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 강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학사 강의》는 헤겔의 강의 노트를 제자 카를 루드비히 미슐레가 편집하고, 엘리자베스 홀데인이 영어로 번역한 책이다. 이 책에서 헤겔은 동양의 범신론에서 개인주의적 이해를 거쳐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로 이어지는 의식의 발전을 설명하며, 다양한 철학자들의 사상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그는 세계사를 정신의 실현 과정으로 보고, 역사의 발전 법칙과 목적을 논하며, 과거를 기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헤겔의 역사관은 숙명론이나 낙관론이 아닌, '냉철한 현실주의'에 기반하며, 카를 포퍼 등은 이를 유토피아주의로 비판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작품 - 역사철학강의
《역사철학강의》는 헤겔이 세계사를 이성의 발전 과정으로 보고 강의한 내용을 담은 책으로, 역사 발전 단계, 신정론적 관점, 자유의 발전, 역사 고찰 방법, 세계사적 개인, 국가, 민족 정신 등을 다루며 세계사를 정신이 자유를 획득해가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작품 - 법철학 강요
《법철학 강요》는 헤겔이 1820년에 출판한 책으로, 법, 도덕, 윤리, 국가에 대한 그의 철학적 견해를 담아 법이 개인의 자유 실현에 필수적 요소임을 주장하며 법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책 - 나의 투쟁
《나의 투쟁》은 아돌프 히틀러가 집필한 자서전이자 나치즘의 핵심 이념을 담은 책으로, 히틀러의 유년 시절, 나치당 창당 과정,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등의 정치적 신념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 독일의 책 -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마르틴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서론"은 1935년 강의를 토대로 1953년 출판된 책으로, 전(前) 소크라테스 철학자들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존재와 무(無)를 탐구하며,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점인 '케어레'를 보여주지만 나치즘 연관 논란과 함께 한국에서 수용과 비판이 공존하는 저서이다.
철학사 강의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철학사 강의 | |
원제 (독일어) |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
분야 | 철학 |
주제 | 철학사 |
저자 |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2. 헤겔의 철학사 강의 소개
헤겔의 강의 노트는 그의 사후 제자인 카를 루드비히 미슐레가 1833년에 처음 편집했으며, 1840년부터 1842년까지 개정 작업을 거쳤다. 이후 1892년 엘리자베스 홀데인이 영어로 번역하여 출간했다.
2. 1. 주요 내용
헤겔은 이 책에서 주요 철학자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 그는 의식이 동양의 미분화된 범신론에서 출발하여 개인주의적 이해를 거쳐 신성 로마 제국의 자유에서 절정에 이르는 것으로 보았다.헤겔은 강의에서 1740년 이후 독일에서 출판된 방대한 철학사 서적들을 광범위하게 인용했는데,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저자 | 서적명 | 권수 | 출판 연도 |
---|---|---|---|
요한 야코프 브루커 | Historia critica philosophiae|철학 비판사lat | 6권 | 1742–1767 |
요한 뷔레 | Lehrbuch der Geschichte der Philosophie|철학사 교과서deu | 8권 | 1796–1804 |
디트리히 티데만 | Geist der spekulativen Philosophie von Thales bis Berkeley|탈레스부터 버클리까지의 사변 철학의 정신deu | 6권 | 1791–1797 |
빌헬름 고틀리프 테네만 | Geschichte der Philosophie|철학사deu | 11권 | 1789–1819 |
헤겔은 세계사를 정신이 스스로를 실현해 나가는 과정으로 파악했다. 그는 역사를 동양의 세계(군주 한 사람만이 자유로운 세계), 그리스·로마 세계(소수의 사람만이 자유로운 세계), 그리고 기독교·게르만 세계(모든 인간이 자유로운 세계)로 단계적으로 구분하며, 자유가 점차 확장되는 과정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서구 중심적이고 자기중심적인 편향된 시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
3. 헤겔의 역사관과 비판
헤겔의 역사철학은 특히 카를 포퍼와 같은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주요 비판점은 그의 역사관이 전체론적 관점에서 고정 불변의 역사 발전 법칙을 전제하며, 역사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목적을 미리 상정하는 결정론적 유토피아주의라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헤겔 철학이 현대 사회에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성찰은 여전히 필요하다.[1]
3. 1. 비판에 대한 반론
헤겔의 역사철학은 카를 포퍼와 같은 철학자들에게 전체론의 관점에서 고정 불변의 역사 발전 법칙과 미리 정해진 역사의 최종 목적을 전제하는 유토피아주의라고 비판받기도 했다.
그러나 헤겔의 역사관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단순한 숙명론이나 낙관론이 아니다. 그의 역사관 밑바탕에는 '냉철한 현실주의' 가 깔려 있으며, 헤겔은 인간이 역사 속에서 실현해야 할 자유라는 목적과 이를 이루기 위한 주체적인 노력과 투쟁을 무엇보다 강조했다.
헤겔에 따르면, 과거의 사건을 의미 있는 역사로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지나간 일을 잊지 않는 '기억' 이다. 이는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것을 넘어, 발생한 일을 '나의 것'으로 직시하고 소중히 간직하는 명료한 의식이며, 동물과 생각하는 인간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에 의해 기억된다는 조건 속에서만 과거와 미래를 잇는 ‘역사로서의 현재’에 참여할 수 있다.
거꾸로 되돌리려는 반역사의 흐름은 투쟁을 통해서만 다시 바로잡을 수 있고, 이 투쟁의 시작점은 발생한 일을 분명하게 ‘기억’하는 데 있다. 기억은 지나간 것을 그냥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속에서 과거를 현재로 살아 숨 쉬게 하는 내면화의 과정이다. 항상 역사는 역사를 힘겹게 꾸려나가는 우리의 의식과 행동에 걸맞은 딱 그만큼만의 결실을 우리에게 보여줄 것이다.
4. 기억과 역사의 의미 (한국적 관점)
헤겔은 세계사를 정신이 실현되는 과정으로 파악하며, 그 수단, 재료, 발전 원리, 단계 등을 구체적으로 논했다. 그의 역사철학은 세계사를 동양, 그리스·로마, 게르만 세계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특히 게르만 세계에서 모든 인간이 자유롭다고 본 관점은 서구 중심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카를 포퍼와 같은 철학자들은 헤겔의 역사철학이 고정된 역사 발전 법칙과 최종 목적을 전제하는 전체주의적 유토피아주의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헤겔의 역사관은 단순히 운명론적이거나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의 사상 밑바탕에는 냉철한 현실 인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역사 속에서 인간이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주체적인 노력과 투쟁의 중요성을 무엇보다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헤겔은 개인의 행위가 의미 있는 역사로 남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로 '기억'을 제시한다.
4. 1. 기억의 중요성
헤겔에 따르면, 지나간 개인의 행위를 의미 있는 역사로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지나간 것을 잊지 않는 기억이다.[1] 기억은 발생했던 일을 '나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소중히 간직하려는 명확한 의식 활동이다. 흘러간 과거를 잊지 않는 것은 동물을 생각하는 인간과 구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1] 따라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거를 기억하고, 미래 세대에 의해 기억될 것이라는 조건 아래에서만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역사로서의 현재'에 참여할 수 있다.[1]역사를 거스르려는 흐름은 기억을 통한 반전(反轉)의 투쟁을 통해서만 바로잡을 수 있다. 이 투쟁의 시작은 발생한 일을 분명하게 기억하는 데에서 비롯된다.[1] 기억은 단순히 지나간 일을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서 과거를 현재로 되살려 숨 쉬게 하는 내면화 과정이다.[1] 역사는 언제나 그 역사를 힘들게 만들어가는 우리의 의식과 행동에 상응하는 만큼의 결과만을 보여줄 것이다.[1]
5. 서지 정보
- 서정혁 역, ''철학사 강의'',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년. ISBN 978-89-6406-221-0
- 헤겔, 엘리자베스 샌더슨 할데인 편집, ''Lectures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3 vols.'' (헤겔의 철학사 강의, 3권), Humanities Press International, 1996년 (원본: Kegan Paul, 1892년). ISBN 978-0-391-03957-5
- * [https://archive.org/details/lecturesonhisto00hegegoog Vol. 1], [https://archive.org/details/lecturesonhisto01butlgoog/page/n7 Vol. 2],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190961/page/n1 Vol. 3] 전문 텍스트 (인터넷 아카이브)
- W. H. 월시, "Hegel on the History of Philosophy" (철학사에서의 헤겔), ''역사 및 이론'', Vol. 5 (1965년), p. 67. [https://doi.org/10.2307/2504119 DOI], [https://www.jstor.org/stable/2504119 J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