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프리속(Symphytum)은 지치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27종이 인정된다. 컴프리속 식물들은 전통적으로 뼈를 낫게 하는 데 사용되어 '뼈 치료제' 등으로 불렸으며, 학명 'Symphytum'은 '뼈가 함께 자란다'는 의미를 지닌다. 컴프리는 알란토인, 점액질,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등 다양한 화학 물질을 함유하며,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200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내복용 컴프리 제품 판매를 금지하고, 외용 제품에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치아과 - 컴프리
컴프리는 서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 풀로, 과거 약초로 사용되었으나 독성 물질 때문에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 지치아과 - 보리지
보리지는 지중해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식용 잎과 꽃, 기름 생산용 씨앗, 꿀 생산, 곤충 퇴치 효과가 있지만, 간독성 물질을 함유하여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컴프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식물 분류 | |
속 | 컴프리속 |
학명 | Symphytum |
학명 명명자 | L. |
이명 | Consolida Procopiania × Procopiphytum |
모식종 | 컴프리(S. officinale L.)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27종) |
설명 | |
영어 | comfrey (컴프리) |
라틴어 | Symphytum (심피툼) |
기타 | |
PLANTS 데이터베이스 ID | CYVI |
PLANTS 데이터베이스 텍손 | Cynoglossum virginianum |
2. 하위 종
2. 1. 주요 종
컴프리속에는 다음의 주요 종들이 속한다.[1]학명 | 한국어 이름 | 비고 |
---|---|---|
S. officinale L. | 컴프리 | |
S. officinale subsp. uliginosum (A.Kern.) Nyman | ||
S. × uplandicum Nyman | 푸른컴프리 | |
S. abchasicum Trautv. | ||
S. asperrimum Donn ex Sims | ||
S. asperum Lepech. | ||
S. bulbosum K.F.Schimp. | ||
S. caucasicum M.Bieb. | ||
S. circinale Runemark | ||
S. cordatum Waldst. & Kit ex Willd. | ||
S. creticum (Willd.) Runemark | ||
S. cycladense Pawł. | ||
S. davisii Wickens | ||
S. × floribundum Shuttlew. ex Buckn. | ||
S. gussonei F.W.Schultz | ||
S. ibiricum Steven | ||
S. insulare (Pawł.) Greuter & Burdet | ||
S. naxicola Pawł. | ||
S. orientale L. | ||
S. ottomanum Friv. | ||
S. tauricum Willd. | ||
S. tuberosum L. | ||
S. tuberosum subsp. nodosum (Schur) Soó | ||
컴프리속 아인타비쿰 Hub.-Mor. & Wickens | ||
컴프리속 아나톨리쿰 Boiss. | ||
컴프리속 아스페룸 Lepech. | 가시컴프리, 거친컴프리 | |
컴프리속 × 비크넬리 Buckn. | ||
컴프리속 본뮐레리 Buckn. | ||
컴프리속 브라키칼릭스 Boiss. | 팔레스타인 컴프리 | |
컴프리속 불보섬 | 구근컴프리 | |
컴프리속 카르파티쿰 Yu.M.Frolov | ||
컴프리속 카우카시쿰 | 코카서스 컴프리 | |
컴프리속 시르시날레 Runemark | ||
컴프리속 코르다툼 Waldst. & Kit. ex Willd. | ||
컴프리속 크레티쿰 (Willd.) Runemark | ||
컴프리속 데이비시 Wickens | ||
컴프리속 × 페라리엔세 C.Massal. | ||
컴프리속 그란디플로룸 DC. | 덩굴컴프리 | |
컴프리속 구소네이 F.W.Schultz | ||
컴프리속 하야스타눔 Gvin. | ||
컴프리속 이비리쿰 Steven | 이베리아 컴프리 | [4] |
컴프리속 쿠르디쿰 Boiss. & Hausskn. | ||
컴프리속 롱기세툼 Hub.-Mor. & Wickens | ||
컴프리속 × 모스퀜세 S.R.Majorov & D.D.Sokoloff | ||
컴프리속 오피시날레 L. | 컴프리 | |
컴프리속 오리엔탈레 L. | 흰컴프리 | |
컴프리속 오토마눔 Friv. | ||
컴프리속 포드쿠미쿰 Yu.M.Frolov | ||
컴프리속 프세우도불보섬 Azn. | ||
컴프리속 사발렌세 Kurtto | ||
컴프리속 실바티쿰 Boiss. | ||
컴프리속 타우리쿰 Willd. | 크림 컴프리 | |
컴프리속 투베로섬 L. | 덩이줄기 컴프리 | |
컴프리속 × 울레피치 Wettst. | ||
컴프리속 × 업란디쿰 Nyman | 러시안 컴프리 | S. asperum × S. officinale, 동의어: S. peregrinum, 치유 허브, 블랙워트, 멍 치료제, 월워트, 검플랜트 |
컴프리속 × 베트스테이니 Sennholz |
2. 2. 기타 종
- 컴프리(''S. officinale'' L.)
- * ''S. officinale'' subsp. ''uliginosum'' (A.Kern.) Nyman
- 푸른컴프리(''S.'' × ''uplandicum'' Nyman)
- ''S. abchasicum'' Trautv.
- ''S. asperrimum'' Donn ex Sims
- ''S. asperum'' Lepech.
- ''S. bulbosum'' K.F.Schimp.
- ''S. caucasicum'' M.Bieb.
- ''S. circinale'' Runemark
- ''S. cordatum'' Waldst. & Kit ex Willd.
- ''S. creticum'' (Willd.) Runemark
- ''S. cycladense'' Pawł.
- ''S. davisii'' Wickens
- ''S.'' × ''floribundum'' Shuttlew. ex Buckn.
- ''S. gussonei'' F.W.Schultz
- ''S. ibiricum'' Steven
- ''S. insulare'' (Pawł.) Greuter & Burdet
- ''S. naxicola'' Pawł.
- ''S. orientale'' L.
- ''S. ottomanum'' Friv.
- ''S. tauricum'' Willd.
- ''S. tuberosum'' L.
- * ''S. tuberosum'' subsp. ''nodosum'' (Schur) Soó
- 컴프리속 아인타비쿰
- 컴프리속 아나톨리쿰
- 컴프리속 아스페룸 (가시컴프리, 거친컴프리)
- 컴프리속 × 비크넬리
- 컴프리속 본뮐레리
- 컴프리속 브라키칼릭스 (팔레스타인 컴프리)
- 컴프리속 불보섬 (구근컴프리)
- 컴프리속 카르파티쿰
- 컴프리속 카우카시쿰 (코카서스 컴프리)
- 컴프리속 시르시날레
- 컴프리속 코르다툼
- 컴프리속 크레티쿰
- 컴프리속 데이비시
- 컴프리속 × 페라리엔세
- 컴프리속 그란디플로룸 (덩굴컴프리)
- 컴프리속 구소네이
- 컴프리속 하야스타눔
- 컴프리속 이비리쿰 (이베리아 컴프리)[4]
- 컴프리속 쿠르디쿰
- 컴프리속 롱기세툼
- 컴프리속 × 모스퀜세
- 컴프리속 오피시날레 (컴프리)
- 컴프리속 오리엔탈레 (흰컴프리)
- 컴프리속 오토마눔
- 컴프리속 포드쿠미쿰
- 컴프리속 프세우도불보섬
- 컴프리속 사발렌세
- 컴프리속 실바티쿰
- 컴프리속 타우리쿰 (크림 컴프리)
- 컴프리속 투베로섬 (덩이줄기 컴프리)
- 컴프리속 × 울레피치
- 컴프리속 × 업란디쿰 (''S. asperum'' × ''S. officinale'', 동의어: ''S. peregrinum'') (러시안 컴프리, 치유 허브, 블랙워트, 멍 치료제, 월워트, 검플랜트)
- 컴프리속 × 베트스테이니
총 27종이 인정된다.[1]
3. 재배
러시아 컴프리 'Bocking 14' 품종은 1950년대 유기농 원예 단체인 헨리 더블데이 연구 협회의 창립자 로렌스 D. 힐스가 에식스주(보킹)에서 시험 재배를 거쳐 개발했다. 이 품종은 19세기 영국에 러시아 컴프리를 처음 소개한 헨리 더블데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1. 번식
Bocking 14는 씨앗을 맺지 않아 뿌리 꺾꽂이로 번식한다. 정원사는 흙 표면에서 약 7cm 아래 잎 덩어리에 수평으로 삽을 넣어 성숙하고 튼튼하게 자라는 식물에서 "오프셋"을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덩굴이 제거되며, 이를 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 원래 식물은 빠르게 회복되고, 각 조각은 성장점을 흙 표면 바로 아래에 심으면 빠르게 새로운 식물로 자랄 것이다. 또한, 식물 재고를 초기 구축하기 위해 전문 묘목장에서 우편 주문으로 오프셋을 구매할 수도 있다.[5]4. 식물화학, 민간 요법 및 독성
민간 요법에서 컴프리는 뼈를 잇는 약, 뼈 치료제 등으로 불렸으며, 그 라틴어 이름인 ''Symphytum''은 뼈가 함께 자란다는 뜻의 그리스어 ''symphis''와 식물을 뜻하는 ''phyto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컴프리의 고대 사용법을 나타낸다. 프랑스어 이름인 consoude|콩수드프랑스어는 '함께 용접한다'는 뜻이다.
컴프리는 알란토인, 점액질, 사포닌, 탄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이눌린 등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6]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컴프리의 간독성을 유발하며,[7] 이는 이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6]
200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내복용 컴프리 제품 판매를 금지하고, 외용 제품에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했다.[10] 컴프리 사용은 임신 및 수유 중인 여성, 유아, 간, 신장, 혈관 질환 환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6][11]
4. 1. 성분 및 전통 의학
컴프리는 민간 요법에서 뼈를 잇는 약, 뼈 치료제 등으로 불렸으며, 라틴어 이름인 ''Symphytum''은 그리스어 ''symphis''(뼈가 함께 자란다는 뜻)와 ''phyton''(식물)에서 유래했다. 프랑스어 이름인 consoude|콩수드프랑스어는 '함께 용접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이름들은 컴프리가 뼈를 낫게 하는 데 유용하다는 믿음을 반영한다.컴프리는 알란토인, 점액질, 사포닌, 탄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이눌린 등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6]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컴프리의 간독성을 유발하며,[7] 이는 컴프리나 그 추출물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6] 현대 초본학에서 컴프리는 주로 국소 치료제로 사용된다.[6][8][9]
200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내복용 컴프리 제품 판매를 금지하고, 외용 제품에는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했다.[10] 컴프리 사용은 임신 및 수유 중인 여성, 유아, 간, 신장, 혈관 질환 환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6][11]
4. 2. 독성 및 규제
민간 요법에서 컴프리는 뼈를 잇는 약, 뼈 치료제 등으로 불렸으며, 라틴어 이름인 ''Symphytum''은 그리스어 ''symphis''(뼈가 함께 자란다는 뜻)와 ''phyton''(식물)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컴프리의 고대 사용법을 나타낸다. 프랑스어 이름인 consoude프랑스어는 '함께 용접한다'는 뜻이다. 다양한 문화와 언어에서의 전통은 뼈를 낫게 하는 데 유용하다는 공통적인 믿음을 시사한다.컴프리는 알란토인, 점액질, 사포닌, 탄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이눌린 등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6]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는 컴프리의 간독성을 유발하며,[7] 이는 이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섭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6] 현대 초본학에서 컴프리는 주로 국소 치료제로 사용된다.[6][8][9]
200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내복용으로 판매되는 컴프리 제품에 대한 판매 금지 조치를 내렸으며, 외용으로 사용되는 제품에 대한 경고 라벨을 부착하도록 했다.[10] 컴프리의 사용은 특히 임신 및 수유 중인 여성, 유아, 그리고 간, 신장 또는 혈관 질환 환자에게 권장되지 않는다.[6][11]
참조
[1]
Plants of the World Online
Symphytum Tourn. ex L.
https://powo.science[...]
2024-07-31
[2]
웹사이트
Symphytum L.
http://www.worldflor[...]
The World Flora Online
2023-07-18
[3]
PLANTS
2018-11-20
[4]
웹사이트
Symphytum ibericum
https://www.rhs.org.[...]
rhs.org.uk
2017-04-23
[5]
웹사이트
Comfrey
https://www.hort.pur[...]
University of Wisconsin, Extension, Cooperative-Extension
1992-02
[6]
웹사이트
Comfrey
https://www.drugs.co[...]
Drugs.com
2017-07-17
[7]
논문
Metabolism, genotoxicity, and carcinogenicity of Comfrey
2010-10
[8]
논문
A reappraisal of the Malaise Inventory.
1990-07
[9]
논문
Herbal Medicinals: Selected Clinical Considerations Focusing on Known or Potential Drug-Herb Interactions
1998-11-09
[10]
웹사이트
FDA/CFSAN – FDA Advises Dietary Supplement Manufacturers to Remove Comfrey Products From the Market (archived copy)
http://wayback.archi[...]
2023-06-12
[11]
논문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associated with comfrey ingestion
1990-03
[12]
서적
Species Plantarum 1
175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