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작곡한 세 개의 오라토리오 중 하나로, 1734년과 1735년 겨울 동안 크리스마스 6일 동안의 축제일을 위해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누가복음과 마태복음 등 신약성서의 가사를 바탕으로 독일어로 쓰였으며, 총 6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흐는 기존에 작곡한 칸타타의 악장들을 차용하여 이 작품을 완성했으며, 루터교 찬송가와 코랄 선율을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1721년 브란덴부르크-슈베트 변경백에게 헌정한 여섯 곡의 협주곡 모음으로, 다양한 악기 편성과 쳄발로를 독주 악기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시도를 보였다.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 - 요한 수난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가 요한 복음 18, 19장을 토대로 작곡한 요한 수난곡은 루터교 성 금요일 예배를 위한 수난 오라토리오로, 예수 그리스도의 체포, 처형, 매장 이야기를 독창, 합창, 다양한 악기 편성으로 묘사하며 반유대주의 논쟁에도 불구하고 음악적, 예배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개요
제목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원어 제목Weihnachts-Oratorium
작품 번호BWV 248
작곡가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작곡 연도1734년
초연1734년 12월 25일 (제1부), 1734년 12월 26일 (제2부), 1734년 12월 27일 (제3부), 1735년 1월 1일 (제4부), 1735년 1월 2일 (제5부), 1735년 1월 6일 (제6부)
장르오라토리오
언어독일어
가사성경 (루가 복음 2장, 마태오 복음 2장)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헨리치 (피칸더)
파울 게르하르트
구성총 6부
연주 시간약 2시간 45분
악기 편성
관악기플루트 1, 2
오보에 1, 2
오보에 다모레 1, 2
오보에 다 카치아 1, 2
파곳 1, 2
호른 1, 2
트럼펫 1, 2, 3
팀파니
현악기바이올린 1, 2
비올라
비올론첼로
콘트라베이스
건반악기오르간
성악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합창단

2. 역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오라토리오를 세 곡 작곡했는데,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BWV 248), ''부활절 오라토리오''(BWV 249), ''승천절 오라토리오''(BWV 11)가 그것이다.[1]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바흐가 라이프치히에서 활동하던 시기인 1734년부터 1735년에 걸쳐 작곡되었다. 이 작품은 독일어 가사로 된 총 6부, 64곡으로 구성된 칸타타 모음곡 형태를 띠고 있다. 가사는 주로 누가복음과 마태복음 등 신약성서의 예수 탄생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성 니콜라이 교회


성 토마스 교회


당시 작센의 루터교 전례력에서 크리스마스 시즌은 12월 25일(크리스마스)부터 1월 6일(주현절)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시기였다. 이 기간에는 예수의 탄생, 예수 할례 축일(1월 1일), 동방 박사의 방문(주현절) 등 여러 축일이 포함되었으며, 교회에서는 축제 음악이 연주되었다. 바흐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이러한 교회력에 맞춰 크리스마스부터 주현절까지의 주요 축일 6일에 걸쳐 각 부가 하루에 하나씩 연주되도록 구성되었다. 바흐는 자신이 토마스칸토어로 있던 라이프치히의 주요 교회인 성 토마스 교회와 성 니콜라이 교회에서 이 오라토리오를 연주했다.

작품의 총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반에 달하며, 현대에는 6부 전체를 한 번에 연주하거나, 연말과 새해에 걸쳐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바흐는 이 작품을 위해 기존에 작곡했던 세속 칸타타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BWV 213)와 ''북소리 울리고, 나팔 소리 울려라''(BWV 214) 등의 음악을 재활용하는 전용(패러디)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2. 1. 1714–1729

바흐는 1734-35년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해 라이프치히에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기 전에, 이미 해당 절기의 여러 행사를 위한 크리스마스 칸타타와 다른 교회 음악을 작곡한 바 있다.

  • 라이프치히 시기 이전, 그는 바이마르 칸타타 주기의 일부로 다음과 같은 곡들을 작곡했다.
  • * 크리스마스 (1714년 12월 25일): ''Christen, ätzet diesen Tag'', BWV 63[2]
  • * 크리스마스 후 첫 번째 일요일 (1714년 12월 30일): ''Tritt auf die Glaubensbahn'', BWV 152[3]
  • 라이프치히 주요 교회의 음악 감독으로 부임한 첫 해인 1723-24년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해 다음 곡들을 선보였다:
  • * 크리스마스: BWV 63을 재연했으며,[2] 이는 그의 첫 번째 칸타타 주기의 일부가 되었다. 또한 그가 라이프치히를 위해 작곡한 라틴 교회 음악의 일부로, 그의 마니피캇 BWV 243a (크리스마스 삽입구가 있는 버전) 및 D 장조의 상투스, BWV 238을 작곡했다.[4]
  • * 크리스마스 둘째 날: ''Darzu ist erschienen der Sohn Gottes'', BWV 40[5]
  • * 크리스마스 셋째 날: ''Sehet, welch eine Liebe hat uns der Vater erzeiget'', BWV 64[6]
  • * 새해 첫날: ''Singet dem Herrn ein neues Lied'', BWV 190[7]
  • * 크리스마스 후 두 번째 일요일 (1월 2일): ''Schau, lieber Gott, wie meine Feind'', BWV 153[8]
  • * 주현절: ''Sie werden aus Saba alle kommen'', BWV 65[9]
  • 1724-25년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해 코랄 칸타타 주기의 일부로 다음 곡들을 작곡했다 (라틴 상투스 제외):
  • * 크리스마스: ''Gelobet seist du, Jesu Christ'', BWV 91 (초기 버전)[10] 및 Sanctus for six vocal parts, BWV 232/III (초기 버전)[11]
  • * 크리스마스 둘째 날: ''Christum wir sollen loben schon'', BWV 121[12]
  • * 크리스마스 셋째 날: ''Ich freue mich in dir'', BWV 133[13]
  • * 크리스마스 후 첫 번째 일요일 (12월 31일): ''Das neugeborne Kindelein'', BWV 122[14]
  • * 새해 첫날: ''Jesu, nun sei gepreiset'', BWV 41[15]
  • * 주현절: ''Liebster Immanuel, Herzog der Frommen'', BWV 123[16]
  • 1725-26년과 1726-27년 크리스마스 시즌을 위해 바흐의 세 번째 칸타타 주기에 속하는 다음 칸타타들을 작곡했다:
  • * 크리스마스 (1725): ''Unser Mund sei voll Lachens'', BWV 110[17]
  • * 크리스마스 둘째 날 (1725): ''Selig ist der Mann'', BWV 57[18]
  • * 크리스마스 셋째 날 (1725): ''Süßer Trost, mein Jesus kömmt'', BWV 151[19]
  • * 크리스마스 후 첫 번째 일요일 (1725년 12월 30일): ''Gottlob! nun geht das Jahr zu Ende'', BWV 28[20]
  • * 새해 첫날 (1726): ''Herr Gott, dich loben wir'', BWV 16[21]
  • * 크리스마스 후 두 번째 일요일 (1727년 1월 5일): ''Ach Gott, wie manches Herzeleid'', BWV 58 (초기 버전)[22]


이 세 번째 주기 칸타타 중 BWV 110, 57, 151, 16번은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렘스(Georg Christian Lehms)가 1711년에 출판한 칸타타 대본집 ''Gottgefälliges Kirchen-Opffer''의 텍스트를 사용했다.[23] 1720년대 후반에 바흐는 그의 칸타타를 위한 대본 작가로 피칸더(Picander)와 자주 협력했다. 1725년 2월 23일에 처음 연주된 ''Entfliehet, verschwindet, entweichet, ihr Sorgen'', BWV 249a(일명 '목자 칸타타')는 바흐의 세속 칸타타 중 하나로, 그러한 협력의 초기 예이다.[24] 바흐는 이 칸타타의 음악을 그의 1725년 초판 ''부활절 오라토리오''에 재사용했다.[25] 1727년에 작곡된 ''Ihr Häuser des Himmels, ihr scheinenden Lichter'', BWV 193a는 피칸더의 텍스트에 의한 또 다른 세속 칸타타로, 초연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종교 칸타타(''Ihr Tore zu Zion'', BWV 193)로 개작되었다.[26] 1728-29년 피칸더는 칸타타 대본 주기를 출판했으며, 이로 인해 바흐는 최소 두 개의 크리스마스 시즌 칸타타를 더 작곡했다.

  • 크리스마스 1728, 또는 아마도 1729: ''Ehre sei Gott in der Höhe'', BWV 197a[27]
  • 새해 첫날 1729: ''Gott, wie dein Name, so ist auch dein Ruhm'', BWV 171, 음악은 피칸더의 텍스트에 따른 세속 칸타타인 ''Zerreißet, zersprenget, zertrümmert die Gruft'', BWV 205에서 일부를 차용했다.[28]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며칠에 걸쳐 연주될 여섯 개의 칸타타 주기로 제시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바흐 시대에 드문 일이 아니었다.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슈퇼첼(Gottfried Heinrich Stölzel), 그의 교회 음악은 바흐와 라이프치히 교구민들에게 생소하지 않았으며, 1719년과 1728년에 그러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29][30][31]

2. 2. 1730년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734년부터 1735년에 걸쳐 라이프치히에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같은 시기에 작곡된 ''부활절 오라토리오'' (BWV 249)와 ''승천절 오라토리오'' (BWV 11)와 함께 바흐의 주요 오라토리오 중 하나이다.

이 오라토리오는 독일어 가사로 된 총 6부, 64곡으로 구성된 칸타타 모음곡 형태를 띤다. 교회력에 따라 크리스마스(12월 25일)부터 공현절(1월 6일)까지, 6개의 축일에 하루에 한 부씩 연주하도록 고안되었다. 바흐는 당시 라이프치히의 주요 교회인 성 토마스 교회와 성 니콜라이 교회에서 이 작품을 연주했다. 현대에는 6부 전체를 한 번에 연주하거나, 연말과 새해에 나누어 연주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내용은 누가복음과 마태복음 등 신약성서의 예수 탄생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며, 복음사가가 레치타티보 형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다.

음악적으로는 기존 작품의 선율을 재활용하는 전용(패러디) 기법이 두드러진다. 합창곡과 아리아의 상당 부분, 그리고 일부 레치타티보는 이전에 작곡된 칸타타에서 가져왔다. 특히 제1부부터 제4부까지의 주요 곡들은 1733년에 작곡된 세속 칸타타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 (BWV 213)와 ''북소리 울리고, 나팔 소리 울려라'' (BWV 214)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통해 바흐가 세속 칸타타 작곡 당시부터 종교 음악으로의 전용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크리스마스 기간 동안 여러 날에 걸쳐 연주되는 칸타타 주기는 바흐 시대에 아주 드문 것은 아니었다. 라이프치히에서도 활동했던 작곡가 고트프리트 하인리히 푈첼 역시 1719년1728년에 유사한 형식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를 작곡한 바 있다.[29][30][31]

바흐는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를 작곡하기 전에도 바이마르 시절부터 라이프치히 시절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크리스마스 칸타타와 교회 음악을 작곡하며 이 분야에 대한 경험을 쌓아왔다.[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 이러한 축적된 경험은 1730년대의 대작인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탄생의 밑거름이 되었다.

2. 3. 초연

오라토리오는 1734년1735년 겨울 동안, 크리스마스 6일간의 축일 예배를 위해 작곡되었다. 원본 악보에는 각 파트가 언제 연주되었는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라이프치히의 주요 교회인 성 토마스 교회와 성 니콜라스 교회의 예배에서 연주되었으며, 성 니콜라스 교회에서만 전곡이 연주되었다.

아래는 각 파트별 초연 일정이다.

파트초연 날짜장소 (오전/이른 아침)장소 (오후)
제1부1734년 12월 25일성 니콜라스 교회성 토마스 교회
제2부1734년 12월 26일성 토마스 교회성 니콜라스 교회
제3부1734년 12월 27일성 니콜라스 교회
제4부1735년 1월 1일성 토마스 교회성 니콜라스 교회
제5부1735년 1월 2일성 니콜라스 교회
제6부1735년 1월 6일성 토마스 교회성 니콜라스 교회


3. 가사

독일어로 된 가사는 주로 신약성서의 누가복음과 마태복음에서 영감을 얻었다. 오라토리오의 이야기는 복음사가가 레치타티보 형식으로 복음서 내용을 노래하고, 등장인물의 직접 대화는 독창자나 합창단이 부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음악의 상당 부분은 바흐가 이전에 작곡했던 세속 칸타타 BWV 213, 214, 215 등의 음악을 가져와 새로운 가사를 붙인 패러디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음악학자 알프레드 뒤르(Alfred Dürr)[56]와 크리스토프 볼프(Christoph Wolff)[57] 등은 바흐의 협력자였던 피칸더(Christian Friedrich Henrici)가 바흐와 긴밀히 협력하여, 재사용된 음악에 완벽하게 들어맞도록 새로운 가사를 썼다고 본다. 새로운 가사가 기존 음악에 자연스럽게 어울린다는 점은 패러디가 매우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일부 학자들은 바흐가 세속 칸타타를 작곡할 당시(1733년)부터 이미 이를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 활용할 계획을 세웠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57]

하지만 모든 곡이 성공적으로 패러디된 것은 아니었다. 파트 III의 알토 아리아 "Schließe, mein Herze"는 원래 BWV 215의 아리아 음악을 사용하려 했으나 적절하지 않아 바흐가 새로 작곡했다. 대신 BWV 215의 음악은 파트 V의 베이스 아리아 "Erleucht' auch meine finstre Sinnen"에 사용되었다. 파트 V의 오프닝 코러스 "Ehre sei dir Gott!" 역시 원래 BWV 213의 코러스 음악을 사용하려 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결국 새로 작곡된 것으로 보인다. 파트 II를 여는 목가적인 분위기의 신포니아 또한 이 오라토리오를 위해 완전히 새로 작곡된 곡이다.

이야기의 흐름을 연결하는 레치타티보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흐는 레치타티보를 코랄과 결합하거나(파트 I, 7번 "Er ist auf Erden kommen arm"), 에코 효과를 활용하는(파트 IV, 38-40번) 등 독창적인 방식으로 사용하여 극적인 효과를 높였다. 또한, 오라토리오 전반에 걸쳐 루터교 찬송가(코랄)가 사용되어 내용을 보충하고 신학적 의미를 더한다.

영어권에서는 1874년 존 트라우트백(John Troutbeck)이 노벨로(Novello & Co) 출판사를 위해 만든 번역본이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1999년에는 닐 젠킨스(Neil Jenkins)가 새로운 영어 번역본을 만들었다.[58]

3. 1. 복음서 이야기

바흐는 다른 오라토리오나 수난곡에서처럼,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서도 신약 성경의 복음서 이야기를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독일어로 된 가사는 주로 누가복음과 마태복음에서 가져왔다.

오라토리오의 이야기는 1734-35년 크리스마스 시즌의 교회력에 따른 복음서 낭독 순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당시 라이프치히의 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복음서 구절들이 각 축일에 읽혔다.

1734-35년 크리스마스 시즌 교회력 복음서 낭독
날짜복음서 구절주제
크리스마스 (12월 25일)누가복음 2:1–14예수 탄생, 목자들에게 천사가 나타남과 천사들의 찬송
크리스마스 둘째 날 (12월 26일)누가복음 2:15–20목자들의 경배
크리스마스 셋째 날 (12월 27일)요한 복음 1:1–14요한 복음 서문 (말씀 찬가)
새해 첫날 (1월 1일)누가복음 2:21예수 할례
새해 첫 주일마태복음 2:13–23이집트로의 피신
주현절 (1월 6일)마태복음 2:1–12동방 박사



바흐의 오라토리오 대부분과 모든 수난곡처럼, 복음사가는 노래 형식의 레치타티보로 복음서 내용을 전달한다. 직접 대화 부분은 해당 인물을 나타내는 독창자나 합창단이 부른다. 바흐가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여섯 칸타타에 포함시킨 복음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복음서 구절 사용
칸타타 (날짜)악장 번호복음서 구절내용 (독일어 첫 가사)
제1부 (크리스마스)2 (I/2)누가복음 2:1, 3–6Es begab sich aber zu der Zeit ... Und jedermann ging
6 (I/6)누가복음 2:7Und sie gebar ihren ersten Sohn
제2부 (크리스마스 둘째 날)11 (II/2)누가복음 2:8–9Und es waren Hirten in derselben Gegend
13 (II/4)누가복음 2:10–11Und der Engel sprach zu ihnen
16 (II/7)누가복음 2:12Und das habt zum Zeichen
20 (II/11)누가복음 2:13Und alsobald war da bei dem Engel
21 (II/12)누가복음 2:14Ehre sei Gott in der Höhe
제3부 (크리스마스 셋째 날)25 (III/2)누가복음 2:15aUnd da die Engel von ihnen gen Himmel fuhren
26 (III/3)누가복음 2:15bLasset uns nun gehen gen Bethlehem
30 (III/7)누가복음 2:16–19Und sie kamen eilend
34 (III/11)누가복음 2:20Und die Hirten kehrten wieder um
제4부 (새해 첫날)37 (IV/2)누가복음 2:21Und da acht Tage um waren
제5부 (새해 첫 주일)44 (V/2)마태복음 2:1Da Jesus geboren war zu Bethlehem
45 (V/3)마태복음 2:2Wo ist der neugeborne König der Juden
48 (V/6)마태복음 2:3Da das der König Herodes hörte
50 (V/8)마태복음 2:4–6Und ließ versammeln alle Hohenpriester
제6부 (주현절)55 (VI/2)마태복음 2:7–8Da berief Herodes die Weisen heimlich
58 (VI/5)마태복음 2:9–11Als sie nun den König gehöret hatten
60 (VI/7)마태복음 2:12Und Gott befahl ihnen im Traum



''참고: 크리스마스 셋째 날(요한 복음 1:1–14)과 새해 첫 주일(마태복음 2:13–23)의 교회력 복음서 낭독 내용은 오라토리오에서 직접 인용되지 않았다.''

이야기의 구조는 1734/35년 크리스마스 시즌의 교회력 요구 사항에 따라 결정되었다. 하지만 바흐는 일관된 서사 구조를 만들기 위해, 특정 날짜의 복음서 낭독 내용을 그대로 따르는 일반적인 교회 칸타타 작곡 방식에서 벗어났다. 만약 교회력 순서를 그대로 따랐다면, 동방 박사가 도착하기 전에 성가족이 이집트로 피신하는 이야기가 먼저 나오게 되어 오라토리오 전체의 흐름에 어색함이 있었을 것이다.

바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리스마스 셋째 날(12월 27일)의 복음서 내용인 요한 복음 서문을 제외하고, 두 방문객 그룹(목자들과 동방 박사)의 이야기를 나누어 배치했다. 그 결과, 크리스마스 이야기는 다음과 같이 더 자연스럽게 전개된다.

# 예수 탄생

# 목자들에게 천사가 나타남

# 목자들의 경배

# 예수의 할례와 이름 짓기

# 동방 박사들의 여정

# 동방 박사들의 경배

이집트로의 피신 이야기는 여섯 번째 칸타타의 끝부분에서 간략하게 언급된다.

바흐가 이 여섯 부분을 하나의 통일된 작품으로 구상했다는 점은 현존하는 인쇄된 악보와 텍스트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악보에는 여섯 부분을 하나로 묶는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라는 제목이 붙어 있으며, 각 부분에는 연속적인 번호가 매겨져 있다. 음악학자 존 버트(John Butt)는 이것이 b단조 미사처럼 교회력에 따른 연주 제약을 넘어선 작품의 통일성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지적했다.[59]

3. 2. 코랄

바흐는 그의 독일어 교회 음악 대부분에서처럼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서도 루터교 찬송가와 그들의 루터교 코랄 선율을 사용했다.[38][39] 첫 번째 코랄 선율은 파트 I의 5번째 곡(BWV 248/5)에 등장한다. 이 선율은 Herzlich tut mich verlangen으로, 바흐가 그의 ''마태 수난곡''에서 파울 게르하르트의 찬송가 "O Haupt voll Blut und Wunden"의 여러 연을 위해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선율이다. 이 멜로디는 오라토리오의 마지막 곡(64번, 파트 VI의 마지막 코랄)에도 다시 나타나지만, 오라토리오에서는 수난곡에서 연상되는 고통과 고난과는 다른 맥락에서 사용된다.

마르틴 루터의 1539년 "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 멜로디는 세 개의 코랄에 등장한다. 파트 I의 마지막 코랄(BWV 248/9)에서는 루터의 찬송가 13절 가사와 함께 사용되며, 파트 II에서는 파울 게르하르트의 가사에 두 번(BWV 248/17, BWV 248/23) 사용된다. 파트 I의 마지막 코랄 가사는 다음과 같다.

> '''독일어 원문:'''


> Ach mein herzliebes Jesulein,


> Mach dir ein rein sanft Bettelein,


> Zu ruhn in meines Herzens Schrein,


> Dass ich nimmer vergesse dein!


> '''한국어 번역:'''


> 오, 내 사랑하는 마음, 어린 예수여,


> 내 영혼 속에 너의 요람을 준비하고,


> 내 마음에 너를 안아줄게,


> 그리고 너에게서 영원히 떠나지 않을 거야!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바흐의 작품 이전에 알려진 자료가 없는 몇몇 찬송가 편곡이나 찬송가 선율의 변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 오라토리오 33번(BWV 248/33)에서 사용된 코랄 멜로디는 게오르크 에벨링의 1666년 찬송가 "Warum sollt ich mich denn grämen" 선율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42] 에벨링 원곡의 Zahn 번호는 6456a이다. 바흐의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버전 선율은 Zahn 6462로 분류되며, 1769년 키른베르거가 편집하고 비른슈티엘이 출판한 바흐의 4성부 코랄 모음집 두 번째 권 143번으로 처음 인쇄되었다.[43]
  • 38번(BWV 248/38)과 40번(BWV 248/40)은 요한 리스트의 찬송가 "Jesu, meiner Seelen Wonne"의 첫 번째 절을 사용한다. 이 선율 편곡은 바흐의 것으로, 알려진 기존 찬송가 선율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 오라토리오 42번(BWV 248/42)에서 요한 리스트의 찬송가 "Hilf, Herr Jesu, lass gelingen" 텍스트에 사용된 선율은 바흐의 독창적인 작품으로 여겨진다.[44] 이 선율은 요하네스 잔의 ''독일 개신교 교회 선율''(Die Melodien der deutschen evangelischen Kirchenlieder) 마지막 권에 독일 복음주의 찬송가 선율 목록의 후기 추가 항목 네 개 중 첫 번째로 언급되어 있다.


바흐가 직접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찬송가 선율은 매우 적다. 그는 대부분의 종교 작품에서 기존 루터교 찬송가 선율을 사용했지만, 자신의 창작품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서 발견되는 것 외에도, 모테트 ''Komm, Jesu, komm'', BWV 229 (1731–32년 이전에 작곡됨)에는 기존 멜로디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은 선율이 하나 있으며, 게오르크 크리스티안 솀멜리의 ''솀멜리 가곡집''(Schemellis Gesangbuch, 1736년 출판)에는 바흐의 완전히 독창적인 찬송가인 "Vergiss mein nicht, vergiss mein nicht", BWV 505가 최소한 하나 포함되어 있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코랄'''

작가날짜찬송가; 절절 첫 구절멜로디작곡가날짜ZahnBWV 248
게르하르트1653Wie soll ich dich empfangen1Wie soll ich dich empfangen (어떻게 당신을 맞이해야 할까요)Herzlich tut mich verlangen하슬러16015385a[45]5 (I/5)
루터1524Gelobet seist du, Jesu Christ6Er ist auf Erden kommen arm (그분은 세상에 가난하게 오셨네)Gelobet seist du, Jesu Christ루터152419477 (I/7)
루터1535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13Ach, mein herzliebes Jesulein (아, 내 사랑하는 작은 예수여)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루터1539346[46]9 (I/9)
리스트1641Ermuntre dich, mein schwacher Geist9Brich an, o schönes Morgenlicht (시작해, 오 아름다운 아침 빛)Ermuntre dich, mein schwacher Geist쇼프/크뤼거16485741b[47]12 (II/3)
게르하르트1667Schaut, schaut, was ist für Wunder dar8Schaut hin, dort liegt im finstern Stall (보라! 저기 어두운 마구간에 누워 있네)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루터1539346[48]17 (II/8)
게르하르트1656Wir singen dir, Immanuel2Wir singen dir in deinem Heer (우리는 당신의 군대에서 당신을 노래하네)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루터1539346[49]23 (II/14)
루터1524Gelobet seist du, Jesu Christ7Dies hat er alles uns getan (이것을 그가 우리 모두에게 행하셨네)Gelobet seist du, Jesu Christ루터15241947[50]28 (III/5)
게르하르트1653Fröhlich soll mein Herze springen15Ich will dich mit Fleiß bewahren (나는 당신을 부지런히 지키리라)Warum sollt ich mich denn grämen에벨링/바흐17346462[43]33 (III/10)
룽게1653Laßt Furcht und Pein4Freuet euch, dennWir Christenleut habn jetzund Freud퓌거15932072[51]35 (III/12)
리스트1642Jesu, meiner Seelen Wonne1aJesu, meine Freud und Wonne (예수, 내 가장 사랑하는 삶)바흐173438 (IV/3)
리스트1642Jesu, meiner Seelen Wonne1bJesus, meine Freud und Wonne (예수, 나의 기쁨과 행복)바흐173440 (IV/5)
리스트1642Hilf, Herr Jesu, lass gelingen15Jesus, richte mein Beginnen (예수님, 나의 시작을 이끄소서)Hilf, Herr Jesu, lass gelingen바흐1734Vol. VI p. 566[44]42 (IV/7)
바이스엘1642Nun, liebe Seel, nun ist es Zeit5Dein Glanz all Finsternis verzehrt (당신의 영광은 모든 어둠을 삼키네)In dich hab ich gehoffet, Herr(뉘른베르크)15812461c[52]46 (V/4)
프랑크1655Ihr Gestirn, ihr hohen Lüfte9Zwar ist solche Herzensstube (진실로, 그런 마음의 방은)Gott des Himmels und der Erden알베르트/(다름슈타트)16873614b[53]53 (V/11)
게르하르트1656Ich steh an deiner Krippen hier1Ich steh an deiner Krippen hier (나는 당신의 구유 앞에 서 있네)Nun freut euch, lieben Christen g'mein(비텐베르크)15294429a[54]59 (VI/6)
베르너1648Ihr Christen auserkoren4Nun seid ihr wohl gerochen (이제 너희는 잘 보복되었네)Herzlich tut mich verlangen하슬러16015385a[55]64 (VI/11)


4. 음악

바흐오라토리오 장르에서 세 작품을 남겼는데,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부활절 오라토리오(BWV 249), 승천절 오라토리오(BWV 11)와 함께 그의 대표적인 오라토리오 작품이다. 독일어로 된 가사는 주로 누가복음과 마태복음 등 신약성서에서 가져왔다.

총 6개의 파트(칸타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30분이다. 각 파트는 본래 교회력에 따라 크리스마스(12월 25일)부터 주현절(1월 6일)까지의 기간 동안 해당하는 축일에 맞추어 하루에 하나씩 연주되도록 작곡되었다. 바흐는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와 성 니콜라이 교회를 오가며 이 오라토리오를 직접 지휘하고 연주했다고 전해진다. 현대에는 콘서트 등에서 6개의 파트 전체를 한 번에 연주하거나, 연말과 새해로 나누어 연주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음악은 복음사가(주로 테너)가 성경 구절을 레치타티보 형식으로 노래하며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방식을 따른다. 이는 바흐의 다른 수난곡 작품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또한, 합창곡과 아리아의 상당수는 바흐가 이전에 작곡했던 세속 칸타타, 특히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BWV 213)와 '울려라, 너희 팡파르! 울려라, 너희 트럼펫!'(BWV 214) 등의 음악을 가져와 가사만 바꾸어 사용하는 패러디 기법을 정교하게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바흐는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위해 조표를 체계적으로 사용했다. 제1부와 제3부는 축제 분위기의 D 장조, 제2부는 목가적인 G 장조, 제4부는 가장 먼 조성인 F 장조로 작곡되었다. 이후 제5부의 A 장조를 거쳐 마지막 제6부에서 다시 D 장조로 돌아오며 음악적 아치를 형성한다. 제1부의 코랄 "Wie soll ich dich empfangen" 멜로디를 제6부 마지막 합창에서 재사용하여 이러한 구조적 연결을 강화했다. 이 멜로디는 ''마태 수난곡''에서도 사용된 "O Haupt voll Blut und Wunden"과 동일하다.

4. 1. 패러디 기법

이 음악은 기존 음악을 새로운 목적에 맞게 개작하는 패러디 기법을 정교하게 사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바흐는 오라토리오의 합창곡과 아리아 대부분을 이전에 작곡했던 세속 칸타타에서 가져왔다. 이 원곡들은 주로 왕족이나 지역 유명 인사를 찬양하기 위해 만들어진 곡들이었다.

1730년대 초, 바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세속 칸타타를 작곡했으며, 이 곡들이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주요 원전이 되었다.

  • ''So kämpfet nur, ihr muntern Töne'', BWV 1160: 피칸더의 가사로 1731년 8월 25일 초연되었다. 오프닝 합창의 후기 버전을 제외하고는 음악이 유실되었으나,[32] 유실된 교회 칸타타 BWV 248a의 오프닝 합창의 기초가 되었고, 이는 다시 오라토리오 6부의 기초가 되었다.[32][36]
  • ''Laßt uns sorgen, laßt uns wachen'', BWV 213 (''헤라클레스와 십자로''): 피칸더의 가사로 1733년 9월 5일 공연되었다.[33]
  • ''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 BWV 214: 1733년 12월 8일 공연되었다.[34]
  • ''Preise dein Glücke, gesegnetes Sachsen'', BWV 215: 1734년 10월 5일 공연되었다.[35]


BWV 213, 214, 215 칸타타의 악장들은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의 여러 악장의 기초를 형성한다.[33][34][35] 이 외에도 파트 V의 트리오 아리아 "Ach, wenn wird die Zeit erscheinen?" 역시 유실된 자료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며, 같은 섹션의 합창 "Wo ist der neugeborne König"는 1731년 ''St Mark Passion'', BWV 247에서 가져온 것이다.[37]

다음 표는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 재사용된 칸타타 악장들을 보여준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에 재사용된 칸타타 악장
칸타타악장유형BWV 248악장
BWV 213/1Lasst uns sorgen, lasst uns wachen합창 (SATB)36 (IV/1)Fallt mit Danken, fallt mit Loben
BWV 213/3Schlafe, mein Liebster, und pflege der Ruh아리아 (s→a)19 (II/10)Schlafe, mein Liebster, genieße der Ruh
BWV 213/5Treues Echo dieser Orten아리아 (a→s)39 (IV/4)Flößt, mein Heiland, flößt dein Namen
BWV 213/7Auf meinen Flügeln sollst du schweben아리아 (t)41 (IV/6)Ich will nur dir zu Ehren leben
BWV 213/9Ich will dich nicht hören아리아 (a)4 (I/4)Bereite, dich, Zion
BWV 213/11Ich bin deine, du bist meine이중창 (at→sb)29 (III/6)Herr, dein Mitleid, dein Erbarmen
BWV 214/1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합창 (SATB)1 (I/1)Jauchzet, frohlocket, auf, preiset die Tage
BWV 214/5Fromme Musen! meine Glieder아리아 (a→t)15 (II/6)Frohe Hirten, eilt, ach eilet
BWV 214/7Kron und Preis gekrönter Damen아리아 (b)8 (I/8)Großer Herr, o starker König
BWV 214/9Blühet, ihr Linden in Sachsen, wie Zedern합창 (SATB)24 (III/1&13)Herrscher des Himmels, erhöre das Lallen
BWV 215/7Durch die von Eifer entflammten Waffen아리아 (s→b)47 (V/5)Erleucht auch meine finstre Sinnen
BWV 247/43Pfui dich, wie fein zerbrichst du den Tempel합창 (SATB)45 (V/3)Wo ist der neugeborne König der Juden
BWV 248a/1합창 (SATB)54 (VI/1)Herr, wenn die stolzen Feinde schnauben
BWV 248a/2레시타티보 (→s)56 (VI/3)Du Falscher, suche nur den Herrn zu fällen
BWV 248a/3아리아 (→s)57 (VI/4)Nur ein Wink von seinen Händen
BWV 248a/4레시타티보 (→t)61 (VI/8)So geht! Genug, mein Schatz geht nicht von hier
BWV 248a/5아리아 (→t)62 (VI/9)Nun mögt ihr stolzen Feinde schrecken
BWV 248a/6레시타티보 (→satb)63 (VI/10)Was will der Höllen Schrecken nun
BWV 248a/7합창 (SATB)64 (VI/11)Nun seid ihr wohl gerochen
?트리오 (→sat)51 (V/9)Ach! wann wird die Zeit erscheinen?



새로운 가사가 기존 음악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는 점은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가 원곡을 얼마나 성공적으로 패러디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이다. 음악학자 알프레드 뒤르(Alfred Dürr)[56]와 크리스토프 볼프(Christoph Wolff)[57]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바흐의 협력자였던 피칸더(Christian Friedrich Henrici의 필명)가 바흐와 긴밀히 협력하여 재사용된 음악에 완벽하게 어울리도록 새로운 가사를 썼다고 주장했다. 오라토리오가 작곡되기 전 바흐가 세속 칸타타 BWV 213, 214, 215를 썼다는 점과 새로운 가사가 기존 음악에 완벽하게 들어맞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이미 기획되었을 가능성도 있다.[57]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흐는 두 번이나 원래 계획을 포기하고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를 위해 새로운 음악을 작곡해야 했다. 파트 III의 알토 아리아 "Schließe, mein Herze"는 원래 BWV 215의 아리아 "Durch die von Eifer entflammten Waffen"의 음악을 사용하려 했다. 그러나 이 경우, 패러디 기법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바흐는 아리아를 새로 작곡했다. 대신, 그는 BWV 215의 모델을 사용하여 파트 V의 베이스 아리아 "Erleucht' auch meine finstre Sinnen"을 작곡했다. 마찬가지로, 파트 V의 오프닝 코러스 "Ehre sei dir Gott!"은 두 곡의 가사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거의 틀림없이 BWV 213의 코러스 "Lust der Völker, Lust der Deinen"의 음악을 사용하려 했을 것이다. 세 번째 주요 신작(레치타티보를 제외하고)인 파트 II를 여는 숭고한 전원풍의 신포니아는 새로운 작품을 위해 처음부터 작곡되었다.

위에 언급된 새로운 작곡 외에도, 오라토리오를 하나의 일관된 전체로 묶는 레치타티보에 특별한 언급을 해야 한다. 특히 바흐는 파트 I의 7번("Er ist auf Erden kommen arm")에서 코랄과 결합할 때 레치타티보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했으며, 파트 IV의 "에코 아리아"("Flößt, mein Heiland"), 39번을 감싸는 레치타티보 38번과 40번에서 더욱 독창적으로 사용했다.

바흐는 음악 자체 내에서 작품 전체의 통일성을 표현하는데, 부분적으로는 조표를 사용함으로써 이를 나타낸다. 제1부와 제3부는 D 장조로, 제2부는 딸림조인 G 장조로 쓰여졌다. 제1부와 제3부는 기쁨에 찬 트럼펫을 위해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전원적인 제2부(목자들을 지칭)는 이와 대조적으로 목관 악기를 위해 구성되었으며 오프닝 합창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4부는 F 장조 (D 단조의 상대조)로 쓰여졌으며, 오라토리오의 시작 조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음악적 지점을 나타내며 호른을 위해 구성되었다. 바흐는 이후 제5부의 딸림화음 A 장조를 거쳐 마지막 부분에서 D 장조를 다시 웅장하게 제시하여 작품 전체에 아치를 부여하며, 시작 조로의 여정을 시작한다. 이러한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바흐는 제1부의 "Wie soll ich dich empfangen"의 코랄 멜로디를 제6부의 마지막 합창 "Nun seid ihr wohl gerochen"에서 재사용했다. 이 합창 멜로디는 바흐가 그의 ''마태 수난곡''에서 다섯 번 사용한 "O Haupt voll Blut und Wunden"과 동일하다.

4. 2. 악기 편성

다음 악기 편성은 개별 연주자가 아닌 파트에 관한 것이다.[59] '파트당 한 목소리'와 같은 소규모 연주자 이론을 따르는 경우, 각 파트당 악기 수를 1개에 가깝게 선택할 수도 있다.

악기 구성
제1부트럼펫 3, 팀파니, 가로 플루트 2, 오보에 2 (둘 다 오보에 다모레로 연주),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그룹
제2부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제3부트럼펫 3, 팀파니, 플루트 2, 오보에 2 (둘 다 오보에 다모레로 연주),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제4부호른 2, 오보에 2,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제5부오보에 다모레 2,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제6부트럼펫 3, 팀파니, 오보에 2 (둘 다 오보에 다모레로 연주), 바이올린 2, 비올라, 콘티누오



콘티누오 파트는 악기 편성에 있어 해석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바순, 첼로, 비올론 (더블베이스), 오르간을 사용했고[60], 페터 슈라이어는 첼로, 더블베이스, 바순, 오르간, 하프시코드를 사용했으며[61], 르네 야콥스는 첼로, 더블베이스, 류트, 바순, 오르간, 하프시코드를[62], 요스 판 펠드호벤은 첼로, 더블베이스, 바순, 오르간, 하프시코드, 테오르보를 선택하는 등[63] 다양한 조합이 시도되었다.

작품 전반에 걸쳐 다양한 종류의 오보에가 요구되는데, 특히 제2부의 특정 악장(10, 12, 14, 17, 18, 19, 21번)에서는 오보에 다모레 2개와 오보에 다 카치아 2개가 함께 편성된다. 이는 제2부의 주제인 양치기를 상징하기 위한 것으로, 크리스마스에 양치기들이 샬뤼모와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목가적인 음악 전통을 나타낸다. 이는 헨델의 ''메시아'' (1741)에 나오는 목가적인 신포니아 '피파(Pifa)'와 유사한 맥락이다.

성악 파트는 혼성 4부 합창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독창자로 이루어진다.

4. 3. 구성

바흐오라토리오 작품으로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부활절 오라토리오(BWV 249), 승천절 오라토리오(BWV 11) 세 곡을 남겼다.

독일어 가사는 누가복음, 마태복음 등 신약성서에서 가져왔다. 총 연주 시간은 약 2시간 반이며, 여섯 개의 파트(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 파트는 합창, 코랄, 독창자들의 레치타티보, 아리오소, 아리아를 포함한다. 단, 파트 II는 합창 대신 목가풍의 신포니아로 시작한다. 악보 표기 관례에 따라 레치타티보는 4/4박자로 표기된다.

이 작품은 총 6부, 64곡으로 이루어진 칸타타 모음곡이다. 전통적으로는 교회력에 따라 크리스마스(12월 25일)부터 주현절(1월 6일)까지, 일요일과 축일을 포함한 6일 동안 하루에 한 파트씩 연주되었다. 바흐는 라이프치히의 성 토마스 교회와 성 니콜라이 교회를 오가며 이 오라토리오를 직접 지휘하고 연주했다고 전해진다. 현대에는 콘서트 등에서 6부 전체를 중간 휴식 시간을 두고 한 번에 연주하거나, 연말(1-3부)과 새해(4-6부)로 나누어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는 바흐의 다른 수난곡처럼 복음사가(주로 테너)가 신약성서 구절을 레치타티보로 노래하며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형식을 따른다. 합창곡과 아리아의 상당수, 그리고 기악 반주가 있는 레치타티보 일부는 기존 칸타타 작품에서 가져와 가사만 바꾼 것(패러디 기법)이다. 특히 1부부터 4부까지의 합창과 아리아는 세속 칸타타 '갈림길에 선 헤라클레스'(BWV 213)와 '울려라, 너희 팡파르! 울려라, 너희 트럼펫!'(BWV 214)에서 유래했다. 원곡과 개작된 오라토리오의 분위기가 잘 어울리는 것으로 보아, 바흐가 1733년 세속 칸타타 작곡 당시부터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로의 전용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파트 II의 시작을 알리는 기악곡인 신포니아는 전곡 중 유일한 순수 기악곡으로, 단독으로도 자주 연주될 만큼 유명하다.

제1부: 크리스마스 첫날을 위하여
번호 조성박자첫 번째 줄 (독일어 원문)악기 편성출처
1합창라장조3/8Jauchzet, frohlocket, auf, preiset die Tage|환호하라, 기뻐하라, 이날을 찬양하라deu트럼펫 3대, 팀파니, 플루트 2대, 오보에 2대, 현악기(바이올린 I, II, 비올라) 및 통주 저음(첼로, 비올론, 오르간 및 바순)BWV 214: 합창, Tönet, ihr Pauken! Erschallet, Trompeten!
2레시타티보(복음사가, 테너)Es begab sich aber zu der Zeit|그때에 아우구스투스 황제로부터 칙령이 내려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1-6
3레시타티보(알토)Nun wird mein liebster Bräutigam|이제 나의 사랑하는 신랑은deu오보에 다모레 2대, 통주 저음
4아리아(알토)가단조3/8Bereite dich, Zion, mit zärtlichen Trieben|시온이여, 준비하라, 부드러운 마음으로deu오보에 다모레 I, 바이올린 I, 통주 저음BWV 213: 아리아, Ich will dich nicht hören
5코랄E-프리기아[64][65]4/4Wie soll ich dich empfangen|내가 당신을 어떻게 맞이해야 할까deu플루트 2대, 오보에 2대, 현악기 및 통주 저음"Wie soll ich dich empfangen", v. 1 (파울 게르하르트, 1653); Zahn 5385a (한스 레오 하슬러, 1601)[66]
6레시타티보(복음사가, 테너)Und sie gebar ihren ersten Sohn|그리고 그녀는 첫아들을 낳아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7
7코랄(소프라노)
----
레시타티보(베이스)
사장조3/4
4/4
Er ist auf Erden kommen arm|그는 가난하게 이 땅에 오셨네deu
----
Wer will die Liebe recht erhöhn|누가 이 사랑을 올바로 찬양할 수 있을까deu
오보에 다모레 2대, 통주 저음"Gelobet seist du, Jesu Christ", v. 6 (마르틴 루터, 1524); Zahn 1947 (비텐베르크 1524)[67][68]
8아리아(베이스)라장조2/4Großer Herr, o starker König|위대한 주님, 오 강한 왕이여deu트럼펫 I, 플루트 I, 현악기, 통주 저음BWV 214: 아리아, Kron und Preis gekrönter Damen
9코랄라장조4/4Ach mein herzliebes Jesulein!|아, 내 마음의 사랑스러운 아기 예수여!deu트럼펫 3대, 팀파니, 플루트 2대, 오보에 2대, 현악기 및 통주 저음(첼로, 비올론, 오르간 및 바순)"Vom Himmel hoch, da komm ich her", v. 13 (마르틴 루터, 1535); Zahn 346 (마르틴 루터, 1539)[69]



제2부: 크리스마스 두 번째 날을 위해
번호 조성박자첫 줄 (독일어 원문)악기 편성출처
10신포니아사장조12/8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
11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es waren Hirten in derselben Gegend|그 지역에 목자들이 있었는데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8-9
12코랄사장조4/4Brich an, o schönes Morgenlicht|오 아름다운 아침 빛이여, 비추어라deu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Ermuntre dich, mein schwacher Geist", v. 9 (요한 리스트, 1641); Zahn 5741 (요한 숍, 1641)[70]
13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 천사, 소프라노)Und der Engel sprach zu ihnen|천사가 그들에게 말하기를deu
Fürchtet euch nicht|두려워하지 말라deu
현악기, 통주 저음누가복음 2:10-11
14레치타티보 (베이스)Was Gott dem Abraham verheißen|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deu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
15아리아 (테너)마단조3/8Frohe Hirten, eilt, ach eilet|기뻐하는 목자들아, 서둘러라, 아 서둘러라deu플루트 I, 통주 저음BWV 214: 아리아, Fromme Musen! meine Glieder
16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71]Und das habt zum Zeichen|이것이 너희에게 표적이니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12
17코랄다장조4/4Schaut hin! dort liegt im finstern Stall|보라! 저 어두운 마구간에 누워 계신 분을deu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Schaut, schaut, was ist für Wunder dar", v. 8 (파울 게르하르트, 1667); Zahn 346 (마르틴 루터, 1539)[72]
18레치타티보 (베이스)So geht denn hin!|그러니 가라!deu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통주 저음
19아리아 (알토)사장조/마단조2/4'Schlafe, mein Liebster, genieße der Ruh|잠자라, 나의 사랑하는 이여, 안식을 누려라deu''플루트 I (colla parte 알토 독창자보다 옥타브 위에서 전체적으로),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BWV 213: 아리아, Schlafe, mein Liebster, und pflege der Ruh
20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alsobald war da bei dem Engel|홀연히 그 천사 곁에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13
21합창사장조분할 4/4 (2/2)Ehre sei Gott in der Höhe|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deu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누가복음 2:14
22레치타티보 (베이스)So recht, ihr Engel, jauchzt und singet|옳도다, 너희 천사들아, 환호하고 노래하라deu통주 저음
23코랄사장조12/8Wir singen dir in deinem Heer|우리는 당신의 군대 안에서 당신께 노래합니다deu플루트 2, 오보에 다모레 2, 오보에 다 카치아 2, 현악기, 통주 저음"Wir singen dir, Immanuel", v. 2 (파울 게르하르트, 1656); Zahn 346 (마르틴 루터, 1539)[73]



제3부: 크리스마스 셋째 날을 위한 곡
번호 조성박자첫 소절 (독일어 원문)악기 편성출처
24합창라장조3/8Herrscher des Himmels, erhöre das Lallen|하늘의 지배자여, 서툰 기도를 들으소서deu트럼펫 I, II, III, 팀파니, 플루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BWV 214: 합창, Blühet, ihr Linden in Sachsen, wie Zedern
25레시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da die Engel von ihnen gen Himmel fuhren|천사들이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라가니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15
26합창가장조3/4Lasset uns nun gehen gen Bethlehem|자, 이제 베들레헴으로 가자deu플루트 I, II, 오보에 다모레 I, II, 현악기, 통주 저음
27레시타티보 (베이스)'Er hat sein Volk getröstt|그가 자기 백성을 위로하셨다deu''플루트 I, II, 통주 저음
28코랄라장조4/4Dies hat er alles uns getan|이 모든 것을 그가 우리를 위해 행하셨네deu플루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Gelobet seist du, Jesu Christ", v. 7 (마르틴 루터, 1524); Zahn 1947 (비텐베르크 1524)[67][68]
29이중창 (소프라노, 베이스)가장조3/8Herr, dein Mitleid, dein Erbarmen|주님, 당신의 연민, 당신의 자비deu오보에 다모레 I, II, 통주 저음BWV 213: 아리아, Ich bin deine, du bist meine
30레시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sie kamen eilend|그리고 그들은 서둘러 와서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16-19
31아리아 (알토)라장조/나단조2/4Schließe, mein Herze, dies selige Wunder|내 마음아, 이 복된 기적을 간직하라deu바이올린 독주, 통주 저음
32레시타티보 (알토)Ja, ja! mein Herz soll es bewahren|그래, 그래! 내 마음은 그것을 간직하리라deu플루트 I, II, 통주 저음
33코랄사장조4/4Ich will dich mit Fleiß bewahren|나는 당신을 정성껏 지키리라deu플루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Fröhlich soll mein Herze springen", v. 15 (파울 게르하르트, 1653); Zahn 6461 (게오르크 에벨링, 1666)[74]
34레시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die Hirten kehrten wieder um|목자들은 돌아가서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20
35코랄올림 바단조4/4Seid froh, dieweil|기뻐하라, 그동안deu플루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Laßt Furcht und Pein", v. 4 (크리스토프 룬게, 1653); Zahn 2072 (카스파르 퓌거, 1593)[75]
24다 카포 합창라장조3/8Herrscher des Himmels, erhöre das Lallen|하늘의 지배자여, 서툰 기도를 들으소서deu트럼펫 I, II, III, 팀파니, 플루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BWV 214: 합창, Blühet, ihr Linden in Sachsen, wie Zedern



제4부: 새해 첫날(예수 할례 축일)
번호 조성박자첫 소절 (독일어 원문)악기 편성출처
36합창바장조3/8Fallt mit Danken, fallt mit Loben|감사하며 엎드리고, 찬양하며 엎드리라deu호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BWV 213: 합창, Lasst uns sorgen, lasst uns wachen
37레치타티보(복음사가, 테너)Und da acht Tage um waren|여드레가 지나니deu통주 저음누가복음 2:21
38레치타티보(베이스)
아리오소(소프라노/베이스)
Immanuel, o süßes Wort|임마누엘, 오 감미로운 말씀!deu
Jesu, du mein liebstes Leben|예수, 나의 가장 사랑하는 생명deu
현악기, 통주 저음 
39아리아(소프라노 & 에코 소프라노)다장조6/8Flößt, mein Heiland, flößt dein Namen|나의 구세주여, 당신의 이름이 흘러나오니deu오보에 I 독주, 통주 저음BWV 213: 아리아, Treues Echo dieser Orten
40레치타티보(베이스)
아리오소(소프라노)
'Wohlan! dein Name soll allein|자! 당신의 이름만이deu
Jesu, meine Freud
und Wonne|예수, 나의 기쁨과 환희deu''
현악기, 통주 저음 
41아리아(테너)라단조CIch will nur dir zu Ehren leben|나는 오직 당신의 영광을 위해 살리라deu바이올린 I, II, 통주 저음BWV 213: 아리아, Auf meinen Flügeln sollst du schweben
42코랄바장조3/4Jesus richte mein Beginnen|예수여, 나의 시작을 인도하소서deu호른 I, II, 오보에 I, II, 현악기, 통주 저음가사: 요한 리스트, 1642



제5부: 새해 첫 번째 주일을 위하여[76]
번호 조성박자첫 번째 줄 (독일어 원문)악기 편성출처
43합창가장조/올림 바단조3/4Ehre sei dir, Gott, gesungen|하나님, 당신께 영광의 노래를 드리나이다deu오보에 다모레 I, II, 현악, 통주 저음 
44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Da Jesus geboren war zu Bethlehem|예수께서 베들레헴에서 나셨을 때deu통주 저음마태복음 2:1
45합창
레치타티보 (알토)
합창
라장조4/4Wo ist der neugeborne König der Jüden?|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deu[77]
Sucht ihn in meiner Brust|내 가슴 속에서 그를 찾으라deu
Wir haben seinen Stern gesehen|우리가 그의 별을 보았노라deu
오보에 다모레 I, II, 현악, 통주 저음BWV 247: 마가 수난곡, 합창,
Pfui dich, wie fein zerbrichst du den Tempel[37]
46코랄가장조4/4Dein Glanz all Finsternis verzehrt|당신의 광채가 모든 어둠을 삼키네deu오보에 다모레 I, II, 현악, 통주 저음가사: 게오르크 바이셀, 1642년
47아리아 (베이스)올림 바단조2/4Erleucht auch meine finstre Sinnen|나의 어두운 감각도 밝히소서deu오보에 다모레 I 솔로, 오르간 (통주 저음 없음)[78]BWV 215: 아리아, Durch die von Eifer entflammeten Waffen
48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Da das der König Herodes hörte|헤롯 왕이 듣고deu통주 저음마태복음 2:3
49레치타티보 (알토)Warum wollt ihr erschrecken?|너희는 어찌하여 놀라느냐?deu현악, 통주 저음 
50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Und ließ versammeln alle Hohepriester|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서기관들을 모아deu통주 저음마태복음 2:4-6
51트리오 (소프라노, 알토, 테너)나단조2/4Ach, wann wird die Zeit erscheinen?|아, 그 시간이 언제 나타날까?deu바이올린 I 솔로, 통주 저음미상
52레치타티보 (알토)Mein Liebster herrschet schon|나의 사랑하는 이가 이미 다스리신다deu통주 저음 
53코랄가장조4/4Zwar ist solche Herzensstube|참으로 이러한 마음의 방은deu오보에 다모레 I, II, 현악, 통주 저음가사: 요한 프랑크, 1655년



{| class="wikitable"

|+ 제6부: 주현절을 위한 곡

!번호!! !!조성!!박자!!첫째 줄 (독일어 원문)||편성!!출처

|-

|54||합창||라장조||3/8||''Herr, wenn die stolzen Feinde schnauben|주님, 교만한 적들이 분노할 때deu''||트럼펫 I, II, III, 팀파니, 오보에 I, II, 현, 통주 저음||BWV 248a (유실된 교회 칸타타)

|-

|55||colspan=3|레치타티보 (복음사가, 테너; 헤롯, 베이스)||''Da berief Herodes die Weisen heimlich|이에 헤롯이 박사들을 가만히 불러deu

Ziehet hin und forschet fleißig|가서 아기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deu''||통주 저음||마태복음 2:7-8

|-

|56||colspan=3|레치타티보 (소프라노)||''{{llang|deu|Du Falscher, suche nur den Herrn zu fällen|너 거짓된 자여, 주님을

참조

[1] Bach Digital Bach Digital Source https://www.bach-dig[...]
[2]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79}}
[3]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86}}
[4]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s {{BDW|0303}} and {{BDW|0297}}
[5]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55}}
[6]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80}}
[7]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230}}
[8]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87}}
[9]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81}}
[10]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16}}
[11]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0|11391}}
[12]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48}}
[13]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63}}
[14]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49}}
[15]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56}}
[16]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50}}
[17]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35}}
[18]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72}}
[19]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185}}
[20]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35}}
[21]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18}}
[22]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074}}
[23] 서적 Gottgefälliges Kirchen-Opffer in einem gantzen Jahr-Gange Andächtiger Betrachtungen/ über die gewöhnlichen Sonn- und Festtags-Texte GOtt zu Ehren und der Darmstättischen Schloß-Capelle zu seiner Früh- und Mittags-Erbauung Darmstadt 1711
[24]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318}}
[25]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317}}
[26]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s {{BDW|0235}} and {{BDW|0234}}
[27]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245}}
[28]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s {{BDW|0206}} and {{BDW|0255}}
[29] 서적 Deutschsprachige Oratorienlibretti: von den Anfängen bis 1730 https://books.google[...] Schöningh 2005
[30] 서적 Music at German Courts, 1715–1760: Changing Artistic Priorities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11
[31] 웹사이트 Texte zu einem Weihnachts-Oratorium 1728 http://www.ruhr-uni-[...] 2016-09-17
[32]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1318}}
[33]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269}}
[34]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270}}
[35] Bach Digital Work Bach Digital Work {{BDW|0271}}
[36]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37] 간행물 Werner Breig, sleeve notes to John Eliot Gardiner's recording of the Christmas Oratorio Deutsche Grammophon 1987
[38] 웹사이트 Sortable Index of the Chorales by J.S. Bach http://www.bach-chor[...]
[39]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0] 서적 Popular rhymes of Scotland https://archive.org/[...] Robert Chambers 1870
[41] 기타 If on a Winter's Night... 2009
[42] 웹사이트 BWV 248(3).33(10) http://www.bach-chor[...]
[43]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4]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5]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6]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7]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8]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49]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0]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1]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2]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3]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4]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5] 웹사이트 Bach Digital https://www.bach-dig[...]
[56] 간행물 Alfred Dürr, sleeve notes to Nikolaus Harnoncourt's first recording of the Christmas Oratorio Warner Music Group 1972
[57] 간행물 Christoph Wolff, sleeve notes to Ton Koopman's recording of the Christmas Oratorio Erato Records 1997
[58]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by Neil Jenkins on his translation of Bach's Christmas Oratorio, 1999 http://www.neiljenki[...]
[59] 간행물 Sleeve notes to Philip Pickett's recording of the Christmas Oratorio Decca Records 1997
[60] 기타 Das Alte Werk Warner 1973
[61] 기타 Decca Philips 1987
[62] 기타 Harmonia Mundi 1997
[63] 기타 Channel Classics Records 2003
[64] 서적 The Cantatas of J. S. Bach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Verbindlich werden: Reformierte Existenz in ökumenischer Begegnung Vandenhoeck & Ruprecht
[66] 웹사이트 BWV 248(1)/5 http://www.bach-chor[...] 2018
[67] 기타 BWV2a 1998
[68] 웹사이트 BWV 248(3)/28(5) http://www.bach-chor[...] 2018
[69] 웹사이트 BWV 248(1)/9 http://www.bach-chor[...] 2018
[70] 웹사이트 BWV 248(2)/12(3) http://www.bach-chor[...] 2018
[71] 기타
[72] URL BWV 248(2)/17(8) http://www.bach-chor[...] Luke Dahn 2018
[73] URL BWV 248(2)/23(14) http://www.bach-chor[...] Luke Dahn 2018
[74] URL BWV 248(3)/33(10) http://www.bach-chor[...] Luke Dahn 2018
[75] URL BWV 248(3)/35(12) http://www.bach-chor[...] Luke Dahn 2018
[76] 기타
[77] Sourcetext
[78] 서적 Weihnachts-Oratorium BWV 248 Bärenreiter
[79] 서적 Juloratoriet https://books.google[...] Bonniers
[80] 웹사이트 Sechs Kantaten zum Lob Gottes: ARD zeigt ''Bach – ein Weihnachtswunder'' https://www.katholis[...] 2024-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