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이저 너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저 너클은 1994년 출시된 캡콤의 격투 게임 방식을 따른 게임이다. 2판 3선승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9명의 플레이어 캐릭터와 3명의 보스를 선택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5가지 통상기를 사용하며, "크러시 미터"를 채워 특수 기술과 파워 존을 활용할 수 있다. 게임에는 카즈야, 리화 등 9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와 곤잘레스, 아즈테카, 제너럴 3명의 보스가 등장한다. 글로벌 챔피언, 단쿠가 등의 파생 버전이 존재하며, 2022년 이글렛 투 미니에 이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이토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타이토 게임 - 퍼즐 보블 4
    《퍼즐 보블 4》는 같은 색 버블을 연결해 터뜨리는 퍼즐 게임으로, 도르래 시스템과 연쇄 반응 기능을 추가하고 다양한 싱글/멀티 플레이 모드와 개성 넘치는 캐릭터, 보스 대결 스토리를 제공하며 여러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아케이드 전용 비디오 게임 - 아이카츠 스타즈!
    《아이카츠 스타즈!》는 반다이 남코 픽쳐스에서 제작하여 TV 도쿄에서 방영된 아이돌 애니메이션으로, 포 스타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아이돌들의 성장과 우정, 라이벌 학교와의 경쟁을 그리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확장되었다.
  • 아케이드 전용 비디오 게임 -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은 요코하마를 배경으로 프리즘 쇼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애니메이션 및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하루네 아이라, 아마미야 리즈무, 타카미네 미온으로 구성된 3인조 유닛 'MARs'가 프리즘 퀸을 목표로 성장하는 이야기이며, 화려한 프리즘 점프 기술과 개성 넘치는 등장인물들이 특징이다.
  • 다인용 및 일인용 비디오 게임 - 몬스터 헌터 크로스
    몬스터 헌터 크로스는 닌텐도 3DS와 스위치로 출시된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반복적인 퀘스트, 복잡한 조작법, 높은 진입장벽 등의 단점도 지적되었다.
  • 다인용 및 일인용 비디오 게임 - 프리덤 워즈
    프리덤 워즈는 메타크리틱에서 73/100점을 기록하고, Destructoid, GameSpot, IGN 등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패미통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카이저 너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카이저 너클
원제Kaiser Knuckle (영어)
일본어 제목カイザーナックル (Kaizā Nakkuru)
게임 정보
장르대전 격투 게임
모드일인용
다인용
개발 및 출시
개발사타이토
배급사타이토
디자이너고보리 타케시
메인 프로그래머아오키 히로시
이미지 일러스트레이터유키 노부테루
작곡가와타나베 야스히사
출시일1994년 7월
플랫폼아케이드
아케이드 시스템타이토 F3 시스템
기타
프로젝트 리더고보리 타케시
추가 프로그래머우사미 코스케
츠치야 쿠미
나카무라 타츠오
오야마 이사오
아티스트사카모토 유지
카미무라 타케시
동시 플레이어 수2인

2. 게임 플레이

카즈야와 리화의 대결을 보여주는 게임 플레이 스크린샷


''카이저 너클''은 플레이어 캐릭터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플레이어와 1:1 대결을 펼치는 격투 게임이다. 게임은 기본적으로 2판을 먼저 이기는 쪽이 승리하는 3선승제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며, 이는 스트리트 파이터 II가 정립한 방식을 따른다. 플레이어는 처음에 9명의 캐릭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각 캐릭터는 고유한 전투 스타일과 필살기를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없는 컴퓨터 전용 보스 캐릭터 3명이 존재한다.

조작 방식은 대부분의 캡콤 격투 게임처럼 6개의 버튼(약/중/강 펀치, 약/중/강 킥)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게임 센터 설정(딥 스위치)을 통해 5개 버튼 방식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대방에게 공격받으면 쌓이는 "크러시 미터"가 가득 찼을 때 필살기를 성공시키면 배경 일부가 파괴되는 "파워 존" 연출이 발생하는 등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2. 1. 특징적인 요소



''카이저 너클''은 스트리트 파이터 II와 유사한 격투 게임 방식을 따르지만, 몇 가지 독특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 '''5종류의 통상기 속성'''

:: 약, 중, 강 세기의 펀치와 킥 외에도, 약 버튼과 중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초 공격''', 중 버튼과 강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격 공격'''이라는 특수한 통상기를 사용할 수 있다.

  • '''크래시 게이지와 파워 존'''

:: 플레이어가 상대방으로부터 데미지를 입으면 화면 하단의 '크래시 게이지'가 점차 채워진다. 이 게이지가 가득 찼을 때 필살기를 상대에게 적중시키면 평소보다 더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배경 스테이지의 일부(바닥, 벽 등)가 파괴되는 등 변화가 일어난다. 배경이 파괴되면서 드러나는 불이나 전기 속성의 '파워 존'은 특정 캐릭터의 필살기 성능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크래시 게이지는 필살기가 상대에게 가드될 경우 소모되지 않으며, 다음 라운드로 넘어가도 유지된다.

  • '''최종 오의'''

:: 초필살기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자신의 체력 게이지가 거의 다 소모되어 점멸 상태일 때만 사용할 수 있다.

  • '''진단 결과'''

:: 상대 캐릭터를 KO시켜 승리하면, 쓰러진 상대 캐릭터 위에 의사가 나타나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독특한 연출이 나온다. 이 결과에 따라 추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진단 결과는 무작위처럼 보이지만, 특정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강 공격, 초 공격, 격 공격이나 필살기 위주로 상대를 쓰러뜨리면 다소 과격하거나 비참한 진단 결과가 나올 확률이 높다. 단, 타임 오버로 승리하거나 CPU와의 대전에서 플레이어가 패배했을 경우에는 진단 결과가 표시되지 않는다.

3. 등장인물

총 9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와 3명의 플레이 불가능한 보스가 등장한다.


  • '''카즈야''' – 게임의 주인공. 일본 출신으로 가라테를 사용하며,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기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노린다.
  • '''리화''' – 타이완 출신의 검객. 실종된 부모님을 찾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바츠''' – 미국 출신의 종합 격투기 선수이자 바이커. 여자친구의 수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상금을 노린다.
  • '''우롱''' – 중국 무술가이자 형사. 범죄 조직에 진 빚을 갚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리자''' – 브라질 출신의 아마존 소녀. 리오 카니발 의상을 사기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목표로 한다.
  • '''보기''' – 미국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브레이크 댄스 댄서. 댄스 경력을 쌓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겟코''' – 일본 출신의 닌자. 스승에게서 닌술 비법을 얻기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노린다.
  • '''짐 맥코이''' – 미국 출신의 권투 선수. 헤비급 챔피언과의 타이틀 매치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상금을 노린다.
  • '''마르코''' – 독일 출신의 돌연변이 인간. 평범한 인간이 되기 위한 연구 자금을 얻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보스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곤잘레스''' – 러시아 출신의 유도 선수. 내전 중 헤어진 약혼녀를 찾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아즈테카''' – 멕시코 출신의 아즈텍 전사.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제너럴''' – 토너먼트의 후원자이자 최종 보스. 궤도 우주 기지의 사령관이며, 대회 개최 이유는 불명확하다.

3. 1. 플레이어 캐릭터

총 9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등장한다.

  • '''카즈야''' (성우: 야오 카즈키) – 게임의 주인공. 일본 출신의 대학생으로 가라테를 사용한다. 가라테 실력은 뛰어나지만 여성에게 인기가 없어, 여성들에게 인기를 얻기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목표로 한다.
  • '''리화''' (성우: 시마즈 사에코) – 타이완 출신의 검객이자 검술 도장의 딸이다. 실종된 부모님을 찾고 쇠퇴한 도장을 재건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바츠''' (성우: 오키아유 료타로) – 미국 출신의 종합 격투기 선수이자 바이커(폭주족 리더)이다. 자신의 운전 실수로 오토바이 사고를 당해 혼수상태에 빠진 여자친구 사라의 수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토너먼트 상금이 필요하다.
  • '''우롱''' – 중국 무술가이자 형사이며, 과거 암살 조직의 일원이었다. 뺨에 검은 긁힌 자국이 있다. 암살 일에서 손을 떼고 조직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자금(1000만달러)을 마련하고자 상금을 얻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리자''' (성우: 쿠리카와 아야) – 브라질아마존 오지에서 사는 일본계 3세 소녀이다. 원숭이와 녹색 앵무새를 데리고 다닌다. 리오 카니발 콘테스트에 직접 만든 의상으로 도전했지만 예선 탈락한 경험이 있다. 카니발을 위한 새로운 이국적인 의상을 사기 위해 상금을 얻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7]
  • '''보기''' – 미국 출신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브레이크 댄스 댄서이다. 춤 실력은 뛰어나지만 배경 부족과 인종 차별로 인해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댄스 경력을 발전시키고 명예를 얻기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목표로 한다.
  • '''겟코''' (성우: 이시카와 히데오) – 일본 출신의 스턴트맨이자 "무겐류 닌자"의 후예이다. 평소에는 동료들과 영화촌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스승으로부터 우승 상금을 가져오면 면허 개전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면허 개전을 받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 '''짐 맥코이''' (성우: 타나카 카즈나리) – 미국 출신의 권투 선수이다. 현재 권투 헤비급 챔피언과의 타이틀 매치를 주선받기 위한 비용 마련을 위해 토너먼트 우승을 노린다. 복서이지만 킥 기술도 사용한다.
  • '''마르코''' (성우: 오토와 이치로) – 독일 출신의 인조인간(또는 돌연변이 인간)이다. 얼굴은 붕대로 감겨 있고 옷은 낡았지만, 상냥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평범한 인간이 되기 위한 과학 연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토너먼트에 참가한다. 잡지 『게메스트』의 첫 보도에서는 인조인간 8호로 표기되었다.[7]

3. 2. 보스 캐릭터


  • 곤잘레스 Gonzales|곤잘레스영어
  • *러시아 출신의 유도 선수. 성우는 에가와 히사오.[8] 중간 보스로 등장한다. 원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어 안정된 생활을 얻고자 했으나, 조국의 붕괴로 올림픽 참가 기회를 잃었다. 실의에 빠져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약혼녀 "타냐"가 내전에 휘말려 행방불명되었다. 타냐가 살아있다고 믿으며, 그녀를 되찾기 위한 자금으로 1000만달러의 우승 상금을 노리고 대회에 참가한다.[8] 종종 가라테복과 너구리 모자를 쓴 모습으로 나타난다.
  • 아즈테카 Azteca|아즈테카영어
  • *멕시코 출신의 아즈텍 전사이자 옥 가면을 쓴 인기 레슬러.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8] 언론 노출을 꺼리고 자신의 과거를 이야기하지 않는데, 이는 기억 상실 때문이다. "팔렌케의 가면"을 착용하여 불로불사의 능력을 얻었지만, 그 대가로 과거의 기억을 잃었다고 전해진다. 자신의 과거를 아는 점술사에게 기억을 되찾기 위한 정보를 얻고자 고액의 보수를 지불하기 위해 대회에 참가한다.[8]
  • 제너럴 General|제너럴영어
  • *숨겨진 최종 보스. 궤도상의 우주 기지 사령관이자 "카이저 너클" 토너먼트의 후원자이다. 대회를 개최하는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어떤 위험한 전장에서도 동료들을 이끌고 반드시 생환하여 용병들 사이에서 전설적인 군인으로 존경받는다. 용병들은 그에게 경외심을 담아 사악한 눈을 가진 장군, "이블 아이즈 제너럴"(Evil Eyes General영어)이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어떤 상황에서도 오후의 티타임을 거르지 않으며, 이 시간을 방해받는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8]

4. 기타 버전

''카이저 너클''은 여러 가지 다른 버전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미국 시장을 겨냥하여 일부 내용이 수정된 ''글로벌 챔피언''과, 게임 시스템을 대폭 변경하여 업데이트하려 했으나 정식 출시되지 못한 ''단쿠가''가 있다.

4. 1. 글로벌 챔피언

글로벌 챔피언은 일본 및 유럽 버전인 카이저 너클을 미국 시장에 맞게 일부 수정한 버전이다. 글로벌 챔피언에는 "Recycle It, Don't Trash It!"이라는 문구가 나오는 화면이 추가되었으며, 원작의 특징이었던 "슈퍼 기술" 시스템은 삭제되었다. 또한, 캐릭터 중 카즈야, 리자, 리화의 게임 내 초상화가 새롭게 그려졌다.

플레이어가 캐릭터와 첫 번째 상대를 선택하면, 게임 시작 전에 선택한 캐릭터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프롤로그 영상이 나온다. 타이틀 화면 디자인도 원작과 다르지만, 게임 배경 중 일부에서는 여전히 원작 로고인 카이저 너클의 'K' 글자를 찾아볼 수 있다.

4. 2. 단쿠가 (Dan-Ku-Ga)

1994년 12월에 출시될 예정이었던 《카이저 너클》의 업데이트 버전인 断仇牙|단쿠가일본어는 본래 CPU AI 난이도를 낮춘 '카이저 너클 EX'로 기획되었으나, 로케이션 테스트에서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해 기각되고 대폭적인 수정을 거쳐 '단쿠가'로 재탄생했다.

이 버전의 주요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보스 곤잘레스와 두 번째 보스 아즈테카가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추가되었다.
  • 신기술 추가, 초필살기 및 격 공격 시스템 폐지, 전체적인 공격력 하향 조정 등 전투 시스템이 변경되었다.
  • CPU AI가 변경되고 난이도가 하락했으며, 게임 시작 시 난이도(노멀, 프로페셔널, 트레이닝)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 모든 캐릭터에게 백 대시 기능이 추가되었고, 세 번째 의상 색상이 생겼다.
  • 카즈야, 리화, 리자는 캐릭터 선택 화면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두 개의 버튼 조합으로 발동되던 일부 기본 공격이 삭제되고, 남은 기본 공격은 버튼 하나와 조이스틱 방향 조합으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 "점프 공격을 맞혔을 때 그 동작을 점프로 취소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1인용 모드에서는 트레이닝 난이도를 제외하고 첫 상대를 선택할 수 없으며, 곤잘레스는 5번째, 아즈테카는 9번째, 플레이어 캐릭터의 도플갱어는 10번째 상대로 등장한다. 최종 보스인 제너럴은 특정 조건 없이 싸울 수 있다.


단쿠가는 거의 완성 단계에 이르러 타이토 직영 게임센터에서 로케이션 테스트까지 진행되었으나, 드물게 발생하는 버그(CPU 아즈텍 전 승리 시 낮은 확률로 게임 멈춤 현상)와 회사의 여러 사정으로 인해 정식 발매되지 못하고 '환상의 격투 게임'으로 남았다. 소수의 기판만 제작되어 현존하며, 인터넷을 통해 ROM 파일이 유출되기도 했다.[3] 이후 2022년에 출시된 이그렛 II 미니 콘솔에 정식으로 수록되었다.[3]

한편, 단쿠가와는 별개로 오리지널 아케이드 게임 기판의 후속작으로 カイザーナックル2|카이저 너클 2일본어가 기획되었으며, 3D로의 완전한 전환을 목표로 했으나 기획 단계에서 취소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사이킥 포스》라는 새로운 게임으로 계승되었다.

5. 평가

일본 잡지 게임 머신은 1994년 10월 15일자에서 《카이저 너클》을 당월의 12번째로 성공적인 테이블 아케이드 게임으로 선정했다.[11][4] 회고적인 평가에서는 주로 최종 보스인 제너럴이 언급되는데, 그는 격투 게임 역사상 가장 어려운 보스 캐릭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5][6]

6. 이식

이 게임은 오랫동안 가정용 게임기로 이식되지 않았으나, 2022년 3월 2일 타이토에서 발매한 이글렛 투 미니에 수록되었다.[9] 이때 속편인 단구아도 함께 수록되었다.[10]

7. 관련 작품

8. 스태프


  • 플래너: 타케시 코보리, 미카미 히로미, 사카모토 유지, 아오키 히로시
  • 메인 캐릭터 디자이너: 사카모토 유지, 타케시 코보리
  • 캐릭터 디자이너: 신자토 히로토, 이소베 타카유키, 미카미 히로미, 타나카 신, 이와타 아츠시, 스기타니 신지로, 아라이 신이치, 카와카미 세이지, 후지타 마코토, 누마타 카즈히로, 카와모토 노리타카, 아베 유키오, 히라마츠 노부히로, 카토 히데유키, 쿠지라이 요우요, 니시오카 케이스케, 야마시타 토모히사, 고다 타츠야, 타니가와 고, 니시타 히로시
  • 어시스턴트: PEACOCK, VAP, 프로덕션 I.G
  • 메인 프로그래머: 아오키 히로시
  • 프로그래머: 우사미 코스케, 츠치야 쿠미, 나카무라 타츠오, 오오야마 이사오
  • 작곡: 와타나베 야스히사 (ZUNTATA)
  • 사운드 이펙트 디자이너: 이시카와 카츠히사 (ZUNTATA)
  • 레코딩 엔지니어: 나카니시 무네히로 (ZUNTATA)
  • 시스템 엔지니어: 카나오카 카츠미, HIRONOBU SUZUKI
  • 디자이너: 미조베 쿠미, 타케시 코보리
  • 메카닉 디자이너: KOICHI OTSU

참조

[1] 문서 Closing credits of Kaiser Knuckle 2009-07-09
[2] 웹사이트 タイトー、卓上ゲームセンター「EGRET II mini」を2022年3月2日に発売決定!- 1978年~1990年代発売の40タイトルを内蔵 https://game.watch.i[...] Impress Corporation 2021-06-04
[3] 웹사이트 Taito Egret II Mini Review https://www.ign.com/[...] 2022-04-06
[4]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テーブル型TVゲーム機 (Table Videos) Amusement Press, Inc. 1994-10-15
[5] 웹사이트 Taito's canceled Street Fighter clone was ahead of its time https://www.eventhub[...] 2022-09-12
[6] 웹사이트 The 10 Worst Final Bosses in Video Game History https://www.pcmag.co[...] 2022-10-06
[7] 간행물 タイトーの新作は対戦格闘だ!カイザーナックル 新声社 1994-08-30
[8] 간행물 3人のボスキャラ出現!カイザーナックル 新声社 1994-11-15
[9] 뉴스 タイトーがソフト40本収録のミニアーケード筐体発売 「カイザーナックル」収録で誰でもジェネラルTA可能に https://nlab.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21-06-04
[10] 웹사이트 『ダライアス外伝』ほか「イーグレットツー ミニ」の収録ゲーム全50タイトルが判明! https://ascii.jp/ele[...] ASCII 2021-07-02
[11] 잡지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テーブル型TVゲーム機 (Table Videos) Amusement Press, Inc. 1994-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