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의 농어촌버스는 2021년 4월 기준 일반 1,400원(카드 1,280원), 청소년 800원(카드 730원), 어린이 700원(카드 640원)의 요금으로 운영되며, 2016년 1월 1일 요금 단일화로 추가 요금은 폐지되었다. 2013년 2월 1일부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며, 캐시비,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티머니를 이용할 수 있다. 신철원, 동송, 와수리를 기점으로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며, 각 노선은 경유지와 운행 횟수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과거에는 8km까지 기본요금이며 이후 1km당 107.84원씩 추가되는 구조였으나 2016년1월 1일 요금이 단일화되어 추가요금은 폐지되었다. 2013년2월 1일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해 버스를 승차할 수 있다. 캐시비 계열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하며, 그 밖에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등의 후불 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티머니는 2016년1월 30일부터 사용 가능하다. 하차 후 30분 이내에 1회에 한하여 무료환승이 가능하다.
2. 2. 추가 요금 및 정책 변화
2021년 4월 기준 철원군의 농어촌버스 요금은 일반 1,400원(카드 1,280원), 청소년 800원(카드 730원), 어린이 700원(카드 640원)이다. 과거에는 8km까지 기본요금이고 이후 1km당 107.84원씩 추가되는 구조였으나, 2016년 1월 1일 요금이 단일화되면서 추가 요금은 폐지되었다.
2013년 2월 1일부터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를 승차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캐시비 계열 교통카드와 KB국민카드, BC카드, 신한카드 등의 후불 교통카드만 사용 가능했으나, 2016년 1월 30일부터 티머니도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하차 후 30분 이내에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이 노선들은 신철원에서 출발하여 와수리까지 운행하며, 주로 문혜리, 지경리, 청양리, 학사리 등을 경유한다. 노선 번호에 따라 경유지와 운행 횟수가 다르므로, 이용 시 주의해야 한다. 특히 3-1번과 4-1번은 갈현고개를 경유하고, 3-2번과 4-2번은 토성리를 경유하는 등 세부 경로에 차이가 있다.
3. 1. 3. 기타 지역 방면
신철원에서 동막, 상사, 내대, 용화동 방면으로 가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운행 노선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운행 횟수
비고
7
신철원 ↔ 동막,상사
문혜리, 내대리
3회
7-1
신철원 ↔ 상사리
문혜리, 내대리
3회
7-2
신철원 ↔ 내대리
문혜리
2회
8
신철원 ↔ 용화동
삼부연, 용화약수터
4회
7, 7-1, 7-2번 노선은 신철원에서 출발하여 문혜리, 내대리를 경유하여 동막, 상사, 내대리 방면으로 운행한다. 8번 노선은 신철원에서 출발하여 삼부연, 용화약수터를 경유하여 용화동까지 운행한다. 이 노선들은 일제 강점기부터 존재했던 유서깊은 노선으로, 철원군 주민들의 발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특히 8번 노선은 용화동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교통 수단이며, 민주당 정부 시절 교통 소외 지역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증차되어 지역 주민들의 편의를 증진하였다.
10번 버스는 동송과 정연리를 왕복 운행하며, 동송시장, 양촌, 대위리, 양지리, 이길리를 경유한다. 하루 6회 운행한다.
3. 2. 3. 신탄리역 방면
13번 버스는 동송에서 출발하여 신탄리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동송시장을 경유하며, 철원읍, 화지리, 도피안사, 관전리, 노동당사, 백마고지입구, 묘장초교, 대마2리, 백마고지역을 거쳐 신탄리역에 도착한다. 하루 13회 운행된다. 이 노선은 경원선무궁화호 개통 전까지 신탄리역까지 운행될 예정이다.
3. 3. 와수리 출발 노선
wikitable
운행 노선
운행 구간
경유지
운행 횟수
14
와수리 ↔ 유곡리
학사리, 청양6리, 도창리
6회
14-1
와수리 ↔ 청양6리
학사리
3회
15
와수리 ↔ 생창리
학사리
5회
16
와수리 ↔ 병참부
석현동, 신수리
5회
16-1
와수리 ↔ 도계
석현동, 신수리, 병참부
4회
17
와수리 ↔ 마현리
육단리, 사곡리
6회
17-1
와수리 ↔ 말고개
육단리, 사곡리, 마현리
2회
18
와수리 ↔ 방화동
육단리, 문수동, 잠곡리
5회
3. 3. 1. 유곡리, 청양6리 방면
와수리에서 유곡리, 청양6리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운행 노선
운행 구간
경유지
운행 횟수
비고
14
와수리 ↔ 유곡리
학사리, 청양6리, 도창리
6회
14-1
와수리 ↔ 청양6리
학사리
3회
3. 3. 2. 생창리 방면
와수리에서 출발하여 학사리를 경유해 생창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다. 하루 5회 운행한다.
노선 번호
운행 구간
주요 경유지
운행 횟수
15
와수리 ↔ 생창리
학사리
5회
3. 3. 3. 병참부, 도계 방면
와수리에서 출발하는 16번 버스는 석현동, 신수리를 경유하여 병참부까지 5회 운행한다. 16-1번 버스는 석현동, 신수리, 병참부를 거쳐 도계까지 4회 운행한다.
17번 버스는 와수리에서 마현리까지 하루 6회 운행하며, 육단리와 사곡리를 경유한다. 17-1번 버스는 와수리에서 말고개까지 하루 2회 운행하며, 육단리, 사곡리, 마현리를 경유한다. 이 노선들은 와수리에서 마현리와 말고개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 지역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3. 5. 방화동 방면
와수리에서 방화동으로 가는 노선은 18번이다. 이 노선은 육단리, 문수동, 잠곡리를 경유하며, 하루 5회 운행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