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버족은 중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 자칭은 'Śivə', 중국어로는 '시보(Xibo)'로 불린다. 여진족의 일파였으며, 청나라 시기 군인으로서 서북 지역으로 파견되어 정착했다. 시버어는 만주어의 방언이며, 중국 내 시버족은 주로 랴오닝성에 거주하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도 상당수가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버족 - 구왈기야 할라
구왈기야 할라는 청나라 시대 주요 가문으로, 여러 갈래로 나뉘어 활동했으며, 군공을 세워 관직을 받거나 유명 인물을 배출한 만주족의 8대 성씨 중 하나이다. - 시버족 - 시버어
시버어는 퉁구스어족 남부 그룹에 속하며 만주어와 함께 분류되고, 1764년 이후 퉁구스어 사용 지역과 떨어져 발전하여 만주어 방언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8개의 모음과 시버 문자를 사용하고,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에서 교육 및 언론 활동이 이루어진다.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신장 - 신장 독립운동
신장 독립운동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동투르키스탄" 또는 "위구르스탄"이라는 명칭으로 정치적, 문화적 독자성을 강조하며 분리 독립을 추구하는 운동으로, 과거 두 차례 공화국 수립 시도가 있었으나 중국 정부의 탄압과 재교육 캠프 운영으로 비판받고 있다. - 신장 - 위구르 카간국
위구르 카간국은 744년부터 840년까지 몽골 고원을 지배한 튀르크계 유목 제국으로,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건국되었으며 당나라와 우호 관계를 유지, 마니교를 국교로 삼아 번성했으나 키르기스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여 일부는 서쪽으로 이동했다.
시버족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 만다린 중국어, 시버어 |
종교 | 티베트 불교, 샤머니즘 |
관련 민족 | 만주족, 다우르족, 나나이족, 오로크족, 에벤크족, 솔론족 |
인구 | |
총 인구 | 190,481명 |
거주 지역 | 중국 랴오닝성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 헤이룽장성 중국 지린성 중국 내몽골 자치구 |
민족 명칭 | |
시버어 | (Sibe) |
로마자 표기 | Sibo, Xibo |
중국어 간체 | 锡伯 |
중국어 번체 | 錫伯 |
병음 | Xībó |
2. 명칭
시버족은 여러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시버족의 자칭은 'Śivə'이며, 중국어 공식 명칭은 '시보(Xibo)'이고, 러시아 문헌에서는 '시빈치(Сибинцы, sibintsy)'와 '시빈치(Шибинцы, shibintsy)'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영어 저작물에서는 '시브(Sibe)'라는 이름이 정착되었으며, 이는 표기 형태와 일치한다.[1]
시버족은 본래 만주 지역에 살던 여진족의 일파였다. 1593년 누르가치가 이끄는 만주군에 정복되어 몽골 팔기 및 만주 팔기에 편입되었다. 이후 청나라 군대에 복무하며 중국 각지에 주둔하게 되었다.
3. 역사
1764년 건륭제 시기, 1,016명의 시버족 병사가 신장 변경 수비를 명받아 만주에서 이주했으며, 가족 및 친척 수천 명도 함께 이주했다.[21] 이들이 바로 신장 시버족의 기원이다. 만주족이 만주어를 상실한 현재, 신장의 시버족은 만주어를 사용하며, 만주 문자를 읽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민족이다.
이리 지역으로 이주한 신장 시버족은 불교 사원을 건설하고 채소, 담배, 양귀비를 재배했다.[8] 그러나 청나라가 회족의 둔간 반란 (1862–1877)을 진압하고, 반란 기간 동안 이리 지역을 점령한 러시아에 맞서 싸우면서 시버족의 인구는 감소했다.[3]
중화민국 (1912–1949) 시대에, 북동 지역의 많은 시버족은 반일 의용군에 합류하여 일본에 저항했고, 북서 지역의 시버족은 이리 사변 동안 중국 국민당에 맞서 싸웠다.
1949년 중국 공산 혁명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시버족을 위한 대규모 교육 및 위생 개선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시버족의 문맹률이 감소하고 차푸차얼 질병 (A형 보툴리누스증)이 근절되었다.[3]
1954년에는 시버족 인구가 가장 밀집된 신장 닝시현을 대체하여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이 설립되었다.[3]
3. 1. 기원과 초기 역사
시버족은 본래 만주에서 거주하던 민족이다. 이들은 여진족의 일파이며, 여진족의 민족 통일 이후 후금(後金)이 세워지면서 만주족에 흡수되었다. 후금이 청(淸)으로 발전하면서 18세기 중엽에 군인들로서 서북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당시 시버족은 서북 지역으로 파견되면서 2만호의 한족들을 노비로 끌고 갔고, 끌려간 한족 노비들도 시버어를 사용하면서 현재는 시버족이 되었다.[3] 청나라 시절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파이나 만주족 통합에 거부한 만주족 일파 중 하나였기 때문에 시버족으로 불리게 되었다. 하지만 시버족 또한 여진어를 사용하고 여진의 풍습을 사용하는 여진족이라는 인식이 당연시되어 있었다.
러시아 학자 엘레나 P. 레베데바에 따르면, 시버족은 고대 선비족의 남쪽, 퉁구스어를 사용하는 분파에서 유래되었다. 그들은 현재 지린성의 쑹위안과 치치하얼 지역에서 작은 마을과 같은 정착지에서 살았으며, 일부는 유목생활을 했다.[3]
부여가 286년에 선비족에게 정복되었을 때, 남부 시위는 농업을 시작했다.[3] 일부 역사가들은 선비족이 시버족의 직접적인 조상이라고 이론화했는데,[1] 일부에서는 정치적인 동기가 있다고 묘사한다. 패멀라 카일 크로슬리는 선비족이 초기 튀르크어 또는 원시 몽골어에서 퉁구스어로 언어 변화를 겪었을 수 있다고 썼다. 그러나 선비족 시대에는 "시버"라는 이름이 역사 기록에 사용되지 않았다.[4]
한나라, 조위 그리고 서진은 때때로 시버족을 지배하다가 돌궐이 등장하면서 중국 왕조보다 시버족에게 낮은 지위를 부여했다.[3] 영토가 가장 널리 흩어져 있을 때, 시버족은 동쪽으로 지린, 서쪽으로 후룬베이얼, 북쪽으로 눈 강, 남쪽으로 랴오 강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지역에 살았다.[1] 요나라가 멸망한 후, 시버족은 호르친 몽골족의 봉신이 되었으며, 1438년에 호르친족이 오이라트에게 패배한 후 눈과 쑹화 계곡으로 이동했다.[3]
만주족의 첫 번째 주요 인물인 누르가치는 중국의 청나라를 건국하기 위해 가는 길에 1593년 구레 전투에서 시버족을 격파했다. 그 시점부터 청나라는 중국 북부 국경에서 러시아 제국의 팽창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시버족과 물류 지원 계약을 체결했다.[3] 크로슬리는 시버족이 "태평양으로 이동하는 러시아인들에게 매우 잘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인들이 그들을 따서 시베리아의 이름을 지었다고 주장한다.[4] 1692년에 호르친은 은의 대가로 시버족, 구왈카족, 다우르족을 강희제에게 헌납했다. 시버족은 팔기군에 편입되어 치치하얼 및 중국 북동부의 다른 도시에 주둔했다.[5]
1700년, 약 20,000명의 치치하얼 시버족이 후허하오터(현대 내몽골)로 재정착했고, 36,000명의 쑹위안 시버족이 랴오닝성 선양으로 재정착했다. 고레로바는 치치하얼에서 시버족을 재배치한 것은 1697년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킨 만주 씨족 호이판(호이파)과 1703년 만주 부족 울라를 청나라가 완전히 몰살시킨 것과 관련이 있다고 믿고 있다.[6] 제리 노먼에 따르면, 1764년 치치하얼 시버족의 반란 이후, 건륭제는 18,000명의 시버족을 준가리아의 이리 강으로 이송하기 위해 800명의 군사 호위를 명령했다.[3][7]
3. 2. 청나라 시기
이들은 본래 만주에서 거주하던 여진족의 일파였다. 후금이 세워지면서 만주족에 편입되었고, 후금이 청으로 발전하면서 18세기 중엽 군인으로서 서북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당시 시버족은 2만호의 한족들을 노비로 끌고 갔는데, 이 한족 노비들도 시버어를 사용하면서 현재는 시버족이 되었다. 청나라 시절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파이나 만주족 통합에 거부했기 때문에 시버족으로 불리게 되었지만, 여진어를 사용하고 여진의 풍습을 사용하는 여진족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요나라가 멸망한 후, 시버족은 호르친 몽골족의 봉신이 되었으며, 1438년에 호르친족이 오이라트에게 패배한 후 눈과 쑹화 계곡으로 이동했다.[3]
만주족의 누르가치는 1593년 구레 전투에서 시버족을 격파했다. 그 시점부터 청나라는 중국 북부 국경에서 러시아 제국의 팽창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시버족과 물류 지원 계약을 체결했다.[3] 1692년에 호르친은 은의 대가로 시버족, 구왈카족, 다우르족을 강희제에게 헌납했다. 시버족은 팔기군에 편입되어 치치하얼 및 중국 북동부의 다른 도시에 주둔했다.[5]
1700년, 약 20,000명의 치치하얼 시버족이 후허하오터 (현대 내몽골)로 재정착했고, 36,000명의 쑹위안 시버족이 랴오닝성 선양으로 재정착했다.[6] 제리 노먼에 따르면, 1764년 치치하얼 시버족의 반란 이후, 건륭제는 18,000명의 시버족을 준가리아의 이리 강으로 이송하기 위해 800명의 군사 호위를 명령했다.[3][7]
이리에서 신장 시버족은 불교 사원을 건설하고 채소, 담배, 양귀비를 재배했다.[8] 시버족의 인구는 청나라가 회족의 둔간 반란 (1862–1877)을 진압하고 반란 동안 이리에 대한 러시아 점령에 대항하기 위해 그들을 사용한 후 감소했다.[3]
3.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이들은 본래 만주에서 거주하던 민족으로, 여진족의 일파이다. 후금 건국 이후 만주족에 편입되었고, 청나라 시기에는 군인으로서 서북 지역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2만 호의 한족들을 노비로 끌고 갔는데, 이들 역시 시버어를 사용하며 시버족으로 동화되었다. 청나라 시절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파였으나, 만주족 통합에 반대했기 때문에 시버족으로 불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버족은 여진어를 사용하고 여진 풍습을 따랐기 때문에 여진족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민족들을 현대 소수 민족과 연결시키려 하면서, 시버족과 선비족의 발음 유사성을 근거로 시버족을 선비족의 후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한자 발음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며, 시버족이 선비족의 후예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시버족은 선비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적이 없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청나라 시절에는 시버족과 선비족의 연관성이 언급된 적도 없다. 또한, 시버족과 선비족은 공통된 언어나 전통이 없어 시버족은 선비족의 후예가 아닌 만주족의 일종임을 알 수 있다.[3]
중화민국 (1912–1949) 시대에 많은 북동 시버족은 반일 의용군에 참여했고, 북서 시버족은 이리 사변에서 중국 국민당에 맞서 싸웠다. 1949년 중국 공산 혁명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대규모 교육 및 위생 사업을 통해 시버족의 문맹률이 감소하고 차푸차얼 질병 (A형 보툴리누스증)이 근절되었다.[3]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민족의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신장의 닝시현을 대체하기 위해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을 설립했다.[3]
4. 언어
시버어는 만주어의 방언 수준으로, 현재 약 3만여 명이 사용하고 있으며, 신문, 방송 등 매체로도 활성화되어 있다.[12]
중국 동북부의 시버족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청나라 군 수비대의 후손들은 시버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퉁구스어족의 남부 퉁구스어에 속한다. 이들은 형태음운론적 변화를 겪었으며, 중국어, 러시아어, 위구르어, 카자흐어 등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들로부터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만주에 거주하는 시버족은 한문과 몽골 문자를 사용하지만, 신장에 거주하는 시버족은 알타이어족의 만주어에 속하는 시버어를 사용하며, 만주 문자를 개량한 시버 문자를 사용한다.
5. 문화
대부분의 역사적 분석에 따르면 시버족은 만주족의 일부로 취급된 적이 없으며, 스스로도 만주족과 동일하다고 인식하지 않는다. 시버족 수비대는 만주족 수비대와 별도로 관리되었으며 동일한 권리를 누리지 못했다. 시버족 병사들은 자급자족하기 위해 토지에 정착하여 생계를 유지해야 했던 반면, 만주족 수비대는 청나라에서 지원을 받았다. 역사적으로 불평등한 행정적 대우와 팔기에 늦게 편입된 것과 함께, 최근에는 시버족 스스로의 인식과 국가적 인정 모두에서 시버족을 만주족과는 구별되는 소수 민족으로 보고 있다.[12]
시버족의 역사적 종교로는 샤머니즘과 불교가 있다. 시버족의 전통 의상은 남성의 경우 단추가 달린 짧은 재킷과 바지, 여성의 경우 몸에 꼭 맞고 끈으로 장식된 긴 가운이었다. 정략결혼이 흔했고 여성은 재산을 상속받을 권리가 없는 등 사회적 지위가 낮았다.[1] 오늘날 거의 모든 시버족은 현대 의상을 입고 있으며, 전통 의상은 축제 기간에 노인들이 입는다. 전통적으로 시버족은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남성 중심의 씨족인 여러 ''할라''로 나뉘었다. 현대까지 시버족의 거주지에는 최대 3세대가 함께 살았는데, 아버지가 살아있는 동안 아들이 집을 나가 가족 씨족을 깨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1]
중국 동북부의 시버족은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중국 동북부의 일부 시버족 공동체에서는 여성은 정식 결혼 전에는 남성과 함께 살 수 없다. 이 기간 동안 남성은 특정 행위와 의식을 통해 정식으로 청혼하고 결혼 의사를 밝혀야 한다. 여성은 청혼을 받아들이고 결혼이 성사된 후에야 남성의 집으로 이사할 수 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청나라 군 수비대의 후손들은 시버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퉁구스어족의 남부 퉁구스어로, 형태음운론적 변화를 겪었으며 중국어, 러시아어, 위구르어, 카자흐어를 포함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북신장의 여러 민족은 음악 문화를 공유하고 서로의 음악에서 요소를 차용해왔다.[13]
6. 분포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는 190,481명의 시버족이 있으며, 남자는 99,571명, 여자는 90,910명이다.[2] 시버족은 랴오닝성(132,431명)에 가장 많이 거주하며, 신장 자치구(34,399명), 헤이룽장성(7,608명), 지린성(3,113명), 내몽골 자치구(3,000명) 등에도 상당수가 분포한다.[2]
시버족의 원거주지는 내몽골 자치구 북부 후룬베이얼 시하이라얼에 있는 실위산으로, 여진족의 일종이다. 랴오닝성의 선양, 카이위안, 이현, 베이전, 신민, 펑청 등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이리 카자흐 자치주차푸차얼 시버 자치현, 일리 강 유역의 훠청 현, 토쿠스타라 현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지린성의 푸위 시, 첸골로스 몽골족 자치현, 베이징 등에도 분산되어 있다.
성급 행정 구역 | 2010년[2] | |
---|---|---|
인구 | 중국 전체 시버족 중 비율 | |
랴오닝성 | 132,431 | 69.52% |
신장 | 34,399 | 18.06% |
헤이룽장성 | 7,608 | 3.99% |
지린성 | 3,113 | 1.63% |
내몽골 자치구 | 3,000 | 1.57% |
베이징시 | 2,569 | 1.35% |
허베이성 | 851 | 0.45% |
광둥성 | 705 | 0.37% |
상하이시 | 696 | 0.37% |
산둥성 | 661 | 0.35% |
톈진시 | 536 | 0.28% |
장쑤성 | 433 | 0.23% |
산시성 | 416 | 0.22% |
쓰촨성 | 381 | 0.20% |
간쑤성 | 299 | 0.16% |
허난성 | 273 | 0.14% |
후베이성 | 228 | 0.12% |
저장성 | 200 | 0.10% |
구이저우성 | 185 | 0.10% |
닝샤 | 184 | 0.10% |
산시성 | 158 | 0.08% |
윈난성 | 158 | 0.08% |
광시 | 146 | 0.08% |
안후이성 | 143 | 0.08% |
충칭시 | 143 | 0.08% |
푸젠성 | 142 | 0.08% |
후난성 | 136 | 0.07% |
칭하이성 | 128 | 0.07% |
장시성 | 81 | 0.04% |
하이난성 | 72 | 0.04% |
티베트 | 6 | < 0.01% |
합계 | 190,481 | 100.00% |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버족 인구는 188,824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공인하는 56개 민족 중 31번째로 많다.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
- 하얼빈시솽청 구
- * 농펑 만족 시버족 진
- 푸위 시
- * 싼쥔 만주족 몽골족 시버족 향
6. 1. 신장 위구르 자치구
2010년 중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는 34,399명의 시버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전체 시버족의 18.06%를 차지하며, 신장 전체 인구의 0.16%를 차지한다.[2]지급 행정 구역 | 2015년[14] | 2018년[15] | ||
---|---|---|---|---|
인구 | 신장 전체 시버족 인구 비율 | 인구 | 신장 전체 시버족 인구 비율 | |
이리 카자흐 자치주 | 34,457 | 80.18% | 33,879 | 79.21% |
우루무치 | 5,686 | 13.23% | 5,767 | 13.48% |
카라마이 | 986 | 2.29% | 1,033 | 2.42% |
창지 후이족 자치주 | 651 | 1.51% | 666 | 1.56%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196 | 0.46% | 425 | 0.99% |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 265 | 0.62% | 226 | 0.53% |
신장 생산건설병단 | 305 | 0.71% | 202 | 0.47% |
아커쑤 | 126 | 0.29% | 177 | 0.41% |
하미 | 158 | 0.37% | 155 | 0.36% |
카슈가르 | 100 | 0.23% | 133 | 0.31% |
호탄 | 12 | 0.03% | 55 | 0.13% |
크즐레수 키르기스 자치주 | 6 | 0.01% | 33 | 0.08% |
투르판 | 26 | 0.06% | 21 | 0.05% |
신장 전체 | 42,974 | 100.00% | 42,772 | 100.00% |
신장 자치구에 거주하는 시버족 약 43,000명 중 약 34,000명은 이리 카자흐 자치주에 거주하며, 이곳에는 차푸차얼 시버 자치현이 있다.[14][15] 2018년 기준으로 자치현에는 19,984명의 시버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인구의 10.28%를 차지한다. 자치현에는 한족, 위구르족, 카자흐족과 같은 더 큰 민족들이 주로 거주한다.[15]
7. 저명한 인물
- 퉁리야 - 배우[1]
- 우첸 - 은퇴한 농구 선수[2]
- 얼구룬 - 청나라 군인. 자한기르 호자의 난 평정에 활약.[3]
참조
[1]
웹사이트
The Xibe ethnic minority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11-11-12
[2]
웹사이트
1-6 各地区分性别、民族的人口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10
[3]
서적
Post-Soviet Central Asia
Tauris Academic Studies
[4]
harvnb
1997
[5]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11-15
[6]
서적
Gorelova 2002
https://books.google[...]
[7]
서적
Gorelova 2002
https://books.google[...]
[8]
서적
Gorelova 2002
https://books.google[...]
[9]
서적
Turkistan: 2
https://archive.org/[...]
Sampson Low, Marston, Searle &Rivington
1876
[10]
서적
Turkistan: Notes of a Journey in Russian Turkistan, Khokand, Bukhara and Kuldja, Volume 2
https://books.google[...]
S.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1876
[11]
서적
Turkestan: Notes of a Journey in Russian Turkistan, Khorand, Bukhara, and Kuldja
https://books.google[...]
Sampson Low
1876
[12]
서적
Language Standardisation and Language Variation in Multilingual Contexts: Asian Perspectives
https://www.degruyte[...]
Multilingual Matters
2022-12-31
[13]
서적
Harris 2004
https://books.google[...]
[14]
웹사이트
3-7 各地、州、市、县(市)分民族人口数
http://www.xjtj.gov.[...]
Statistic Bureau of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2017-03-15
[15]
웹사이트
3-7 各地、州、市、县(市)分民族人口数
http://tjj.xinjiang.[...]
Statistic Bureau of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2020-06-10
[16]
서적
ダイチン・グルンとその時代:帝国の形成と八旗社会
名古屋大学出版会
2009-02
[17]
서적
満州語『満洲実録』訳編(中国語、満州語)・巻一
2015
[18]
뉴스
「シボ族・西遷節」
https://web.archive.[...]
サーチナニュース
2007-06-05
[19]
웹사이트
シボ族 xibo zu Xibe ethnic minority group
http://japanese.chin[...]
中国网 JAPANESE.CHINA.ORG.CN
[20]
뉴스
石田耕一郎「消えゆく満州語」2・3
朝日新聞(大阪本社夕刊)
2013-12-10
[21]
서적
中国の歴史 12 清朝二百余年
平凡社
1982-12
[22]
간행물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http://www.genetic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