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룰렌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룰렌 강은 몽골 헨티 산맥 남쪽에서 발원하여 몽골 동부와 중화인민공화국을 거쳐 후룬 호로 흘러드는 강이다. 몽골의 헨티 아이막을 지나 중국으로 유입되며, 간혹 폭우 시에는 아르군 강과 후룬 호가 연결되기도 한다. 케룰렌 강, 아르군 강, 아무르 강을 모두 합치면 총 길이는 5,052km에 달한다. 케룰렌 강 유역은 흉노, 선비 등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였으며, 칭기즈 칸과 관련된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케룰렌 강 유역에는 소다 호수가 위치해 있으며, 이 호수들에서는 우라늄이 검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강 - 아무르강
아무르강은 몽골 고원에서 발원하여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따라 흐르며 오호츠크해로 유입되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흑룡강으로 불렸고,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이자 중·러 관계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풍부한 수산자원을 가지나 수질 오염 문제도 겪고 있다. - 몽골의 강 - 셀렝가강
셀렝가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러시아 동부 중앙부로 흐르는 1,480km 길이의 강으로, 바이칼호의 주요 지류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삶의 터전이었으나, 최근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하고 삼각주는 람사르 협약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한강
한강은 태백산맥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가는 강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합쳐져 한강 본류를 이루며, 총 514km의 길이를 가지며, 수운 교통로, 시민공원 조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아시아의 국제 하천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케룰렌강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케룰렌강 |
| 원어 이름 | Хэрлэн гол (몽골어) 克鲁伦河 (중국어) |
| 어원 | 몽골어: kherlen, "federated" (연합된) |
![]() | |
| 지리 | |
| 위치 | 몽골, 중국 |
| 몽골 아이막 | 헨티 주, 도르노트 주 |
| 중국 지역 | 내몽골 자치구 |
| 중국 지급 행정구 | 후룬베이얼 시 |
| 발원지 | 헨티 산맥, 부르한 할둔 산 |
| 하구 | 후룬 호 |
| 길이 | 1254km |
| 수문학 | |
| 유역 면적 | 알려진 정보 없음 |
| 좌안 지류 | 알려진 정보 없음 |
| 우안 지류 | 알려진 정보 없음 |
| 평균 방류량 | 알려진 정보 없음 |
2. 지리
케룰렌 강은 몽골 동부와 중국 북동부를 흐르는 강이다. 헨티 산맥 남쪽에서 발원하여[2][1] 동쪽으로 흘러 몽골의 헨티 현과 도르노드 현을 지나며, 주요 도시인 온두르한과 초이발산을 거친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로 들어가 약 164km를 더 흐른 뒤 후룬 호로 유입된다.
케룰렌 강은 내륙 초원 지대를 흐르는 특성상 유량 변동이 크며, 건기에는 물길이 마르기도 한다.[3] 강수량이 풍부한 해에는 후룬 호의 물이 북쪽으로 넘쳐흘러 약 30km 떨어진 아르군강과 연결되기도 한다.[1] 이 경우, 케룰렌-아르군-아무르강으로 이어지는 수계는 총 길이가 5052km에 달하는 거대한 강줄기를 형성한다.[8][1]
2. 1. 발원 및 흐름
케룰렌 강은 몽골 헨티 산맥의 남쪽 경사면에 있는 칸 헨티 엄격 보호 구역 내 부르칸 할둔 산 근처에서 발원한다.[2][1] 이곳은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북동쪽으로 약 180km 떨어져 있으며, 칭기스 칸의 탄생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이 지역은 북극해로 흘러가는 툴 강 유역과 태평양으로 흘러가는 케룰렌 강, 오논 강 유역 사이의 분수령을 이루어 "세 강 유역"이라고도 불린다.[1]

발원지에서 나온 케룰렌 강은 주로 동쪽으로 흐르며 몽골 동부 초원 지대를 관통한다. 헨티 현과 도르노드 현을 지나는데, 유역의 주요 도시로는 헨티 현의 현청 소재지인 온두르한과 도르노드 현의 현청 소재지인 초이발산이 있다.
몽골 영토를 벗어난 케룰렌 강은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후룬보이르 지역으로 들어간다. 중국 내에서 약 164km를 더 흐른 뒤 후룬 호로 흘러 들어간다.
케룰렌 강은 내륙 초원 지대를 흐르는 다른 많은 강처럼 유량이 적은 편이며, 일 년 중 물길이 끊기는 시기도 있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평균 유량은 이전 10년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 감소했다.[3] 그러나 간혹 폭우가 내리면 후룬 호가 아르군강과 연결되기도 한다. 케룰렌 강과 아르군강, 그리고 아르군강과 이어지는 아무르강까지의 길이를 모두 합하면 총 5052km에 달하는 긴 강줄기가 된다.[8]
2. 2. 수계
케룰렌 강은 헨티 산맥의 남쪽 경사면에서 발원하며,[2] 울란바토르에서 북동쪽으로 약 180km 떨어진 칸 헨티 엄격 보호 구역 내 부르칸 할둔 산 근처에서 시작된다.[1] 이 지역은 칭기스 칸의 탄생지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곳은 북극해로 흘러드는 툴 강 유역과 태평양으로 흘러드는 케룰렌 강 및 오논 강 유역 사이의 분수령을 이루며, "세 강 유역"이라고도 불린다.케룰렌 강은 산지에서 남쪽으로 내려온 뒤 주로 동쪽으로 흘러 몽골 동부 초원 지대를 관통하며 헨티 아이막과 도르노드 아이막을 통과한다. 유역의 주요 도시로는 헨티 아이막의 온두르한, 도르노드 아이막의 초이발산이 있다.[1] 울란 에레그를 지나 초이발산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을 넘어 내몽골 자치구의 후룬보이르 지역으로 들어간다. 중국 영내에서는 약 164km를 더 흘러 후룬 호로 유입된다.
내륙 초원 지대를 흐르는 강으로 유량이 많지 않으며, 연중 물길이 끊어지는 시기도 있다. 케룰렌 강의 평균 유량은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이전 10년과 비교했을 때 절반 이상 감소했다.[3]
평상시에 후룬 호는 물이 빠져나가는 유출구가 없는 호수이다. 그러나 강수량이 많은 해에는 호수 북쪽 해안에서 물이 넘쳐흘러, 약 30km 떨어진 아르군강과 합류하기도 한다.[1] 이 물길은 자란오로무강 또는 다란오로무강이라고 불린다. 간혹 폭우가 내렸을 때에도 아르군강과 후룬 호가 연결되기도 한다.
아르군강은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약 944km에 걸쳐 이루며 흐르다가 실카강과 만나 아무르강을 형성한다. 케룰렌강, 아르군강, 아무르강을 포함하는 전체 유역의 길이는 5052km에 달한다.[8][1]
3. 유역의 역사

케룰렌강 유역은 흉노나 선비 등 몽골 초원의 유목 민족이 활발하게 활동했던 지역이다. 칭기즈 칸은 그의 활동 초기에 오논강 및 케룰렌강 일대를 주요 활동 무대로 삼았다. 전설에 따르면 그의 묘소 역시 케룰렌강 유역 어딘가에 있다고 전해진다.
케룰렌강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었다. 『원조비사』에서는 객로련목련(Kelüren Müren|켈뤼렌 뮈렌mn)으로, 『집사』에서는 كلوران|칼루란fa(Kalūrān)으로 음사되었다. 이는 13~14세기에는 현재의 '케룰렌'(Kherlen)과 달리 r과 l의 순서가 바뀐 형태로 발음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원사』를 비롯한 당시의 한문 문헌에서는 극로륜(克魯倫), 첩록련(帖綠連), 첩려련(帖怯連), 곡록련(曲綠連)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되었다.
명의 영락제는 몽골의 타타르부와 오이라트부를 정벌하기 위해 북쪽으로 친정(親征)했을 때 케룰렌강 유역에서 몽골 군대를 격파했다. 이후 청의 강희제 역시 준가르 칸국의 갈단 칸을 직접 정벌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케룰렌강에서 그를 물리쳤다.
4. 환경
케룰렌강은 몽골 북동부 도르노드 주를 흐르며, 초이발산시 근처를 지난다. 이 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207mm에 불과한 반건조 기후대에 속한다.[4] 강 유역에는 여러 개의 소다호가 존재하며, 이는 지하수에 의해 유지되는 폐쇄호이다.[4]
강 유역의 후두 아랄 평원(길이 30km, 폭 20km)은 칭기스 칸의 궁전 터가 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근처에는 탄산염, 소다, 염소가 풍부한 작은 호수가 있으며, 이 물은 신경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7]
4. 1. 소다 호수와 우라늄
초이발산시 근처 도르노드 주에 위치한 케룰렌강 유역에는 여러 개의 소다호가 존재한다.[4] 이 호수들은 지질학적으로 중앙 몽골 접힌 시스템의 북 케룰렌 블록에 속하며, 지하수로 채워지는 폐쇄호로 표면으로 물이 드나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호수들은 후기 백악기에 초이발산–오논 화산 사슬에서 분출된 현무암, 화산쇄설암, 유문암 등으로 이루어진 분지에 자리 잡고 있다.[6] 대표적인 호수로는 차이담 호, 구르바니 호, 샤르 부르딘 호 등이 있다.이 소다호들은 주로 강수와 눈 녹은 물로 채워지는 얕은 비제한 대수층과 호수 북쪽 고지대의 강수로부터 지하수를 공급받는다. 하지만 이 지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207mm에 불과한 반건조 기후대에 속해 지하수 보충이 드물게 일어난다. 케룰렌강은 이 지역 지하수의 배출 지점 역할을 하며, 지하수는 지형 경사를 따라 남쪽으로 흐른다. 얕은 폐쇄 분지에 있는 호수들은 증발을 통해 물이 빠져나가는 지점이 된다.
이 지역의 소다호 중 일부는 우라늄 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데, 특히 샤르 부르딘 호의 한 지점에서는 우라늄 농도가 62.5 μM로 측정되었다. 이는 자연 발생 우라늄 농도로는 매우 높은 수치이며, 세계보건기구(WHO)의 우라늄 잠정 지침 값인 0.063 μM L-1 (15 μg L-1)과 비교하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샤르 부르딘 호는 다른 호수들에 비해 증발량이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호수 유역 내에서 직접적인 우라늄 매장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북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역암과 사암 내에 우라니나이트(피치블렌드)와 코피나이트 형태의 우라늄 광상이 존재한다. 이 광상들은 과거 소련 시절인 1970년대에 채굴되었으며, 2000년대 들어 일부 오래된 광산이 다시 문을 열었다. 호수와 지하수의 높은 우라늄 농도는 화산 유리의 탈유리화 과정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건조한 봄철에 자주 발생하는 대규모 먼지 폭풍이나, 우라늄 농도가 높은 샤르 부르딘 호와 구르바니-2 호에서 바람에 날린 염분이 다른 호수와 지하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샤르 부르딘 호에서 멀어질수록 우라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이를 뒷받침한다.
한편, 케룰렌강 유역의 후두 아랄 평원(길이 30km, 폭 20km)은 칭기스 칸의 궁전 터가 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근처에는 탄산염, 소다, 염소 함량이 높은 작은 호수가 있는데, 이 호수의 물은 신경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7]
2008년에는 몽골 중부 소다호의 염분에서 다량의 우라늄이 함유된 사실이 발견되기도 했다.
5. 참고: 아무르 강 수계
강수량이 많은 해에는 평소 물이 빠지지 않는 후룬호가 북쪽 해안에서 범람하여 물이 약 30km를 흘러 아르군강과 합류하기도 한다.[1] 아르군강은 약 944km에 걸쳐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을 이루며 흐르다가 아무르강과 만난다. 이처럼 케룰렌강이 후룬호와 아르군강을 통해 아무르강으로 이어지는 경우, 케룰렌-아르군-아무르 유역의 총 길이는 5km에 달한다.[8][1]
참조
[1]
논문
Is Mongolia's groundwate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ase of the Kherlen River basin
https://zenodo.org/r[...]
Taylor & Francis Informa Ltd
2008-12
[2]
서적
The Physical Geography of Mongolia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1
[3]
논문
Geochemical studies and lacustrine geomorphology of Lake Yakhi basin in eastern Mongolia
2021
[4]
논문
Geochemical evolution of uraniferous soda lakes in Eastern Mongolia
https://www.research[...]
2011-03
[5]
논문
Late Triassic initial closure of the Mongol-Okhotsk Ocean in the western segment: Constraints from sedimentological, detrital zircon ages and paleomagnetic evidence
https://insu.hal.sci[...]
2023-08
[6]
논문
Uranium of Mongolia
2006
[7]
웹사이트
Khuduu Aral
https://www.mongolia[...]
2024-07-25
[8]
위키백과
독일어 위키백과의 Cherlen (Fluss) 문서에의 일부를 번역함
https://de.wikipedia[...]
[9]
백과사전
두산백과에서 인용
http://www.encyb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