전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수 (군사) | |
---|---|
개요 | |
유형 | 군사 전술 |
설명 | 후퇴하는 부대가 적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전술 |
관련 전술 | 지연전 초토화 전술 |
특징 | |
목적 | 적의 진격을 늦추거나 방해 아군에게 재정비 또는 증원 시간을 확보 적을 불리한 지역으로 유인 |
위험성 | 후퇴 중인 부대가 포위 또는 섬멸될 위험 적에게 아군의 위치 및 전력 노출 아군의 사기 저하 |
고려 사항 | 적의 전력 및 추격 속도 아군의 전력 및 기동성 지형 및 기상 조건 후퇴 경로 및 목표 지점 |
역사적 예시 | |
고대 | 스키타이의 다리우스 1세 격퇴 |
근대 | 러시아의 나폴레옹 격퇴 중국의 국공내전 시기 홍군의 장정 (군사) |
현대 |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의 공세에 대한 국군 및 유엔군의 지연 작전 |
참고 | |
관련 용어 | 후위 (군사) 엄호 방어 철수 |
2. 어원
'철수'는 원래 은행에서 돈을 인출한다는 의미로, 1640년대 'withdrawment', 14세기 'withdraught'에서 유래했다.[4] 라틴어로는 'abscedere'(abs(떨어져) + cedere(가다))에서 철수라는 의미가 파생되었다.[5]
군사 작전에서 철수는 해당 지역을 유지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라는 부정적인 의미가 강하다. 그러나 군사적, 정치적으로 승리하여 해당 지역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 부대가 철수하는 경우에도 '철수'라는 표현을 사용한다[6].
3. 군사 작전에서의 철수
일부 언론에서는 자위대에 대해 '철병'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의된 용어가 아니다.
3. 1. 전술적 철수 (Tactical Withdrawal)
방어군이 압도되거나 불리한 지형에 있을 때 철수가 예상될 수 있지만, 적에게 가능한 한 많은 피해를 입혀야 한다. 이러한 경우, 후퇴하는 부대는 적의 진격을 더욱 방해하기 위해 여러 전술과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는 철수 중 또는 철수 전에 지뢰나 부비 트랩을 설치하거나, 적을 미리 준비된 포병 사격으로 유도하거나, 초토화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6]
3. 2. 위장 퇴각 (Feigned Retreat)
위장 퇴각은 방어 위치에서 적을 유인하거나 준비된 매복으로 유인하기 위해 후퇴하는 척하는 전술이다. 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쟁 역사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1]
몇 가지 유명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3. 3. 패주 (Rout)
전투에서 패배하여 도주하는 상태를 패주라고 한다. 부대의 질서(지휘)가 상실되어 혼란 상태로 개개인이 도주하는 상태는 궤주라고 하며, 영어로는 routed, broken, fled the field 등의 표현이 사용된다.[6] 질서를 유지하며 계획적으로 퇴각하는 경우에는 retiring from the field나 withdrawal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6]
4. 기업 경영에서의 철수
기업 경영에서 철수는 불황 등의 이유로 특정 사업이나 지역에서 사업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업 철수에는 주로 다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해당 사업 조직을 다른 기업에 매각하는 것 (사업 매각에 의한 철수)
- 해당 사업 자체를 청산하는 것 (청산에 의한 철수)
특히 제조 사업 철수의 경우에는 제조물 책임법 등에 따라 과거의 제조물에 대해 유지 보수나 소모품 판매, 결함이 발생했을 때나 사용된 제품 회수 등의 책임을 일정 기간 져야 한다. 사업 매각에 의한 철수의 경우, 이러한 유지 보수에 관한 서비스까지 타인에게 매각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청산에 의한 철수의 경우, 철수 후에도 자사에서 유지 보수 부문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보험 사업과 같이 미래의 서비스를 계약하는 사업의 경우도, 기존 계약의 승계처를 결정해야 한다.
교통 기관에서 여러 회사에 의한 공동 운행을 하고 있는 (또는 했던) 노선에서는, 과거에 운행을 하고 현재는 철수한 사업자도, 예약·발권 업무나 운행 지원 등은 계속 관여하는 경우도 많다. 상품이나 서비스에 한정되지 않고, 스포츠계에서도 선수 획득, 기업이나 팀의 지속 참전, 대회의 유치를 단념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1066: The Battles of York, Stamford Bridge & Hastings
https://books.google[...]
Grub Street Publishers
2021-05-06
[2]
웹사이트
An Heroical Epistle of Hudibras to His Lady
http://www.exclassic[...]
[3]
서적
Forward Observer
https://archive.org/[...]
Blakiston
[4]
웹사이트
withdrawal
https://www.etymonli[...]
[5]
서적
由来とつながりがわかる 英単語語源マップ
[6]
뉴스
名誉があるのは「撤収」か「撤退」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