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롤라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파, 츄크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에서 사용된다. 사타왈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월레아이어, 풀루와테세어와도 유사성이 높다. 캐롤라인 제도의 초기 정착민들이 사용하던 언어에서 기원했으며, 1815년경 사이판에 정착하면서 사이판 캐롤라인어가 형성되었다. 영어의 영향으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연장자에 대한 존경을 중시하는 문화적 특징이 언어 사용에도 반영된다. 로마자를 사용하며, 1977년 28개, 2004년 33개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이 제정되었다.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가지며, 츄크어군 언어들과 어휘적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리아나 제도의 언어 - 차모로어
차모로어는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나 사용자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으며, 스페인어, 일본어 등 차용어가 많고 변형된 로마자를 사용하며 VSO 어순과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서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캐롤라인어 | |
---|---|
기본 정보 | |
국가 | 북마리아나 제도 |
지역 | 사이판 섬, 아나타한 섬, 아그리한 섬 |
민족 | 캐롤라인족 |
사용자 | 3,100명 (2000년) |
ISO 639-3 | cal |
Glottolog | caro1242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대양주어군 |
아어군 | 미크로네시아어군 |
하위 어군 | 중핵 미크로네시아어군 |
더 하위 어군 | 추크어군 |
국가 | |
공용어 | 북마리아나 제도 |
문자 | |
문자 체계 | 로마자 |
2. 분류
캐롤라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파, 츄크어군에 속한다. 사타왈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월레아이어, 풀루와테세어와도 유사성이 있다.[3] 일부 연구자들은 캐롤라인어가 츄크어 연속체의 서반부에 속한다고 지적한다.[3] 츄크어군의 어휘는 캐롤라인어와 그 기원 언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어휘에 상당한 다양성이 있기 때문이다.[3]
캐롤라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다. 캐롤라인 제도의 최초 거주민은 타이완에서 이주한 오스트로네시아인이었다. 1600년대 후반, 캐롤라인인들은 이미 유럽인들과 모국어로 소통하고 있었다.[3] 1795년에서 1797년 사이, 괌의 스페인 관리인 돈 루이스 데 토레스는 캐롤라인어를 연구하여 방언의 다양성을 확인했다. 1700년대에는 캐롤라인인들이 필리핀과 괌으로 항해하면서 캐롤라인 문화와 언어가 전파되었다.[3]
3. 역사
1800년대에는 섬 간 여행이 지속되면서 캐롤라인어의 다양성이 유지되었다. 캐롤라인인들이 차모로족의 지배를 받던 사이판으로 이주하면서 캐롤라인어는 계속 발전했다. 1815년경 사이판이 버려진 후, 캐롤라인인들은 섬을 거의 독점하게 되었고, 사이판 캐롤라인어의 초기 화자가 되었다. 이후의 이주는 언어적 다양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다.
3. 1. 초기 역사
캐롤라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와 방언에서 유래되었다. 캐롤라인 제도의 최초 거주민은 타이완에서 이주한 오스트로네시아인이었다. 캐롤라인 제도에 대한 유럽과의 접촉은 1652년에 시작되었고, 1600년대 후반까지 캐롤라인인들은 이미 그들의 모국어로 유럽인들과 소통하고 있었다.[3] 1795년에서 1797년 사이에 괌의 스페인 관리인 돈 루이스 데 토레스는 캐롤라인어를 연구하여 그 방언 연속체를 확인했다. 1700년대에 여러 캐롤라인 표류 항해가 필리핀과 괌에 도달하여 이 지역 전역에 캐롤라인 문화와 언어를 전파했다.[3]
1800년대 동안 생존, 의사 소통, 무역 및 가족 관계와 같은 다양한 이유로 섬 간 여행이 지속되어 캐롤라인어 연속체가 유지되었다. 캐롤라인인들이 차모로족의 지배 하에 사이판으로 이주하면서 캐롤라인어의 진화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1815년경 사이판이 버려진 후 캐롤라인인들은 섬을 거의 독자적으로 소유하게 되었고, 그곳의 첫 번째 캐롤라인어 사용 집단이 사이판 캐롤라인어의 초기 화자가 되었다. 그 후의 이주는 추가적인 언어적 다양성을 도입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언어를 혼합했다.
3. 2. 후기 역사
19세기 중반 이후 북마리아나 제도의 캐롤라인족 인구는 사타왈 동쪽 환초에서 온 이주민들로 인해 큰 변화를 겪었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 영국인 사업가 H.G. 존슨은 약 1,500명의 캐롤라인족을 마리아나 제도로 이주시켜 괌, 로타섬, 티니안의 농장에서 일하게 했다. 19세기 말까지 이들이 원래 섬에서 이주하는 것에 대한 반발이 있었고, 스페인 등은 티니안 캐롤라인족이 사이판으로 이주할 때까지 불만을 표시했다.[3]
미국이 1898년 괌을 점령했을 때, 마리아 크리스티나 마을의 캐롤라인족은 미국의 전통 의상 폐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곳에 남아 있었다. 사이판의 캐롤라인족 공동체를 형성한 대부분의 이주는 1911년까지 이루어졌으며, 1905년과 1907년 사이에 외부 섬에서 가장 많은 유입이 있었다. 이 기간 동안 독일 선박은 고향 섬의 태풍 피해로 인해 수백 명의 모틀로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다른 환초 거주자들을 사이판으로 수송했다. 그러나 이 이주는 새로운 이주민들이 기존 캐롤라인족 마을에서 떨어져 정착했기 때문에 캐롤라인어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이 섬 주민들 중 다수는 상황이 개선되자 고향으로 돌아갔고, 소수만이 사이판에 남았다.[3]
오늘날 사이판 캐롤라인족은 동해안의 정부 개발지인 카그만 등 섬 전역에 흩어져 있다. 1970년대는 사이판 캐롤라인족과 외부 섬의 뿌리 사이에 재연결이 시작된 시기였다. 특히 1969년 한 항해사가 60~70년 만에 외부 섬에서 사이판으로 항해한 것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미국과 세계 문화의 영향, 현대 미디어의 도입은 캐롤라인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모국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현대 생활은 이러한 노력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3]
4. 사용 현황 및 보존 노력
캐롤라인어는 사이판 캐롤라인어로도 알려져 있으며, 서부 캐롤라인 환초에서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으로 수 세기 동안 이주해 오면서 캐롤라인 언어 연속체 내 여러 언어에서 파생되었다. 주로 캐롤라인인이 사용하는 캐롤라인어는 사타왈어, 월레아이어, 풀루와테세어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크로네시아를 지배해 온 영어의 영향으로 캐롤라인어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대 미디어와 영어의 영향으로 캐롤라인어 사용이 감소하고 있으며, 사이판에는 전통적인 형태의 캐롤라인어를 자신 있게 구사할 수 있는 어린이가 소수만 남아 있어 언어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3] 언어 보존에 대한 관심은 남아있지만, 현대 생활 환경은 이러한 노력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대한민국은 북마리아나 제도와 관광, 경제 교류를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인 관광객, 교민 등이 캐롤라인어를 접할 수도 있다.
5. 문화
캐롤라인 문화에서는 연장자에 대한 존경이 중요하며, 이는 언어 사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캐롤라인 여성은 형제나 남성 친척에게 말할 때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도록 권장되었다. 또한 여성은 남성 친척 앞에서 걷지 않고, 앉아 있는 남성 친척 근처에서는 몸을 낮춰야 한다.[5]
캐롤라인 문화는 삶의 특정 측면에서 성별 분리를 장려해 왔다. 형제와 자매는 식기를 함께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받으며, 남성이 사용한 식기는 그의 어머니를 제외한 여성은 사용할 수 없다. 여성의 침실과 사적인 공간은 남성 친척에게 출입이 금지된다. 특정 지역에서는 소녀가 첫 생리를 시작하면 할머니와 같은 연장자가 돌보고 특별한 집에 머물게 한다. 이때 주황색 얼굴 페인트를 칠하여 공동체가 그녀의 성년이 됨을 알린다. 사이판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대부분 중단되었지만, 오늘날에도 많은 캐롤라인인들이 이러한 전통을 실천하고 있다.[5]
연장자와 젊은 남성 간에도 존경심을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젊은 남성은 연장자의 초대가 없는 한 회의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않아야 한다. 남편은 아내의 형제 및 남성 친척을 존경해야 하며, 처가에서 무언가를 필요로 할 때 돕도록 권장된다. 예를 들어, 처가에서 차를 사용하도록 요청하면 허락해야 하거나, 가족 잔치가 있다면 음식을 가져와야 한다.[5]
6. 음운
캐롤라인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캐롤라인어는 차모로어, 영어, 일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여 음소 체계에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슬리퍼를 의미하는 일본어 단어는 캐롤라인어에서 /dzodzdzoori/로 차용되어 중복될 수 있으며, 이는 슬리퍼를 신는다는 의미를 갖는다.[7]
캐롤라인어 음절의 전형적인 형태는 CV, CVC, CVVC 또는 CCVC이다.[7]
6. 1. 자음
캐롤라인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3][6]colspan="2" |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평음영어 | p pː | t tː | kː | |||
순음/유성음영어 | bʷˠ, (pʷˠ) | d | ɡ | ||||
파찰음 | ʈ͡ʂːʲ | ||||||
마찰음 | f fː | s sː | ʂ | x | h | ||
비음 | 평음영어 | m mː | n | ŋ ŋː | |||
순음영어 | mʷˠ mʷˠː | ||||||
유음 | l lː, r | ɻ | |||||
활음 | w | j | |||||
위 표는 치경음이 혀 앞날과 접촉하고, 혀 끝이 이의 특정 위치와 접촉함을 보여준다.[7]
모든 자음은 어두, 어중, 어말에 나타날 수 있다. 어말 위치에서 모든 장애음은 의무적으로 해제된다. 하나의 자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무기음이며 모든 파열음과 /x/는 약음이다. 자음 /bw/와 /mw/는 입술 폐쇄와 둥글게 말아 올리는 조음과 함께 혀 뒤쪽을 연구개 쪽으로 올리는 공동 조음을 갖는다. /bw/는 일반적으로 어중에서 /βw/로 변환된다. /r/은 전동음이며, 어말에서 무성음이다. 또한, 다음 단일 자음 /p, t, bw, f, s, m, mw, ŋ, l/은 어두, 어중, 그리고 추상적 표기에서도 어말에서 또한 중복될 수 있다. 중복 /bw/는 무성음화된다. 또한 캐롤라인어는 중복 /kk/는 가지고 있지만 단일 /k/는 가지고 있지 않다. 5개의 자음 /ş, x, r, w, j/가 있으며, 이는 생산적인 중복에서 어중에 중복될 수 있다. 중복 장애음은 긴장되어 있으며 종종 기음의 느낌을 준다.
캐롤라인어는 고유 어휘 외에도 차모로어, 영어, 일본어에서 상당한 어휘를 차용했다. 이로 인해 이러한 언어에서 일부 음소가 차용되었다. 이러한 음소는 차용된 단어에만 나타나지만, 이러한 단어 중 다수는 정규 캐롤라인어 음운 규칙을 거치며, 국제 분절음은 원어민과 동일한 방식으로 할당된다. 예를 들어, 슬리퍼를 의미하는 일본어 단어는 캐롤라인어로 차용되어 중복될 수 있다. 따라서 /dzodzdzoori/는 슬리퍼를 신는다는 의미이다.[7]
6. 2. 모음
캐롤라인어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3]전설 | 중설 | 후설 | 이중 모음 | |
---|---|---|---|---|
고모음 | i | ʉ | u | iu, eu, æu, ɐu |
중모음 | e | ɵ | o | ou, ɒu, ei, æi |
저모음 | æ | ɐ | ɒ | ɐi, ui, oi, ɒi |
6. 3. 음절 구조
캐롤라인어 음절의 전형적인 형태는 CV, CVC, CVVC 또는 CCVC이다.[7]7. 문자
캐롤라인어는 로마자를 사용하며, 과거에는 독일어, 차모로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표기 체계가 사용되었다.[7] 1977년 사이판 캐롤라인어 정서법 위원회에서 28개의 문자로 구성된 알파벳을 제정했고, 2004년에는 33개로 확장되었다.[7]
캐롤라인어 문자는 외국어 표기 체계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특히 차모로어 표기법의 영향을 받아 변형된 자음 표기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변형된 자음 /bw, mw, pw/는 뒤따르는 모음이 둥글지 않을 때 이중 자음으로 표기되지만, 둥근 모음 앞이나 단어 끝에서는 /w/ 또는 /u/가 거의 표시되지 않았다.
차모로어의 영향으로 단어 처음과 마지막에는 중복 자음이 표기되지 않고, 일부는 단어 중간에 중복 자음을 표기했다. 로마자의 5개 모음 기호를 사용하여 9개의 구별되는 모음을 식별하며, 장모음은 차모로어의 영향으로 표기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1976년 7월 21일, 교육부 본부 회의실에서 정서법 제정을 위한 예비 회의가 소집되었고, 1976년 7월 26일부터 8월 4일까지 공식적인 정서법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는 특정 방언을 공식 방언으로 선택하지 않고, 모든 방언의 발음을 제시하는 표준 시스템을 선택하기로 합의했다.[7]
2004년 기준 캐롤라인어 알파벳은 33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다.[7]
문자 | 음소 | 문자 이름 |
---|---|---|
a | /a/ | aa |
á | /æ/ | áá |
e | /e/ | ee |
ė | /ʌ/ | ėė |
i | /i/ | ii |
o | /o/ | oo |
ó | /ɔ/ | óó |
u | /u/ | uu |
ú | /ʉ/ | úú |
f | /f/ | fii |
h | /h/ | hii |
s | /s/ | sii |
sch | /ʂ/ | schii |
gh | /x/ | ghii |
k | /kː/ | kkii |
l | /l/ | lii |
m | /m/ | mii |
mw | /mʷˠ/ | mwii |
n | /n/ | nii |
ng | /ŋ/ | ngii |
p | /p/ | pii |
pw | /pʷˠ/ | pwii |
bw | /bʷˠ/ | bwii |
r | /r/ | rii |
rh | /ɻ/ | rhii |
tch | /ʈ͡ʂːʲ/ | tchii |
t | /t/ | tii |
w | /w/ | wii |
b | /b/ | bii |
d | /d/ | dii |
g | /g/ | gii |
y | /j/ | yii |
z | /z/ | zii |
캐롤라인어 화자들은 독일어, 차모로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 기반하여 캐롤라인어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나이가 많은 화자들은 독일어의 움라우트(umlaut) 변별 기호를 사용하거나, 치경 마찰음 /s/를
8. 문법
캐롤라인어 단순 문장은 주어 명사구와 술어구라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캐롤라인어의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다.[7] 다음은 몇 가지 단순 문장의 예시이다.
주어 명사구 | 술어구 | |
---|---|---|
1. | Wan|존cal | e seng|그는 운다cal |
2. | Wan|존cal | e dokto|그는 의사다cal |
3. | e|그cal | bwel le-mwungo|먹기 시작한다cal |
4. | E-sáál|그는 아직cal | mwungo|아직 먹지 않았다cal |
5. | I|그cal | e-bwe mwungo|먹을 것이다cal |
9. 어휘
캐롤라인어는 츄크어군 언어들과 어휘적 유사성을 보인다. 각 츄크어군 언어는 다른 구성원들과 거의 50%의 높은 어휘적 유사성을 공유하지만, 나머지 50%는 캐롤라인어의 어휘 계통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차이를 보인다.[3] 차모로어, 영어, 일본어 등에서 차용한 어휘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Carolinian Language
https://www.ethnolog[...]
2016-05-31
[2]
웹사이트
Carolinian
http://www.endangere[...]
2016-06-24
[3]
학위논문
Saipan Carolinian, one Chuukic language blended from many
http://www.ling.hawa[...]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12
[4]
서적
Linguistic Dimensions of Vernacular Education for Saipan Carolinians
University of Hawaii
1977
[5]
서적
Respect in the Carolinian Culture on Saipan
Department of Education, Saipan, Northern Mariana Islands
1980
[6]
서적
Th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of Trukic Languages of Micronesia
[7]
서적
Linguistic Dimensions of Vernacular Education for Saipan Carolinians
University of Hawaii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