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전역은 정암터널 개통으로 태백선 잔여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설된 역으로, 1973년부터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고도(해발 855m)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7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화물 취급, 여객 취급을 거쳐 현재는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계통 변경으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대합실은 문화공간으로 개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백시의 건축물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태백시의 건축물 - 태백역
    태백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선의 역으로, ITX-마음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제천, 원주, 청량리, 동해 방면 열차가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태백선 - 민둥산역
    민둥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있는 태백선과 정선선이 지나는 철도역으로, 1966년 증산역으로 시작하여 2009년 민둥산역으로 변경되었으며, ITX-마음,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가 정차하고 정선선의 기점이다.
  • 태백선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태백시의 교통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태백시의 교통 - 태백역
    태백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태백선의 역으로, ITX-마음과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제천, 원주, 청량리, 동해 방면 열차가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추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杻田駅
한국어 표기추전
로마자 표기Chujeon
한자 표기杻田驛
역舎
역舎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싸리밭길 47-63
노선태백선
역 종류보통역
역 등급3급
소속 사업자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제천 기점 89.4 km
개업일1973년 11월 10일
관리역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태백관리역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노선 정보
역 구조지상역
승강장2면 3선
이전 역고한
다음 역태백
역간 거리고한 9.0km, 태백 6.0km

2. 역사

정암터널 개통과 함께 태백선 잔여 구간이 개통되면서 1973년 11월 10일 추전역이 신설되었다. 건설 당시 국토건설단원이 대거 동원되었으며, 역 명칭은 해당 지역의 지명인 싸리밭골에서 따왔다. 추전역은 1973년부터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역이라는 기록(해발 855m)을 유지하고 있다.

2. 1. 연혁

추전역은 정암터널 개통으로 태백선 잔여 구간이 개통되면서 신설된 역이다. 이 역은 1973년 이래로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고도(해발 855m) 기록을 가지고 있다.[3] 건설에 국토건설단원이 대거 동원되었다고 한다. 역의 명칭은 해당 지역의 지명인 싸리밭골에서 따 온 것이다.

2013년 4월 12일부터 2015년 6월 1일까지 O-train이 정차하였다.

날짜내용
1973년 11월 10일역사 신축 준공, 보통역 영업 개시
1975년 10월 10일화물 취급
1995년 1월 10일여객 취급 중지(차내 취급)
1995년 5월 30일추전역 상징탑 건립
1998년 12월 13일환상선 눈꽃순환열차 최초 운행
1999년 9월 19일1번선 타는 곳 포장
1999년 12월 11일화장실 개량(수세식)
2008년 1월 1일모든 정기 여객열차 무정차 통과
2013년 4월 12일중부내륙순환열차(O-Train) 운행 개시, 여객 취급 재개
2013년 11월 14일제천 기점 89.4km로 변경[3]
2015년 6월 1일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계통 변경, 여객 취급 중지
2017년 12월 18일화물 취급 중지[4]


3. 역 구조

추전역은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3. 1. 승강장

대부분 1번 승강장에서 승하차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1번 승강장이 주본선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승강장 형태는 2면 3선의 혼합식 승강장이다.



상대식·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지상역이다.

번호이용 노선
1태백선 (상행, 하행)
2태백선 (상행)
3태백선 (하행)


3. 2. 시설물



선로 번호노선 이름방향
1태백선상행, 하행
2태백선상행
3태백선하행


4. 이용 현황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추전역 이용 현황[5]
연도방향구분이용 인원
태백선무궁화통일
2001년하행승차241824180
하차1741704
상행승차80800
하차247624724
2002년하행승차146714670
하차1248
상행승차000
하차146714670
2003년하행승차204120410
하차8388317
상행승차8318310
하차136613606
2004년하행승차16160
하차1501455
상행승차1251250
하차9709682
2005년하행승차117117폐지
하차510510폐지
상행승차44폐지
하차1212폐지


5. 사진

6. 인접 역

고한역 ← '''추전역''' → 태백역

참조

[1] 웹사이트 해랑 전국일주 3박4일 스케쥴 http://www.railcruis[...] 코레일관광개발 2015-01-31
[2] 웹사이트 해랑 전국일주 3박4일 스케쥴 http://www.railcruis[...] 코레일관광개발 2015-01-31
[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01호 http://gwanbo.mois.g[...] 2013-10-17
[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2017-12-18
[5] 문서 수도권 전철#이용 규모 주석 1번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