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는 18세기 독일의 생물학자, 해부학자, 식물학자이다. 그는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학위 논문에서 후성설을 지지했다. 볼프는 닭 배아 연구를 통해 볼프체를 발견했으며, 저서 《장의 형성에 관하여》에서 배엽 개념의 기초를 제시하여 발생학 발전에 기여했다. 볼프관, 볼프 낭포 등 그의 이름을 딴 해부학적 구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군의관 - 요제프 멩겔레
    요제프 멩겔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죽음의 천사'로 불리며 쌍둥이 등을 대상으로 비윤리적인 인체 실험을 자행한 나치 독일 친위대 의사로, 전후 남미로 도피 생활을 하다 브라질에서 사망했다.
  • 독일의 군의관 - 에두아르트 부흐너
    에두아르트 부흐너는 무세포 효모 추출물 연구로 발효에 효모 세포가 필수적이지 않음을 밝혀 생기론에 타격을 주고 190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화학자이자 생화학자이며, 부흐너 반응을 발견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했다.
  • 독일의 생리학자 - 알브레히트 코셀
    독일의 생화학자이자 유전학 연구의 선구자인 알브레히트 코셀은 핵산 구성 성분 발견 및 명명, 단백질 화학적 조성 연구 기여, 세포 생물학 연구 등으로 1910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생리학자 - 테오도어 슈반
    테오도어 슈반은 동물 세포 연구로 세포 이론 확립에 기여하고 펩신 발견, 발효 과정 규명, 슈반 세포 발견, "대사 작용" 용어 사용 등 생물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생리학자이자 해부학자이다.
  • 할레 대학교 동문 - 헤르만 슈타우딩거
    헤르만 슈타우딩거는 독일의 유기화학자로, 케텐 분자 계열 발견과 슈타우딩거 반응 보고 등 유기화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고분자 연구를 통해 고분자화학의 기초를 확립한 공로로 195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고, 평화 운동 참여와 나치 정권 하 탄압 속에서도 연구를 지속하여 고분자 재료 개발에 기여했다.
  • 할레 대학교 동문 - 루트비히 티크
    루트비히 티크는 독일 초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소설가, 시인, 극작가 등으로 활동하며, 셰익스피어 작품 번역 및 편집에도 기여했고, 말년에는 비평가로 활동했다.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원어 이름Caspar Friedrich Wolff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카스파르 프리드리히 볼프, F. Anting (1784)의 실루엣 초상화, 현재까지 전해지는 두 점의 초상화 중 하나
출생1733년 1월 18일
출생지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베를린
사망1794년 2월 22일
사망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적독일
분야산부인과학
모교할레 대학교
주요 업적중간콩팥
중간콩팥관
배엽 이론
후성설
서명

2. 생애

볼프는 브란덴부르크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1759년에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학위논문인 《발생 이론(Theoria Generationis)》에서 아리스토텔레스윌리엄 하비가 주장한 후성설(epigenesis)을 다시금 지지하였다. 논문은 크게 식물 발생, 동물 발생, 이론적 고찰이라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미분화 세포가 층으로 분화되어 기관이 만들어진다는 내용을 담았다. 당시에는 발생이 시작하기 이전에 개체가 이미 만들어져 있다는 전성설이 통념이었다. 즉 사람의 경우 호문클루스정자에 이미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볼프의 견해는 선뜻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알브레히트 폰 할러가 특히 강하게 반대했다.

볼프는 7년 전쟁프로이센 군대에서 야전의사로 복무해야 했다. 그는 이후 학업을 재개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마침내 1767년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도움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해부학 의장직을 맡게 되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3. 연구 업적

볼프는 발생학, 해부학, 식물학 등 여러 분야를 연구했다. 1759년 할레 대학교에서 받은 학위 논문인 『발생론』("Theoria generationis")에서는 식물과 동물의 발생을 논하며, 당시 주류였던 전성설에 반대하는 후성설을 주장했다. 전성설은 각 기관이 미리 존재한다는 이론이었고, 후성설은 각 기관이 발생 과정에서 형성된다는 이론이었다. 볼프의 이론은 곧바로 인정받지 못하고, 알브레히트 폰 할러 등으로부터 혹독한 비판을 받았다. 7년 전쟁이 시작되자 프로이센 육군의 군의관으로 종군했으며, 이후 힘든 연구 생활을 보냈다.

1767년,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추천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아카데미(현재의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해부학 부장이 되었고, 179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후성설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1821년 요한 프리드리히 메켈이 그 중요성을 알아보고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에게 독일어로 번역하게 한 이후이다.

닭의 발생 그림

3. 1. 발생학 연구와 후성설

볼프의 연구는 발생학, 해부학, 식물학을 망라했다. 그는 닭의 배아를 연구하여 콩팥의 전신인 볼프체(Wolffian body)를 발견하였고 이를 학위논문에 기술하였다.[1]

볼프는 발생이 시작하는 시점에는 아무런 질서도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알이 물리적인 힘 이외 요인의 작용에 의해 "기적적"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해야만 했다. 그는 완전한 무질서에서 고도로 조직화된 상태로 나아가는 것은 "본질력(vis essentialis)"의 작용이라고 생각했다.[1]

1768년 볼프는 창자에 대해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여 《창자의 형성에 대하여(De Formatione Intestinorum)》라는 논문을 출판하였다. 이 논문에 담긴 연구 내용은 발생학 분야에서 볼프의 최대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는 볼프의 논문을 "우리가 가진 과학적 관찰의 최고 걸작"이라고 평했으며, 과학 저술가 윌리엄 로시(William A. Locy)는 《발생 이론》의 경우 마르첼로 말피기의 수준에 미치지 못했으나 1768년 논문은 그를 능가하여 하인츠 크리스티안 판더와 카를 폰 베어 이전까지 최고의 발생학 연구였다고 평가했다.[1]

《창자의 형성에 대하여》에는 배엽 개념의 맹아가 담겨 있다. 이 논문에서 볼프는 발생 초기에 배아를 이루는 물질이 나뭇잎처럼 생긴 층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그는 배엽 이론을 예견하고 그 기초를 닦았는데, 배엽 개념은 이후 판더와 폰 베어가 발전시킨 구조적 발생학의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로시는 폰 베어 이전 발생학 연구의 선두 주자로 볼프를 꼽았다.[1]

볼프는 동물의 기관이 점진적으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형성 단계를 실제로 관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

3. 2. 기타 업적

볼프는 발생학, 해부학, 식물학 등 여러 분야를 연구했다. 배아를 연구하여 콩팥의 전신인 볼프체(Wolffian body)를 발견하고 학위논문에 기술하였다.[1]

1768년 창자에 대한 연구를 《창자의 형성에 대하여(De Formatione Intestinorum)》라는 논문으로 출판했다. 이 논문은 발생학 분야에서 볼프의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카를 에른스트 폰 베어는 이 논문을 "우리가 가진 과학적 관찰의 최고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과학 저술가 윌리엄 로시(William A. Locy)는 《발생 이론》은 마르첼로 말피기의 수준에 미치지 못했지만, 1768년 논문은 하인츠 크리스티안 판더와 카를 폰 베어 이전까지 최고의 발생학 연구였다고 평가했다.[1]

《창자의 형성에 대하여》에는 배엽 개념의 맹아가 담겨 있다. 볼프는 이 논문에서 발생 초기 배아를 이루는 물질이 나뭇잎처럼 층 모양으로 배열됨을 밝혔다. 이는 훗날 판더와 폰 베어가 발전시킨 구조적 발생학의 토대인 배엽 이론을 예견하고 기초를 닦은 것이다. 로시는 이러한 이유로 폰 베어 이전 발생학 연구의 선두 주자로 볼프를 꼽았다.[1]

볼프는 동물의 기관이 점진적으로 만들어지며, 각 형성 단계를 실제로 관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

3. 3. 볼프의 이름을 딴 용어


  • 볼프관 또는 중신관
  • 볼프 낭종
  • 볼프체 또는 중신
  • 볼프 섬 또는 혈구섬[1]

4. 저서


  • Theoria generationisde, 1759년, 할레
  • Theoria generationisde (두 개의 논문으로 설명하고 증명), 1764년, 베를린
  • 《장의 형성에 관하여》, 176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 《사자에 관한 해부학적 관찰》, 1771년, 상트페테르부르크
  • 《식물질 및 동물질의 고유하고 본질적인 힘에 관하여》 (영양력에 관한 두 편의 논문에 대한 설명), 178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 《해부학적 도표 VII, VIII 및 IX의 설명》, 1801년, 상트페테르부르크
  • 《부화된 병아리에서의 장관 형성에 관하여》, 1812년, 할레

참조

[1] 서적 Biology and its makers http://dx.doi.org/10[...] H. Holt 1915
[2] 서적 Dictionary of Developmental Biology and Embryology http://dx.doi.org/10[...] Wiley 2011-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