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알개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알개미(Paraponera clavata)는 중남미 지역에 서식하는 대형 개미로, 쏘이면 총에 맞은 듯한 극심한 고통을 유발하여 '총알개미'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개미는 18~30mm 크기로 붉은색과 검은색을 띠며, 둥지를 방어할 때 공격적으로 행동한다. 총알개미는 꿀과 작은 절지동물을 채집하며, 둥지는 주로 나무 밑 부분에 위치한다. 총알개미의 침은 슈미트 침 통증 지수에서 가장 높은 4.0+로 평가되며, 포네라톡신이라는 신경독을 함유하고 있다. 일부 원주민 부족은 성인 의식에서 총알개미의 공격을 견디는 통과 의례를 치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총알개미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사시하리아리
학명Paraponera clavata
학명_명명자Fabricius, 1775
동의어Paraponera aculeata (Olivier, 1792)
Paraponera tarsalis (Perty, 1833)
영어 이름Bullet ant (총알개미)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벌목
아목벌아목
상과말벌상과
개미과
아과사시하리아리아과
파라포네라속
기타
참고 자료http://www.newscientist.com/article/mg19526171.800-the-word-sting-pain-index.html
https://books.google.co.uk/books?id=3CTf8bnlndwC&lpg=PA440&dq=paraponera&pg=PA439&hl=en#v=onepage&q=paraponera&f=false

2. 명칭 및 어원

총알개미의 종명인 ''clavatala''는 "곤봉 모양"을 의미한다.[2] 속명인 ''Paraponera''는 "근처의 Ponera"로 번역된다.[3] 끔찍한 평판 때문에, 이 개미는 여러 지역에서 원주민, 스페인, 포르투갈 지역 이름을 가지고 있다.[4] 베네수엘라에서는 ''hormiga veinticuatroes''(24개미 또는 24시간 개미)라는 별명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쏘인 후 하루 종일 지속되는 고통, 또는 인간을 죽이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4][5][21] 브라질에서는 ''formiga cabo verdept'', ''formigãopt'', ''formigão-pretopt''(검은 큰 개미) 등의 포르투갈어 이름이 있으며, 원주민어에서 유래한 ''tocandira''와 ''tocanquibira'' (투피-과라니어의 ''tuca-ndy''에서 유래)는 "깊이 상처를 주는 자"로 번역된다.[21] 이 외에도 ''chacha'', ''cumanagata'', ''munuri'', ''siámña'', ''yolosa''등의 이름으로 불린다.[6] 코스타리카에서는 ''P. clavata''를 "총알"을 의미하는 ''bala''로 알려져 있다.[7]

''P. clavata''는 쏘인 후 총에 맞은 것과 유사한 극심한 고통을 주기 때문에 가장 흔하게 총알개미로 알려져 있으며,[8][9] "작은 거대 사냥 개미"와 "콩가 개미"라는 이름도 있다.[10]

3. 분류

요한 크리스티안 파브리시우스는 1775년 자신의 저서 ''Systema entomologiae''에서 총알개미(''Paraponera clavata'')를 ''Formica clavata''로 명명하며 처음 기술했다.[11] 파브리시우스는 이 개미가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서만 발견되는데도 불구하고, 원산지를 인도로 잘못 기록했다.[11] 1804년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는 ''P. clavata''를 Ponera 속으로 옮겼다.[12]

P. 디에테리(사진)는 ''Paraponera clavata''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일하게 알려진 종이다.


1858년 프레데릭 스미스는 Paraponera 속을 설립하고 ''P. clavata''를 단형성에 의해 기준종으로 지정했다.[13] 이후 ''Formica armata'', ''Formica spininoda'', ''Ponera tarsalis'', ''Ponera clavata'',[14] ''Formica aculeata''[15] 등 여러 분류군이 ''파라포네라 클라바타''의 동의어로 처리되었다. 1901년 카를로 에머리는 파라포네라속을 단형 족인 Paraponerini에 배치하고, Ectatommini에 가깝게 배치했다.[16] 1958년 윌리엄 브라운 주니어는 Paraponerini를 동의어로 처리하고 ''파라포네라''를 Ectatommini로 이전했으나,[17] 1994년 다시 유효한 족으로 취급되었다. 2003년에는 족의 순위가 아족 수준인 Paraponerinae로 높아져 포네로모르프 아족의 일부가 되었다.[18][19]

현재 총알개미는 Hymenoptera Formicidae Paraponerinae 족의 Paraponera에 속한다.[20] 1994년에는 멸종된 Paraponera dieteri가 체사레 바로니 우르바니에 의해 기술되었다.[21] 도미니카 호박에서 발견된 이 개미는 초기 마이오세 1500만 년에서 4500만 년 전에 존재했으며, ''P. dieteri''는 머리, 길이, 앞가슴등 너비, 배자루 너비 등에서 ''P. clavata''와 구별된다.[21] ''P. 디에테리''의 신체 조각은 속 전체가 느린 진화 속도를 보임을 시사한다.[21] 1980년대 초 마이오세 시대의 도미니카 호박에서 발견된 또 다른 ''파라포네라'' 화석은 ''P. clavata''와 유사하지만 크기가 작았다.[22] 이 화석은 제3기 동안 습한 열대 우림이 대앤틸리스 제도를 덮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갖는다.[22]

4. 형태 및 생태

일개미는 18–30 mm 길이며,[37] 튼튼하고 붉은색과 검은색을 띤 날개 없는 말벌을 닮았다. ''Paraponera''는 포식자이며, 모든 원시적인 포네로모르프처럼 일개미 계급에서 다형성을 보이지 않으며, 여왕개미는 일개미보다 그다지 크지 않다.[24][38] 이들은 공격적인 개미는 아니지만 둥지를 방어할 때는 사나워지며, 마찰음을 내고 맹렬하게 쏜다.[31]

''Paraponera clavata'' - 박물관 표본


흰 선은 2 cm.


군체는 수백 마리의 개체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나무 밑 부분에 위치한다. 일개미들은 둥지 바로 위 지역, 종종 윗부분의 수관까지 올라가 작은 절지동물과 꿀을 채집하기 위해 나무 위에서 활동하며, 숲 바닥에서는 거의 채집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꿀은 일개미들이 턱 사이에 물고 와서 둥지로 가져가는 가장 흔한 먹이이다. 감로는 주요 먹이이며, 큰턱 사이에 끼워 운반한다. 수관까지 오르기도 하지만, 지상에서는 활동하지 않는다.[39] 코스타리카와 바르코 콜로라도 섬(BCI)에서 수행된 두 연구에 따르면 숲 헥타르당 약 4개의 총알개미 둥지가 발견되었다. BCI에서는 70종의 나무, 6종의 관목, 2종의 덩굴 식물, 1종의 야자수 아래에서 둥지가 발견되었다. 둥지는 ''파라메아 오키덴탈리스''와 ''트리킬리아 투베르쿨라타''의 수관 아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지만, 이 나무들은 숲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둥지는 ''알세이스 블랙키아나'', ''타베르나에몬타나 아보레아'', ''비롤라 세비페라'', ''과레아 귀도니아'', 그리고 ''에노카르푸스 마포라'' 아래에서 이 나무 종들의 풍부함으로 예상되는 것보다 더 자주 발견되었다. 많은 수의 둥지 식물은 총알개미가 둥지 위치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작은 관목은 숲의 수관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다. BCI 연구는 총알개미가 부벽근과 화밀샘이 있는 나무를 선택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7]

4. 1. 둥지

군체는 수백 마리의 개체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나무 밑 부분에 위치한다. 일개미들은 둥지 바로 위 지역의 나무 위에서 활동하며, 작은 절지동물과 꿀을 채집한다. 꿀은 일개미들이 턱 사이에 물고 와서 둥지로 가져가는 가장 흔한 먹이이다.[27] 감로는 주요 먹이이며, 큰턱 사이에 끼워 운반한다. 수관까지 오르기도 하지만, 지상에서는 활동하지 않는다.[39] 코스타리카와 바르코 콜로라도 섬(BCI)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숲 헥타르당 약 4개의 총알개미 둥지가 발견되었다.

BCI에서는 70종의 나무, 6종의 관목, 2종의 덩굴 식물, 1종의 야자수 아래에서 둥지가 발견되었다. 둥지는 ''파라메아 오키덴탈리스''와 ''트리킬리아 투베르쿨라타''의 수관 아래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지만, 이 나무들은 숲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둥지는 ''알세이스 블랙키아나'', ''타베르나에몬타나 아보레아'', ''비롤라 세비페라'', ''과레아 귀도니아'', 그리고 ''에노카르푸스 마포라'' 아래에서 이 나무 종들의 풍부함으로 예상되는 것보다 더 자주 발견되었다. 많은 수의 둥지 식물은 총알개미가 둥지 위치를 적극적으로 선택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작은 관목은 숲의 수관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활용도가 낮다. BCI 연구는 총알개미가 부벽근과 화밀샘이 있는 나무를 선택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27]

4. 2. 먹이

5. 분포

총알개미는 중앙 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전역에 분포하며, 습한 신열대구에서 흔히 발견된다.[25] 북쪽으로는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에서, 남쪽으로는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에서 발견된다.[25] 군체는 해수면에서 750m까지의 고도에 이르는 저지대 지역에서 발견된다. 라 아미스타드 국제공원에서는 1,500m의 고도에서 표본이 수집되었다.[26]

6. 천적 및 기생충

총알개미는 유리날개나비 ''Greta oto''의 포식자이다. 유리날개나비는 애벌레 단계에서 총알개미에게 불쾌감을 주는 화학 추출물을 생성하여 방어한다.[23][28]

작은(길이 1.5~2.0mm) 혹파리과의 파리인 ''Apocephalus paraponerae''는 부상당한 총알개미 일개미의 기생충이다. 총알개미는 이웃 개미 군체 간의 빈번한 공격적 접전으로 인해 부상당하는 일개미가 끊이지 않아 기생충의 공급이 끊이지 않는다. 수컷과 암컷 파리 모두 부상당한 개미의 냄새에 이끌린다. 암컷은 산란을 할 뿐만 아니라 먹이를 먹고, 수컷은 먹이를 먹고 암컷과 교미할 수 있다. 파리는 부서진 개미에게 2~3분 안에 몰려들며, 각 개미에게 10마리 이상의 파리가 모여들 수 있다. 각 개미는 20마리의 파리 유충을 품을 수 있다.[23][28] 칼 레텐마이어(Carl Rettenmeyer)는 총알개미가 둥지 입구에 접근하는 ''A. paraponerae''를 적극적으로 공격하려 한다는 것을 관찰했다.[23][28] 건강한 개미는 민첩하게 파리를 격퇴할 수 있지만, 건강한 개미를 인위적으로 억제할 경우 기생할 수 있다.[37][45]

7. 인간과의 관계

총알개미가 유발하는 침의 고통은 벌목에서 가장 높다고 평가되어 있다. '불에 댄 듯한 엄청난 고통이 24시간정도 사그러들지 않는다'고 총알개미에 쏘인 사람들이 증언한다.[46] 총알개미는 이런 식으로 자신을 파먹을 포식자를 쫓아내기 위해서 진화했다고 생각된다. 원주민의 몇몇 마을들에서는 남자아이는 성인식에서 진정한 성인이 되기 위하여 총알개미에게 20번 쏘이고도 소리를 질러서는 안 된다는 규정이 있다.[46] 총알개미는 또한 큰턱의 힘도 강하여 만약 큰턱으로 쪼갤 수 없는 물체를 물게되면(예로 돌) 큰턱의 반동에 의해서 튕겨나가게 된다고 한다. 실제로 SBS 정글의 법칙 3 in 아마존 편 44회에서 김병만이 총알개미에 물려 극심한 두드러기가 발생해서 베이스 캠프로 후송되어 수액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다. 그래서 PD는 안전을 위해 전원 베이스캠프로 철수 결정을 내렸었다. 가끔은 고양이에게 독침을 쏘아 고통을 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총알개미는 고양이의 천적 중의 하나이다.

7. 1. 침

총알개미의 침은 벌목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총알개미에 쏘인 사람들은 불에 댄 듯한 극심한 고통이 24시간 정도 지속된다고 증언한다.[46] 이는 포식자를 쫓아내기 위한 진화의 결과로 여겨진다.[46] SBS 정글의 법칙 아마존 편에서는 김병만이 총알개미에 물려 극심한 두드러기와 함께 후송되어 치료를 받은 사례가 있다.

총알개미의 침은 슈미트 침 통증 지수에서 4.0+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발뒤꿈치에 3인치 못이 박힌 채 불타는 숯 위를 걷는 것"과 같은 고통으로 묘사된다.[29][30] 어떤 피해자들은 이 고통을 총에 맞는 것에 비유하기도 한다.[4] 쏘인 후에는 림프절병증, 부종,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대변에서 혈액이 발견되기도 한다.[31] 총알개미의 독액에는 포네라톡신이라는 펩타이드신경독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전압 의존성 나트륨 이온 채널에 작용하여 중추 신경계의 시냅스 전달을 차단한다.[9][32] 이 독은 의학적 활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9][32][40][41]

7. 2. 통과 의례

총알개미의 침은 벌목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에 댄 듯한 엄청난 고통이 24시간 정도 사그러들지 않는다'고 묘사된다.[46] 이는 포식자를 쫓아내기 위한 진화의 결과로 여겨진다. SBS 정글의 법칙 3 in 아마존 편 44회에서 김병만이 총알개미에 물려 극심한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수액 치료를 받은 적이 있다.[46]

브라질의 사테레-마웨족(Sateré-Mawé)은 전사나 지도자가 되기 위한 입문 의식의 일부로 총알개미의 의도적인 공격을 활용한다.[31][33] 개미를 진정제에 담가 의식을 잃게 한 다음, 80마리를 덩굴이나 나뭇잎으로 만든 장갑에 엮어 침을 안쪽으로 향하게 한다. 개미가 의식을 되찾으면 입문자는 장갑을 손에 끼고 5~10분 이상 유지한다. 개미 독 때문에 손과 팔 일부는 일시적으로 마비되고 며칠 동안 떨릴 수 있다. 손에 숯을 칠하는 것은 개미를 혼란시키고 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 과정을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20번 반복해야 입문이 완료된다.[34]

입문 의식에 사용되는 손 보호구

7. 3. 한국에서의 사례

총알개미의 침은 벌목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알개미에 쏘인 사람들은 '불에 댄 듯한 엄청난 고통이 24시간 정도 사그라들지 않는다'고 증언한다.[46] 이는 포식자를 쫓아내기 위한 진화의 결과로 추정된다. 원주민 마을의 성인식에서는 총알개미에게 20번 쏘이고도 소리를 지르지 않아야 하는 규정이 있을 정도다.[46] 총알개미는 큰턱의 힘도 강하여 단단한 물체를 물면 반동으로 튕겨나갈 수 있다.

SBS 정글의 법칙 3 in 아마존 편 44회에서 김병만이 총알개미에 물려 극심한 두드러기가 발생, 베이스 캠프로 후송되어 수액 치료를 받았다. 제작진은 안전을 위해 전원 철수를 결정했다. 총알개미는 고양이에게 독침을 쏘아 고통을 주기도 하여, 고양이의 천적 중 하나로 꼽힌다.

참조

[1] 서적 Systema entomologiae, sistens insector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adiectis synonymis, locis, descriptionibus, observationibus. https://www.biodiver[...] Kortii 1775
[2] 웹사이트 Clavata http://www.biology-o[...] Biology Online Dictionary 2016-10-08
[3] 서적 Myrmecological Orthoepy and Onomatology http://www.antwiki.o[...] University of North Dakota Press
[4] 뉴스 The Word: Sting pain index https://www.newscien[...] 2007-08-15
[5] 서적 Encyclopedia of Entomology Springer 2008
[6] 서적 The Sting of the Wi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6
[7] 서적 Butterflies, Moths, and Other Invertebrates of Costa Rica: A Field Guid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0
[8] 뉴스 The World's Most Painful Insect Sting http://www.bbc.com/e[...] 2016-10-08
[9] 간행물 Princess Bala's sting http://web.expasy.or[...] 2001
[10] 서적 Latin American Insects and Entom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 서적 Systema Entomologiae, Sistens Insector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Adiectis Synonymis, Locis, Descriptionibus, Observationibus Libraria Kortii 1775
[12] 간행물 Tableau méthodique des insectes. Classe huitième. Insectes, Insecta http://antbase.org/a[...] 1804
[13] 서적 Catalogue of hymenopterous insect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art VI. Formicidae http://www.antwiki.o[...] British Museum 1858
[14] 간행물 Formicidarum index synonymicus http://antbase.org/a[...] 1863
[15] 간행물 Hymenoptera. Fam. Formicidae. Subfam. Ponerinae. http://antcat.org/do[...] 1911
[16] 간행물 Notes sur les sous-familles des dorylines et ponérines (famille des Formicides) http://antbase.org/a[...] 1901
[17] 간행물 Contributions toward a reclassification of the Formicidae. II. Tribe Ectatommini (Hymenoptera) 1958
[18]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classification of ectatommine ants (Hymenoptera: Formicidae) 1994
[19] 간행물 ' Synopsis and classification of Formicidae' http://antcat.org/do[...]
[20] AntCat "''Paraponera clavata''"
[21] 간행물 'The identity of the Dominican'' Paraponera''. (Amber Collection Stuttgart: Hymenoptera, Formicidae. V: Ponerinae, partim.)' http://www.antwiki.o[...] 1994
[22] 간행물 'Ants of the Dominican amber (Hymenoptera: Formicidae) 4. A giant ponerine in the genus ''Paraponera''' http://antbase.org/a[...] 1985
[23] 간행물 Behavior and Host Location Cues of Apocephalus paraponerae (Diptera: Phoridae), a Parasitoid of the Giant Tropical Ant, Paraponera clavata (Hymenoptera: Formicidae)
[24] 웹사이트 Giant Tropical Bullet Ant, Paraponera clavata, Natural History and Captive Management http://www.sasionlin[...] 2014-06-10
[25] 웹사이트 "Species: ''Paraponera clavata'' (Fabricius, 1775)" https://www.antweb.o[...] The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15-09-02
[26] 간행물 A predictive distribution map for the giant tropical ant, ''Paraponera clavata'' 2007
[27] 간행물 Nest Tree Selectivity by the Tropical Ant, Paraponera clavata
[28] 웹사이트 A cryptic species complex in the ant parasitoid Apocephalus paraponerae (Diptera: Phoridae) http://www.biology.u[...]
[29] 웹사이트 Schmidt pain scale http://www.nhm.ac.uk[...] 2021-08-03
[30]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painful insect sting http://www.bbc.com/e[...] 2021-08-03
[31] 간행물 Description of an injury in a human caused by a false tocandira (Dinoponera gigantea, Perty, 1833) with a revision on folkloric,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aspects of the giant ants of the genera Paraponera and Dinoponera (sub-family Ponerinae) 2005-08
[32] 간행물 Poneratoxin, a neurotoxin from ant venom: Structure and expression in insect cells and construction of a bio-insecticide 2004-05-10
[33] 뉴스 Bitten by the Amazon https://www.thetimes[...] 2021-08-08
[34] Youtube Initiation With Ants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2014-02-13
[35] 뉴스 The Word:Sting pain index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No 2617, 2010-09-26
[36] 서적 Latin American insects and entom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11-03
[37] 논문 Behavior and Host Location Cues of Apocephalus paraponerae (Diptera: Phoridae), a Parasitoid of the Giant Tropical Ant, Paraponera clavata (Hymenoptera: Formicidae)
[38]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of Bullet Ants http://www.sasionlin[...]
[39] 논문 Nest Tree Selectivity by the Tropical Ant, Paraponera clavata
[40] 간행물 Poneratoxin, a neurotoxin from ant venom. Structure and expression in insect cells and construction of a bio-insecticide http://content.febsj[...]
[41] 웹사이트 Princess Bala's sting http://us.expasy.org[...] 2001-09
[42] 뉴스 Bitten by the Amazon http://travel.timeso[...] 2008-01-06
[43] 논문 Insects and their chemical weaponry: New potential for drug discovery
[44] Youtube Incredible Ritual With Hundreds of Poisonous Bullet Ants https://www.youtube.[...] 2007-01-26
[45] 웹사이트 A cryptic species complex in the ant parasitoid Apocephalus paraponerae (Diptera: Phoridae) http://www.biology.u[...] 2012-11-21
[46] 문서 침 고통 지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