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47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47호선은 안산에서 철원 김화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1981년 반월-금화선으로 신설되어 여러 차례 노선 변경과 확장 공사를 거쳤다. 주요 경유지로는 안산, 군포, 안양, 과천, 서울 서초·강남·광진·중랑, 구리, 남양주, 포천, 가평, 철원이 있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 진접읍 내곡리에서 금곡리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의 교통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과천시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국도 제47호선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국도 제47호선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철원군 (남)의 교통 - 백마고지역
    백마고지역은 경원선 복원 사업으로 2012년 개통된 철도역으로, 한국전쟁 당시 백마고지 전투를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현재는 전철화 공사로 인해 연천역에서 대체 버스가 운행 중이고 인근에 백마고지 전투 기념비 등이 위치해 있다.
국도 제47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번호47
노선명안산 ~ 김화선
로마자 표기Ansan-Gimhwa Line
한자 표기國道 第47號線
주요 정보
총연장133.8 km
개통일1981년 3월 14일
노선 방향
남쪽 종점경기도 안산시
북쪽 종점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주요 경유지
경기도안산시
군포시
안양시
과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포천시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주요 교차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도시고속화도로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과천우면산도시고속화도로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2. 역사적 배경

1981년 3월 14일, 대한민국의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에 따라 '국도 제47호선 반월 ~ 금화선'이 신설되었다.[6] 1996년 7월 1일, 종점이 강원도 철원군 금화읍에서 김화읍으로 변경되면서 '화성 ~ 철원선'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도 일부 변경되어 서초구, 강남구, 영동대교, 성동구를 지나게 되었다.[13] 2001년 8월 25일, 기점이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에서 안산시로 변경되어 '안산 ~ 철원선'이 되었다.[18]

1981년 4월 6일, 화성군 반월면 진건리 ~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89.9 km) 구간과[7] 같은 해 4월 13일, 철원군 군서면 자등리 ~ 금화읍 학사리(15 km) 구간이 개통되었다.[8] 이후 도로 확장 및 개량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었다.

2. 1. 연혁


  • 1981년 3월 14일 : '''국도 제47호선''' 반월 ~ 금화선 신설[6]
  • 1981년 4월 6일 : 화성군 반월면 진건리 ~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 89.9km 구간 개통[7]
  • 1981년 4월 13일 : 철원군 군서면 자등리 ~ 금화읍 학사리 15km 구간 개통[8]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132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9]
  • 1988년 4월 22일 : 기존 지정 구간인 화성군 반월면 건건리 ~ 대야미리 3km 구간, 시흥군 군포읍 금정리 ~ 안양시 호계동 1.15km 구간 폐지[10][11]
  • 1993년 4월 13일 : 철원군 서면 자등리 360m 구간 개통[12]
  • 1996년 7월 1일 : 종점을 '강원도 철원군 금화읍'에서 '강원도 철원군 김화읍'으로 변경. 이에 따라 '화성 ~ 철원선'이 됨.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 변경.[13]

1996년 7월 1일 노선 변경 내역
개정 이전개정 이후
주요 통과지주요 통과지
경기도 과천시경기도 과천시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기도 과천시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태령 사당동 · 남부순환도로, 강남구 대치동, 영동대교, 성동구 화양동, 동대문구 면목동 · 망우동 · 신내동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영동대교, 성동구


  • 1997년 6월 30일 : 퇴계원 ~ 진접간 도로(구리시 갈매동 ~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15km 구간 개통 및 기존 구리시 갈매동 ~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4.65km 구간,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380m 구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1.1km 구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2.1km 구간 폐지[14]
  • 1997년 12월 31일 :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 팔야리 3.5km 구간 개통 및 기존 1.5km 구간 폐지, 포천군 내촌면 음현리 1.8km 구간 개통 및 기존 700m 구간 폐지, 포천군 내촌면 내리 ~ 신팔리 7.8km 구간 개통 및 기존 1.57km 구간 폐지[15]
  • 1999년 8월 31일 : 반월 ~ 수원시계간 도로(안산시 시사동 ~ 군포시 대야미동) 3.31km 구간 확장 개통[16]
  • 1999년 12월 31일 : 진접 ~ 신팔간 도로(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 포천군 내촌면 신팔리) 4.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0m 구간 폐지[17]
  • 2001년 8월 25일 :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에서 '경기도 안산시'로 변경함. 이에 따라 '안산 ~ 철원선'이 됨.[18]
  • 2003년 12월 30일 : 신팔 ~ 일동간 도로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 일동면 기산리) 12km 구간 확장 개통[19]
  • 2006년 9월 30일 : 일동 ~ 이동간 도로(포천시 일동면 기산리 ~ 이동면 도평리) 16.96km 구간 확장 개통[20], 기존 16.8km 구간 폐지[21]
  • 2011년 12월 12일 : 퇴계원 ~ 진접간 도로 중 퇴계원 나들목 ~ 구 진관 나들목(구리시 사노동 ~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3km 구간 확장 개통[22]
  • 2012년 6월 29일 : 퇴계원 나들목 연결도로(구리시 사노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4km 구간 개통[23]
  • 2013년 4월 30일 : 퇴계원 ~ 진접간 도로 중 구 진관 나들목 ~ 임송 나들목(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 진접읍 내곡리) 1.9km 구간 확장 개통[24]
  • 2014년 4월 30일 : 퇴계원 ~ 진접간 도로 중 임송 나들목 ~ 연평 나들목(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 연평리) 3.7km 구간 확장 개통[25]
  • 2015년 12월 15일 : 철원서면우회도로(철원군 서면 자등리) 6.9km 구간 개통, 기존 7.5km 구간 폐지[26]
  • 2017년 12월 31일 : 퇴계원 ~ 진접간 도로 중 연평 나들목 ~ 장현 나들목(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 장현리 5.5km 구간 폐지[27]
  • 2019년 8월 14일 :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 ~ 금곡리 7.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8][29]
  • 2019년 11월 25일 : 부평리 교차로(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 부평리) 180m 구간 개선 완료[30]
  • 2020년 12월 7일 : 진접 ~ 내촌간 도로(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 팔야리) 5km 구간 확장 개통[31]
  • 2020년 12월 31일 : 진접 ~ 내촌간 도로(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 포천시 내촌면 내리) 4km 구간 확장 개통[32]
  • 2021년 1월 6일 : 진접 ~ 내촌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 ~ 팔야리 5.4km 구간 폐지[33]

3. 주요 경유지 및 노선

서울특별시 중랑구의 능산사거리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를 경유한다.

'''IS''': 교차로, '''IC''': 나들목

이름 [2]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양촌 나들목양촌 나들목국도 제39호선(서해로)
국도 제42호선(수인로)
안산시상록구종점
군포 나들목군포 나들목영동고속도로군포시대야동
대야미삼거리
(대야미역)
대야미삼거리
(대야미역)
대야1로
보건소사거리
(대야지하차도)
보건소사거리
(대야지하차도)
번영로군포동남군포 나들목(평택파주고속도로 간접 연결)
동군포 나들목(영동고속도로 간접 연결)
삼성지하차도사거리
(삼성지하차도)
삼성지하차도사거리
(삼성지하차도)
삼성로
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앞삼거리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앞삼거리삼성로
용호사거리용호사거리용호1로
용호2로
군포초교사거리
(도래말지하차도)
군포초교사거리
(도래말지하차도)
고산로
군포초등학교군포초등학교
당동우체국사거리당동우체국사거리당동로
봉성로
군포역
(군포역입구사거리)
군포1동주민센터
군포역
(군포역입구사거리)
군포1동주민센터
군포역1길
군포로529번길
군포역전시장군포역전시장
우리은행사거리우리은행사거리산본로
당동지하차도당동지하차도공단로
농심로
rowspan=2|
금정동
금정고가차도금정고가차도군포로
번영로
군포교군포교rowspan=2|rowspan=2|
안양시동안구
유통단지사거리
(호계고가차도)
유통단지사거리
(호계고가차도)
LS로
호계사거리
(호계1동주민센터)
호계사거리
(호계1동주민센터)
국도 제1호선(경수대로)
덕고개사거리덕고개사거리모랑로
평촌대로
계원대사거리계원대사거리관평로
계원대학로
평촌 나들목(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간접 연결)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내손로
신기대로
민백사거리
(평촌지하차도)
민백사거리
(평촌지하차도)
귀인로
포일로
벌말오거리벌말오거리시민대로
학의로
인덕원사거리
(인덕원역)
인덕원사거리
(인덕원역)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관악대로, 안양판교로)
북의왕 나들목북의왕 나들목제2경인고속도로과천시갈현동
갈현삼거리갈현삼거리중앙로
과천 나들목과천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코오롱로
문원동
대공원입구대공원입구대공원대로
지방도 제309호선(우면산로)
과천동
관문사거리관문사거리과천대로
중앙로
선암삼거리
(선바위역)
선암삼거리
(선바위역)
경마공원대로서울로 이어짐



이름 [3]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참고
선암 나들목선암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로
태봉로
강남순환로
서울특별시서초구경기도-서울특별시 경계
염곡 나들목 진입로염곡 나들목 진입로양재대로12길
트럭터미널앞트럭터미널앞매헌로
양재 나들목양재 나들목경부고속도로
염곡사거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대자동차)
염곡사거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대자동차)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강남대로)
(헌릉로)
한국소비자원한국소비자원
구룡사앞
(구룡지하차도)
구룡사앞
(구룡지하차도)
논현로강남구
구룡터널 교차로구룡터널 교차로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언주로
구룡마을입구구룡마을입구선릉로
양재대로16길
개포3,4단지 교차로개포3,4단지 교차로삼성로
일원터널 교차로일원터널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양재대로)
광평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중복 구간
공무원연금매점공무원연금매점영동대로3길
영동대로4길
대모산입구역
(개원중학교)
대모산입구역
(개원중학교)
개포로
영동6교영동6교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남부순환로
대치우성아파트대치우성아파트도곡로
오뚜기오뚜기
삼성역삼성역테헤란로
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한국전력공사
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한국전력공사
코엑스 교차로코엑스 교차로봉은사로
경기고등학교
(청담역)
경기고등학교앞
(청담역)
학동로
영동대교 남단영동대교 남단도산대로
올림픽대로
영동대교영동대교rowspan=2|광진구
영동대교북단 나들목영동대교북단 나들목강변북로
(국도 제4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교북단 교차로
(영동대교북단고가차도)
영동대교북단 교차로
(영동대교북단고가차도)
뚝섬로
성수사거리성수사거리아차산로
화양사거리화양사거리광나루로
군자교 교차로
(군자지하차도)
군자교 교차로
(군자지하차도)
국도 제3호선
(천호대로)
국도 제3호선 중복 구간
동곡삼거리동곡삼거리긴고랑로
장평교 교차로장평교 교차로답십리로중랑구
면목교 교차로면목교 교차로면목천로
장안교사거리장안교사거리사가정로
면목5동주민센터면목5동주민센터
면목2동사거리면목2동사거리겸재로
서울중목초등학교서울중목초등학교
중랑전화국 교차로중랑전화국 교차로봉우재로
국도 제6호선동일로지하차도 교차로국도 제3호선
(동일로)
국도 제6호선
(망우로)
국도 제3호선 중복 구간
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상봉삼거리
(상봉역)
상봉삼거리
(상봉역)
면목로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상봉지하차도교차로상봉지하차도교차로상봉중앙로
망우역 교차로망우역 교차로상봉로
신내지하차도교차로신내지하차도교차로신내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망우사거리국도 제6호선
(망우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용마산로)
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중복 구간
능산지하차도능산지하차도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중복 구간
서울신내초등학교서울신내초등학교
능산삼거리능산삼거리봉화산로
신내역신내역
신내 나들목신내 나들목북부간선도로
서울중랑경찰서서울중랑경찰서경기도로 이어짐



명칭 [4]한글 명칭연결위치참고
갈매역갈매역구리시갈매동서울특별시 - 경기도 경계
갈매 교차로
별내역
갈매 교차로
별내역
경춘북로
금강로
갈매 나들목갈매 나들목경춘북로
송산로
퇴계원 나들목퇴계원 나들목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동구동
국도 제46호선사노 나들목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동구릉로)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중복
사노교사노교rowspan=2|
남양주시진건읍
진관 나들목진관 나들목국도 제46호선
(신경춘로)
구진관 나들목구진관 나들목지방도 제383호선
(경춘북로)
국도 제43호선 중복
신월 교차로신월 교차로진관로562번길
임송 교차로임송 교차로퇴계원로진접읍
내곡 나들목내곡 나들목국도 제43호선
(금강로)
내곡리입구내곡리입구금강로960번길
금강로961번길
내곡 교차로내곡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남가로)
덕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복
밤섬유원지밤섬유원지
내각리입구내각리입구내각1로
내각사거리내각사거리금강로1190번길
장현리입구장현리입구장현로
장현사거리장현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진건오남로)
봉현로
진접읍사무소앞진접읍사무소앞
장현시외버스정류장장현시외버스정류장
장승부락입구장승부락입구금강로1573번길
금강로1576번길
진접중학교진접중학교
부평교부평교광릉수목원로
광릉내광릉내광릉내로
진벌로
팔야리입구팔야리입구금강로1845번길
음현2리 교차로음현2리 교차로금강로2110번길포천시내촌면
음현4리 교차로음현4리 교차로금강로2194번길
내촌중학교내촌중학교앞내촌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내촌육교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포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기장대 교차로기장대 교차로내촌로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베어스타운베어스타운
소학3리소학3리금강로2895번길
청담마을입구청담마을입구금강로3029번길
서파검문소서파검문소금강로3211번길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서파 교차로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청군로)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봉수 교차로봉수 교차로봉수로가평군상면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운악 교차로운악 교차로화동로포천시화현면
화현교화현교
화현 교차로화현 교차로화동로
선촌 교차로선촌 교차로
일동 교차로일동 교차로국도 제37호선
(신영일로)
일동면
수입 교차로수입 교차로지방도 제387호선
(수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신연곡삼거리신연곡삼거리화동로이동면
장암1교
장암2교
장암1교
장암2교
이동터널이동터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275m
좌측 터널: 약 320m
장암3교장암3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강원특별자치도 진입
이동 교차로이동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여우고개로)
도평 교차로도평 교차로지방도 제372호선
(화동로)
일단고개일단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이름 [5]한국어 이름연결위치참고
자등현
(자등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철원군서면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경계선
(자등리)(자등리)지방도 제46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태봉로)
서면초등학교서면초등학교
와수초등학교와수초등학교
(와수로터리)(와수로터리)와수로
와수시외버스터미널와수시외버스터미널
(이름 없음)(이름 없음)와수1로
김화중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여자중학교
김화중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여자중학교
학포교학포교rowspan=2|rowspan=2|
김화읍
김화 교차로김화 교차로국도 제43호선
(호국로)
종점

[34][5]

3. 1. 주요 경유지

경기도

서울특별시

  • 서초구 (우면동 · 양재동) - 강남구 (개포동 · 일원동 · 대치동 · 삼성동 · 청담동) - 영동대교 - 광진구 (자양동 · 화양동 · 군자동 · 중곡동) - 중랑구 (면목동 · 상봉동 · 망우동 · 신내동)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3. 2. 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를 경유한다.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IS''': 교차로, '''IC''': 나들목

이름 [2]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양촌 나들목양촌 나들목국도 제39호선(서해로)
국도 제42호선(수인로)
안산시상록구종점
군포 나들목군포 나들목영동고속도로군포시대야동
대야미삼거리
(대야미역)
대야미삼거리
(대야미역)
대야1로
보건소사거리
(대야지하차도)
보건소사거리
(대야지하차도)
번영로군포동남군포 나들목(평택파주고속도로 간접 연결)
동군포 나들목(영동고속도로 간접 연결)
삼성지하차도사거리
(삼성지하차도)
삼성지하차도사거리
(삼성지하차도)
삼성로
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앞삼거리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앞삼거리삼성로
용호사거리용호사거리용호1로
용호2로
군포초교사거리
(도래말지하차도)
군포초교사거리
(도래말지하차도)
고산로
군포초등학교군포초등학교
당동우체국사거리당동우체국사거리당동로
봉성로
군포역
(군포역입구사거리)
군포1동주민센터
군포역
(군포역입구사거리)
군포1동주민센터
군포역1길
군포로529번길
군포역전시장군포역전시장
우리은행사거리우리은행사거리산본로
당동지하차도당동지하차도공단로
농심로
rowspan=2|
금정동
금정고가차도금정고가차도군포로
번영로
군포교군포교rowspan=2|rowspan=2|
안양시동안구
유통단지사거리
(호계고가차도)
유통단지사거리
(호계고가차도)
LS로
호계사거리
(호계1동주민센터)
호계사거리
(호계1동주민센터)
국도 제1호선(경수대로)
덕고개사거리덕고개사거리모랑로
평촌대로
계원대사거리계원대사거리관평로
계원대학로
평촌 나들목(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간접 연결)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내손로
신기대로
민백사거리
(평촌지하차도)
민백사거리
(평촌지하차도)
귀인로
포일로
벌말오거리벌말오거리시민대로
학의로
인덕원사거리
(인덕원역)
인덕원사거리
(인덕원역)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관악대로, 안양판교로)
북의왕 나들목북의왕 나들목제2경인고속도로과천시갈현동
갈현삼거리갈현삼거리중앙로
과천 나들목과천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코오롱로
문원동
대공원입구대공원입구대공원대로
지방도 제309호선(우면산로)
과천동
관문사거리관문사거리과천대로
중앙로
선암삼거리
(선바위역)
선암삼거리
(선바위역)
경마공원대로서울로 이어짐



이름 [3]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참고
선암 나들목선암 나들목지방도 제309호선(봉담과천도시고속화도로)
우면산로
태봉로
강남순환로
서울특별시서초구경기도-서울특별시 경계
염곡 나들목 진입로염곡 나들목 진입로양재대로12길
트럭터미널앞트럭터미널앞매헌로
양재 나들목양재 나들목경부고속도로
염곡사거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대자동차)
염곡사거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현대자동차)
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강남대로)
(헌릉로)
한국소비자원한국소비자원
구룡사앞
(구룡지하차도)
구룡사앞
(구룡지하차도)
논현로강남구
구룡터널 교차로구룡터널 교차로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언주로
구룡마을입구구룡마을입구선릉로
양재대로16길
개포3,4단지 교차로개포3,4단지 교차로삼성로
일원터널 교차로일원터널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양재대로)
광평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중복 구간
공무원연금매점공무원연금매점영동대로3길
영동대로4길
대모산입구역
(개원중학교)
대모산입구역
(개원중학교)
개포로
영동6교영동6교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남부순환로
대치우성아파트대치우성아파트도곡로
오뚜기오뚜기
삼성역삼성역테헤란로
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한국전력공사
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한국전력공사
코엑스 교차로코엑스 교차로봉은사로
경기고등학교
(청담역)
경기고등학교앞
(청담역)
학동로
영동대교 남단영동대교 남단도산대로
올림픽대로
영동대교영동대교rowspan=2|광진구
영동대교북단 나들목영동대교북단 나들목강변북로
(국도 제4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교북단 교차로
(영동대교북단고가차도)
영동대교북단 교차로
(영동대교북단고가차도)
뚝섬로
성수사거리성수사거리아차산로
화양사거리화양사거리광나루로
군자교 교차로
(군자지하차도)
군자교 교차로
(군자지하차도)
국도 제3호선
(천호대로)
국도 제3호선 중복 구간
동곡삼거리동곡삼거리긴고랑로
장평교 교차로장평교 교차로답십리로중랑구
면목교 교차로면목교 교차로면목천로
장안교사거리장안교사거리사가정로
면목5동주민센터면목5동주민센터
면목2동사거리면목2동사거리겸재로
서울중목초등학교서울중목초등학교
중랑전화국 교차로중랑전화국 교차로봉우재로
동일로지하차도 교차로동일로지하차도 교차로국도 제3호선
(동일로)
국도 제6호선
(망우로)
국도 제3호선 중복 구간
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상봉삼거리
(상봉역)
상봉삼거리
(상봉역)
면목로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상봉지하차도교차로상봉지하차도교차로상봉중앙로
망우역 교차로망우역 교차로상봉로
신내지하차도교차로신내지하차도교차로신내로
망우사거리망우사거리국도 제6호선
(망우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용마산로)
국도 제6호선 중복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중복 구간
능산지하차도능산지하차도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중복 구간
서울신내초등학교서울신내초등학교
능산삼거리능산삼거리봉화산로
신내역신내역
신내 나들목신내 나들목북부간선도로
서울중랑경찰서서울중랑경찰서경기도로 이어짐



명칭 [4]한글 명칭연결위치참고
갈매역갈매역구리시갈매동서울특별시 - 경기도 경계
갈매 교차로
별내역
갈매 교차로
별내역
경춘북로
금강로
갈매 나들목갈매 나들목경춘북로
송산로
퇴계원 나들목퇴계원 나들목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동구동
사노 나들목사노 나들목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동구릉로)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중복
사노교사노교rowspan=2|
남양주시진건읍
진관 나들목진관 나들목국도 제46호선
(신경춘로)
구진관 나들목구진관 나들목지방도 제383호선
(경춘북로)
국도 제43호선 중복
신월 교차로신월 교차로진관로562번길
임송 교차로임송 교차로퇴계원로진접읍
내곡 나들목내곡 나들목국도 제43호선
(금강로)
내곡리입구내곡리입구금강로960번길
금강로961번길
내곡 교차로내곡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남가로)
덕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복
밤섬유원지밤섬유원지
내각리입구내각리입구내각1로
내각사거리내각사거리금강로1190번길
장현리입구장현리입구장현로
장현사거리장현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진건오남로)
봉현로
진접읍사무소앞진접읍사무소앞
장현시외버스정류장장현시외버스정류장
장승부락입구장승부락입구금강로1573번길
금강로1576번길
진접중학교진접중학교
부평교부평교광릉수목원로
광릉내광릉내광릉내로
진벌로
팔야리입구팔야리입구금강로1845번길
음현2리 교차로음현2리 교차로금강로2110번길포천시내촌면
음현4리 교차로음현4리 교차로금강로2194번길
내촌중학교내촌중학교앞내촌로
내촌육교내촌육교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포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기장대 교차로기장대 교차로내촌로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베어스타운베어스타운
소학3리소학3리금강로2895번길
청담마을입구청담마을입구금강로3029번길
서파검문소서파검문소금강로3211번길
서파 교차로서파 교차로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청군로)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봉수 교차로봉수 교차로봉수로가평군상면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운악 교차로운악 교차로화동로포천시화현면
화현교화현교
화현 교차로화현 교차로화동로
선촌 교차로선촌 교차로
일동 교차로일동 교차로국도 제37호선
(신영일로)
일동면
수입 교차로수입 교차로지방도 제387호선
(수입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신연곡삼거리신연곡삼거리화동로이동면
장암1교
장암2교
장암1교
장암2교
이동터널이동터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우측 터널: 약 275m
좌측 터널: 약 320m
장암3교장암3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강원특별자치도 진입
이동 교차로이동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여우고개로)
도평 교차로도평 교차로지방도 제372호선
(화동로)
일단고개일단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이름 [5]한국어 이름연결위치참고
자등현
(자등고개)
자등현
(자등고개)
철원군서면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경계선
(자등리)(자등리)지방도 제46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태봉로)
서면초등학교서면초등학교
와수초등학교와수초등학교
(와수로터리)(와수로터리)와수로
와수시외버스터미널와수시외버스터미널
(이름 없음)(이름 없음)와수1로
김화중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여자중학교
김화중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여자중학교
학포교학포교rowspan=2|rowspan=2|
김화읍
김화 교차로김화 교차로국도 제43호선
(호국로)
종점

[34][5]

3. 2. 1.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남 지역)

국도 제47호선의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남 지역) 구간은 안산시 상록구 양촌 나들목에서 시작하여 군포시, 안양시 동안구를 거쳐 과천시까지 이어진다.

안산시에서는 국도 제39호선(서해로) 및 국도 제42호선(수인로)과 교차하는 양촌 나들목에서 시작한다.[34] 이후 송정지하차도를 지나 군포시로 진입한다.

군포시에서는 영동고속도로와 만나는 군포 나들목을 지나, 대야미삼거리, 보건소사거리(대야지하차도), 삼성지하차도사거리(삼성지하차도)를 거친다. 이 구간에서 남군포 나들목동군포 나들목과 간접 연결된다. 이후 안양베네스트골프클럽앞삼거리, 용호사거리, 군포초교사거리(도래말지하차도), 군포초등학교, 당동우체국사거리, 군포역(군포역입구사거리), 군포역전시장, 우리은행사거리를 지난다. 당동지하차도는 상행만 진출입 가능하다. 금정고가차도를 지나 군포교를 건너 안양시로 이어진다.

안양시 동안구 구간은 유통단지사거리(호계고가차도)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1호선(경수대로)과 만나는 호계사거리, 덕고개사거리를 지난다. 계원대사거리에서는 평촌 나들목과 연결된다. 이후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민백사거리(평촌지하차도), 벌말오거리, 인덕원사거리(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관악대로, 안양판교로))를 지나 과천시로 진입한다.

과천시 구간은 북의왕 나들목(제2경인고속도로)에서 시작하여 갈현삼거리, 지방도 제309호선과 중복되는 과천 나들목(봉담과천로) 및 문원로 분기점을 지난다. 이후 대공원입구(지방도 제309호선(우면산로, 대공원대로)), 관문사거리(과천대로, 중앙로)를 거쳐 선암삼거리(경마공원대로)에서 끝난다.

과천선 선바위역 부근에 있는 중앙로


1996년 이전에는 과천시 관문사거리에서 남태령까지의 구간이었다.

3. 2. 2. 서울특별시

(봉담과천로)
(우면산로)
태봉로
강남순환로서초구염곡 나들목 진입로양재대로12길트럭터미널앞매헌로양재 나들목1호선 경부고속도로염곡사거리서울특별시도 제41호선
(강남대로)
(헌릉로)한국소비자원구룡사앞
(구룡지하차도)논현로강남구구룡터널 교차로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언주로구룡마을입구선릉로
양재대로16길개포3,4단지 교차로삼성로일원터널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양재대로)
광평로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과 중복공무원연금매점영동대로3길
영동대로4길대모산입구역
(개원중학교)개포로영동6교학여울역
(SETEC)남부순환로대치우성아파트도곡로오뚜기삼성역테헤란로코엑스
한국종합무역센터
(트레이드 타워)
한국전력공사코엑스 교차로봉은사로경기고등학교
(청담역)학동로영동대교 남단도산대로
올림픽대로영동대교rowspan=2|광진구영동대교북단 나들목강변북로
(국도 제4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영동대교북단 교차로
(영동대교북단고가차도)뚝섬로성수사거리아차산로화양사거리광나루로군자교 교차로
(군자교동측지하차도)국도 제3호선
(천호대로)국도 제3호선과 중복동곡삼거리긴고랑로장평교 교차로답십리로중랑구면목교 교차로면목천로장안교사거리사가정로면목5동주민센터면목2동사거리겸재로서울중목초등학교중랑전화국 교차로봉우재로동1로지하차도 교차로국도 제3호선
(동일로)
국도 제6호선
(망우로)국도 제3호선과 중복
국도 제6호선과 중복상봉삼거리
(상봉역)면목로국도 제6호선과 중복상봉지하차도교차로상봉중앙로망우역교차로상봉로신내지하차도교차로신내로망우사거리국도 제6호선
(망우로)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
(용마산로)국도 제6호선과 중복
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과 중복능산지하차도서울특별시도 제71호선과 중복서울신내초등학교능산삼거리봉화산로신내역신내 나들목북부간선도로서울중랑경찰서새우개고개신내역로


3. 2. 3.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북 지역)

갈매사거리


구간주요 경유지 및 교차로비고
구리시 갈매동새우개고개 (갈매길 접속), 갈매역, 갈매 나들목 (경춘북로, 송산로 접속)
구리시 동구동퇴계원 나들목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접속), 사노 나들목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동구릉로) 접속), 사노교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6호선 중복
남양주시 진건읍진관 나들목 (국도 제46호선 (신경춘로) 접속), 구진관 나들목 (지방도 제383호선 (경춘북로) 접속), 신월 교차로(신월IC교) (용신로, 진관로562번길 접속), 과선교, 신월교국도 제43호선 중복
남양주시 진접읍임송 나들목(임송IC교) (국도 제43호선, 금강로 접속), 용정교
연평IC 교차로(연평IC교)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남가로 접속)
연평교, 진건천교
장현IC 교차로(장현고가교) (국가지원지방도 제86호선, 진건오남로 접속)
금곡 교차로 (해밀예당3로 접속)
벌안교
부평1터널 (상행 400m, 하행 410m), 부평2터널 (상행 380m, 하행 365m)
부평 교차로(신광교) (부평로48번길 접속)
광릉 교차로 (진벌로, 팔야로 접속, 상행 진입 및 하행 진출 불가)
진벌천교
팔야터널 (상행 440m, 하행 415m), 팔야 교차로(팔야IC교)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금강로 접속, 상행 진출 및 하행 진입 불가)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복
포천시 내촌면원팔야교, 매봉 교차로 (금강로2018번길 접속), 광릉 교차로 (매봉길 접속), 내촌 나들목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접속), 내촌중 교차로 (내촌로 접속)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중복
내촌IC 교차로(내촌육교)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포천로 접속)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내촌1교, 내촌2교, 기장1교, 기장대 (내촌로 접속), 기장2교, 기장3교, 베어스타운, 소학1리 (금강로2634번길 접속), 소학3리 (금강로2895번길 접속), 신효죽교, 청담교, 신팔2리 (금강로3029번길 접속), 청담마을입구 (금강로3029번길 접속), 서파검문소 (금강로3211번길 접속)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서파 교차로(서파육교) (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청군로 접속)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중복
가평군 상면봉수 교차로(봉수육교) (봉수로 접속)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포천시 화현면운악 교차로(운악교) (화동로 접속), 화현교, 화현 교차로(화현육교) (화동로 접속), 선촌 교차로국도 제3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포천시 일동면일동 교차로(일동IC교) (국도 제37호선, 신영일로 접속)
기산1교, 기산2교, 기산3교, 수입 교차로 (지방도 제387호선, 수입로 접속)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수입교, 사직1교, 사직2교, 사직3교, 사직4교
포천시 이동면연곡1교, 연곡2교, 연곡3교, 연곡 교차로 (화동로 접속), 장암1교, 장암2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이동터널 (상행 275m, 하행 320m)
장암3교, 이동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여우고개로 접속), 도평1교, 도평2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중복
도평 교차로(도평3교) (지방도 제372호선, 화동로 접속)
일단고개
자등현(자등고개)



; 기존 구간 (1997년 이전)



; 기존 구간 (2017년 이전)

: 임송 나들목 - 임송 삼거리 - 내곡 나들목 - 전도치마을 - 영서마을 - 내곡 교차로 - 내각리입구 - 내각교 - 내각사거리 - 장현리입구 - 장현사거리

; 기존 구간 (2020년 이전)

: 장현사거리 - 봉현교 - 금곡리교차로 - 장승교차로 - 부평2육교 - 부평IC교 - 부평2교

3. 2. 4. 강원특별자치도

(자등고개)철원군서면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장명교장명 교차로자등로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
하행 진출 불가장명육교
상해교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과 중복음지 교차로
(음지교)자등로양지교신술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태봉로)자등육교자등 교차로자등로송동1교
송동2교(와수로터리)와수로와수시외버스터미널(이름 없음)와수1로김화중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김화고등학교
김화여자중학교학포교rowspan=2 |rowspan=2 |김화읍김화 교차로국도 제43호선
(호국로)

[34][5]

4. 자동차 전용도로

다음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시점
종점
총연장차로수지정일
퇴계원 ~ 진접간 도로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곡리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7.7km42019년 8월 14일


5. 도로명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2] 일반
[3] 일반
[4] 일반
[5] 일반
[6]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6호 http://theme.archive[...] 1981-04-06
[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3호 http://theme.archive[...] 1981-04-13
[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1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0호, 제11호 http://theme.archive[...] 1988-03-25
[1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3호 http://theme.archive[...] 1988-05-19
[1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3-16호 http://theme.archive[...] 1993-04-13
[13]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137호 http://theme.archive[...] 1997-06-30
[1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40호 http://theme.archive[...] 1998-01-03
[1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28호 http://theme.archive[...] 1999-09-08
[1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30호 http://theme.archive[...] 2000-02-09
[18] 법률 대통령령 제17348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1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4-9호 http://www.gg.go.kr/[...] 2004-03-08
[2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93호 http://gwanbo.mois.g[...] 2006-10-26
[2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04호 http://gwanbo.mois.g[...] 2006-11-21
[2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81호 http://gwanbo.mois.g[...] 2011-12-14
[2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50호 http://gwanbo.mois.g[...] 2012-07-12
[2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35호 http://gwanbo.mois.g[...] 2013-05-01
[2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30호 http://gwanbo.mois.g[...] 2014-05-02
[26]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15-91호 http://gwanbo.mois.g[...] 2015-12-15
[27]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07호 http://gwanbo.mois.g[...] 2017-12-29
[2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78호 http://gwanbo.mois.g[...] 2019-08-14
[2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84호 http://gwanbo.mois.g[...] 2019-08-30
[30]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9-104호 http://gwanbo.mois.g[...] 2019-11-25
[3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40호 https://gwanbo.mois.[...] 2020-12-04
[32]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0-155호 https://gwanbo.mois.[...] 2020-12-31
[3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21-3호 https://gwanbo.mois.[...] 2021-01-11
[34]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