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 무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무술은 중국의 전통적인 격투 기술을 포괄하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불린다.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군사 훈련, 건강 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며, 수많은 유파와 스타일로 나뉜다. 각 유파는 고유한 기술, 철학, 훈련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외가권과 내가권, 북파와 남파 등으로 분류된다. 훈련은 기본, 형, 응용, 무기 등으로 구성되며, 무덕이라는 윤리적 가치를 중시한다. 중국 무술은 무협 소설, 영화, 텔레비전 등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소룡, 성룡, 이연걸 등 많은 유명 수련자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축국
    축국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군사 훈련, 오락 등으로 발전했으며, 한나라 시대에 황실에서 인기를 얻고 송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명나라 시대에 쇠퇴하여 사라진 공을 차는 스포츠이다.
  • 중국에서 시작된 스포츠 - 우슈
    우슈는 수천 년 역사의 중국 전통 무술로, 투로와 산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 우슈 연맹 주관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아시안 게임 등 국제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중국의 무술 - 우슈
    우슈는 수천 년 역사의 중국 전통 무술로, 투로와 산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 우슈 연맹 주관의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고, 아시안 게임 등 국제 대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중국 무술
개요
스 더루와 스 더양
스 더루와 스 더양
종류격투, 무술
기원중국
다른 이름쿵푸, 국술, 무술
용어
주요 용어친나
발경
쿵푸
내공
내가권
기 (기)
기공
사부
음양
역사적 위치
주요 위치곤륜산맥
아미산
화산
소림사
무당산
전설적인 인물
주요 인물관우
달마대사
장삼봉
방세옥
엄영춘
이청운
팔선
오조
역사적 인물
주요 인물송 태조
악비
홍희관
동해천
양로선
진향
오감유
황비홍
손록당
이서문
곽원갑
왕자평
진발과
엽문
광동 십호
현대 유명인
주요 인물이소룡
보로 영
홍금보
성룡
이연걸
견자단
조문탁
장진
도우밍
관련 항목
관련 항목홍콩 액션 영화
쿵푸 영화
베트남 무술
우슈 (스포츠)
무협
중국어 표기
중국어 간체武术
병음wǔshù
광둥어mou5 seot6
민난어bú-su̍t
다른 이름功夫, 國術
스타일
주요 스타일소림권
오형권
내가권 (内家拳, nèijiāquán)
외가권 (外家拳, wàijiāquán)
북권 (北拳, běiquán)
남권 (南拳, nánquán)

2. 용어

''쿵푸''(Kung fu)와 ''우슈''(wushu)는 각각 광둥어와 표준 중국어에서 유래된 차용어로, 영어에서는 중국 무술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중국어 용어인 쿵푸와 우슈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1] "중국 무술"에 해당하는 중국어는 ''중국 우수''(Zhongguo wushu) (표준 중국어)이다.

중국어에서 ''쿵푸''라는 용어는 학습이나 훈련을 통해 얻은 모든 기술을 지칭한다. 이 단어는 "일", "업적", 또는 "공로"를 의미하는 功(gōng)과 다양한 의미를 가진 조사 또는 명사형 접미사인 夫(fū)로 구성된 복합어이다.

''우슈''는 문자 그대로 "무술"을 의미한다. 이는 두 개의 한자 武術|무술중국어: 武|무중국어 (), 즉 "무술의" 또는 "군사의"를 의미하며, 術|술중국어 또는 术 ()는 "예술", "규율", "기술" 또는 "방법"으로 번역된다. ''우슈''라는 용어는 또한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개발된 채점 기준에 따라 적용되고 심사되는 맨손 및 무술 형태의 전시 및 풀 컨택트 스포츠인 현대 스포츠 우슈의 이름이 되었다.[2][3]

''취안파''(Quánfǎ) (拳法|권법중국어)는 중국 무술을 나타내는 또 다른 중국어 용어이다. 이는 "권법" 또는 "권법의 법칙"을 의미하며 (''취안''은 "권투" 또는 "주먹"을 의미하고, ''파''는 "법", "길" 또는 "방법"을 의미한다), 복합어로는 일반적으로 "권투" 또는 "격투 기술"로 번역된다. 일본 무술 권법의 이름은 동일한 한자로 표현된다.

3. 역사

중국 무술은 고대 중국에서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성에 의해 생겨났다.[4][5] 격투술과 무기 연습은 고대 중국 군인을 훈련하는 데 중요했다. 16세기와 17세기 사이에 소림사 승려들은 무술을 수련하기 시작했고 무술은 소림사 승려의 삶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황실에서 무술 대회를 조직했으며 현대 무술 개념은 명나라청나라에서 발전했다.[10]

춘추''(기원전 5세기)에서 중국 무술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이 발견되며,[6] 여기에는 경(勁)과 유(柔) 기술의 개념을 통합하는 격투 이론이 언급되어 있다.[7] ''예기''에는 '각력'(角力중국어)이라고 불리는 격투 레슬링 시스템이 언급되어 있다.[8] 이 격투 시스템에는 타격, 던지기, 관절 꺾기, 압점 공격과 같은 기술이 포함되었다. 각저는 진나라 (기원전 221–207년) 시대에 스포츠가 되었다. ''한서''의 '예문지'에는 전한 (기원전 206년– 서기 8년) 시대에 이미 훈련 매뉴얼이 쓰여진 ''수박''(手搏중국어)이라고 불리는 무기술 격투와 각력(角力)으로 알려진 스포츠 레슬링이 구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레슬링은 또한 사마천 (기원전 100년경)이 저술한 ''사기''에도 기록되어 있다.[9]

당나라 시대에는 검무에 대한 묘사가 이백의 시에 영원히 남겨졌다.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황실에서 상박(相扑) 경기를 후원했다.

청나라의 몰락과 일본 제국의 침략, 중국 국공 내전의 혼란 과도기 동안, 많은 무술가들이 자신의 기술을 공개적으로 가르치면서 중국 무술은 더 인기를 얻었다. 당시 일부 사람들은 무술이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강한 국가를 건설하는 수단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많은 훈련 매뉴얼(拳譜)이 출판되었고, 훈련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두 번의 전국 시험이 조직되었고, 시범단이 해외로 파견되었다.[18] 중국 전역과 다양한 해외 화교 사회에서 수많은 무술 단체가 결성되었다.

쿵푸라는 구어체 대신 "국술(國術, kuoshu 또는 guoshu)"이라는 용어는 중국 무술을 개인의 성취보다는 국가적 자긍심과 더 밀접하게 연관시키려는 국민당의 노력으로 도입되었다.

다음은 중국 무술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사건
1911년마량(馬良)이 저서 『중화신무술(中華新武術)』에서 "신무술(新武術)"이라는 명칭 제창
1927년중화민국의 장즈장(張之江)이 "국술(國術)"이라는 통일 일반 명칭 제안 및 채택
1928년장즈장이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 설립
1932년중화민국 정부, 중국 무술 장려를 위해 일련의 지방 및 전국 대회 개최
1936년베를린에서 열린 제11회 올림픽 경기에서 중국 무술가 그룹이 처음으로 국제 관객에게 그들의 무술 시연
1949년중국 내전 종식,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중국 무술의 국제적 확산
1952년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체육운동위원회(国家体育运动委员会)가 운동 종목의 명칭을 "무술(武術)"로 정함
1958년정부, 무술 훈련 규제 총괄 기구인 중화전국우술협회 설립
1969년–1976년중국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전통 무술 수련 장려되지 않음
1979년국가 체육 위원회, 우슈의 교육과 수련 재평가 위한 특별 전담반 구성
1986년중국국가우술연구원 설립
1998년국가체육위원회 (중앙 체육 당국) 폐쇄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국술(國術)"이 그대로 존속되었다. 1980년경에 신무술(新武術)이라는 새로운 종목도 제안되었다.

3. 1. 전설적 기원

전설에 따르면, 중국 무술은 4,000년 전 반신화 시대인 하 왕조 이전에 기원했다고 한다. 기원전 2698년에 권력을 잡은 황제(黃帝)가 중국에 최초의 격투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전해진다. 황제는 중국의 지도자가 되기 전에 의학, 점성술, 무술에 대한 방대한 논문을 저술한 훌륭한 장군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의 주요 적 중 한 명은 치우(蚩尤)였는데, 그는 현대의 중국 레슬링의 전신인 교적(角抵)의 시조로 여겨진다.[80]

소림사 천불당의 벽화


중국 무술의 기원은 한나라(전한·후한, 기원전 206년 - 220년) 시대에 황허 강을 따라 살던 사람들이 자위 수단으로 익힌 훈련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오락적 요소와 건강법으로도 주목받게 되었다. 현재 중국 무술의 문파는 다종다양한 민족에 비례하여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각 문파는 자체 기원에 대한 일화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문파가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전설 속의 유명인이나 영웅을 창시자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 가장 유명한 소림권, 태극권에 대해 개조 전설은 다음과 같다.

;소림권의 개조 전설

:허난성숭산에 있는 선종 사찰인 소림사는 무술 수련 장소로도 유명하지만, 소림 무술의 기원은 인도에서 온 보리달마가 시조라는 설이 있다. 보리달마가 소림사에 와서 선종의 가르침을 설파할 때, 소림사 승려들이 체력이 약해 정신을 단련할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체력을 단련하는 비법인 역근행과 세수행을 가르쳤다. 이후 세수행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역근행을 바탕으로 소림사에서 십팔나한수라는 무술이 발달했고, 이를 바탕으로 소림권이 생겨났다고 한다. 실제로는 보리달마가 소림사에서 좌선을 했다는 전설만 있을 뿐, 무술을 가르쳤다는 것은 후세에 만들어진 일화라고 한다.

;태극권의 개조 전설

:소림사에서 수련한 장삼봉은 그 후 무당산에 은거하여 수련하고, 도교의 토납법(호흡법)과 도인술(심신 단련법) 등을 결합한 내가권을 창시했다고 전해진다. 소림사에서 수련한 사실 등은 사실을 명확하게 검증하는 학문인 고증학의 시조로 불린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가 쓴 "내가권법"의 서두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자외가소림기술정의장삼봉기정어소림부종이번지시명내가득기일이자는이족승소림왕정남선생종학어단사남이독득기전」'''( 스스로 외가의 소림에 이르니, 그 기술이 정교하다. 장삼봉은 이미 소림에 정통하고 다시 그것을 본받아, 이것을 내가라고 한다. 그 일, 이쯤을 얻으면, 이미 소림에 이길 만하다. 왕정남 선생은 단사남을 따라 배우고 홀로 그 모든 것을 얻었다.)

고증학의 시조로 불린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가 쓴 "내가권법"의 첫 페이지


소림권 등이 외가권으로 불리는 데 반해,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등은 내가권(무당문)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무술의 전국적 통일 조직이었던 난징 중앙 국술관의 무당문 문장으로 양가 태극권 삼세 양징푸가 취임했지만, 이후 각 문파별 조직으로 개편되면서 무당문은 폐지되었다. 고증학의 시조인 황종희가 기록한 왕정남 묘지명에는, 내가권북송 시대의 장삼봉을 시조로 하고, 왕정남은 그 사용자라고 적혀있다. 그 권법의 상세 내용은 황종희의 아들인 황백가가 "내가권법"[80]에 기록하고 있다. 내가권과 태극권, 기효신서의 권경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가 있다.[81]。그 외, 태극권의 기원은 허난성 첸자구라는 마을에 있으며, 여기서는 대대로 첸 씨 일족에게 전해지는 무술이 있었다. 오래된 무술, 아마도 같은 허난성에 있는 소림사 계통의 무술이 좁게 일족에게만 전해지는 동안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또, 첸 씨의 무술에는 척계광이 저술한 『기효신서』의 "권경" 32세에서 기술이 채용되어 있다.

3. 2. 초기 역사

중국 무술은 고대 중국에서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성에 의해 생겨났다. 16세기와 17세기 사이에 소림사 승려들은 무술을 수련하기 시작했고 무술은 소림사 승려의 삶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황실에서 무술 대회를 조직했으며 현대 무술 개념은 명나라청나라에서 발전했다.[10]

춘추''(기원전 5세기)에서 중국 무술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이 발견되며,[6] 여기에는 경(勁)과 유(柔) 기술의 개념을 통합하는 격투 이론이 언급되어 있다.[7] ''예기''에는 '각력'(角力중국어)이라고 불리는 격투 레슬링 시스템이 언급되어 있다.[8] 이 격투 시스템에는 타격, 던지기, 관절 꺾기, 압점 공격과 같은 기술이 포함되었다.

각저는 진나라 (기원전 221–207년) 시대에 스포츠가 되었다. ''한서''의 '예문지'에는 전한 (기원전 206년– 서기 8년) 시대에 이미 훈련 매뉴얼이 쓰여진 ''수박''(手搏중국어)이라고 불리는 무기술 격투와 각력(角力)으로 알려진 스포츠 레슬링이 구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레슬링은 또한 사마천 (기원전 100년경)이 저술한 ''사기''에도 기록되어 있다.[9]

당나라 시대에는 검무에 대한 묘사가 이백의 시에 영원히 남겨졌다.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황실에서 상박(相扑) 경기를 후원했다. 무술의 현대적 개념은 명나라청나라 시대에 완전히 발전했다.[10]

중국 무술의 기원은 전한·후한(기원전 206년 - 220년) 시대에 황허 강을 따라 살던 사람들이 자위 수단으로 익힌 훈련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오락적 요소와 건강법으로도 주목받게 되었다. 현재 중국 무술의 문파는 다종다양한 민족에 비례하여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각 문파는 자체 기원에 대한 일화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문파가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전설 속의 유명인이나 영웅을 창시자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
소림권의 개조 전설허난성숭산에 있는 선종 사찰인 소림사는 무술 수련 장소로도 유명하지만, 소림 무술의 기원은 인도에서 온 보리달마가 시조라는 설이 있다. 보리달마가 소림사에 와서 선종의 가르침을 설파할 때, 소림사 승려들이 체력이 약해 정신을 단련할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체력을 단련하는 비법인 역근행과 세수행을 가르쳤다. 이후 세수행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역근행을 바탕으로 소림사에서 십팔나한수라는 무술이 발달했고, 이를 바탕으로 소림권이 생겨났다고 한다. 실제로는 보리달마가 소림사에서 좌선을 했다는 전설만 있을 뿐, 무술을 가르쳤다는 것은 후세에 만들어진 일화라고 한다.
태극권의 개조 전설소림사에서 수련한 장삼봉은 그 후 무당산에 은거하여 수련하고, 도교의 토납법(호흡법)과 도인술(심신 단련법) 등을 결합한 내가권을 창시했다고 전해진다. 소림사에서 수련한 사실 등은 사실을 명확하게 검증하는 학문인 고증학의 시조로 불린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가 쓴 "내가권법"의 서두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자외가소림기술정의장삼봉기정어소림부종이번지시명내가득기일이자는이족승소림왕정남선생종학어단사남이독득기전」'''( 스스로 외가의 소림에 이르니, 그 기술이 정교하다. 장삼봉은 이미 소림에 정통하고 다시 그것을 본받아, 이것을 내가라고 한다. 그 일, 이쯤을 얻으면, 이미 소림에 이길 만하다. 왕정남 선생은 단사남을 따라 배우고 홀로 그 모든 것을 얻었다.)

소림권 등이 외가권으로 불리는 데 반해,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등은 내가권(무당문)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무술의 전국적 통일 조직이었던 난징 중앙 국술관의 무당문 문장으로 양가 태극권 삼세 양징푸가 취임했지만, 이후 각 문파별 조직으로 개편되면서 무당문은 폐지되었다.

고증학의 시조인 황종희가 기록한 왕정남 묘지명에는, 내가권북종 시대의 장삼봉을 시조로 하고, 왕정남은 그 사용자라고 적혀있다. 그 권법의 상세 내용은 황종희의 아들인 황백가가 "내가권법"[80]에 기록하고 있다. 내가권과 태극권, 기효신서의 권경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가 있다[81]

그 외, 태극권의 기원은 허난성 첸자구라는 마을에 있으며, 여기서는 대대로 첸 씨 일족에게 전해지는 무술이 있었다. 오래된 무술, 아마도 같은 허난성에 있는 소림사 계통의 무술이 좁게 일족에게만 전해지는 동안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또, 첸 씨의 무술에는 척계광이 저술한 『기효신서』의 "권경" 32세에서 기술이 채용되어 있다.

3. 3. 철학적 영향

도교 경전인 '''장자()'''에는 무술의 심리학과 수련에 관한 구절이 있다. 장자는 기원전 4세기에 살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노자의 저술로 여겨지는 또 다른 도교 경전인 '''도덕경'''에는 무술에 적용할 수 있는 원리가 담겨 있다. 유교의 고전 중 하나인 '''주례'''()에 따르면, 궁술전차 경기는 주나라(기원전 1122–256년)의 "육예"(六藝|Liù yì중국어, , 음악, 서예, 수학 포함)의 일부였다. 손무(孫子|Sūnzǐ중국어)가 기원전 6세기에 저술한 '''손자병법'''(孫子兵法|Sūnzǐ bīngfǎ중국어)은 직접적으로 군사 전쟁을 다루지만, 중국 무술에 사용되는 사상을 담고 있다.

도교 수행자들은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공과 유사한 신체 운동인 '''도인'''을 수련해왔다.(이는 태극권의 전신 중 하나였다).[11] 기원후 39–92년에는 반고가 쓴 '''한서''' (전 한나라의 역사)에 "육도"(Six Chapters of Hand Fighting)가 포함되었다. 또한 저명한 의사인 화타는 기원후 208년경에 호랑이, 사슴, 원숭이, 곰, 새의 "오금희"를 지었다.[12] 도교 철학과 건강 및 운동에 대한 접근 방식은 중국 무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각 불멸자의 특성에 기인한 무술 기술을 사용하는 "팔선"과 같은 유파에서 도교 개념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을 찾을 수 있다.[13]

3. 4. 소림사와 사찰 기반 무술

1830년대 소림사 벽화, 팔뚝 치기 및 뒷차기를 묘사함


소림사는 중국 무술이 체계화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 소림사가 무술에 관여했다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728년에 세워진 비석에 있다. 이 비석에는 610년경 소림사가 산적들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한 사건과 621년 호뢰 전투에서 왕세충을 물리치는 데 기여한 두 가지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14] 그러나 8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는 소림사가 전투에 참여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소림사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했고, 무술 수련이 소림사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최소 40개의 자료가 남아있다. 이 시기에 달마가 소림 권법을 창시했다는 전설이 처음 등장한다.[14] 이 전설은 1624년에 쓰여진 명나라 시대의 ''역근경'' ("근육 변화경")에서 비롯되었으며, 이 책은 달마가 썼다고 알려져 있다.

명나라 말기에는 소림사에서 무술 수련에 대한 언급이 다양한 문학 작품에 나타난다. 소림 무승의 묘비명, 무술 교본, 군사 백과사전, 역사 기록, 여행기, 소설, 시 등에서 소림 무술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소림사에서 유래한 특정 무술 유파를 명확하게 언급하지는 않는다.[15] 당나라 시대의 자료와는 달리, 이 자료들은 소림사의 무기 전투 기술, 특히 소림 승려들이 특기로 삼았던 곤 (''gùn'', 광둥어 ''gwan'')을 언급한다. 명나라 장군 척계광은 자신의 저서 ''기효신서'' ("효과적인 기술을 기록한 새로운 책")에 소림 권법과 곤술에 대한 설명을 포함시켰다. 이 책은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가 오키나와[16]조선[17]과 같은 지역의 무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소림권의 기원에 대한 전설은 다음과 같다. 허난성 쑹산에 있는 선종 사찰인 소림사는 무술 수련 장소로도 유명하지만, 소림 무술은 인도에서 온 보리달마가 시조라는 설이 있다. 보리달마가 소림사에 와서 선종을 가르칠 때, 소림사 승려들이 체력이 약해 정신 수련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래서 체력을 단련하는 비법인 역근행과 세수행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후 세수행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역근행을 바탕으로 소림사에서 십팔나한수라는 무술이 발달했고, 이것이 소림권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리달마가 소림사에서 좌선을 했다는 전설만 있을 뿐, 무술을 가르쳤다는 이야기는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3. 5. 근대

중국 무술은 고대 중국에서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의해 생겨났다. 16세기와 17세기 사이에 소림사 승려들이 무술을 수련하기 시작했고 무술은 소림사 승려의 삶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송나라원나라 시대에는 황실에서 무술 대회를 조직했으며 현대 무술 개념은 명나라청나라에서 발전했다.

청나라의 몰락과 일본 제국의 침략, 중국 국공 내전의 혼란 과도기 동안, 많은 무술가들이 자신의 기술을 공개적으로 가르치면서 중국 무술은 더 인기를 얻었다. 당시 일부 사람들은 무술이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강한 국가를 건설하는 수단이라고 믿었다.

  • 1911년, 마량(馬良)이 저서 『중화신무술(中華新武術)』에서 "신무술(新武術)"이라는 명칭을 제창했다.
  • 1927년, 중화민국의 장즈장(張之江)이 "국술(國術)"이라는 통일 일반 명칭을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 1928년, 장즈장이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을 설립했다.
  •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체육운동위원회(国家体育运动委员会)가 운동 종목의 명칭을 "무술(武術)"로 정했다.
  •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국술(國術)"이 그대로 존속되었다.
  • 1980년경에 신무술(新武術)이라는 새로운 종목도 제안되었다.

3. 5. 1. 중화민국 시대 (1912–1949)

청나라 멸망과 일본 제국의 중국 침략, 국공 내전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많은 무술가들이 자신의 무술을 공개적으로 가르치면서 중국 무술은 일반 대중에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8] 당시 일부 사람들은 무술을 국가적 자긍심을 고취하고 강한 국가를 건설하는 수단으로 여겼다. 그 결과, 많은 훈련 매뉴얼(拳譜)이 출판되었고, 훈련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두 번의 전국 시험이 조직되었고, 시범단이 해외로 파견되었다.[18] 중국 전역과 다양한 해외 화교 사회에서 수많은 무술 단체가 결성되었다.

1928년 국민 정부가 설립한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19]과 1910년 곽원갑이 창립한 정무체육회(精武體育會)는 중국 무술 수련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장려하는 조직의 예이다.[20][21][22] 1932년부터 중화민국 정부는 중국 무술을 장려하기 위해 일련의 지방 및 전국 대회를 개최했다. 1936년, 베를린에서 열린 제11회 올림픽 경기에서 중국 무술가 그룹은 처음으로 국제 관객에게 그들의 무술을 시연했다.

쿵푸라는 구어체 대신 "국술(國術, kuoshu 또는 guoshu)"이라는 용어는 중국 무술을 개인의 성취보다는 국가적 자긍심과 더 밀접하게 연관시키려는 국민당의 노력으로 도입되었다.

  • 1911년, 마량(馬良)이 저서 『중화신무술(中華新武術)』에서 "신무술(新武術)"이라는 명칭을 제창했다.
  • 1927년, 중화민국의 장즈장(張之江)이 "국술(國術)"이라는 통일 일반 명칭을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 1928년, 장즈장이 중앙국술관(中央國術館)을 설립했다.

3. 5. 2.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내전 종식과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중국 무술은 급속도로 국제적으로 확산되었다. 많은 유명 무술가들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벗어나 타이완, 홍콩[23] 및 세계 각지로 이주했다. 그 스승들은 해외 화교 공동체 내에서 가르침을 시작했지만, 결국 다른 민족 출신 사람들을 포함하도록 가르침을 확장했다.

산타/산수 경기에서 두 명의 브라질 선수. 산타는 현대화된 형태의 쿵후이며, 스포츠 우슈의 두 가지 종목 중 하나이다.


중국 내에서, 전통 무술 수련은 중국 문화 대혁명 (1969–1976)의 격동기 동안 장려되지 않았다.[3] 다른 많은 전통 중국 생활의 측면과 마찬가지로, 무술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마오주의 혁명 교리에 맞게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3] 중국은 독립적인 무술 학교 대신 위원회에서 규제하는 우슈 스포츠를 장려했다. 이 새로운 경쟁 스포츠는 중국 무술의 잠재적으로 전복적인 자기 방어 측면 및 가계 혈통과 분리되었다.[3]

1958년, 정부는 무술 훈련을 규제하는 총괄 기구로서 중화전국우술협회를 설립했다. 중국 국가 체육 위원회는 대부분의 주요 무술에 대한 표준화된 형식을 만드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 기간 동안, 표준 형식, 교육 과정 및 지도자 등급을 포함하는 국가 우슈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우슈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수준 모두에 도입되었다. 전통적인 교육에 대한 억압은 재건 시대 (1976–1989) 동안 완화되었으며, 공산주의 이데올로기는 대안적인 관점에 더 관대해졌다.[24] 1979년, 국가 체육 위원회는 우슈의 교육과 수련을 재평가하기 위한 특별 전담반을 구성했다.

1986년, 중국국가우술연구원은 중화인민공화국 내 우슈 활동의 연구 및 관리를 위한 중앙 기관으로 설립되었다.[25]

스포츠에 대한 정부 정책과 태도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1998년 국가체육위원회 (중앙 체육 당국)의 폐쇄로 이어졌다. 이 폐쇄는 조직적인 스포츠의 탈정치화를 부분적으로 시도하고 중국 스포츠 정책을 더 시장 지향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로 여겨진다.[26] 중국 내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학적 요인의 결과로, 전통적인 스타일과 현대 우슈 접근 방식이 모두 중국 정부에 의해 장려되고 있다.[27]

4. 종류

중국 무술은 역사적 발전과 지리적 분포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타난다. 수백 가지가 넘는 유파가 존재하며, 각 유파는 고유한 기술과 철학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파들은 "가문"(家), "파"(派), "문파"(門) 등으로 분류된다.

와이탄에서 양식 태극권을 수련하는 모습


일부 유파는 호랑이, 뱀, 원숭이와 같은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하고, 다른 유파는 중국 철학, 신화, 전설에서 영감을 얻는다. 어떤 유파는 '기'를 활용하는 데 집중하고, 다른 유파는 대련과 토너먼트와 같은 경쟁적인 측면에 집중한다.

중국 무술은 "외가권"(外家拳|바깥 가문 권법중국어)과 "내가권"()[29], 또는 양쯔강을 기준으로 "북파"와 "남파"로 분류할 수 있다.[18] 북파는 빠르고 강력한 발차기와 유연한 움직임을 강조하는 반면, 남파는 강한 팔과 손 기술, 안정적인 자세에 중점을 둔다. 장권형의권은 북파의 예시이고, 백미파, 오조권, 채리불권, 영춘권은 남파의 예시이다.

그러나 숙련된 무술가들은 내공과 외공, 북파와 남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유파는 강함과 부드러움을 모두 포함하며, 음양의 원리에 따라 이러한 요소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본다.

일본에서는 중국 무술을 흔히 '쿵푸'라고 부르지만, 중국에서는 '무술'이라는 단어가 맨손 기술인 권법뿐만 아니라 , 검, , 곤봉 등 무기를 사용하는 기술도 포함한다. 중국 무술 문파는 400개 또는 600개라고도 하며, 대부분 맨손 권술과 무기술을 모두 갖추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무술의 목적은 "관람", "건신", "실용"의 세 가지로 여겨진다. "관람"은 무술 태극권과 같이 아름다운 연무를 보여주는 것이고, "건신"은 태극권처럼 건강을 위해 수련하는 것이다. "실용"은 산타와 같이 경기화된 대전 스포츠 형식이거나, 전통 유파처럼 실제 전투 기술을 전승하는 것이다.

4. 1. 내가권(內家拳)과 외가권(外家拳)

중국 무술은 수백 가지가 넘는 다양한 유파를 포괄하는 풍부한 무술 전통 역사를 자랑하며, 크게 "외가권"(外家拳중국어)과 "내가권"()으로 나눌 수 있다.[29]

태극권의 창시자 장삼봉


소림권처럼 근골과 체력을 단련하고, 몸을 외부에서 강하게 하여 강한 힘을 사용하는 무술을 외가권이라 부르고, 태극권처럼 호흡과 내면을 단련하여 유연한 힘을 사용하는 무술을 내가권이라 부른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림권도 초기 연습에서는 근골을 단련하지만, 숙련도가 높아지면 내면을 단련하며, 반대로 태극권에도 강한 힘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무술을 깊이 이해하지 못한 자가 표면적인 기법만을 보고 행한 분류라고 생각되기에, 현재는 그다지 중시되지 않는다.

소림권은 불교의 사찰에서 배우는 무술이므로 출가한 자, 즉 집 밖에 있는 자가 수련하는 무술이므로 외가권, 태극권은 출가하지 않은 도교 신자, 즉 집 안에 있는 자가 배우므로 내가권이라는 설도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다.

4. 2. 북파(北派)와 남파(南派)

중국 무술은 양쯔강을 기준으로 북쪽 지역에서 유래한 "북파"와 남쪽 지역에서 유래한 "남파"로 분류할 수 있다.[18] 북파는 빠르고 강력한 발차기, 높은 점프, 유연하고 빠른 움직임을 강조하는 반면, 남파는 강한 팔과 손 기술, 안정적인 자세, 빠른 발놀림에 중점을 둔다.[18]

장권형의권은 북파의 예시이고, 백미파, 오조권, 채리불권, 영춘권은 남파의 예시이다.[18]

좁은 의미에서 북파는 북파 소림권을, 남파는 남파 소림권을 가리킨다. 하남성 숭산 소림사와 별개로 복건성에 남소림사가 있었다고 전해지며, 숭산 소림사에서 기원한 무술을 북파 소림권, 남소림사에서 기원한 무술을 남파 소림권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북파와 남파는 넓은 의미에서 중국 북부와 남부에서 주로 행해지는 무술을 가리킨다. 남북의 경계는 양쯔 강이며, 남권북퇴(南拳北腿)라 하여 남파는 손과 팔을 많이 사용하고 북파는 발차기를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북파와 남파의 특징 비교
구분특징대표적인 무술
북파빠르고 강력한 발차기, 높은 점프, 유연하고 빠른 움직임,[18] 발차기가 다채로움.장권, 형의권, 소림권, 차권
남파강한 팔과 손 기술, 안정적인 자세, 빠른 발놀림,[18] 상반신을 많이 사용, 이동은 적음.백미파, 오조권, 채리불권, 영춘권, 남파 소림권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남부에서도 막가권과 같이 발차기를 특기로 하는 무술이 있고, 북부에도 형의권, 팔극권, 번자권과 같이 발차기가 적은 무술이 있기 때문이다.

4. 3. 문파(門派)

중국은 수백 가지가 넘는 다양한 유파를 포괄하는 풍부한 무술 전통 역사를 자랑한다. 지난 2천년 동안, 각기 고유한 기술과 철학을 가진 수많은 유파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유파들은 종종 "가문"(家; jiā), "파"(派; pai), 또는 "문파"(門; men)로 분류된다. 각 유파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유파를 관통하는 공통적인 주제도 존재한다.

일부 유파는 호랑이, 뱀, 원숭이와 같은 동물의 민첩성과 힘을 모방하여 동물의 움직임에서 영감을 얻는다. 다른 유파는 중국 철학, 신화, 전설에서 영감을 얻어 그 원리와 상징을 기술에 통합한다. 특정 유파는 ''기''를 활용하고 조작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다른 유파는 경쟁적인 측면, 즉 대련과 토너먼트에 집중한다.

중국 무술은 여러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가권"(外家拳중국어)과 "내공"()으로 나눌 수 있다.[29] 중국 무술은 또한 "북파"와 "남파"와 같이 지역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이는 스타일이 기원한 중국의 지역을 지칭하며, 양쯔강을 기준으로 구분된다.[18] 북파와 남파의 주요 차이점은 북파는 빠르고 강력한 발차기, 높은 점프,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빠른 움직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파는 강한 팔과 손 기술, 안정적이고 움직이지 않는 자세, 빠른 발놀림에 더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북파의 예로는 장권형의권이 있다. 남파의 예로는 백미파, 오조권, 채리불권, 영춘권이 있다. 중국 무술은 또한 종교, 모방 유파(象形拳중국어), 그리고 홍가권(洪家중국어)과 같은 가문 유파에 따라 나눌 수도 있다. 분류 유형에 관계없이 중국 무술의 다양한 그룹 간에는 훈련 방식에 뚜렷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숙련된 무술가 중 내공과 외공의 스타일을 명확하게 구분하거나 북파는 발차기에, 남파는 상체 기술에 더 의존한다는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유파는 내부 명칭에 관계없이 강하고 부드러운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음양의 원리에 따라 이러한 차이점을 분석하면서, 철학자들은 둘 중 어느 하나라도 부재하면 수련자의 기술이 불균형하거나 부족해진다고 주장할 것이다. 왜냐하면 음과 양은 각각 전체의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러한 차이가 한때 존재했다면, 그 이후로 흐려졌다.

중국 무술의 기원은 한나라(전한·후한. 기원전 206년 - 220년) 시대에 황하 강을 따라 살던 사람들이 자위 수단으로 익힌 훈련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오락적 요소와 건강법으로도 주목받게 되었다. 현재 중국 무술의 문파는 다종다양한 민족에 비례하여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각 문파는 자체 기원에 대한 일화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문파가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전설 속의 유명인이나 영웅을 창시자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다.

; 소림권의 개조 전설

: 허난성숭산에 있는 선종 사찰인 소림사는 무술 수련 장소로도 유명하지만, 소림 무술의 기원은 인도에서 온 보리달마가 시조라는 설이 있다. 보리달마가 소림사에 와서 선종의 가르침을 설파할 때, 소림사 승려들이 체력이 약해 정신을 단련할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체력을 단련하는 비법인 역근행과 세수행을 가르쳤다. 이후 세수행은 전해지지 않았지만, 역근행을 바탕으로 소림사에서 십팔나한수라는 무술이 발달했고, 이를 바탕으로 소림권이 생겨났다고 한다. 실제로는 보리달마가 소림사에서 좌선을 했다는 전설만 있을 뿐, 무술을 가르쳤다는 것은 후세에 만들어진 일화라고 한다.

; 태극권의 개조 전설

: 소림사에서 수련한 장삼봉은 그 후 무당산에 은거하여 수련하고, 도교의 토납법(호흡법)과 도인술(심신 단련법) 등을 결합한 내가권을 창시했다고 전해진다. 소림사에서 수련한 사실 등은 사실을 명확하게 검증하는 학문인 고증학의 시조로 불린 황종희의 아들 황백가가 쓴 "내가권법"의 서두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다.

'''「자외가소림기술정의장삼봉기정어소림부종이번지시명내가득기일이자는이족승소림왕정남선생종학어단사남이독득기전」'''( 스스로 외가의 소림에 이르니, 그 기술이 정교하다. 장삼봉은 이미 소림에 정통하고 다시 그것을 본받아, 이것을 내가라고 한다. 그 일, 이쯤을 얻으면, 이미 소림에 이길 만하다. 왕정남 선생은 단사남을 따라 배우고 홀로 그 모든 것을 얻었다.)

소림권 등이 외가권으로 불리는 데 반해,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등은 내가권(무당문)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무술의 전국적 통일 조직이었던 난징 중앙 국술관의 무당문 문장으로 양가 태극권 삼세 양징푸가 취임했지만, 이후 각 문파별 조직으로 개편되면서 무당문은 폐지되었다. 고증학의 시조인 황종희가 기록한 왕정남 묘지명에는, 내가권북종 시대의 장삼봉을 시조로 하고, 왕정남은 그 사용자라고 적혀있다. 그 권법의 상세 내용은 황종희의 아들인 황백가가 "내가권법"[80]에 기록하고 있다. 내가권과 태극권, 기효신서의 권경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연구가 있다[81]

그 외, 태극권의 기원은 허난성 첸자구라는 마을에 있으며, 여기서는 대대로 첸 씨 일족에게 전해지는 무술이 있었다. 오래된 무술, 아마도 같은 허난성에 있는 소림사 계통의 무술이 좁게 일족에게만 전해지는 동안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또, 첸 씨의 무술에는 척계광이 저술한 『기효신서』의 "권경" 32세에서 기술이 채용되어 있다.

많은 무술이 소림사의 무술을 기원으로 하는 전설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소림권을 포함한 수많은 무술을 소림파라고 부르며, 태극권의 창시자로 여겨지는 장삼봉이 수련한 곳이 무당산이기 때문에 태극권을 무당파 무술이라고 부른다. 태극권의 문파 사람들이 소림권 문파에 대한 대항 의식이 강했기 때문에, 두 문파가 대등하게 대립하고 있다는 발상에서 억지로 생각된 호칭인 것으로 보인다.

다른 설로는 1928년에 남경 중앙국술관이 개설되었고, 처음에는 학과로 소림문과 무당문이 설치되었다. 무당문 안에는 무당권, 태극권, 형의권, 팔괘장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중에 이 학과의 분류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개정되었다.

정권(중국이 국가로 제정한 권법)의 장권, 태극권, 남권은 각각 북파의 외가권, 내가권, 그리고 남파 권술에서 기술을 발췌하여 경기 스포츠용으로 편집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외의 옛날부터의 주요 전통 무술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분류의 정당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위 분류에 따른 순서로 각 무술을 소개한다.

다른 분류의 예로, 전통 무술의 4대 유파는 화권, 아미권, 무당권, 소림권으로 하는 설이 있으며, 많은 문파는 이들로부터 갈라져 나왔다고 한다.

5. 수련

중국 무술 수련은 기본, 형(型, forms), 응용, 무기로 구성되며, 각 스타일마다 강조점이 다르다.[30] 대부분의 중국 무술은 철학, 윤리, 의학적 실천[31]을 중요하게 여기며, 완전한 훈련 시스템은 중국 문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32]

많은 중국 무술 스타일은 전통 의학을 훈련에 통합하여 경락, 압력 지점, 약초 요법을 활용하고 건강, 활력, 장수를 위한 운동을 포함한다. 훈련은 내부적, 외부적 힘을 모두 길러 전반적인 균형을 추구하는 전체론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

중국 무술은 스승 존경, 헌신, 훈련, 끈기와 같은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전파하며, 공동체 의식과 충성심을 길러준다. 또한 음악, 의상, 의식과 같은 문화적 요소를 통합하여 중국 유산과 전통과의 연결을 깊게 한다.

중국 무술은 신체 기술뿐만 아니라 철학, 윤리, 의학 지식, 문화적 이해를 포괄하는 종합적인 시스템이다. 이는 개인 성장, 문화 이해, 조화와 탁월함 추구를 장려하는 자기 방어 수단이자 삶의 방식이다.

일본에서는 중국 무술을 흔히 '중국 권법'이라고 부르지만, 중국에서는 '무술'이라는 단어가 맨손 기술인 권법뿐만 아니라 화기를 제외한 무기술도 포함한다. 무기는 중국에서 기계 또는 병기라고 불리며, 이나 검과 같은 단기계, 이나 곤봉과 같은 장기계 등이 있다. 중국 무술 문파는 400개 또는 600개로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맨손 권술과 기계를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 "무술"(우슈, 일본명 "무술 태극권")은 경기 명칭으로, 점수제 투로 경기(시범 경기)와 산수(산타) 경기(맨손 격투 경기)가 중국 국내외에서 열리고 있다. 세계 선수권 대회인 World Wushu Championships영어 등 국제 경기도 개최된다.

중국에서 무술의 목적은 "관람", "건신", "실용"의 세 가지이다. "관람"은 시범 무술인 무술 태극권, "건신"은 태극권이 대표적이다. "실용"은 경기화된 산타와 전통 유파로 나뉜다. 전통 유파는 옛 훈련 방법을 전수하며, 일본의 K-1과 고무술에 비유할 수 있다. 고대에는 "건신"을 위한 위험한 훈련도 존재했다.

고대 중국에서 "무"는 전란 시대에 살인·살상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한대 『설문해자』에서 "술"이라는 평화적 발상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춘추좌씨전』 선공 12년 고사에 유래한다.

5. 1. 기본(基本功)

기본(基本功|기본공중국어)은 모든 무술 훈련의 중요한 부분이며, 수련생은 이를 익히지 않고서는 더 발전된 단계로 나아갈 수 없다. 기본은 대개 기본적인 기술, 컨디셔닝 운동, 입장 등으로 구성된다.[33][34] 기본 훈련에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간단한 동작이 포함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훈련의 다른 예로는 스트레칭, 명상, 타격, 던지기 또는 점프가 있다. 강하고 유연한 근육, 기(qi) 또는 호흡의 관리, 그리고 적절한 신체 역학 없이는, 수련생이 중국 무술에서 발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35]

중국 무술의 기본 훈련에 관한 흔한 격언은 다음과 같이 번역된다.

: 내외를 모두 훈련하라. 외적인 훈련에는 손, 눈, 몸, 입장이 포함된다. 내적인 훈련에는 마음, 정신, 정신, 호흡, 힘이 포함된다.

5. 2. 보법(步法)

보법(스텝 또는 步法)은 중국 무술 훈련에 사용되는 구조적인 자세이다.[36][37] 보법은 격투가의 기반을 나타내며, 각 문파마다 보법의 이름과 변형이 다르다. 보법은 발의 위치, 체중 배분, 신체 정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법 훈련은 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정해진 시간 동안 자세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데, 이때 일련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마보()와 궁보는 많은 중국 무술 문파에서 발견되는 보법의 예시이다.

5. 3. 명상(瞑想)

많은 중국 무술에서 명상은 기본 훈련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여겨진다. 명상은 집중력과 정신적 명료성을 기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공 훈련의 기반이 될 수 있다.[38][39] 명상을 통해 무술 수련자는 호흡을 조절하고, 몸을 이완하며, 깊은 집중 상태에 들어가는 법을 배운다. 이러한 집중은 수련자가 움직임과 기술에 집중하도록 돕고, 반응성과 신체 조절 능력을 향상시킨다. 명상은 또한 내성을 길러 수련자가 자신의 신체 감각, 에너지 흐름, 내면 상태를 더 날카롭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명상은 기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집중력과 조절을 통해 무술 수련자는 내부 에너지(기공에서는 "기"라고 알려짐)를 더 잘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다. 수련자는 심호흡과 시각화 훈련을 통해 기의 흐름을 조작하여 신체의 균형, 조화, 건강을 증진하는 법을 배운다. 따라서 명상은 기초 훈련의 일부로서 중국 무술 수련자에게 내면과 외면의 측면을 모두 기르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신체, 에너지, 마음의 다양한 측면을 개발하여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5. 4. 기(氣)의 사용

의 개념은 많은 중국 무술에서 발견된다. ''기''는 생물을 움직이는 내적 에너지 또는 "생명력"으로 다양하게 정의되며, 적절한 골격 정렬과 근육의 효율적인 사용(때로는 발경 또는 ''경''이라고도 함)에 대한 용어, 또는 무술 수련생이 아직 완전히 이해할 준비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 개념의 약칭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의미는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18] 중의학에서 논의된 측정 가능한 형태의 에너지로서의 ''기''의 존재는 물리학, 의학, 생물학 또는 인간 생리학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40]

자신의 기 에너지를 통제하여 자신이나 타인을 치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많은 아이디어가 있다.[41] 일부 스타일은 공격 시 ''기''를 단일 지점으로 집중시키고 인체의 특정 부위를 목표로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기술은 점혈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지압과 유사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42]

5. 5. 무기(武器) 훈련

중국 무술의 많은 스타일은 신체 단련뿐만 아니라 협응 및 전략 훈련을 위해 광범위한 중국 무기를 사용한 훈련을 활용한다.[43] 무기 훈련(器械|qìxiè중국어)은 일반적으로 학생이 기본 형태 및 응용 훈련에 능숙해진 후에 수행된다. 무기 훈련의 기본 이론은 무기를 신체의 연장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기본 훈련과 동일한 보법과 신체 협응이 요구된다.[44] 무기 훈련 과정은 형태, 파트너와의 형태, 그리고 응용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의 시스템은 해당 시스템에 특정한 특수 도구 외에도 우슈 십팔반 병기(十八般兵器|shíbābānbīngqì중국어) 각각에 대한 훈련 방법을 가지고 있다.

중국 무술에서 무기는 기계(器械) 또는 병기(兵器)라고 불리지만, 여기에서는 무기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사용되는 무기는 문파에 따라 다르지만, 전혀 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문파는 없다. 애초에 무술의 발달은 전시에 무기를 들고 싸우는 것으로 시작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술의 본질은 무기술이며, 맨손 무술은 무기를 다루기 전에 배워야 할 신체 훈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전통적인 문파에서는 반드시 맨손 격투술과 무기 조작법이 동일한 술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영춘권은 팔참도(八斬刀)나 육점반곤(六點半棍)이라는 무기술에서 맨손과 동일한 술리를 볼 수 있고, 팔극권은 창술이 기본이 된다.

무기 조작법은 무기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며, 이에 따라 기반이 되는 신법(身法)도 약간 변화한다. 따라서 많은 무기 조작법을 익히는 것은, 익힌 무기 조작법과 같은 수의 신법을 익히는 것과 같다. 다만, 무기 조작법은 하나의 무기에 대해 다수 존재한다. 또한, 무기 조작법을 하나의 신법으로 일관하려는 문파도 많다.

무기에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지만, 검, , , 곤봉이 4대 병기로 불린다. 검이나 칼처럼 한 손으로 다루는 비교적 짧은 무기를 단병(短兵)·단기계(短器械), 창이나 곤봉처럼 양손으로 다루는 긴 무기를 장병(長兵)·장기계(長器械)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분류 외에, 채찍처럼 끈 형태의 것을 가리키는 연기계(軟器械), 손 안에 숨기는 비수 등을 가리키는 암기계(暗器械), 양손에 각각 기계를 드는 쌍기계(雙器械) 등이 있다.

중국 검


;검

: 중국에서 검은 양날에 휨이 없는 것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잘 휘어지도록 만들어진 "연검"이 주류이다. 찌르기, 베기 위주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대형의 "쌍수검"(양손검)도 존재한다.

;

: 한쪽 날에 휨이 있는 것이 도이다. 일반적으로 도는 검에 비해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각가속도를 활용하여 위력을 높이기 위해, 원호를 그리는 듯한 동작이 자주 보인다. 또한, 내리치는 듯이 베는 동작이 많아, 최강의 공격력을 자랑하는 무기이다.

;

: 곤은 중간 부분이 양 끝보다 약간 굵은 막대기이다. 잘 휘어지는 나무인 백랍수(물푸레나무와 유사한 물푸레나무속) 등으로 만들어진다. 곤을 사용한 무술인 곤술이 일본에서 말하는 봉술이 된다. 또한 류큐 (오키나와)에서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곤, 곤술이다. 싸울 때 가까이 있는 막대기를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므로 가장 오래된 무기라고 생각된다. 곤술에서는 숭산 소림사의 것이 유명하며 '곤의 소림사'라고 칭해졌다. 모든 장기계의 기본이 되는 동작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곤을 근본으로 한다"는 말이 있다.

;

: 백랍수 막대기 자루 끝에 칼날을 붙인 구조이다. 창은 가장 세련된 전장에서의 무기로 여겨진다. 연무할 때 아름답고 실용성도 높다. 능숙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과 신법이 요구된다. 형의권은 창의 사용자가 창시했다고 한다.

5. 6. 응용(應用)

응용은 실전 활용과 관련된 전투 기술을 의미한다. 중국 무술 기술은 이상적으로 효율성과 효과를 기반으로 한다.[45][46] 응용에는 많은 내가권에서 볼 수 있는 추수와 다양한 접촉 수준과 규칙 세트 내에서 발생하는 스파링과 같은 비순응 드릴이 포함된다.

응용을 언제, 어떻게 가르치는지는 유파마다 다르다. 오늘날 많은 유파는 각 학생이 드릴할 수 있는 정해진 범위의 전투와 기술을 아는 연습에 집중하여 새로운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한다. 이러한 드릴은 종종 반순응적이며, 한 학생이 기술의 시연적이고 깔끔한 실행을 허용하기 위해 기술에 적극적인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저항적인 드릴에서는 규칙이 적게 적용되며 학생들은 반응하고 대응하는 방법을 연습한다. '스파링'은 심각한 부상의 가능성을 줄이는 규칙을 포함하면서 전투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보다 진보된 형식을 의미한다.

경쟁 스파링 종목에는 중국 킥복싱 산수(散手|산서중국어)와 중국 민속 레슬링 수아이자오(摔跤|솔교중국어)가 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높은 플랫폼 경기장인 레이타이(擂台|뢰대중국어)에서 경연이 이루어졌다.[47] 레이타이는 송나라에 처음 등장한 공개 도전 경기에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경연의 목표는 어떤 수단을 사용해서라도 상대방을 높은 플랫폼에서 떨어뜨리는 것이었다.

산타는 레이타이 대회의 현대적 발전을 나타내지만 심각한 부상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규칙이 마련되어 있다. 많은 중국 무술 학교는 산타의 규칙 세트 내에서 가르치거나 활동하며, 해당 유파의 움직임, 특성 및 이론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한다.[48] 중국 무술가들은 권투, 킥복싱 및 종합 격투기를 포함하여 중국 외 격투 스포츠 또는 혼합 격투 스포츠에서도 경쟁한다.

5. 7. 형(型, Taolu)

형식 또는 타오루(套路, tàolù)는 정해진 일련의 동작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결합한 중국 무술의 한 형태이다. 형식은 원래 특정 스타일 분파의 계보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를 위해 선발된 고급 수련생들에게 자주 가르쳤다. 형식에는 수련생이 스파링 세션을 통해 추출, 시험 및 훈련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대표적이며, 운동 지향적인 기법들이 포함되어 있었다.[49]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타오루를 중국 무술에서 가장 중요한 수련 중 하나로 여긴다. 전통적으로 타오루는 실전 적용 훈련에서 작은 역할을 했으며, 스파링, 드릴 및 컨디셔닝에 밀려났다. 형식은 점차 수련자의 유연성, 내외적 힘, 속도 및 지구력을 키우며, 균형 감각과 조화력을 가르친다. 많은 스타일은 한 손 또는 양손을 사용하여 다양한 길이와 유형의 무기를 사용하는 형식을 포함한다. 일부 스타일은 특정 유형의 무기에 초점을 맞춘다. 형식은 실용적이고, 사용 가능하며,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연한 움직임, 명상, 유연성, 균형 및 조화를 증진하도록 만들어졌다. 수련생들은 형식을 훈련하는 동안 공격자를 시각화하도록 권장된다.

중국 무술에는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타오루가 있다. 가장 흔한 것은 한 명의 수련생이 수행하는 '독무 형식'이다.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수행하는 안무된 격투 세트인 '스파링 형식'도 있다. 스파링 형식은 초보 격투가에게 기본적인 격투 기술과 개념을 익히도록 돕고, 학교의 공연 작품 역할을 하도록 설계되었다. 무기 기반 스파링 형식은 특히 수련생들에게 무기를 다루는 데 필요한 확장, 범위 및 기술을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

''타오루(套路)''라는 용어는 현대 무술의 인기와 함께 최근에 도입된 표현인 ''타오 루 윈동(套路運動)''의 축약형이다. 이 표현은 "운동 세트"를 의미하며, 육상 경기나 스포츠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반면에, 전통 중국 무술에서는 '세트 또는 형'의 훈련(練)에 대한 다른 용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롄 취안 타오(練拳套) – 권법 시퀀스 연습.
  • 롄 취안 지아오(練拳腳) – 주먹과 발 연습.
  • 롄 삥치(練兵器) – 무기 연습.
  • 두이다(對打) 및 뒈이 롄(對練) – 격투 세트.


''두이다(對打)'' 또는 ''뒈이 롄(對練)''이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스파링" 세트는 수세기 동안 중국 무술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뒈이 롄''은 두 명의 대련자가 서로 대립하며 훈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롄(練)'이라는 글자는 연습, 훈련, 기술을 완벽하게 하는 것, 훈련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용어 중 하나는 종종 격투 세트의 이름에도 포함된다(雙演; ''솽 옌''), "쌍으로 연습"(掙勝; ''정 셩''), "승리를 위해 힘겹게 싸우다"(敵; ''디''), 대결 – 이 글자는 적을 공격하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부수다"(破; ''포'').

일반적으로 각 ''두이다'' 세트에는 21개, 18개, 12개, 9개 또는 5개의 드릴 또는 공격과 반격의 '교환/그룹핑'이 있다. 이러한 드릴은 단지 일반적인 패턴으로 간주되었으며, 결코 유연하지 않은 '기술'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었다. 학생들은 더 작은 부분/교환을 연습했고,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개별적으로 연습했다. ''두이다''는 이전 세대의 격투 지식을 전달하는 정교하고 효과적인 방법일 뿐만 아니라 필수적이고 효과적인 훈련 방법이었다. 단일 세트와 접촉 세트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다. 어떤 기술은 단독 '세트'로는 개발할 수 없고, 반대로 ''두이다''로는 개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대부분의 전통적인 전투 지향적인 ''두이다''와 그 훈련 방법은, 특히 무기에 관한 것은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현대 중국 무술에서 대부분의 ''두이다''는 안전과 드라마를 염두에 두고 무기를 닮은 가벼운 소품을 위해 고안된 최근의 발명품이다. 이러한 종류의 훈련의 역할은 실용적인 의미에서 쓸모없을 정도로 퇴보했으며, 기껏해야 공연일 뿐이다.

송나라 초기에 세트는 "개별적으로 고립된 기술을 엮은 것"이 아니라 기술과 반 기술 그룹핑으로 구성되었다. "세트"와 "격투(2인) 세트"는 송나라 이전에도 수백 년 동안 전통 중국 무술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 적어도 동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석조 그림에는 2인 무기 훈련 이미지가 있다.

오래된 세대에 의해 전해 내려오는 바에 따르면, 접촉 세트와 단일 세트의 대략적인 비율은 약 1:3이었다. 즉, 소림사에서 연습된 '세트'의 약 30%는 접촉 세트, ''두이다'', 그리고 2인 드릴 훈련이었다. 이 비율은 부분적으로 소림사의 청나라 벽화에 의해 입증된다.

소림 무술은 역사상 대부분 무기를 중심으로 했다. 지팡이는 맨손이 아니라 수도원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소림사의 최근 군사적 업적에도 무기가 포함되었다. 일부 전통에 따르면, 승려들은 먼저 1년 동안 기본기를 배우고 그 다음 지팡이 싸움을 배워 수도원을 보호할 수 있었다. 레슬링은 수세기 동안 중국에서 스포츠였지만, 무기는 고대 시대부터 중국 무술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중국 무술(소림사 포함)의 최근 또는 '현대'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면, 맨손 격투에 대한 과도한 강조이다. 북송 시대(976–997 A.D.)에 플랫폼 격투가 ''다 라이타이''(플랫폼 격투 도전)로 처음 등장했을 때, 이러한 격투는 칼과 지팡이만 사용했다. 나중에는 맨손 격투도 등장했지만, 가장 유명해진 것은 무기 이벤트였다. 이러한 개방형 링 경연 대회에는 규정이 있었고 정부 기관에서 주최했다. 대중도 일부를 조직했다. 수도와 현에서 열린 정부 경연 대회는 우승자에게 군사 직책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중국 무술의 형(型, practice forms)은 현실적인 무술 기술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지만, 그 동작이 실제 전투에서 기술이 적용되는 방식과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형들은 한편으로는 더 나은 전투 준비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더 미적으로 보기 좋게 하기 위해 더욱 정교해졌다. 전투 적용을 넘어선 이러한 정교함의 경향을 보여주는 한 가지 예는 낮은 자세와 더 높고 뻗는 발차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동작은 실제 전투에서는 비현실적이며 운동 목적으로 형에 사용된다.[50] 많은 현대 학교에서는 실용적인 방어 또는 공격 동작을 보다 시각적으로 화려한 곡예 기술로 대체하여 시연 및 대회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49] 이로 인해 전통주의자들은 더욱 곡예적이고 쇼 중심적인 우슈 대회를 옹호하는 것에 대해 비판을 가하고 있다.[51] 역사적으로 형은 현대 우슈가 등장하기 오래 전부터 오락 목적으로 자주 공연되었으며, 수련자들은 거리나 극장에서 공연하여 부가적인 수입을 얻고자 했다. 당나라(618–907)와 북송 (960–1279) 시대의 고대 문헌 기록에 따르면 일부 세트(2인 이상 세트 포함: ''dui da'', ''dui lian''이라고도 함)는 매우 정교해지고 '화려'해졌으며, 대부분 미학에 중점을 두었다. 이 시기에 일부 무술 시스템은 무술 이야기 엔터테인먼트 쇼의 인기 있는 형태가 될 정도로 퇴화되었다. 이로 인해 ''화파 무이''(Hua Fa Wuyi)로 알려진 무술의 전체 범주가 생겨났다. 북송 시대에 역사가들은 이러한 유형의 훈련이 군사 훈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

많은 전통적인 중국 무술가와 현대 스포츠 격투 수련자들은 형 연습이 스파링과 드릴 적용보다 무술에 더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통적인 형 연습을 전통적인 맥락에서, 즉 적절한 전투 수행, 예술 형식으로서의 소림 미학, 그리고 신체적 예술 형식의 명상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계속 보고 있다.[52]

기술이 스파링 적용과 비교하여 형에서 다르게 보이는 또 다른 이유는 일부 사람들은 기술의 실제 기능을 외부인으로부터 숨기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53]

형 연습은 주로 전투 기술을 가르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형을 연습할 때 수련자는 자세, 호흡, 그리고 신체의 좌우 측면에서 기술을 수행하는 데 집중한다.[54]

6. 우슈(Wushu)

武術중국어는 문자 그대로 "무술"을 의미한다. 이는 두 개의 한자로 구성되는데, 武중국어 ()는 "무술의" 또는 "군사의"를 의미하며, 術중국어 또는 术 ()는 "예술", "규율", "기술" 또는 "방법"으로 번역된다.[1]

현대적인 형태는 이 창술 시연에서 볼 수 있듯이 우슈 스포츠에 사용된다.


''우''(武중국어; '''')는 "무술"을 의미하며,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걷다" 또는 "멈추다"(止중국어; '''')를 의미하고, 두 번째는 "창"(戈중국어; '''')을 의미한다. 이는 "우 武"가 전투의 방어적 사용임을 암시한다. "우슈 武術"라는 용어는 양나라(502–557)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샤오퉁(蕭通중국어)(자오밍 태자; 昭明太子중국어 d. 531)이 편찬한 문선(文選중국어; '''')에서 옌옌즈 시의 두 번째 구절에 등장한다.

> 위대한 사람은 수많은 만물을 키운다...

>

> 무술에서 벗어나,

>

> 그는 문화적 의무를 완전히 장려한다.

>

> — 옌옌즈 (384–456)의 ''과거의 메아리''에서 번역


''우슈''라는 용어는 명나라의 청사오(1626–1644)의 시에서도 발견된다.

'무술'의 가장 초창기 용어는 한서(기원전 206년 – 서기 23년)에서 "군사 격투 기술"(兵技巧중국어; '''')로 나타났다. 송나라 시대 (c.960)에는 "무예"(武藝중국어; '''')로 변경되었다. 1928년 국립 무술 아카데미가 난징에 설립되면서 "국술"(國術중국어; '''')로 변경되었으나, 1950년대 초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다시 ''우슈''로 변경되었다.

''우슈''는 1949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개발된 채점 기준에 따라 적용되고 심사되는 맨손 및 무술 형태의 전시 및 풀 컨택트 스포츠인 현대 스포츠 ''우슈''의 이름이 되었다.[2][3]

현재, "무술"(우슈, 일본명 "무술 태극권")이라는 경기 명칭으로 점수제의 투로 경기(시범 경기)와 산수(산타) 경기(맨손의 격투 경기)가 중국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선수권 대회인 세계 무술 선수권 대회한국어 등 국제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서 무술의 목적은 "관람", "건신", "실용"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즉, 아름다운 연무를 감상하고, 몸을 단련하여 건강을 증진하며, 상대를 제압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7. 무덕(武德)

전통적인 중국 무술 학교, 예를 들어 소림 승려들은 무술 연구를 단지 자기 방어 또는 정신 훈련의 수단으로만 다룬 것이 아니라 윤리 체계로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32][58] ''무덕(武德)''(武 德중국어)은 "무술적 도덕"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무술을 의미하는 ''무(武)''(武중국어)와 도덕을 의미하는 ''덕(德)''(德중국어)으로 구성된다. ''무덕''은 "행동의 덕"과 "마음의 덕", 두 가지 측면을 다룬다. 행동의 덕은 사회적 관계와 관련이 있으며, 마음의 덕은 감정적 마음(心|Xin중국어)과 지혜로운 마음(慧|Hui중국어) 사이의 내적 조화를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지혜와 감정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무극(無極)"(無 極|Wuji중국어)에 도달하는 것이며, 이는 도교무위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덕목은 다음과 같다.

행동
개념이름번체자간체자병음예일 광둥어 로마자
겸손겸(謙)
정직성(誠)
존경례(禮)
의로움의(義)
신뢰신(信)중국어



마음
개념이름중국어병음예일 광둥어 로마자
용기용(勇)
인내인(忍)
지구력항(恆)
인내심의(毅)
의지지(志)


8. 대중문화

무술은 무협 소설(武俠小說)이라는 문학 장르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형의 소설은 중국의 기사도 개념, 별도의 무술 사회(武林|Wulin중국어) 및 무술을 포함하는 중심 주제를 기반으로 한다.[68] 무협 소설은 기원전 2,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나라 시대에 인기를 얻어 명나라 시대에 소설 형태로 발전했다. 이 장르는 여전히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매우 인기가 있으며, 무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무술의 영향은 춤, 연극[70], 특히 중국 경극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경극은 가장 잘 알려진 예 중 하나로, 이 인기 있는 드라마 형식은 당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중국 문화의 한 예로 남아 있다. 일부 무술 동작은 중국 경극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무술가는 중국 경극의 배우로 활동하기도 한다.[71]

현대에 이르러 중국 무술은 쿵푸 영화라는 영화 장르를 낳았다. 브루스 리의 영화는 1970년대 서양에서 중국 무술의 초기 인기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2] 브루스 리는 자신만의 중국 무술 변형인 ''절권도''를 통해 서양에서 중국 무술을 대중화한 상징적인 국제적 슈퍼스타였다. 절권도는 브루스 리가 수련하고 숙달한 무술의 혼합 형태이며,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상대에게 최대의 효과를 주는 브루스 리만의 독특한 무술 스타일이다. 중국 무술의 영향은 널리 인식되었으며, 브루스 리를 시작으로 서양 영화에서 세계적인 매력을 얻었다.

이연걸성룡과 같은 무술가이자 배우들은 이 장르의 영화에 대한 매력을 이어갔다. 성룡은 그의 영화에서 싸움 스타일에 유머 감각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 중국의 무술 영화는 종종 "쿵푸 영화"(功夫片|쿵푸片중국어) 또는 특수 효과를 위해 광범위한 와이어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와이어-푸"라고 불리며, 여전히 쿵푸 극장의 전통의 일부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참고: 무협, 홍콩 액션 영화). 이들의 재능은 홍콩의 영화 제작을 확대하고 해외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서양 영화에 영향을 미쳤다.

서양에서 쿵푸는 일반적인 액션의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무술" 영화로 간주되지 않는 많은 영화에 등장한다. 이러한 영화에는 ''매트릭스'' 프랜차이즈, ''킬 빌'', ''트랜스포터''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무술 테마는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970년대 초 미국 네트워크 TV 서부극 텔레비전 시리즈인 ''쿵푸''는 텔레비전에서 중국 무술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3년에 걸쳐 60개의 에피소드로 제작된 이 시리즈는 중국 무술의 철학과 수련을 전달하려 시도한 최초의 북미 TV 쇼 중 하나였다.[73][74] 중국 무술 기술의 사용은 이제 대부분의 TV 액션 시리즈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중국 무술의 철학은 거의 심도 있게 묘사되지 않는다. Muse의 2006년 뮤직 비디오 Knights of Cydonia에서 주인공은 오프닝에서 중국 무술을 수련하는 모습이 보인다. 2022년에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서 홍콩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무술과 액션 시퀀스를 찾아볼 수 있다.[75]

''쿵푸 다이어리: 드래곤 마스터의 삶과 시대(1920–2001)''는 소설 작품으로, 쿵푸 드래곤 마스터가 남긴 일기나 서류를 바탕으로 한 전기적 요소, 역사 소설, 지침서를 결합한 것이다.[76]

9. 유명 수련자


  • 악비(1103–1142)는 송나라의 유명한 장군이자 애국자였다. 응조권과 형의권 같은 무술은 그를 창시자로 여기지만,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 오매(17세기 후반)는 영춘권, 복건 백학권 등 여러 남파 무술의 전설적인 여성 창시자였다. 그녀는 청나라 시대 소림사 파괴에서 살아남은 전설적인 오조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 양로선(1799–1872)은 19세기 후반 베이징에서 태극권의 중요한 스승이었다. 양식 태극권의 창시자이자 오/호, 오, 손 태극권 가문에 무술을 전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광동십호(19세기 후반)는 청나라 말기 광동(광저우)에서 활동한 10명의 최고 중국 무술가 그룹이었다. 황비홍의 아버지인 황기영도 이 그룹의 일원이었다.
  • 황비홍(1847–1924)은 중화민국 시대의 중국 민속 영웅으로 여겨졌다. 그의 일대기를 다룬 홍콩 영화가 100편 이상 제작되었다. 홍금보, 성룡, 이연걸 모두 그의 캐릭터를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연기했다.
  • 곽원갑(1867–1910)은 외국인과의 공개적인 시합으로 유명했던 정무체육회의 창시자였다. 그의 일대기는 최근 영화 ''무인 곽원갑(2006)'' (2006)에서 묘사되었다.
  • 엽문(1893–1972)은 영춘권의 대가이자 이 무술을 공개적으로 가르친 최초의 인물이었다. 이소룡의 스승이었으며, 오늘날 서양에서 가르치는 대부분의 주요 영춘권 유파는 그의 제자들이 개발하고 보급했다.
  • 고유장(1894–1952)은 20세기 초 중국 남부 전역에 북소림 무술 시스템을 보급한 중국 무술가였다. 철사장 수련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소룡(1940–1973)은 20세기에 중요한 아이콘으로 여겨진 중국계 미국인 무술가이자 배우였다.[65] 영춘권을 수련했고, 이를 유명하게 만들었다. 영춘권을 기반으로 다른 무술의 영향을 받아, 절권도라고 불리는 자신만의 무술 철학을 개발했다.
  • 성룡(1954년 출생)은 홍콩 무술가, 영화 배우, 스턴트맨, 액션 안무가, 감독, 제작자이며, 전 세계적인 대중 문화 아이콘이다. 그의 무술 공연에 코미디를 가미하고 많은 영화에서 복잡한 스턴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이연걸(1963년 출생)은 중국의 5회 우슈 챔피언이었으며, 이후 영화에서 그의 기량을 선보였다.
  • 견자단(1963년 출생)은 홍콩 배우, 무술가, 영화 감독, 제작자, 액션 안무가이자 세계 우슈 토너먼트 메달리스트이다.
  • 오경(1974년 출생)은 중국 배우, 감독, 무술가이다. 베이징 우슈 팀의 멤버였으며, 액션 안무가로 경력을 시작하여 배우로 활동했다.

참조

[1] 서적 Kung Fu (I): An Elementary Chinese Text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2] 서적 Owning the Olympics: Narratives of the New China Chines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 서적 Mastering Yang Style Taijiquan Blue Snake Books
[4]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0-10-01
[5]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Westview Press 2002-03-01
[5] 서적 Soldiers of the Dragon: Chinese Armies 1500 BC–1840 AD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2006-06-27
[6] 학술지 Journal of Asian Martial Arts Volume 16 Via Media Pub. Co.
[7] 문서 trans. and ed. Zhang Jue (1994), pp. 367–370, cited after Henning (1999) p. 321 and note 8.
[8] 문서 Classic of Rites. Chapter 6, Yuèlìng. Line 108.
[9] 학술지 Academia Encounters the Chinese Martial arts 1999-09-01
[10] 서적 Sports & Games in Ancient China (China Spotlight Series) China Books & Periodicals Inc. 1986-12-01
[11] 학술지 The Evolution of T'ai Chi Ch'uan Wayfarer Publications 1997-04-01
[12] 서적 Handbook of Chinese Popular Culture Greenwood Press
[13] 학술지 Druken Fis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2004-09-01
[14] 학술지 Epigraphy, Buddhist Historiography, and Fighting Monks: The Case of The Shaolin Monastery
[15] 학술지 Ming-Period Evidence of Shaolin Martial Practice Harvard-Yenching Institute 2001-12-01
[16] 서적 Heiho Okugisho: The Secret of High Strategy W.M. Hawley
[17] 서적 Muyedobotongji: The Comprehensive Illustrated Manual of Martial Arts of Ancient Korea Turtle Press 2001-01-01
[18] 서적 Chines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s: A Historical Survey North Atlantic Books 2005-11-11
[19] 학회 National Skills: Guoshu Martial arts and the Nanjing State, 1928–1937 http://www.aasianst.[...]
[20] 서적 Training the Body for China: sports in the moral order of the people's republi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5-08-01
[21] 서적 Sport in Asian Society: Past and Present UK: Routledge 2002-09-29
[22] 서적 Marrow of the Nation: A History of Sport and Physical Culture in Republica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09-13
[23] 서적 Marginality and the Hero's Art: Martial artists in Hong Kong and Guangzhou (Cant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24] 서적 The Party and the Arty in China: The New Politics of Culture (State and Society in East Asi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4-04-28
[25] 서적 Essentials of Chinese Wushu Foreign Languages Press 1995-01-01
[26] 서적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China Spon Press (UK) 1999-09-14
[27] 웹사이트 Minutes of the 8th IWUF Congress http://www.iwuf.org/[...] International Wushu Federation 2005-12-09
[28] 학회 Wushu Greenwood Publishing Group
[29] 서적 A Guide to Chinese Martial Arts Foreign Languages Press 1995-01-01
[30] 서적 Kung Fu Elements The Way of the Dragon Publishing 2006-04-01
[31] 서적 Watching Your Back: Chinese Martial Arts and Traditional Medicin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12-01
[32] 서적 The Sword Polisher's Record: The Way of Kung-Fu Tuttle Publishing 1998-04-15
[33] 서적 The Art of Shaolin Kung Fu: The Secrets of Kung Fu for Self-Defense, Health, and Enlightenment Tuttle Publishing 2002-11-15
[34] 서적 The Complete Book of Shaolin: Comprehensive Program for Physical, Emotional, Mental and Spiritual Development Cosmos Publishing 2002-05-01
[35] 서적 Zhongguo da bai ke quan shu (中国大百科全书总编辑委員会) [Baike zhishi (中国大百科, Chinese Encyclopedia)] Shanghai:Xin hua shu dian jing xiao
[36] 서적 Wushu basic training (The Chinese Wushu Research Institute book series) Chinese Wushu Research Institute
[37] 서적 Fundamentals of High Performance Wushu: Taolu Jumps and Spins Lulu.com 2007-03-20
[38] 서적 Qigong for Health & Martial Arts, Second Edition: Exercises and Meditation (Qigong, Health and Healing) https://archive.org/[...] YMAA Publication Center 1998-06-25
[39] 서적 Meditation & the Martial Arts (Studies in Rel & Culture)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3-11-01
[40] 서적 Trick or treatment: The undeniable facts about alternative medicine W. W. Norton & Company
[41] 서적 The Way Of Qigong: The Art And Science Of Chinese Energy Healing Ballantine
[42] 서적 The Main Meridians (Encyclopedia Of Dim-Mak) Paladin Press 1997-03-01
[43] 서적 Ancient Chinese Weapons, Second Edition: The Martial Arts Guide YMAA Publication Center 1999-06-25
[44] 서적 Sword Imperatives—Mastering the Kung Fu and Tai Chi Sword The Way of the Dragon Publishing 2006-06-13
[45] 서적 Police Kung Fu: The Personal Combat Handbook of the Taiwan National Police Tuttle Publishing 2001-11-01
[46] 서적 Combat Techniques of Taiji, Xingyi, and Bagua: Principles and Practices of Internal Martial Arts Blue Snake Books 2006-02-09
[47] 서적 San Shou Kung Fu Of The Chinese Red Army: Practical Skills And Theory Of Unarmed Combat Paladin Press 1996-07-01
[48] 서적 Chinese Fast Wrestling for Fighting: The Art of San Shou Kuai Jiao Throws, Takedowns, & Ground-Fighting YMAA Publication Center 1997-04-25
[49] 서적 On the Warrior's Path: Philosophy, Fighting, and Martial Arts Mythology Frog Books 2003-02-20
[50] 서적 The Way of Kata YMAA Publication Center
[51] 뉴스 Inner Peace? Olympic Sport? A Fight Brews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8-08-20
[52] 뉴스 Kung Fu Monks Don't Get a Kick Out of Fighting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7-12-14
[53] 서적 Martial Arts Revealed iUniverse
[54] 웹사이트 Three hidden meanings of Chinese forms http://www.chinastra[...] 2014-09-04
[55] 서적 International Wushu Competition Routines Hai Feng Publishing Co., Ltd.
[56] 뉴스 Kung fu warriors fight for martial art's future http://www.timesonli[...] Times Online 2008-08-16
[57] 서적 American Shaolin: Flying Kicks, Buddhist Monks, and the Legend of Iron Crotch: an Odyssey in the New China https://archive.org/[...] Gotham
[58] 서적 Scholar Warrior: An Introduction to the Tao in Everyday Life HarperOne 1990-12-19
[59] 서적 Politics and Identity in Chinese Martial Arts Routledge
[60] 서적 Martial Arts Politics Explained
[61] 웹사이트 https://chinesemarti[...]
[62] 웹사이트 https://www.whitehor[...]
[63] 서적 The Shaolin Monastery: History, Religion, and the Chinese Martial Ar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64] 웹사이트 https://medium.com/@[...]
[65] 잡지 ТІМЕ 100: Bruce Lee http://www.time.com/[...] 1999-06-14
[66] 서적 Everybody Was Kung Fu Fighting: Afro-Asian Connections and the Myth of Cultural Purity Beacon Press 2002-11-18
[67] 서적 From Kung Fu to Hip Hop: Globalization, Revolution, and Popular Culture (Suny Series, Explorations in Postcolonial Stud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02-08
[68] 서적 The Columbia Companion to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08-15
[69] 서적 Handbook of Chinese Popular Cultur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4-08-23
[70] 학술지 From Movement to Action: Martial Arts in the Practice of Devised Physical Theatre 2009-07-01
[71] 서적 The Dancing Word: An Embodied Approach to the Preparation of Performers and the Composition of Performances. (Consciousness, Literature & the Arts) https://archive.org/[...] Rodopi 2011-04-29
[72] 뉴스 Contender Shores Up Karate's Reputation Among U.F.C. Fans https://www.nytimes.[...] 2010-01-30
[73] 서적 Kung Fu Book of Caine: The Complete Guide to TV's First Mystical Eastern Western Tuttle Publishing 1993-05-15
[74] 서적 Spirit of Shaolin https://archive.org/[...] Tuttle Publishing 1993-01-15
[75] 웹사이트 The Best Action Scene of 2022 Was the Butt-Plug Fight in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https://www.gq.com/s[...] 2023-02-22
[76] 서적 The Kung Fu Diaries: The Life and Times of a Dragon Master (1920–2001) The Book Guild Ltd 2018-04-28
[77] 뉴스 Why Bruce Lee and kung fu films hit home with black audiences https://www.theguard[...] 2024-02-11
[78] 웹사이트 Know Your Hip-Hop History: The B-Boy https://web.archive.[...] 2024-02-11
[79] 웹사이트 Kung Fu Influences Aspects of Hip Hop Culture Like Break Dancing https://web.archive.[...] 2024-02-11
[80] 서적 昭代叢書・内家拳法 上海古籍出版社 1990
[81] 논문 養生武術の形成過程に関する研究 : 民間武術から太極拳への変遷を中心に https://tsukuba.repo[...]
[82] 서적 簡化24式太極拳で骨の髄まで練り上げる技法
[83] 문서 詠春拳と白鶴拳の技術的相違点
[84] 뉴스 [책&생각] 샤머니즘이 중국 고대 사상을 낳았다 https://www.hani.co.[...] 한겨레 2024-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