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산화 리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과산화 리튬(LiO₂)은 리튬 양이온과 초과산화물 음이온의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생성되며, 반응성이 매우 높아 과산화 리튬으로 변환된다. 초과산화 리튬은 리튬-공기 배터리의 연구에 중요한 물질이며, 에너지 밀도가 높아 내연 기관의 대체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권에서 알칼리 금속과 반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산화물 - 초과산화물
초과산화물은 분자 산소에 전자가 추가되어 생성된 음이온(O2-)으로,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과 염을 형성하며, 화학적 산소 발생기나 소방관 산소통에 사용되거나 생체 내에서 활성 산소종으로 작용하지만 초과산화물 불균등화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 - 초산화물 - 초산화 칼륨
초산화 칼륨은 화학식 KO₂를 갖는 흡습성 황색 고체 결정 형태의 강력한 산화제 무기 화합물로, 물, 이산화 탄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생성하므로 생명 유지 장치나 실험실 시약으로 사용되지만, 물이나 가연성 물질과의 접촉에 주의해야 한다. - 리튬 화합물 - 유기리튬 시약
유기리튬 시약은 탄소-리튬 결합을 가진 화합물로 카를 치글러, 게오르크 비티히, 헨리 길먼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극성을 띠는 결합과 강염기성 및 친핵성을 이용하여 유기 합성 반응에서 친핵체, 탈양성자화제, 중합 개시제 등으로 널리 쓰인다. - 리튬 화합물 - 과산화 리튬
과산화 리튬(Li2O2)은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특징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 정화나 리튬-공기 전지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이다.
초과산화 리튬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식별자 | |
CAS 등록번호 | 12136-56-0 |
SMILES | [Li+].O=[O-] |
표준 InChI | 1S/Li.O2/c;1-2/q+1;-1 |
표준 InChIKey | GMZGUKXTXROVJB-UHFFFAOYSA-N |
특성 | |
화학식 | LiO₂ |
몰 질량 | 38.94 g/mol |
외형 | 해당 사항 없음 |
밀도 | g/cm³, 고체 |
용해도 | 해당 사항 없음 |
녹는점 | <25 °C (분해) |
끓는점 | 해당 사항 없음 |
관련 화합물 | |
기타 음이온 | 해당 사항 없음 |
기타 양이온 | 과산화 나트륨 과산화 칼륨 과산화 루비듐 과산화 세슘 |
기타 작용기 | 산화 리튬 과산화 리튬 |
기타 작용기 설명 | 리튬 산화물 |
기타 화합물 | 해당 사항 없음 |
2. 구조
초과산화 리튬(LiO₂) 분자는 리튬 양이온(Li⁺)과 초과산화물 음이온(O₂⁻) 사이의 강한 이온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1] O-O 결합 길이는 1.34Å이며, Li-O 결합 길이는 약 2.10Å으로 계산된다.[2] 초과산화 리튬은 π 분자 오비탈에 홀전자를 가지고 있어 반응성이 매우 크다.[15]
리튬-이온 배터리 안에서 방전되는 동안 하나의 전자가 감소될 때 리튬 초과산화물은 다음 반응을 따른다.[16]
초과산화 리튬은 재충전 가능한 리튬 배터리에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리튬-공기 배터리의 잠재적 에너지에 주목하며, 내연기관의 대체 기술로 기대한다.[16] 한 연구는 알칼리금속의 초과산화물은 알칼리 금속이 대기 안에 있는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알칼리 금속은 중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초과산화물들은 과한 양의 산소와 반응한 후에 찾아진다.[18]
LiO₂ 분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 케이지 이성질체가 가장 일반적이다.[3]
3. 생성 및 반응
Li++e-+O2→LiO2
이 생산물은 반응하고 과산화리튬 Li2O2을 만들어 낼 것이다:
2LiO2→Li2O2+O2
이 마지막 반응의 구조는 확실하지 않으며 화학자들은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이론을 발전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반응을 행하는 완벽한 용액은 찾아지고 있으며 중요한 달성을 이루었다; 에테르- 그리고 아미드에 기초한 용액이 최근 들어 사용되나 이 화합물들은 손쉽게 산소와 반응하고 분해된다.[17] 산소와의 반응에 저항하는 적절한 용액을 필요로 한다.
초과산화 리튬은 초과산화물 음이온의 π* 분자 궤도에 존재하는 홀수 전자로 인해 반응성이 매우 높다.[4] 매트릭스 분리 기술을 사용하면 순수한 화합물 시료를 얻을 수 있지만, 15-40 K에서만 안정하다.[3]
더 높은 (하지만 여전히 극저온) 온도에서, 초과산화 리튬은 오존화를 통해 과산화 리튬(Li2O2)을 프레온 12에서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
Li2O2(f12) + 2 O3(g) → 2 LiO2(f12) + 2 O2(g)
생성된 생성물은 −35 °C까지에서만 안정하다.[5]
또는, 무수 암모니아에 용해된 용매화 전자를 함유한 리튬 전해질이 산소 기체를 환원시켜 동일한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Li+][e−](am) + O2(g) → [Li+][O2−](am)
그러나 초과산화 리튬은 암모니아에서만 준안정하며, 용매를 점차적으로 산화시켜 물과 질소 기체를 생성한다.
2 O2- + 2 NH3 → N2 + 2 H2O + 2 OH-
LiO2의 다른 알려진 분해와 달리, 이 반응은 과산화 리튬을 거치지 않는다.[6]
4. 존재
2016년 1월, 미국 아곤국립연구소에서 연구자들은 알맞은 그래핀 기반 음극을 사용함으로서 LiO2 결정을 Li-O2 배터리 안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다른 과산화물과 마찬가지로, 초과산화 리튬은 산소 분자의 1전자 환원의 생성물이다. 따라서 산소가 단일 전자 산화 환원 촉매와 혼합될 때마다 나타나며, 예시로 ''p''-벤조퀴논 등이 있다.[7]
4. 1. 리튬-공기 배터리
초과산화 리튬은 대부분 재충전 가능한 리튬 배터리에 사용된다. 특히, 방전 중인 리튬-공기 갈바니 전지의 양극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중간 생성물이다.[8]
:
이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반응하여 과산화 리튬 을 형성한다.
:
리튬-공기 배터리는 큰 에너지 밀도를 가져 내연 기관과 유사하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 대상이다.[8] 연구자들은 리튬-공기 배터리의 잠재적 에너지에 주목하며, 내연 기관의 대체 기술로 기대한다.[16] 2016년 1월, 미국 아곤국립연구소 연구자들은 알맞은 그래핀 기반 음극을 사용함으로서 LiO2 결정을 Li-O2 배터리 안에서 안정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19] 최근 연구에 따르면 는 이리듐 나노 입자가 있는 그래핀으로 만들어진 적절한 양극을 통해 안정화될 수 있다고 한다.[9]
이러한 배터리를 연구할 때 중요한 과제는 이러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상적인 용매를 찾는 것이다. 현재 후보 물질은 에테르 및 아미드 기반이지만, 이러한 화합물은 초과산화물과 쉽게 반응하여 분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10]
4. 2. 대기
초과산화 리튬은 중간권과 같이 밀도가 낮고 에너지가 높은 환경에서 장기간 동안 형성될 수 있다.[11] 중간권에는 유성에서 제거된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지속적인 층이 존재한다.[11] 나트륨과 칼륨의 경우, 많은 이온들이 결합하여 해당 초과산화물의 입자를 형성한다.[11] 리튬이 유사하게 반응하여 초과산화물을 형성하는지는 현재 불분명하다.[11]
참조
[1]
논문
Infrared Spectrum, Structure, Vibrational Potential Function, and Bonding in the Lithium Superoxide Molecule LiO2
AIP Publishing
1969-05-15
[2]
논문
Density Functional Investigation of the Thermodynamic Stability of Lithium Oxide Bulk Crystalline Structures as a Function of Oxygen Pressure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1-11-09
[3]
논문
Stability of Lithium Superoxide LiO2 in the Gas Phase: Computational Study of Dimerization and Disproportionation Reaction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0-07-16
[4]
논문
ESR spectra of matrix-isolated lithium superoxide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5]
논문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the interaction of lithium peroxide with ozone
https://doi.org/10.1[...]
1967-07-01
[6]
논문
LiO 2 : Cryosynthesis and Chemical/Electrochemical Reactivities
2017-05-18
[7]
논문
Lithium superoxide encapsulated in a benzoquinone anion matrix
2021-12-13
[8]
논문
Structure and Stability of Lithium Superoxide Clusters and Relevance to Li–O2 Batteri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4-02-13
[9]
논문
A lithium - oxygen battery based on lithium superoxide
https://zenodo.org/r[...]
2016
[10]
논문
Predicting Autoxidation Stability of Ether- and Amide-Based Electrolyte Solvents for Li–Air Batteri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12-06-21
[11]
논문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lithium and sodium superoxide bond dissociation energi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11]
논문
A study of the reaction Li + O2 + M (M = N2, He) over the temperature range 267-1100 K by time-resolved laser-induced fluorescence of Li(22PJ-22S1/2)
https://pubs.acs.org[...]
1988-06
[11]
논문
Chemistry of mesospheric potassium and its different seasonal behavior as compared to sodium
https://agupubs.onli[...]
1987
[12]
논문
Stability of Lithium Superoxide LiO2 in the Gas Phase: Computational Study of Dimerization and Disproportionation Reactions.
2010
[13]
논문
Infrared Spectrum, Structure, Vibrational Potential Function, and Bonding in the Lithium Superoxide Molecule LiO2.
1969
[14]
논문
Density Functional Investigation of the Thermodynamic Stability of Lithium Oxide Bulk Crystalline Structures of Oxygen Pressure.
2011
[15]
논문
ESR Spectra of Matrix-Isolated LiO2.
1987
[16]
논문
Structure and Stability of Lithium Superoxide Clusters and Relevance to Li—O2 Batteries.
2014
[17]
논문
Predicting Autoxidation Stability of Ether- and Amide-Based Electrolyte Solvents for Li–Air Batteries.
2012
[18]
논문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the Lithium and Sodium Superoxide Bond Dissociation Energies.
1989
[19]
웹인용
A lithium - oxygen battery based on lithium superoxide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