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고속버스터미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1989년 임시 정류장으로 운영을 시작하여, 2007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기까지 여러 차례의 어려움을 겪었다. 1999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완공 후 공동 사용 계획이 무산되고, 2002년 퇴계동 임시 터미널 운영 과정에서 시설 기준 미비로 과태료를 부과받기도 했다. 2007년 동부고속이 터미널 건물을 설치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2021년에는 KD운송그룹이 운영권을 인수했다. 현재는 광주, 대구 방면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순천행 노선도 운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건축물 - 춘천고등학교
1924년 개교한 춘천고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3년제 공립 고등학교로 개편되었으며, 지속적인 시설 확충과 함께 2023년까지 31,91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이경주 교장이 취임하였다. - 춘천시의 건축물 - 의암야구장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야구장은 춘천 공설운동장 야구장을 대체하여 2005년 개장, 과거 프로야구팀의 제2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KBO 퓨처스 올스타전 개최, 현재는 2군 경기와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 저니맨 외인구단 홈 구장 등으로 활용되고 외야 관중석이 잔디 언덕으로 조성된 특징을 가진다. - 춘천시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춘천시의 교통 - 서울양양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서울 강동구에서 강원 양양군을 잇는 약 151km의 고속도로로, 1997년 타당성 조사 후 2017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민자 및 국고 구간으로 나뉘고 대한민국 최장 터널인 인제양양터널을 포함하여 원톨링 시스템 도입 등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간성시외버스터미널은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특히 강원도 내 접근성이 낮은 지역까지 연결하는 교통망을 형성하여 관광객 편의 증진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대화버스터미널
대화버스터미널은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 위치하며, 과거 고양시에서 운영했으나 현재는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며 동서울, 강릉, 원주, 춘천, 제천 방면 시외버스와 평창군 농어촌버스를 운행하지만, 경영난으로 매표가 중단되고 시설 노후화와 이용객 감소 문제를 겪고 있다.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춘천고속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대한민국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터미널길14번길 15 (강남동) |
개장 | 1989년 |
이전 | 2007년 7월 10일 |
운영 기관 | KD운송그룹 |
터미널 코드 | 250 |
표기 | 춘천 |
운행 정보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미운행 |
2. 이전 과정
1989년 온의동 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 정류장으로 인가받아 운영을 시작한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여러 차례 이전 및 신축 과정을 거쳤다.
2002년 10월 23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완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외버스 업체들의 동대구 노선 공동운영 요구로 인해 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하지 못했다.[2][3] 2002년 4월 춘천시의 중재로 퇴계동 향토공예관[4] 인근 공터에 컨테이너 박스를 설치하여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였으나, 시설 기준 미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춘천시는 이전개선 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였고, 납부한 과태료는 1200만원이 넘었다.[5]
2006년 11월, 춘천시가 추진하던 동내면 고은리 일대 종합 버스 터미널 건립 계획이 무산되고[6], 운영업체들도 뚜렷한 계획을 내놓지 못하면서 춘천시청에서 터미널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통보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7]
이후 2007년 4월 17일 동부고속이 현 위치에 터미널 건물을 설치하기로 결정하면서[8] 이전이 이루어졌다.
2. 1. 초기 임시 정류장 운영 (1989년 ~ 2002년)
1989년에 온의동 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 정류장으로 인가를 받아 운영을 시작하였다.[1] 운영 시작 당시 터미널 건물은 없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9년에 온의동에 건립될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을 2002년에 완공하여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시외버스 업체들이 동대구 노선을 자신들도 운영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2] 2002년 10월 23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완공 후에도 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하지 못했다.[3]갈 곳이 없어진 고속버스 터미널은 2002년 4월 춘천시의 중재로 퇴계동 향토공예관[4] 인근 공터에 컨테이너 박스를 두고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였다. 당시 고속버스 터미널은 하루 평균 380여 명, 연간 13만여 명이 이용하고 있어 이용객의 불편이 컸다. 이러한 임시 터미널 형태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시설 기준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았고, 춘천시는 뒤늦게 이전개선 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납부한 과태료는 1200만원이 넘었다.[5]
2. 2. 시외버스 업체와의 갈등 및 이전 무산 (2002년)
1989년 온의동 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 정류장으로 인가를 받아 운영되기 시작한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1999년 온의동에 건립될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2002년 완공되면 공동으로 사용하기로 했었다.[1] 그러나 시외버스 업체들이 동대구 노선을 자신들도 운영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2] 2002년 10월 23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완공되었음에도 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하지 못했다.[3]2. 3. 퇴계동 임시 터미널 운영 (2002년 ~ 2007년)
1989년 온의동의 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 정류장으로 인가받아 운영을 시작한 춘천고속버스터미널은, 2002년 10월 23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이 완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외버스 업체들의 동대구 노선 공동운영 요구로 인해 이전하지 못했다.[2][3]2002년 4월, 춘천시의 중재로 퇴계동 향토공예관[4] 인근 공터에 컨테이너 박스를 설치하여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하루 평균 380여 명, 연간 13만여 명이 이용하는 고속버스터미널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시설 기준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게 되자, 춘천시는 뒤늦게 이전개선 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였고, 납부한 과태료는 12억원이 넘었다.[5]
춘천시가 추진하던 동내면 고은리 일대 종합 버스 터미널 건립 계획이 무산되고[6], 운영업체들도 뚜렷한 계획을 내놓지 못하면서, 2006년 11월에는 춘천시청에서 터미널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통보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7]
2. 4. 동내면 종합 터미널 건립 계획 무산 (2006년)
춘천시에서 추진하던 동내면 고은리 일대 종합 버스 터미널 건립 계획이 무산되고[6], 운영 업체들도 이렇다 할 계획을 내지 못하자 2006년 11월에는 춘천시청에서 터미널 면허를 취소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지경까지 이르렀다.[7]2. 5. 현 위치 이전 및 신축 (2007년)
1989년 온의동 현 춘천시외버스터미널 부지에 임시 정류장으로 인가를 받아 운영을 시작하였다.[1] 운영 시작 당시 터미널 건물은 없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9년 온의동에 건립될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을 2002년 완공 후 공동 사용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시외버스 업체들이 동대구 노선 운영을 요구하면서[2] 2002년 10월 23일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완공에도 불구하고 고속버스터미널은 이전하지 못했다.[3]2002년 4월, 춘천시 중재로 퇴계동 향토공예관[4] 인근 공터에 컨테이너 박스를 둔 임시 터미널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하루 평균 380여 명, 연간 13만여 명이 이용하는 상황에서 이용객 불편이 커졌고, 시설 기준 미비 지적에 따라 춘천시는 이전개선 명령 및 과태료를 부과하였다. 납부한 과태료는 1200만원이 넘었다.[5] 동내면 고은리 종합 버스 터미널 건립 계획 무산[6], 운영업체들의 계획 부재로 2006년 11월 춘천시청은 터미널 면허 취소를 경고했다.[7]
2007년 4월 17일, 동부고속이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옆 부지 2000m2에 터미널 건물 설치를 결정하고,[8] 5월 착공, 6월 완공하였다. 터미널 이전은 7월 10일에 이루어졌다.[9]
2. 6. 운영권 변경 (2021년)
2007년 4월 17일 동부고속이 춘천시외버스터미널 옆 부지 2000m2 규모에 터미널 건물을 설치하기로 결정하고,[8] 그 해 5월에 바로 착공하여 6월에 완공하였다. 터미널 이전은 같은 해 7월 10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9]2021년에는 동부고속에서 KD운송그룹으로 터미널 운영권이 넘어갔다.
3. 운행 노선
대원고속과 한일고속이 운행하는 대구행 노선과 대원고속이 운행하는 광주행 노선이 있다. 한때 경기고속이 운행하던 순천행 노선은 2016년 5월 1일에 춘천시외버스터미널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