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킬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테고리 킬러는 특정 제품군에 특화하여 다양한 상품 구색과 저렴한 가격으로 경쟁하는 대형 소매업체를 의미한다. 일본의 가전제품, 의류, 드럭스토어, 가구, 완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카테고리 킬러가 존재하며, 한국 시장에도 진출하여 국내 기업과 경쟁하고 있다. 온라인 시장의 성장과 경쟁 심화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 중심의 카테고리 킬러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지역 상인들의 매출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영향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화 용어 - 워싱턴 합의
워싱턴 합의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 워싱턴 D.C. 소재 국제기구들이 개발도상국 및 체제 전환 국가의 경제 발전을 위해 제시한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 패키지로, 적용 결과와 비판적 평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세계화 용어 - 국제화와 지역화
국제화는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언어와 지역을 지원하도록 설계하는 과정이며, 지역화는 특정 언어와 지역에 맞춰 조정하는 과정으로, 문자 인코딩, 날짜/시간 형식, 통화, 법적 규제, 문화적 차이 등을 고려하여 제품을 적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경쟁 (경제학) - 완전 경쟁
완전 경쟁은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존재하고 개별 참여자가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제품의 동질성, 자유로운 진입과 퇴거, 완전한 정보 공유 등의 특징을 갖는 시장 형태이다. - 경쟁 (경제학) - 베르트랑 모형
베르트랑 모형은 동종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가격을 전략 변수로 사용하여 경쟁하는 과점 시장 모형으로, 경쟁사의 가격을 고려하여 자신의 가격을 결정하고 경쟁적인 가격을 형성하여 완전 경쟁 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낳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 소매 - 온라인 쇼핑
온라인 쇼핑은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24시간 이용 가능하고 상품 선택의 폭이 넓지만,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고 사기 위험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소매 - 쇼핑
쇼핑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로, 역사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소비자와 판매자가 참여하여 경제적,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고 가격 결정 및 협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카테고리 킬러 | |
---|---|
개요 | |
유형 | 소매업체 |
설명 | 대규모 제품군을 갖춘 소매업체 |
2. 대한민국 내 현황 및 영향
199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에 할인점 형태의 카테고리 킬러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다양한 상품군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이 카테고리 킬러로 자리 잡았다. 의류 분야에서는 유니클로와 같은 해외 SPA 브랜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 강화와 온라인 채널 확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쿠팡, 마켓컬리 등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카테고리 킬러들이 등장하며 특정 카테고리에서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며,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 1. 가전
2. 2. 의류
패스트 리테일링(유니클로, GU)과 시마무라는 일본을 대표하는 의류 카테고리 킬러 기업이다.[1] 이들은 다양한 상품 구성과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한국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국내 패션 기업들은 이랜드, LF, 삼성물산 패션부문 등을 중심으로 해외 카테고리 킬러 기업에 맞서고 있다. 이들은 SPA 브랜드 런칭, 자체 유통망 강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무신사, W컨셉과 같은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이 새로운 카테고리 킬러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 3. 드럭스토어 (H&B 스토어)
마쓰모토 키요시 등 일본의 드럭스토어 체인들이 이 카테고리에 해당한다.2. 4. 가구
니토리와 오오츠카 가구는 일본의 가구 브랜드이다.[1][4]2. 5. 완구
토이저러스는 카테고리 킬러형 완구 전문점이다.2. 6. 기타 분야
북미 지역에서는 홈 데포(가정 및 건설), 베스트 바이(전자 제품) 등이 카테고리 킬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 이들은 방대한 상품 구색과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해당 카테고리에서 독보적인 시장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소매업체 | 카테고리 | 폐업 여부 |
---|---|---|
홈 데포 | 가정 및 건설 | |
베스트 바이 | 전자제품 | |
토이저러스 | 장난감 | 2018년 - 2021년 (미국 매장) |
반스앤노블 | 서적 | |
스테이플스 | 사무용품 | |
펫스마트 | 애완용품 | |
파티 시티 | 파티 용품 |
카테고리 킬러가 있는 도시의 지역 상인들은 매출이 크게 감소할 수 있으며, 더 넓은 반경의 상점들도 그 영향으로 타격을 입을 수 있다.[1] 1983년에서 1993년 사이, 아이오와 주민들은 철물점에서 31% 적게 소비했고, 이는 같은 기간 동안 카테고리 킬러 상점 증가로 철물점의 37% 손실로 이어졌다.[1]
[1]
서적
Competing With the Retail Giants: How to Survive in the New Retail Landscape
null
Wiley
1995
이 외에도 서적 분야의 인디고 북스 앤 뮤직, 사무용품 분야의 스테이플스, 애완용품 분야의 펫스마트, 파티 용품 분야의 파티 시티 등 다양한 카테고리 킬러가 존재한다.
스포츠 용품점의 경우, 카테고리 킬러는 약 929.03m2에서 약 3716.12m2의 규모를 보인다.[1] 홈 데포는 약 9290.30m2 규모의 매장에서 30,000개의 품목을 취급한다.[4]
일본의 경우 요도바시 카메라, 빅 카메라, 야마다 전기와 같은 가전제품 전문점과 유니클로, GU를 소유한 패스트 리테일링과 같은 의류 전문점이 카테고리 킬러로 분류될 수 있다. 마츠모토 키요시 (드럭스토어), 니토리 (가구) 등도 해당 분야의 카테고리 킬러로 볼 수 있다.
3. 긍정적 영향 및 부정적 영향
참조
[2]
서적
Retailing in the 21st Century: Current and Future Trends
null
Springer-Verlag
[3]
웹사이트
Retailing Revolution: Category Killers on the Brink
http://hbswk.hbs.edu[...]
Harvard Business School
2011-10-10
[4]
서적
Retailing Triumphs and Blunders: Victims of Competition in the New Age of Marketing Management
Quorum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