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르비니아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비니아노는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활동한 인물로, 프랑크 영토에서 태어나 은수 생활을 거쳐 바이에른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한 선교사이다. 그는 로마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2세의 권고에 따라 바이에른으로 파견되어 프라이징 인근에 수도원과 학교를 세우고, 동생을 통해 운영하게 했다. 그는 바이에른 공작 그리모알트의 근친상간을 비판하다가 갈등을 겪고 도피했으나, 후계자의 초청으로 돌아와 프라이징에서 사도적 사역을 이어가다 730년에 사망했다. 코르비니아노는 곰을 상징으로 사용하며, 그의 유해는 프라이징 대성당에 안치되어 있다. 그의 생애는 회화 작품으로도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30년 사망 - 장열
    장열은 당나라의 정치가이자 문인으로, 측천무후부터 현종 시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치며 세 번 재상을 지냈고, 태평공주 제거와 군사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며, 문장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 730년 사망 - 외드 대왕
    외드 대왕은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초까지 아키텐을 통치하며 이슬람 군대를 격퇴하고 프랑크 왕국과 대립하다가 투르 푸아티에 전투에서 함께 싸우며 종주권을 인정했으며, 아들 우날드가 공작위를 계승했다.
  • 670년 출생 - 타리크 이븐 지야드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8세기 초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명령을 받아 이베리아 반도를 침공하여 서고트 왕국을 멸망시킨 무슬림 군대의 지휘관으로, 그의 이름은 지브롤터의 어원이 되었다.
  • 670년 출생 - 장욱
    장욱은 파격적인 서예가로, 술에 취해 머리카락으로 글을 쓰는 등 기존 서예의 틀을 깼으며, 안진경 등 후대 서예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대표작으로는 『자언첩』과 『낭관석주기』가 있다.
  • 8세기 기독교 성인 - 보니파시오
    보니파시오는 8세기 잉글랜드 출신 선교사로, 윈프리트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게르마니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를 정비했으며, 교황으로부터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을 받고 게르마니아 선교 주교로 임명되어 프랑크 왕국과 협력하여 선교하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8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그레고리오 3세
    교황 그레고리오 3세는 731년부터 741년까지 재임한 90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에 맞서고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에 대응하며 교황권을 수호하고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를 통해 랑고바르드족의 위협에 대처하는 한편 교회 내부 문제 해결과 북유럽 및 잉글랜드 교회 지원에도 힘썼다.
코르비니아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성 코르비니아노
라틴어 이름Corbinianus
프랑스어 이름Corbinien
독일어 이름Korbinian
직업주교
생애
출생670년경
출생지프랑스 샤트르
사망730년 9월 8일경
사망지독일 프라이징
기념
축일9월 8일, 11월 20일
숭배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상징
상징물; 곰이 그의 노새를 잡아먹었기 때문에 짐을 나르게 하는 주교; 배경에 곰과 노새가 있는 주교; 발치에 그리모알트 공작이 있는 주교
수호
수호 성인프라이징, 독일; 뮌헨 및 프라이징 대교구, 독일
이미지
얀 폴락의
얀 폴락의 "곰의 기적" (1489) 그림. 프라이징 교구 박물관, 독일.

2. 생애

코르비니아노는 프랑크 영토인 물랭 근처 샤트르에서 발데키소(Waldegiso)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3][2] 아버지 사후, 어머니 코르비니아나(Corbiniana)의 이름을 따라 코르비니아노로 개명했다.[14][3] 코르비니아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프라이징의 아르베오가 쓴 《Vita Corbiniani》(코르비니아니 생애)가 유일하다.[4]

어머니가 사망한 후, 코르비니아노는 오를레앙 인근 파리의 제르맹 성당 근처에서 14년간 은수자로 생활했다.[5] 그의 명성이 높아져 많은 제자들이 찾아왔으나, 사도 성 베드로에 대한 헌신과 은수 생활을 위해 제자 몇 명과 함께 로마로 떠났다.[5]

로마에 있는 동안,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코르비니아노에게 바이에른에 복음을 전할 것을 권고하였다.[15] 그레고리오 2세는 코르비니아노를 주교로 임명한 후에 프랑크 출신 바이에른 공작 그리모알트에게 사절로 파견하였다.[15] 코르비니아노는 724년에 바이에른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코르비니아노는 프라이징 인근에 있는 산을 성역으로 삼아 그곳에 베네딕도회 소속 수도원과 학교를 건립하였고, 자신의 동생 에렘베르토가 그곳을 운영하게 하였다. 738년, 성 보나파시오가 마인츠 대주교령을 설치하고, 에렘베르토가 초대 프라이징 주교로 임명되었다.[17]

코르비니아노는 그리모알드가 동생의 미망인 빌트루디스와 결혼한 것을 두고 근친상간이라며 크게 비난하였다.[18][3] 이는 그리모알트의 분노와 빌트루디스의 심기를 건드렸고, 빌트루디스는 코르비니아노를 외국 침입자로 비난하며 암살을 모의하기에 이르렀다.[3] 결국 코르비니아노는 725년 그리모알트가 죽고 빌트루디스가 침략자들에게 납치될 때까지 프라이징에서 도피했다.[18][3] 이후 코르비니아노는 그리모알드의 후계자인 휴베르트의 초청을 받고 바이에른으로 돌아와[8] 730년 죽을 때까지 프라이징에서 사도적 사역을 계속했다.

코르비니아노는 프라이징에서 사도적 사역을 계속하다 730년에 사망하였다.[18] 그의 유해는 처음에 메란에 매장되었으나,[18] 769년 프라이징의 아르베오 주교에 의해 프라이징 대성당으로 이장되어 현재까지 안치되어 있다.[18]

코르비니아노와 곰, 코스마스 다미안 아삼, 1725년경

2. 1. 초기 생애와 은수 생활

코르비니아노는 프랑크 영토인 물랭 근처 샤트르에서 발데키소(Waldegiso)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3][2] 아버지 사후, 어머니 코르비니아나(Corbiniana)의 이름을 따라 코르비니아노로 개명했다.[14][3] 코르비니아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프라이징의 아르베오가 쓴 《Vita Corbiniani》(코르비니아니 생애)가 유일하다.[4]

어머니가 사망한 후, 코르비니아노는 오를레앙 인근 파리의 제르맹 성당 근처에서 14년간 은수자로 생활했다.[5] 그의 명성이 높아져 많은 제자들이 찾아왔으나, 사도 성 베드로에 대한 헌신과 은수 생활을 위해 제자 몇 명과 함께 로마로 떠났다.[5]

2. 2. 바이에른 선교와 주교 서품

코르비니아노는 프랑크 영토인 물랭 근처 샤트르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발데키소'''(Waldegiso)였다.[13] 아버지가 죽은 뒤에는 어머니의 이름인 코르비니아나(Corbiniana)에서 따온 코르비니아노로 이름을 바꾸었다.[14]

로마에 있는 동안, 교황 그레고리오 2세는 코르비니아노에게 바이에른에 복음을 전할 것을 권고하였다.[15] 그레고리오 2세는 코르비니아노를 주교로 임명한 후에 프랑크 출신 바이에른 공작 그리모알트에게 사절로 파견하였다.[15] 코르비니아노는 724년에 바이에른에 도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

코르비니아노는 프라이징 인근에 있는 산을 성역으로 삼아 그곳에 베네딕도회 소속 수도원과 학교를 건립하였고, 자신의 동생 에렘베르토가 그곳을 운영하게 하였다.[17]

2. 3. 그리모알드와의 갈등과 도피

코르비니아노는 그리모알드가 동생의 미망인 빌트루디스와 결혼한 것을 두고 근친상간이라며 크게 비난하였다.[18][3] 이는 그리모알트의 분노와 빌트루디스의 심기를 건드렸고, 빌트루디스는 코르비니아노를 외국 침입자로 비난하며 암살을 모의하기에 이르렀다.[3] 결국 코르비니아노는 725년 그리모알트가 죽고 빌트루디스가 침략자들에게 납치될 때까지 프라이징에서 도피했다.[18][3] 이후 코르비니아노는 그리모알드의 후계자인 휴베르트의 초청을 받고 바이에른으로 돌아와[18] 730년 죽을 때까지 프라이징에서 사도적 사역을 계속했다.

2. 4. 프라이징에서의 죽음과 유해 이장

코르비니아노는 프라이징에서 사도적 사역을 계속하다 730년에 사망하였다.[18] 그의 유해는 처음에 메란에 매장되었으나,[18] 769년 프라이징의 아르베오 주교에 의해 프라이징 대성당으로 이장되어 현재까지 안치되어 있다.[18][3]

3. 코르비니아노의 곰

코르비니아노의 상징은 안장이 얹힌 이다. 그의 성인전에 따르면, 곰 한 마리가 로마로 가는 길에 코르비니아노의 짐말을 죽였고, 성인은 곰에게 짐을 짊어지고 가라고 명령했다. 로마에 도착한 후 그는 곰을 풀어주었고, 곰은 둔하게 움직이며 고향 숲으로 돌아갔다.[9] 이 문장과 전설 자체는 중요한 상징성을 지닌다. 한 가지 해석은 신의 은총에 의해 길들여진 곰이 프라이징 주교 자신이며, 짐받이는 그의 주교직의 짐이라는 것이다.[10] 곰의 복종과 후퇴는 또한 기독교가 이교도의 맹렬함을 "길들이고" "순화"시키고, 결과적으로 "바이에른 공국에 위대한 문명을 위한 [기반]을 다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9] 이는 억압받는 민중에게 기독교 신앙이 전파되는 과정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바이에른 지역이 문명화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3. 1. 가톨릭 성화(聖畵)에서의 곰

코르비니아노의 곰은 시민 및 종교적 문장학에서 프라이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이 곰은 교황 베네딕토 16세문장에 나타나는데, 베네딕토 16세는 1977년 3월 뮌헨-프라이징 대교구의 대주교로 임명되었을 때 처음으로 이 상징을 채택했다.[11]
교황 베네딕토 16세
그는 같은 해 6월 추기경으로 승진했을 때 수정된 문장에 곰을 유지했으며, 2005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때 교황 문장에도 이 곰을 사용했다.

베네딕토 16세는 이 곰이 자신을 나타내며 "하나님에 의해 길들여져" 자신의 사역, 즉 주교, 추기경, 그리고 교황으로서의 영적 짐을 짊어지게 한다고 말했다.[12] 문장에 있는 가리비 껍데기는 순례를 전통적으로 나타낸다. 성 아우구스티누스가 삼위일체의 신비를 숙고하다가, 바닷가에서 껍데기를 가지고 놀면서 바닷물을 작은 구멍에 담으려고 하는 아이를 본 전설을 떠올리게 했다. 그때 그는 "이 구멍이 바다의 물을 담을 수 없는 것처럼, 너의 지성도 하나님의 신비를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 왕관을 쓴 무어인은 베네딕토의 독일 고향인 바이에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문장학의 지역적 모티프이다.[12]

4. 회화

프라이징 대성당의 납골벽에는 성 코르비니아노의 생애를 담은 그림이 그려져 있다.












프라이징 대성당의 지하실 패널에도 성 코르비니아노의 생애 장면이 있다.









4. 1. 성화 목록 (8점)

프라이징 대성당의 납골벽과 지하실 패널에는 성 코르비니아노의 생애를 담은 8점의 그림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aint Corbinian http://www.catholic-[...] 2007-01-04
[2] 웹사이트 Helmut Zenz: Heiliger Korbinian im Internet http://www.helmut-ze[...] 2007-01-06
[3] 뉴스 From recluse to missionary http://www.thecompas[...] The Compass 2004-09-03
[4] 간행물 Scriptores rerum Germanicarum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5] 웹사이트 Corbinian of Freising http://www.saintpatr[...] 2012-02-23
[6] 백과사전 Freising http://www.britannic[...] 2007-01-04
[7] 백과사전 Munich-Freising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7-01-04
[8] 백과사전 St. Corbinia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7-01-04
[9] 뉴스 The bear and the scallop-shell - a unique papal coat of arms http://www.cwnews.co[...] Catholic World News 2007-01-05
[10] 웹사이트 The Coat of Arms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2007-01-05
[11] 뉴스 L'Osservatore Romano publishes new Papal coat of arms https://www.catholic[...] Catholic News Agency 2005-04-28
[12] 서적 Milestones: Memoirs 1927-1977 Ignatius Press
[13] 웹사이트 Helmut Zenz: Heiliger Korbinian im Internet http://www.helmut-ze[...] 2007-01-06
[14] 뉴스 From recluse to missionary http://www.thecompas[...] The Compass 2007-01-04
[15] 웹인용 Corbinian of Freising http://www.saintpatr[...] 2012-02-23
[16] 백과사전 Freising http://www.britannic[...] 2007-01-04
[17] 백과사전 Munich-Freising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7-01-04
[18] 백과사전 St. Corbinian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07-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