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통이리등처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통이리등처장군은 청나라가 신장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직책이다. 1762년 건륭제는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고 만주족 명서이를 초대 이리 장군으로 임명했다. 이리 장군은 신장 지역의 최고 군사 지휘관으로서, 휘하에 참찬대신, 도통, 만주 팔기군, 녹영 등을 두어 군무를 관리했다. 청나라는 이리 장군을 통해 군사적 통치를 강화하고, 베그 관인제를 통해 현지 유력자에게 자치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신장 지역을 통치했다. 1864년 신장 회족 반란과 러시아의 침공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1884년 신장성이 설치되고 수도가 우루무치로 이전되면서 이리 장군은 점차 정치적 지위를 잃었다. 신해혁명 이후 이 직책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총통이리등처장군 |
---|
2. 역사
1759년 건륭제의 준가르 정복(청-준가르 전쟁) 이후, 청나라는 새로운 영토인 신강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했다.[2] 청 제국은 준가르 통치 체제를 계승하여 톈산산맥 북쪽 이리 분지를 중요 거점으로 삼았다.[2]
1762년, 청 조정은 초대 이리 장군으로 만주족 출신 명서이(밍루이)를 임명하고, 이리 지역에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여 신강 통치의 핵심 기관으로 삼았다.[2] 군무 관리를 위해 이리 장군 휘하에 무관()과 제국 주재관() 직책이 설치되어 톈산 산맥 북쪽과 남쪽의 군무를 관리했다. 북부 관구() 또는 타림 분지는 이리 참찬 대신(), 5명의 영대 대신(), 타르바가타이 참찬 대신() 그리고 반사 겸 영대 대신()이 관리했다.
1763년, 건륭제는 이리강 북쪽에 새로운 후이위안시(현 후이위안 진, 훠청현) 건설을 명했고, 이후 후이위안은 청나라 신장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2] 그 후 중가리아 또는 이리 분지 전체에 걸쳐 8개의 요새 도시가 추가로 건설되었다.[2] 만주 팔기군의 본부는 후이위안과 후이닝시(현 바얀다이진 [])에 있었고, 녹영은 수이딩(현 수이딩 진)에 사령관을 둔 채 나머지 마을에 분산되었다. 위구르 상인(타란치 포함)은 닝위안시(현 이닝시)에 거주했다.
1864년, 동치제 치세 동안, 이 동쪽의 1862-77 둥간 반란과 동시에 발발했다. 러시아 차르국이 1865년 이리 분지를 침공한 후 후이위안을 파괴했고, 1876년 청나라 장군 쭤쭝탕은 대군을 이끌고 야쿠브 베크의 신장 남부 점령을 종식시켰다. 1881년 청군은 이리 분지를 탈환했고 2년 후 이전 부지에서 북쪽에 후이위안을 재건했다.
1884년 신장은 공식적으로 성이 되었고 수도는 디화 (우루무치)였으며, 후이위안은 점차 이 지역의 중심지로서의 정치적 지위를 잃어갔다. 이리 장군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이 직책이 폐지될 때까지 신성의 북부 방어를 책임졌다.
1762년, 청 조정은 신장 지역의 통치를 위해 이리 장군 직책을 신설하고 밍 루이를 초대 이리 장군으로 임명했다.[2] 이리 장군은 신장 지역의 최고 군사 지휘관이었다.[2] 1763년, 건륭제는 이리강 북쪽에 혜원성(후이위안청)을 건설하여 이리 장군의 주둔지로 삼았다.[2] 이후 혜원성은 청나라 신장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2]
이리 장군 휘하에는 톈산 산맥 북쪽과 남쪽의 군무를 관리하기 위해 '두퉁'()과 제국 주재관() 직책이 설치되었다.[2] 이리, 타르바가타이, 카슈가르 등에는 참찬대신(參贊大臣)을 두어 각 지역의 군무를 관리하게 했다.[2] 우루무치에는 도통(都統)을 두어 동부 지역을 관할하게 했다.[2]
이리 장군은 만주 팔기군과 녹영을 지휘했으며, 시버족, 솔론족, 다우르족 등 퉁구스계 민족으로 구성된 군대도 통솔했다. 팔기군의 본부는 혜원성과 혜녕성에 있었고, 녹영은 수이딩에 사령관을 두고 나머지 마을에 분산되었다.[2]
청은 현지 유력자들에게 자치를 허용하는 베그 관인제를 시행하여 기존 사회 구조를 유지하면서 통치했다. 청은 군사적 관점에서 신강을 경영했기 때문에 한족 이주와 주둔군의 현지인 접촉을 제한하고, 현지 징세액도 낮게 유지했다.
1864년, 동치제 치세 동안, 1862-77 둥간 반란과 동시에 이 발발했다.[3]
1864년(동치제 때), 신강 지역에서 대규모 회족 반란(둥간 봉기)이 발생하여 이리 장군 밍쇼이의 야먼이 점령당하는 등 혼란이 발생했다.[3] 밍쇼이는 자폭했고, 그의 전임자 창칭()은 체포되었다.[3] 이 틈을 타 러시아 제국이 이리 지방을 점령하고 혜원성을 파괴했다.[2]
청 조정은 흠차대신 쭤쭝탕을 파견하여 1876년 야쿱 베크 세력을 진압했다.[2] 1881년, 청은 러시아와 '''이리 조약'''을 체결하여 막대한 배상금과 맞바꿔 이리 지역을 반환받았다.[2]
1884년, 청은 신장성을 설치하고 중국 대륙과 동일한 행정 제도를 도입했다.[2] 이리 장군은 명목상 신강 북부 방위를 담당하게 되었고, 실질적인 행정권은 한족 순무(巡撫)에게 이관되었다.[2] 이리는 신장 전역에 대한 정치적 중심지 지위를 잃고, 그 지위는 신장성의 관아가 설치된 '''디화''' (현재의 우루무치)로 옮겨졌다.[2]
신해혁명 이후 이리 장군 제도는 폐지되었다.[2]
2. 1. 설치 배경
1759년 건륭제의 준가르 정복(청-준가르 전쟁) 이후, 청나라는 새로운 영토인 신강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했다.[2] 청 제국은 준가르 통치 체제를 계승하여 톈산산맥 북쪽 이리 분지를 중요 거점으로 삼았다.[2]1762년, 청 조정은 초대 이리 장군으로 만주족 출신 명서이(밍루이)를 임명하고, 이리 지역에 이리 장군부를 설치하여 신강 통치의 핵심 기관으로 삼았다.[2] 군무 관리를 위해 이리 장군 휘하에 무관()과 제국 주재관() 직책이 설치되어 톈산 산맥 북쪽과 남쪽의 군무를 관리했다. 북부 관구() 또는 타림 분지는 이리 참찬 대신(), 5명의 영대 대신(), 타르바가타이 참찬 대신() 그리고 반사 겸 영대 대신()이 관리했다.
1763년, 건륭제는 이리강 북쪽에 새로운 후이위안시(현 후이위안 진, 훠청현) 건설을 명했고, 이후 후이위안은 청나라 신장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2] 그 후 중가리아 또는 이리 분지 전체에 걸쳐 8개의 요새 도시가 추가로 건설되었다.[2] 만주 팔기군의 본부는 후이위안과 후이닝시(현 바얀다이진 [])에 있었고, 녹영은 수이딩(현 수이딩 진)에 사령관을 둔 채 나머지 마을에 분산되었다. 위구르 상인(타란치 포함)은 닝위안시(현 이닝시)에 거주했다.
1864년, 동치제 치세 동안, 이 동쪽의 1862-77 둥간 반란과 동시에 발발했다. 러시아 차르국이 1865년 이리 분지를 침공한 후 후이위안을 파괴했고, 1876년 청나라 장군 쭤쭝탕은 대군을 이끌고 야쿠브 베크의 신장 남부 점령을 종식시켰다. 1881년 청군은 이리 분지를 탈환했고 2년 후 이전 부지에서 북쪽에 후이위안을 재건했다.
1884년 신장은 공식적으로 성이 되었고 수도는 디화 (우루무치)였으며, 후이위안은 점차 이 지역의 중심지로서의 정치적 지위를 잃어갔다. 이리 장군은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이 직책이 폐지될 때까지 신성의 북부 방어를 책임졌다.
2. 2. 청 중기 (1762년 ~ 1864년)
1762년, 청 조정은 신장 지역의 통치를 위해 이리 장군 직책을 신설하고 밍 루이를 초대 이리 장군으로 임명했다.[2] 이리 장군은 신장 지역의 최고 군사 지휘관이었다.[2] 1763년, 건륭제는 이리강 북쪽에 혜원성(후이위안청)을 건설하여 이리 장군의 주둔지로 삼았다.[2] 이후 혜원성은 청나라 신장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2]이리 장군 휘하에는 톈산 산맥 북쪽과 남쪽의 군무를 관리하기 위해 '두퉁'()과 제국 주재관() 직책이 설치되었다.[2] 이리, 타르바가타이, 카슈가르 등에는 참찬대신(參贊大臣)을 두어 각 지역의 군무를 관리하게 했다.[2] 우루무치에는 도통(都統)을 두어 동부 지역을 관할하게 했다.[2]
이리 장군은 만주 팔기군과 녹영을 지휘했으며, 시버족, 솔론족, 다우르족 등 퉁구스계 민족으로 구성된 군대도 통솔했다. 팔기군의 본부는 혜원성과 혜녕성에 있었고, 녹영은 수이딩에 사령관을 두고 나머지 마을에 분산되었다.[2]
청은 현지 유력자들에게 자치를 허용하는 베그 관인제를 시행하여 기존 사회 구조를 유지하면서 통치했다. 청은 군사적 관점에서 신강을 경영했기 때문에 한족 이주와 주둔군의 현지인 접촉을 제한하고, 현지 징세액도 낮게 유지했다.
1864년, 동치제 치세 동안, 1862-77 둥간 반란과 동시에 이 발발했다.[3]
2. 3. 러시아와의 관계 및 쇠퇴 (1864년 ~ 1911년)
1864년(동치제 때), 신강 지역에서 대규모 회족 반란(둥간 봉기)이 발생하여 이리 장군 밍쇼이의 야먼이 점령당하는 등 혼란이 발생했다.[3] 밍쇼이는 자폭했고, 그의 전임자 창칭()은 체포되었다.[3] 이 틈을 타 러시아 제국이 이리 지방을 점령하고 혜원성을 파괴했다.[2]청 조정은 흠차대신 쭤쭝탕을 파견하여 1876년 야쿱 베크 세력을 진압했다.[2] 1881년, 청은 러시아와 '''이리 조약'''을 체결하여 막대한 배상금과 맞바꿔 이리 지역을 반환받았다.[2]
1884년, 청은 신장성을 설치하고 중국 대륙과 동일한 행정 제도를 도입했다.[2] 이리 장군은 명목상 신강 북부 방위를 담당하게 되었고, 실질적인 행정권은 한족 순무(巡撫)에게 이관되었다.[2] 이리는 신장 전역에 대한 정치적 중심지 지위를 잃고, 그 지위는 신장성의 관아가 설치된 '''디화''' (현재의 우루무치)로 옮겨졌다.[2]
신해혁명 이후 이리 장군 제도는 폐지되었다.[2]
3. 역대 이리 장군
푸차 밍슈이는 건륭 27년(1762년) 10월부터 건륭 32년(1767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장기야 아구이는 건륭 32년(1767년) 3월부터 건륭 33년(1768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황기인이다. 아구이는 청나라의 명장이었으나, 강경한 진압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나라 일러투는 건륭 33년(1768년) 7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0월, 건륭 34년(1769년) 12월부터 건륭 36년(1771년) 7월, 건륭 38년(1773년) 7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6월, 건륭 48년(1783년) 8월부터 건륭 57년(1792년) 7월까지 여러 차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바이두 융구이는 건륭 33년(1768년) 10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백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증해는 건륭 34년(1769년) 10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2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슈무루 슈허더는 건륭 36년(1771년) 10월부터 건륭 38년(1773년) 7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백기인이다. 수오누오 무철링은 건륭 41년(1776년)에 이리 장군을 역임한 양황기인이다.
푸차 밍리양은 건륭 48년(1783년) 6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7월, 건륭 59년(1794년) 12월부터 건륭 60년(1795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키푸키트 해록은 건륭 48년(1783년) 7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영탁은 건륭 52년(1787년) 9월부터 건륭 52년(1787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투베트 보닝은 건륭 52년(1787년) 11월부터 건륭 55년(1790년) 6월, 건륭 56년(1791년) 3월부터 건륭 59년(1794년) 12월, 건륭 60년(1795년) 9월부터 가경 5년(1800년) 정월, 가경 5년(1800년) 윤4월부터 가경 7년(1802년) 정월까지 여러 차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포이모 영보는 건륭 55년(1790년) 4월부터 건륭 56년(1791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홍기인이다.
파르말라트 숭균은 가경 5년(1800년) 정월부터 가경 5년(1800년) 윤4월까지 이리 장군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가경 7년(1802년) 정월부터 가경 14년(1809년) 3월, 가경 18년(1813년) 6월부터 가경 20년(1815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욱순진창은 가경 14년(1809년) 3월부터 가경 18년(1813년) 6월, 가경 22년(1817년) 2월부터 가경 25년(1820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사라토그 창링은 가경 20년(1815년) 10월부터 가경 22년(1817년) 2월, 도광 5년(1825년) 10월부터 도광 7년(1827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백기인이다. 창링은 청나라의 장군으로, 비교적 유화적인 통치 방식을 선호한 인물로 평가된다. 고기(高杞)는 가경 22년(1817년) 2월에 만주 양황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경상(庆祥)은 가경 25년(1820년) 4월부터 도광 5년(1825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덕영아(德英阿)는 도광 5년(1825년) 9월에 만주 양람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고, 도광 6년(1826년) 7월부터 도광 9년(1829년) 6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하다나라 이오일린은 도광 9년(1829년) 6월부터 도광 12년(1832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니오후루 특의순보는 도광 12년(1832년) 9월부터 도광 18년(1837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이샨은 도광 18년(1837년) 4월부터 도광 20년(1839년) 3월, 도광 25년(1845년) 11월부터 함풍 4년(1854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소복(关福)은 도광 19년(1839년) 정월부터 도광 20년(1840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양백기인이다. 얀차 부얀타이는 도광 20년(1840년) 3월부터 도광 25년(1845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허셔리 슈힝가는 도광 25년(1845년) 11월에 만주 정람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니오후루 살영아는 도광 25년(1845년) 11월부터 도광 30년(1850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찰랍분태(扎拉芬泰)는 함풍 4년(1854년) 10월부터 함풍 6년(1856년) 10월, 함풍 7년(1857년) 4월부터 함풍 10년(1860년) 7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창칭은 함풍 6년(1856년) 10월부터 함풍 7년(1857년) 4월, 함풍 10년(1860년) 7월부터 동치 3년(1864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낙락 명서는 동치 3년(1864년) 10월부터 동치 5년(1866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홍기인이다. 이운린(李云麟)은 동치 5년(1866년) 5월에 대판 이리 장군을 역임했으나, 기적은 불명이다.
구왈기야 영전은 동치 5년(1866년) 5월부터 광서 2년(1876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이르건기오로 긴숀은 광서 2년(1876년) 10월부터 광서 11년(1885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이다. 석륜(锡纶)은 광서 11년(1885년) 8월부터 광서 12년(1886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이다.
설렁거(色楞额)는 광서 12년(1886년) 8월부터 광서 16년(1890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부륵명액(富勒铭额)은 광서 16년(1890년) 5월에 만주 양백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이르건기오로 장경은 광서 16년(1890년) 5월부터 광서 27년(1901년) 7월, 광서 31년(1905년) 6월부터 선통 원년(1909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마량(馬亮)은 광서 27년(1901년) 7월부터 광서 31년(1905년) 6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한군 정황기인이다. 광복(广福)은 광서 31년(1905년)부터 광서 32년(1906년), 선통 원년(1909년) 5월부터 선통 3년(1911년) 정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타타라 지예는 선통 3년(1911년) 정월부터 선통 3년(1911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홍기인이다. 액륵혼(额勒浑)은 선통 3년(1911년) 11월에 이리 장군을 역임했으나, 기적은 불명이다.
3. 1. 주요 이리 장군 (예시)
푸차 밍슈이는 건륭 27년(1762년) 10월부터 건륭 32년(1767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장기야 아구이는 건륭 32년(1767년) 3월부터 건륭 33년(1768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황기인이다. 나라 일러투는 건륭 33년(1768년) 7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0월, 건륭 34년(1769년) 12월부터 건륭 36년(1771년) 7월, 건륭 38년(1773년) 7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6월, 건륭 48년(1783년) 8월부터 건륭 57년(1792년) 7월까지 여러 차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바이두 융구이는 건륭 33년(1768년) 10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백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증해는 건륭 34년(1769년) 10월부터 건륭 34년(1769년) 12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슈무루 슈허더는 건륭 36년(1771년) 10월부터 건륭 38년(1773년) 7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정백기인이다. 수오누오 무철링은 건륭 41년(1776년)에 이리 장군을 역임한 양황기인이다.
푸차 밍리양은 건륭 48년(1783년) 6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7월, 건륭 59년(1794년) 12월부터 건륭 60년(1795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키푸키트 해록은 건륭 48년(1783년) 7월부터 건륭 48년(1783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영탁은 건륭 52년(1787년) 9월부터 건륭 52년(1787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투베트 보닝은 건륭 52년(1787년) 11월부터 건륭 55년(1790년) 6월, 건륭 56년(1791년) 3월부터 건륭 59년(1794년) 12월, 건륭 60년(1795년) 9월부터 가경 5년(1800년) 정월, 가경 5년(1800년) 윤4월부터 가경 7년(1802년) 정월까지 여러 차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포이모 영보는 건륭 55년(1790년) 4월부터 건륭 56년(1791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홍기인이다.
파르말라트 숭균은 가경 5년(1800년) 정월부터 가경 5년(1800년) 윤4월까지 이리 장군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가경 7년(1802년) 정월부터 가경 14년(1809년) 3월, 가경 18년(1813년) 6월부터 가경 20년(1815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욱순진창은 가경 14년(1809년) 3월부터 가경 18년(1813년) 6월, 가경 22년(1817년) 2월부터 가경 25년(1820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사라토그 창링은 가경 20년(1815년) 10월부터 가경 22년(1817년) 2월, 도광 5년(1825년) 10월부터 도광 7년(1827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백기인이다. 고기(高杞)는 가경 22년(1817년) 2월에 만주 양황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경상(庆祥)은 가경 25년(1820년) 4월부터 도광 5년(1825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덕영아(德英阿)는 도광 5년(1825년) 9월에 만주 양람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고, 도광 6년(1826년) 7월부터 도광 9년(1829년) 6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하다나라 이오일린은 도광 9년(1829년) 6월부터 도광 12년(1832년) 9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니오후루 특의순보는 도광 12년(1832년) 9월부터 도광 18년(1837년) 4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이샨은 도광 18년(1837년) 4월부터 도광 20년(1839년) 3월, 도광 25년(1845년) 11월부터 함풍 4년(1854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소복(关福)은 도광 19년(1839년) 정월부터 도광 20년(1840년) 3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양백기인이다. 얀차 부얀타이는 도광 20년(1840년) 3월부터 도광 25년(1845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허셔리 슈힝가는 도광 25년(1845년) 11월에 만주 정람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니오후루 살영아는 도광 25년(1845년) 11월부터 도광 30년(1850년) 11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황기인이다. 찰랍분태(扎拉芬泰)는 함풍 4년(1854년) 10월부터 함풍 6년(1856년) 10월, 함풍 7년(1857년) 4월부터 함풍 10년(1860년) 7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아이신기오로 창칭은 함풍 6년(1856년) 10월부터 함풍 7년(1857년) 4월, 함풍 10년(1860년) 7월부터 동치 3년(1864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 출신 종실이다. 낙락 명서는 동치 3년(1864년) 10월부터 동치 5년(1866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홍기인이다. 이운린(李云麟)은 동치 5년(1866년) 5월에 대판 이리 장군을 역임했으나, 기적은 불명이다.
구왈기야 영전은 동치 5년(1866년) 5월부터 광서 2년(1876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이르건기오로 긴숀은 광서 2년(1876년) 10월부터 광서 11년(1885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양람기인이다. 석륜(锡纶)은 광서 11년(1885년) 8월부터 광서 12년(1886년) 8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람기인이다.
설렁거(色楞额)는 광서 12년(1886년) 8월부터 광서 16년(1890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백기인이다. 부륵명액(富勒铭额)은 광서 16년(1890년) 5월에 만주 양백기인으로 서리 이리 장군을 역임했다. 이르건기오로 장경은 광서 16년(1890년) 5월부터 광서 27년(1901년) 7월, 광서 31년(1905년) 6월부터 선통 원년(1909년) 5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황기인이다.
마량(馬亮)은 광서 27년(1901년) 7월부터 광서 31년(1905년) 6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한군 정황기인이다. 광복(广福)은 광서 31년(1905년)부터 광서 32년(1906년), 선통 원년(1909년) 5월부터 선통 3년(1911년) 정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몽고 정람기인이다. 타타라 지예는 선통 3년(1911년) 정월부터 선통 3년(1911년) 10월까지 이리 장군을 역임한 만주 정홍기인이다. 액륵혼(额勒浑)은 선통 3년(1911년) 11월에 이리 장군을 역임했으나, 기적은 불명이다.
4. 행정 제도
이리 장군의 휘하에는 이리, 타르바가타이, 카슈가르에 주둔하는 3명의 '''참찬대신'''이 배치되었고, 우루무치에는 '''우루무치 도통'''이 배치되었다. 이들 아래에는 '''변사대신''', '''영대대신''' 등의 직책이 설치되어 각각 각 오아시스 도시를 통치했다. 이리 장군 이하, 이러한 군정관에게는 예외 없이 기인 관료가 임명되었다.
이리 장군의 지휘 하에는 기인으로 구성된 만영과 한인으로 구성된 녹영이 배치되었다. 또한, 그 외에 아무르강 유역에서 이주시킨 시버, 솔론, 다구르 등 퉁구스 계 민족으로 구성된 주방팔기도 이리 장군의 지휘 하에 배치되었다.
청나라 통치 하의 신장에서는 군사적 요직이 기인에 의해 독점된 반면, 각 지방의 말단 행정은 현지 유력자에게 위임되었다. 일찍이 청나라에 복속한 하미와 투루판의 지배자들에게는 자사크제가 적용되어 몽골인 귀족과 동일한 특권이 부여되었다. 또한 타림 분지의 각 오아시스 도시의 지배자들에게도 청나라의 관직이 주어져 자치를 행하는 '''베그 관인제'''가 시행되어, 현지의 사회 구조가 그대로 보존되었다. 그 한편, 한인의 이주자가 많은 신장 동부에는 중국 내지와 동일한 행정 제도가 설치되어 섬감총독이 관할했다.
청나라의 신장 경영은 군사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한인 주민의 이주뿐만 아니라 주둔군의 현지 민과의 접촉도 금지되었다. 현지에서의 징세액도 제한되었기 때문에 청나라 중앙 정부는 내탕금(궁정비)에서 매년 막대한 군사비를 투입하여 신장의 통치 제도를 유지했다.
4. 1. 조직
이리 장군은 이리, 타르바가타이, 카슈가르에 주둔하는 3명의 참찬대신을 휘하에 두었으며, 우루무치에는 우루무치 도통을 배치했다. 이들 아래에는 변사대신, 영대대신 등의 직책을 설치하여 각 오아시스 도시를 통치하도록 했다. 이리 장군을 포함한 이러한 군정관에는 예외 없이 기인 관료가 임명되었다.이리 장군의 지휘 하에는 기인으로 구성된 만영과 한인으로 구성된 녹영이 배치되었다. 그 외에도 아무르강 유역에서 이주시킨 시버, 솔론, 다구르 등 퉁구스 계 민족으로 구성된 주방팔기도 이리 장군의 지휘를 받았다.
4. 2. 통치 방식
청은 현지 유력자들에게 자치를 허용하는 베그 관인제를 시행하여 기존 사회 구조를 유지하면서 간접 통치했다. 하미와 투루판 지역에는 자사크제를 적용하여 몽골인 귀족과 동등한 특권을 부여했다.청나라의 신장 경영은 군사적 관점에서 이루어졌으며, 한족 주민의 이주뿐만 아니라 주둔군의 현지인과의 접촉도 금지되었다. 현지에서의 징세액도 제한되었기 때문에 청나라 중앙 정부는 내탕금(궁정비)에서 매년 막대한 군사비를 투입하여 신장의 통치 제도를 유지했다.
5. 평가 및 의의
참조
[1]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dern China (1800-1949)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3]
서적
Holy War in China: The Muslim Rebellion and State in Chinese Central Asia, 1864-1877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