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은 1704년 독일의 작센 선제후국에서 태어난 작곡가이자 테너 가수이다. 드레스덴에서 음악 교육을 받은 후 브라운슈바이크 궁정에서 오페라 작곡과 테너 가수로 활동했으며, 프로이센 왕세자 프리드리히의 초청으로 루핀 궁정에서 활동하다가 프리드리히 2세가 즉위한 후 궁정 악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오페라 세리아, 수난 오라토리오, 종교 음악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으며, 특히 오페라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와 《몬테주마》, 수난 오라토리오 《예수의 죽음》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04년 출생 - 한스 헤르만 폰 카테
    한스 헤르만 폰 카테는 프로이센 귀족 출신으로, 프리드리히 2세의 탈출 계획을 돕다가 반역죄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프리드리히 2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704년 출생 - 사카이 다다요리 (1704년)
    사카이 다다요리는 에도 시대 쇼나이 번 마쓰야마 번주 사카이 다다요시의 차남이자 쇼나이 번주 사카이 다다자네의 양자로, 1749년 로주로 발탁되어 호레키 소동 처리를 담당하고 1764년 로주를 사임한 후 1766년에 사망했다.
  • 1759년 사망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바로크 시대의 중요한 작곡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 독일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활동하며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곡가로서 성공을 거두었고, 그의 음악은 독창적인 스타일과 극적인 표현력으로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다.
  • 1759년 사망 -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는 프랑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생물학자, 철학자로서, 지구 형태 논쟁에서 뉴턴의 주장을 옹호하고 최소 작용의 원리를 제안했으며 진화론적 사고의 선구자로서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 18세기 클래식 작곡가 - 윌리엄 허셜
    독일 태생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음악가에서 천문학자로 전향하여 직접 망원경을 제작, 천왕성 발견, 쌍성·심원 천체·적외선 발견, 태양계 운동·은하수 구조 연구 등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여동생 캐롤라인 허셜 또한 여성 천문학자로서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클래식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출신의 천재 작곡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다양한 장르에 걸쳐 900곡이 넘는 방대한 작품을 남겼고, 유럽 순회 연주 여행과 빈에서의 프리랜서 활동을 통해 성공적인 음악가 경력을 쌓았으며, 그의 음악은 독일 고전주의 음악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arl Heinrich Graun
출생일1704년 5월 7일
출생지우에비가우-바렌브뤼크, 작센 선제후국
사망일1759년 8월 8일
국적독일
직업작곡가, 테너
활동 기간1726년–1756년
주요 작품프리드리히 대왕의 카펠마이스터
가족요한 고틀리브 그라운 (형제)
배우자2명
자녀딸 1명, 아들 4명
경력
교육드레스덴 십자가 교회
알려진 정보요한 아돌프 하세와 함께 당대 이탈리아 오페라의 가장 중요한 독일 작곡가

2. 생애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은 작센 선제후국 바렌브뤼크에서 태어나, 드레스덴의 성십자가 교회에서 드레스덴 성 십자가 소년합창단 단원으로 활동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에게 성악을, 요한 크리스토프 슈미트에게 작곡을 배웠다.

1724년 브라운슈바이크로 이주하여 오페라 극장에서 테너 가수로 활동하면서 6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1735년에는 프리드리히 2세카펠마이스터로 5년간 근무했다. 1740년 프리드리히 2세 즉위 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1742년 베를린 국립 오페라 개관 기념으로 그의 오페라 ''체사레 에 클레오파트라''가 공연되었고, 1755년에는 프리드리히 왕이 대본을 쓴 ''몬테주마''를 작곡했다. 그의 수난곡 ''예수의 죽음''은 사후에도 오랫동안 독일에서 자주 연주되었다.

바렌브뤼크에 있는 그라운 동상


그라운은 두 번 결혼하여 4남 1녀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에게서 얻은 딸은 성악가가 되었고, 두 번째 부인에게서 네 아들을 얻었다. 그의 증손자는 20세기 러시아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이다.[9]

2. 1. 초기 생애 (1704-1724)

카를 하인리히 그라운은 1704년 작센 선제후국 바렌브뤼크에서 요한 고틀리브 그라운의 동생으로 태어났다.[9] 1714년, 형을 따라 드레스덴 크로이츠교회 학교에 입학하여 드레스너 크로이츠코어(드레스덴 성 십자가 소년합창단)와 츠빙거 오페라하우스 합창단에서 노래했다. 크리스티안 페촐트에게 성악을, Johann Christoph Schmidt|요한 크리스토프 슈미트de(1664–1728)에게 작곡을 배웠다.[9]

1718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학적을 등록했고, 1719년 드레스덴에서 안토니오 로티의 오페라 ''테오파네'' 공연에 합창단원으로 참가하는 등, 이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성악과 작곡의 기초 교육을 받았다.[9] 요한 게오르크 피젠델에게서도 가르침을 받았다.

2. 2. 브라운슈바이크 궁정 시대 (1724-1735)

1724년, 그라운은 브라운슈바이크로 이주하여 오페라 하우스에서 테너 가수로 활동했다.[9]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 아우구스트 빌헬름의 궁정에서 성악 외에도 작곡을 맡아, 1735년까지 6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9]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부활절 오라토리오, 2개의 수난 오라토리오(''여기 와서 보라''(''Kommt her und Schaut'') 및 ''어린 양이 가서 죄를 짊어진다''(''Ein Lämmlein geht und trägt die Schuld'')) 등 종교 작품도 작곡했다.[9] 그의 작품은 하세의 작품과 함께 "좋은 취미"의 음악으로 독일에서 널리 평가받았다.[9]

2. 3. 프로이센 궁정 시대 (1735-1759)

1733년경부터 그라운은 프로이센 왕세자 프리드리히 (훗날의 프리드리히 2세)의 초청을 받아 루핀 궁정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735년, 브라운슈바이크 궁정을 떠나 프리드리히 왕세자의 궁정 테너 가수로 정식 채용되었다.[9] 프리드리히는 평소에 애호하던 음악을 즐기기 위해 왕세자가 된 후 자신의 궁정 악단 창설에 힘썼는데, 이미 그라운의 형인 요한 고틀리프가 1732년에 바이올린 연주자로 채용되었고, 1733년에는 프란츠 벤다도 악단에 초빙되었다.[9]

1740년 프리드리히 2세 즉위 후, 그라운은 궁정 악장(카펠마이스터)으로 임명되어 궁정 악단 통솔, 왕립 베를린 오페라 극장을 위한 오페라 작곡 및 상연을 담당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그라운에게 뛰어난 가수를 섭외하기 위해 이탈리아 여행을 명하기도 했다.[9] 1742년, 왕립 베를린 오페라 극장 개관작으로 오페라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를 작곡했다.[2]

1759년 사망할 때까지 그라운은 궁정 악장 지위를 유지하며, 매년 1~2편의 오페라를 작곡했다. 이 작품들은 모두 고전 고대 신화나 역사에서 소재를 취한 이른바 오페라 세리아였으며, 이탈리아어 대본을 사용했다. 그 중에서도 프리드리히 2세가 대본 일부를 집필하고, 콴츠 등 다른 베를린 궁정 음악가도 작곡에 참여한 오페라 ''몬테주마''(1755)가 특히 유명하다.[9]

종교 작품으로는 수난 오라토리오 ''예수의 죽음''(1755), ''테 데움''을 베를린 시대에 작곡했지만, 그 수는 많지 않았다. 오페라를 제외하면 대부분 이탈리아어 칸타타, 협주곡이나 트리오 소나타, 연주회용 프랑스풍 서곡 등 궁정에서의 연주를 위한 기회 작품이었다.[9] 특히 ''예수의 죽음''은 그라운 사후에도 계속 연주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톨릭이 지배적인 남부 독일 지역에서도 널리 수용되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마태 수난곡''이 1829년에 멘델스존 등에 의해 부활 연주되기 전까지, 독일 지역에서 사순절에 연주되는 오라토리오로 정착했다.[9]

2. 4. 가족 관계

그라운은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에게서 딸 하나를 낳았는데, 이 딸은 성악가가 되었다. 두 번째 부인에게서는 아들 넷을 두었다.[9] 그의 증손자는 20세기 러시아인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이다.[3]

3. 작품

그라운은 다양한 오페라와 종교 음악 작품을 남겼다. 대표적인 수난 오라토리오로는 《여기 와서 보라》 (1730년경), 《예수의 죽음》 (1755년)이 있다.

오페라 작품들은 하위 섹션인 '오페라'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3. 1. 오페라

제목막 수초연 연도
폴리도루스5막1726–28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3막1728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3막1732
로 스페키오 델라 페델타3막1733
파라오 투바에테스5막1735
로델린다, 랭고바르디 여왕3막1741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3막1742
아르타체르세3막1743
우티카의 카토3막1743
알레산드로 에 포로3막1744
루치오 파피리오3막1744
시리아의 아드리아노3막1746
데모폰테3막1746
카요 파브리치오3막1746
레 페스테 갈란티1747
친나3막1748
유로파 갈란테1748
이피게니아 인 아울리데3막1748
안젤리카 에 메도로3막1749
코리올라노3막1749
페톤테3막1750
일 미트리다테3막1751
라르미다3막1751
브리타니코3막1751
오르페오3막1752
일 주디치오 디 파리데1막1752
실라3막1753
세미라미데3막1754
몬테주마3막1755
에치오3막1755
이 프라텔리 네미치3막1756
라 메로페3막1756


3. 2. 기타 작품


  • 테 데움
  • 어린 양이 죄를 짊어지고 가네 수난 칸타타 (약 1730)
  • ''어서 와서 보라'' (대수난곡) (1730)
  • 예수의 죽음 수난 칸타타 (1755)
  • ''Oratorium in Festum Nativitatis Christi''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 부활절 오라토리오
  • 여섯 개의 이탈리아 칸타타
  • 호른, 현악기, 쳄발로를 위한 협주곡 라장조
  • 가곡 (1743)
  • 신포니아 다장조
  • 비올라 다 감바 협주곡
  • 쳄발로 협주곡 다단조
  • 내림 나단조 지그
  • 수난 오라토리오 《여기 와서 보라》 (1730년경)
  • 오페라 《로델린다》 (1741년)
  • 오페라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 (1742년)
  • 오페라 《아르타체르세》 (1743년)
  • 오페라 《미트리다테》 (1750년)
  • 오페라 《몬테주마》 (1755년)

4. 음악적 특징 및 평가

그라운 형제는 후기 바로크 음악에서 고전주의 음악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활동한 작곡가로, 갤런트 양식의 영향을 받아 섬세하고 우아한 표현과 선율미를 추구하는 등, 18세기 중반 독일의 새로운 음악 사조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가사 전달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한데, 이는 성악가로서의 그의 배경에서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수난곡 ''예수의 죽음''은 작곡가 사후에도 계속 연주되었으며, 가톨릭 지역인 남부 독일에서도 널리 수용되었다. 멘델스존 등에 의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마태 수난곡'' 부활 연주(1829) 이전까지, 독일 지역에서 사순절에 연주되는 오라토리오로 자리잡았다.

5. 참고 문헌


  • 존 W. 그럽스 (1972): 《그라운 형제의 종교 합창 음악》(The Sacred Choral Music of the Graun Brothers), 1972

참조

[1]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2] 서적 Allgemeine Theorie der Schönen Künste http://www.deutsches[...] Weidmann; Reich 1774
[3] 서적 Speak, Memory Vintage International 1989
[4] 서적 Eugene Helm, Art. "Graun, Carl Heinrich", in: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1992
[5] 간행물 Lebensbeschreibungen berühmter Musikgelehrten und Tonkünstöer neuerer Zeit https://books.google[...] Leipzig 1784
[6] 논문 Zu Den Aufführungen der Grossen Oper Friedrichs II. von Preussen 1740–1756 https://doi.org/10.1[...] J.B. Metzler
[7] 논문 《ここへ来て見よ》 ―― カール・ハインリヒ・グラウン(1703/04-1759)による《大受難曲》のテクスト邦訳 ―― http://id.nii.ac.jp/[...] 国際基督教大学比較文化研究会 2019-01
[8]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9] 서적 Speak, Memory Vintage International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