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복합환승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구복합환승센터는 시내버스, 택시, 고속버스, 시외버스, 도시철도 등을 연계하는 대구광역시의 복합 환승 시설이다. 1층은 시내버스 및 택시 승차장, 3층은 동대구역, 서울/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공항 방면 버스 승차장, 4층은 영남권, 강원권, 농어촌 버스 승차장으로 사용된다. 3층과 4층에 승차홈이 있으며, 전국 각지로 운행하는 다양한 노선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버스 교통 - 우보버스정류장
우보버스정류장은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에 위치하며 군위교통의 시내/외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군위군 내 지역과 칠곡경대병원역 방면 급행9-1번 노선을 이용할 수 있지만, 매표소는 운영하지 않고 시외버스는 현금으로만 승차 가능하다. - 대구광역시의 버스 교통 - 용계시외버스정류장
대구 동구 용계동에 위치한 용계시외버스정류장은 부산 방면 중간 승차와 강원·영남권 주요 도시 방면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용계역 인근 동대구 나들목과 가깝다. - 코리아와이드 계열사 - 매일신문
매일신문은 1946년 대구에서 창간되어 언론 자유 수호 활동을 펼쳤고, 언론 통폐합 속에서도 발행을 지속하며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조간 전환 등을 거쳐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된 대한민국 지역 신문이다. - 코리아와이드 계열사 - 일선교통
일선교통은 1985년 경북고속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구미시 시내버스 회사로, 선산군의 옛 지명인 일선군에서 사명을 따왔으며, 구미버스와 함께 구미시 시내/좌석/리무진 노선에 공동 배차하고 현대자동차 차종을 운행한다. - 신세계그룹 - 이관섭
이관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관료이다. - 신세계그룹 - 이마트
이마트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대형마트인 창동점을 개점한 신세계그룹의 핵심 계열사로, 월마트 코리아 인수, 다양한 사업 포맷 확장, 온라인 사업, 해외 진출 등을 통해 성장해 왔으나,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및 중소기업 상생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며 국내외 다양한 형태의 매장을 운영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대형 유통업체이다.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 공식 명칭 |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
| 종류 | 터미널 |
| 국가 | 대한민국 |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4동) |
| 개장 | 2016년 12월 12일 |
| 운영 기관 | 코리아와이드경북 |
| 터미널 코드 | 801 |
| 표기 | 동대구 |
| 고속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 시외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 시내버스 운행 여부 | 운행 |
| 이미지 | |
| 회사 정보 |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
| 원어 | SHINSEGAE DONGDAEGU CTC Inc. |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2012년 5월 2일 |
| 시장 정보 | 미상장 |
| 장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149 (신천4동) |
| 인물 (대표이사) | 배재석 |
| 산업 | 백화점 및 여객자동차터미널운영업 |
| 제품 | 대구신세계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 자본금 (2019.12) | 2,289억 2,000만원 |
| 매출액 (2019) | 1,913억 1,452만 5,880원 |
| 영업이익 (2019) | 212억 2,864만 6,577원 |
| 순이익 (2019) | 151억 3,992만 8,927원 |
| 자산총액 (2019.12) | 8,368억 2,979만 8,640원 |
| 주주 | 주식회사 신세계 : 61.00% RECO SSG Private Ltd.: 34.00% 주식회사 삼양사 : 5.00% |
| 종업원 (2019.12) | 225명 |
2. 터미널 안내
1층은 시내버스와 택시 승차장과 연계되며, 매표소가 있는 3층은 동대구역과 연계된다. 도시철도는 하차장 옆에 있는 지하 통로로 가야 한다. 수화물취급소는 본래 메가박스 대구신세계점 출입구 옆에 있었다가 하차장으로 이전했으며, 예전에 수화물취급소로 쓰였던 자리에는 금호고속 및 속리산고속의 동대구영업소가 들어와 있다.
3층은 서울/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인천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행 리무진버스 승차장, 동대구역방면 출구가 있다. 4층은 부산, 울산, 강원권, 경북, 경남 승차장, 청도 농어촌버스 승차장이 있으며, 5층은 외부주차장 연결 통로가 있다.
2. 1. 층별 시설 안내
1층은 시내버스와 택시 승차장과 연계되며, 매표소가 있는 3층은 동대구역과 연계된다. 도시철도는 하차장 옆에 있는 지하 통로로 가야 한다. 수화물취급소는 본래 메가박스 대구신세계점 출입구 옆에 있었다가 하차장으로 이전했으며, 예전에 수화물취급소로 쓰였던 자리에는 금호고속 및 속리산고속의 동대구영업소가 들어와 있다.3층은 서울/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인천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행 리무진버스 승차장, 동대구역방면 출구가 있다. 4층은 부산, 울산, 강원권, 경북, 경남 승차장, 청도 농어촌버스 승차장이 있으며, 5층은 외부주차장 연결 통로가 있다.
2. 2. 수화물 취급소
3. 승차홈
동대구복합환승센터의 1층은 하차장으로 사용되며, 수화물취급소도 하차장에 있다. 승차홈은 3층(고속)과 4층(시외)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2]
| 층별 | 승차홈 | 행선지 |
|---|---|---|
| 3층 | 1 | 예비 |
| 2 | 인천국제공항 | |
| 3 | 예비 | |
| 4 | 김해국제공항 | |
| 5 | 서울경부 | |
| 6 | 예비 | |
| 7 | 동서울 | |
| 8 | 성남 | |
| 9 | 구리, 의정부, 인천 | |
| 10 | 충주, 이천, 여주 | |
| 11 | 목포 | |
| 12 | 수원, 용인, 원주 | |
| 14 | 청주 | |
| 15 | 광주 | |
| 16 | 전주, 순천 | |
| 17 | 예비 | |
| 4층 | 18 | 안동 |
| 19 | 예비 | |
| 20 | 영주 | |
| 21 | 신도청, 상주, 예천, 대구국제공항, 군위, 점촌 | |
| 22 | 구미 | |
| 23 | 영덕, 울진 | |
| 24 | 포항 | |
| 25 | 하양, 영천, 안강, 청송 | |
| 26 | 경주 | |
| 27 | 울산 | |
| 28 | 풍각 | |
| 29 | 제천, 춘천 | |
| 30 | 해운대, 양산 | |
| 31 | 부산(고속) | |
| 32 | 울산(고속) | |
| 33 | 경주(고속) | |
| 34 | 마산, 내서, 진해 | |
| 35 | 진주, 거제(고현) | |
| 36 | 예비 |
4. 운행 노선
4. 1. 수도권
동대구복합환승센터에서는 수도권 방면 노선을 운행한다. 서울경부행 노선은 동양고속, 삼화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이 운행하며, 서대구나 신서혁신도시(한국부동산원),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동서울행 노선은 금호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중앙고속이 운행하며, 서대구,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40분이다.성남행 노선은 속리산고속, 동양고속이 운행하며, 서대구,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80분이다. 의정부행 노선은 금호고속, 대원고속이 운행하며, 서대구, 선산휴게소 또는 구미, 구리를 경유한다.[3][4][5][6][7][8]
인천행 노선은 동양고속, 삼화고속이 운행하며, 서대구, 선산휴게소를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0~90분이다. 용인행 노선은 코리아와이드경북이 운행하며, 서대구, 신갈, 또는 구미를 경유한다. 하루 9회 운행한다.
이천행 노선은 코리아와이드경북, 대원고속이 운행하며, 구미, 여주를 경유한다. 하루 8회 운행한다. 하남행 노선은 대원고속이 운행하며, 구미, 경기광주를 경유한다. 하루 3회 운행한다.[9]
4. 2. 강원권
노선간격
(분)
중앙고속
한일고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