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환기는 유기 화합물의 명명법에서 모체 화합물의 이름에 접미사를 붙여 표현하는 유기 화학의 용어이다. IUPAC 규칙에 따라 명명되며, 치환기는 모체 화합물에서 치환되는 수소 원자의 수와 결합 형태에 따라 접미사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일(-yl)"은 수소 원자 1개가 치환됨을, "-일리덴(-ylidene)"은 수소 원자 2개가 이중 결합으로 치환됨을 의미한다. 치환기는 구조식에서 "R"로 표현되기도 하며, 메틸기, 페닐기, 클로로기,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등이 일반적인 치환기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환기 - 아릴기
    아릴기는 아렌에서 수소 원자가 제거된 부분으로, 페닐기는 가장 간단한 예시이며,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하여 유기 화합물 합성에 활용된다.
  • 치환기 - 글리코실기
    글리코실기는 헤미아세탈의 하이드록실기에서 수소가 제거된 치환기로, 글리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탄수화물과 다른 분자를 연결하고 다당류 사슬 구조의 단위를 형성하며, Au3+ 이온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화학 명명법 - IUPAC 명명법
    IUPAC 명명법은 화학 물질의 명칭을 통일하기 위해 19세기 후반부터 발전해 온 국제적인 체계이며, 무기 및 유기 화합물 명명법과 원자량 표준화 등을 다루며, 다양한 규칙과 유기 화합물 명명법을 포함한다.
  • 화학 명명법 - 화학식
    화학식은 물질의 원소와 비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분자식, 구조식, 실험식, 시성식 등이 있으며, IUPAC 명명법, 괄호, 위첨자, 특수 기호 등을 사용하여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입체 이성질체 구분이나 반응 메커니즘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
  • 유기화학 -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은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과거 생기론으로 여겨졌으나 뵐러의 요소 합성으로 폐기되었고, 이후 다양한 유기 화합물 합성 및 고분자 개발에 기여했지만 환경 친화적 접근이 과제로 남아 있으며, 구조, 용도 등으로 분류되고 천연물, 합성 화합물 등으로 연구된다.
  • 유기화학 - 유기물
    유기물은 생물체 구성 성분으로서 생태계 내에서 영양분 순환,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개선, pH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치환기
정의
설명분자 내에서 수소 원자를 대체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의 기본 사슬에서 수소 원자를 대체함.
관련 용어
모체 수소화물치환기가 붙어 있는 기본 탄화수소 골격

2. 명명법

유기화학에서 사용되는 접미사 "−일(−yl)"은 별도의 종(자유 라디칼)이나 분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부분(부분)인 라디칼의 이름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14] 이 명칭은 메탄올의 옛 이름인 "메틸렌(methylene)"에서 유래되었는데, "메틸렌"은 그리스어로 "포도주(wine)"를 뜻하는 "메티(methy)"와 "나무(wood)"를 뜻하는 "hȳlē"에서 온 말이다. 이 단어는 화합물 이름에서 "메틸(methyl)"로 축약되었고, 이후 화학 명명법의 개정을 거치면서 다른 유기 치환기에도 접미사가 일반화되었다.

접미사의 사용은 치환기가 모체 화합물(및 일반적으로 치환기에서도)에서 치환되는 수소 원자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1993년 IUPAC 지침은 다음과 같다.[14]


  • "−일(−yl)"은 수소 원자 1개가 치환되었음을 의미한다.
  • "−일리덴(−ylidene)"은 수소 원자 2개가 치환되어 모체 화합물과 치환기 사이에 이중 결합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 "−일리다인(−ylidyne)"은 수소 원자 3개가 치환되어 모체 화합물과 치환기 사이에 삼중 결합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일리딘(−ylidine)" ("−yne" 또는 "−ene" 대신에 "−ine"이 포함)은 "−일리덴(−ylidene)"의 변형 철자로 산발적으로 사용된다.[15] IUPAC 지침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동일한 유형의 다중 결합이 여러 개 있는 경우, "다이−(di−)", "트라이−(tri−)", "테트라−(tetra−)" 등의 접두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이일(−diyl)"은 2개의 단일 결합, "−트라이일(−triyl)은 3개의 단일 결합, "−테트라일(−tetrayl)"은 4개의 단일 결합, "−다이일리덴(−diylidene)"은 2개의 이중 결합을 의미한다.

서로 다른 결합 형태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접미사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일릴리덴(−ylylidene)"은 1개의 단일 결합과 1개의 이중 결합, "−일릴리다인(−ylylidyne)"은 1개의 단일 결합과 1개의 삼중 결합, "−다이일릴리덴(−diylylidene)"은 2개의 단일 결합과 1개의 이중 결합을 의미한다.

모체 화합물의 이름은 두 가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 많은 일반적인 화합물의 경우, 치환기는 한쪽 끝(1번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이름에 번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IUPAC 규칙[16]은 IUPAC 우선명의 대부분의 치환기에 대해 명확한 위치표시자(locant)를 요구한다. 치환기의 이름은 "−ane"을 제거하고 적절한 접미사를 추가하여 변경된다. 이 방법은 사슬형 포화 탄화수소와 단일고리 탄화수소 치환기 및 규소, 저마늄, 주석, , 붕소의 단일고리 모체 수소화물에만 권장된다. 따라서 "X-ic acid"라고 불리는 카복실산, "X-anol" (또는 "X-yl alcohol")로 끝나는 알코올 또는 "X-ane"이라고 불리는 알케인의 경우, "X-yl"은 일반적으로 이들 화합물의 말단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 원자를 한 개 제거하여 얻어지는 1가의 기를 지칭한다.
  • 보다 일반적인 방법은 치환기의 이름 말단의 "−e"만 생략하지만, 1번 위치에서도(삼중 결합으로서 치환기 탄소 사슬을 종결해야 하는"−일리다인(−ylidyne)"은 제외하고), "−일(−yl)" 앞에 명시적인 번호를 부여해야 한다. "펜탄-1-일(pentan-1-yl)"은 이러한 방법에 의한 이름의 예이며, 이전 지침의 "펜틸(pentyl)"과 동의어이다.


"비닐"("폴리비닐"을 의미하는데 사용되는 경우)과 같은 일부 대중적인 용어들은 전체 화학 명칭들 중 일부에 불과하다.

3. 메테인 치환기

메테인(CH4)을 기준으로, 결합된 수소 원자의 수와 결합 종류에 따라 다양한 치환기가 생성된다.

화학식이름설명
≡C−메탄일릴리다인기삼중 결합 1개와 단일 결합 1개
=C=메탄다이일리덴기이중 결합 2개
>C=메탄다이일릴리덴기단일 결합 2개와 이중 결합 1개
>C<메탄테트라일기단일 결합 4개


3. 1. 메테인 기반 치환기 예시

화학식이름설명
메테인결합 없음
-메틸기비수소 원자에 대한 단일 결합
=메틸렌기이중 결합 1개
--메틸렌 브릿지단일 결합 2개
≡CH메틸리다인기삼중 결합 1개
=CH-메틴기단일 결합 1개와 이중 결합 1개
>CH-메탄트라이일기단일 결합 3개


4. 구조 표기

화학 구조식에서 메틸기, 에틸기, 아릴기와 같은 유기 치환기들은 R (또는 R1, R2 등)로 나타낼 수 있다. "R"은 라디칼 또는 나머지에서 유래된 일반적인 위치 표시자이며, 작성자가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화학식의 일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이 기호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844년의 프랑스 화학자 샤를 프레데릭 게라르트였다.[17]

기호 "X"는 종종 할로젠화물과 같은 전기음성도가 큰 치환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8][19]

5. 통계적 분포

화학정보학 연구에 따르면, 다양한 유기 분자에서 수많은 종류의 치환기가 발견된다. 어떤 연구에서는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인, 셀레늄, 할로젠 등 최대 12가지의 비수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3,043,941개의 분자들에서 849,574가지의 치환기들을 확인했다. 이 분자들의 1% 이상에서 발견되는 50가지의 치환기들은 일반적인 것으로 고려할 수 있고, 0.1% 이상에서 438종류의 치환기들이 발견된다. 치환기의 64%는 단 하나의 분자에서만 발견된다.[20] 가장 흔한 상위 5개의 치환기들은 메틸기, 페닐기, 클로로기, 메톡시기, 하이드록시기이다. 유기화학에서 유기 치환기들의 총 수는 3,100,000으로 추정되며, 총 6.7×1023 가지의 분자들이 생성된다.[20] 예를 들어, 메틸기(−CH3)와 펜틸기(−C5H11)에서처럼 탄소 사슬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무한한 수의 치환기들을 얻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SUBSTITUENT https://www.merriam-[...] 2022-06-04
[2] 서적 Organic Chemistry Demystified https://books.google[...] Mcgraw-hill
[3] 학술지 PAC, 1996, 68, 2287. Glossary of basic terms in polymer science (IUPAC Recommendations 1996) http://goldbook.iupa[...]
[4] 문서
[5] 웹사이트 R-2.5 Substituent Prefix Names Derived from Parent Hydrides http://www.acdlabs.c[...]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Advanced Chemistry Development, Inc.
[6] 문서
[7]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
[8] 문서
[9] 학술지 Why Is "R" Used To Symbolize Hydrocarbon Substituents?
[10] 문서
[11] 학술지 Cheminformatics Analysis of Organic Substituents: Identification of the Most Common Substituents, Calculation of Substituent Properties,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rug-like Bioisosteric Groups
[12] 서적 Organic Chemistry Demystified https://books.google[...]
[13] 학술지 PAC, 1996, 68, 2287. Glossary of basic terms in polymer science (IUPAC Recommendations 1996) http://goldbook.iupa[...]
[14] 웹인용 R-2. 5 Substituent Prefix Names Derived from Parent Hydrides http://www.acdlabs.c[...] IUPAC
[15] 문서
[16]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17] 문서
[18] 학술지 Why Is "R" Used To Symbolize Hydrocarbon Substituents?
[19] 문서
[20] 학술지 Cheminformatics Analysis of Organic Substituents: Identification of the Most Common Substituents, Calculation of Substituent Properties,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rug-like Bioisosteric Grou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