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딕도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딕도회는 자치 수도원 형태를 이루는 가톨릭 수도회로, 베네딕도 규칙서를 따른다. 19개의 연합회와 자치 수도원 등으로 구성되며, 베네딕도회 총연합을 이룬다. 1893년 베네딕도 연합이 설립되었으며, 로마에 성 안셀모 대학교가 설립되어 수도회원들의 교육과 연구를 지원했다. 각 수도원은 고유한 카리스마를 가지며, 2014년 기준 7236명의 수도자가 소속되어 있다. 베네딕도회는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각 지역에서 역사적 발전을 거쳤다. 베네딕도회의 수도 생활은 안정, 생활 습관의 개선, 순명을 서약하며, 기도와 노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베네딕도회는 교황, 수도원 설립자, 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으며, 대한민국에는 1909년 독일 선교사 파견으로 시작되어 왜관 수도원,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고성 대수도원 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네딕도회 - 클뤼니 개혁
클뤼니 개혁은 10세기 서방 수도원의 쇠퇴를 극복하고 교회 내 부패를 해결하고자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시작된 운동으로, 성 베네딕토 규칙 준수를 통해 교회의 세속화를 막고 교황권 강화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발달에 기여했으나 귀족과의 유착으로 새로운 수도회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 베네딕도회 - 아빠스
아빠스는 기독교 수도원에서 수도사 공동체의 장을 지칭하는 칭호로, 어원은 "아버지"를 뜻하는 아람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주교의 관할 아래 있다가 독립적인 지위를 획득하여 현대에는 수도원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베네딕도회 |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라틴어: Ordo Sancti Benedicti |
약칭 | O.S.B. |
설립일 | 529년 |
설립자 | 베네딕토 |
설립 장소 | 수비아코 수도원 |
종류 | 가톨릭 수도회 |
본부 | 산트 안셀모 알 아벤티노 |
주요 조직 | 베네딕토회 연합 |
모체 | 가톨릭교회 |
웹사이트 | 베네딕토회 공식 웹사이트 |
구성원 | |
인원 (2020년 기준) | 6,802명 (사제 3,419명) |
지도자 직함 | 수도원장 |
현임 지도자 | 예레미아스 슈뢰더 |
특징 | |
모토 | 라틴어: Pax (평화) |
특징 | Ora et labora (기도하고 일하라) |
2. 구조
성 베네딕도회는 통일된 하나의 수도회가 아니며, 각 수도원들이 하나의 수도회를 이루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베네딕도회가 존재한다기보다는 베네딕도 규칙서를 지키는 수도원들이 존재한다는 표현이 더 맞다고 볼 수 있다. 베네딕도회 총연합(Confederatio Benedictinala)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는 예수회나 프란체스코회 등과 같이 막강한 권위와 권한을 지닌 중앙집권적인 기구가 아니다. 베네딕도회 소속 수도원들은 서로 종속 관계에 있지 않고 인사나 경제 문제에 있어서 외부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고 독자적인 운영을 하는 자치 수도원(monasteriumla)들이다.
베네딕도회는 자치 수도원들의 연합 형태인 19개의 연합회(Congregatiola)와 어떤 연합회에도 속하지 않은 자치 수도원과 예속 수도원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합회들과 수도원들은 하나의 베네딕도회 총연합(Confoederatio Congregationum Monasticarum Ordinis Sancti Benedictila)을 이루고 있다. 성 베네딕도회 총연합을 대표하는 수석 아빠스(Abbas primasla)가 있고 또 각 연합회마다 그 연합회를 대표하는 연합회 총재(Abbot President영어) 혹은 총아빠스(Archiabbasla)가 있다. 그리고 각 자치 수도원을 대표하는 아빠스와 원장들이 있다.
베네딕도회 총연합 안에는 전 세계 수도회원들의 양성과 학문 연구를 위해 1888년에 설립된 로마의 성 안셀모 대학교가 있다. 오딜리아 연합회(Congregatio Ottiliensis Ordinis Sancti Benedictila)와 같이 보통 성 베네딕도회 다음에 연합회의 이름을 표시함으로써 전 세계에 산재해 있는 베네딕도회를 구별하고 있다.
베네딕도회는 중앙직권적인 구조가 아니라 19개의 연합회들이 모여 베네딕도회 총연합을 이룬다. 총연합의 중심 수도원은 로마의 아벤띠노 언덕 위에 위치한 성 안셀모 수도원이며, 이곳에 전세계 베네딕도회를 대표하는 수석 아빠스가 상주하고 있다. 수석 아빠스의 임기는 8년이며, 그후 4년 임기로 재선될 수 있다. 매 4년마다 전세계에 흩어진 아빠스들의 총회가 이곳에서 열린다.
베네딕도회 총연합은 아래와 같이 19개의 연합회들로 구성되어 있다(2014년 기준). 베네딕도회 총연합에는 340개 아빠스좌 수도원 및 원장좌 자치 수도원이 있으며, 7236명(성직자 3777명)의 수도자가 소속되어 있다.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속한 직속 수도원은 11개가 있으며, 171명의 수도자(성직자 94명)가 있다. 시토회 수도원들과 엄률 시토회(트라피스트) 수도원들은 성 베네딕도의 수도규칙을 기반으로 하지만, 베네딕도회 총연합에 속해 있지 않고, 각각 고유한 연합회를 구성하고 있다.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약 529년에 수비아코에 수도원을 세웠고, 이후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세웠다. 베네딕토 성규는 각 공동체의 자율성을 전제로 하지만, 몬테카시노 수도원이 롬바르드족에 의해 약탈당한 후 수도사들이 로마로 피신하면서 베네딕토 수도회 제도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5]
3. 역사적 발전
베네딕토 규칙은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해 호의적으로 언급되었고, 남부 갈리아의 일부 수도원에서 다른 규칙들과 함께 사용되었다.[6] 6세기 다네 수도원에서는 여러 교부들의 규칙을 따랐으며, 베네딕토 규칙이 전해졌을 때도 같은 자유가 허용되었다. 갈리아와 스위스에서는 콜룸바누스 등이 도입한 엄격한 아일랜드 또는 켈트 규칙을 보완하다가 결국 완전히 대체했다.[5]
9세기까지 베네딕토회는 서유럽 전역의 수도 생활의 표준이 되었고(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제외),[5] 아니아네의 베네딕토의 노력으로 카롤링거 제국의 수도원들의 선택 규칙이 되었다.[7] 9세기부터 12세기까지 수도원 서기실이 번성했으며, 필사술에 능숙한 수도사들은 성경 필사를 주요 활동으로 삼았다.[8]
중세에는 귀족들이 수도원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클뤼니 수도원은 910년 아키텐 공작 빌헬름 1세에 의해 설립되어 베네딕토 성규를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7] 980년 로물알도는 카말돌리회를 설립했고,[9] 1098년 시토회가 베네딕토회에서 갈라져 나왔다.[10]
12세기 말부터 탁발 수도회인 프란체스코회와 도미니코회의 부상으로 베네딕토회의 지배력이 쇠퇴하기 시작했다.[7]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은 특정 장소에 대한 충성을 서약하는 반면, 탁발 수도사들은 도시화되는 환경에 더 잘 대응할 수 있었다. 추천 수도원장 임명 관행으로 인한 수도원 자산 착복 문제도 발생했다.[11]
529년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는 몬테 카시노에 수도원을 창건하고,[55] "순종", "가난", "정결"을 수도 규칙으로 삼았다.[56] 베네딕도회 수도사들은 검은 수도복을 입어 "검은 수도사"라고도 불렸다. 베네딕투스의 수도 규칙은 12세기까지 서방 교회 유일의 수도회 규칙이었으며, 프란치스코회와 도미니코회 등 많은 수도회 회헌과 회칙의 모델이 되었다.[57] 베네딕도회는 "가난", "순종", "정결", "정주"를 서약하고 수도원에서 노동과 기도의 공동 생활을 하는 관상 수도회의 기준이 되었다.[58]
베네딕도회는 이탈리아 반도, 영국, 독일, 덴마크, 스칸디나비아 반도, 아이슬란드, 스위스, 스페인 등지로 전파되었고, 중세 유럽에서 전도, 신학, 역사 기록, 자연 연구, 예술, 건축, 토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7]
910년 클뤼니회가 베네딕토회에서 갈라져 나와 클뤼니 개혁 운동을 일으켰다.[57] 12세기 중반 이후 세속화로 쇠퇴하기도 했지만, 1400년경부터 다시 개혁 운동이 일어났다. 클뤼니회 외에도 카말돌리회, 시토회, 트라피스트회 등 많은 수도회가 파생되었지만, 베네딕도회 자체는 계속 존속하고 있다.[57]
종교 개혁 시대에 큰 타격을 입고 여러 수도원이 해산되었으나, 19세기 초부터 점차 부흥하여 근대에 들어 학문 연구, 전례 운동 등을 통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57][59]
3. 1. 오스트리아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검은 숲에 있는 생 블라지우스 수도원은 10세기 후반에 설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070년에서 1073년 사이에 생 블라지우스 수도원과 이탈리아의 클뤼니 수도회 프루투아리아 수도원 사이에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생 블라지우스 수도원이 프루투아리아 개혁을 따르게 된 계기가 되었다.[12] 아그네스 황후는 프루투아리아 수도원의 후원자였으며, 1065년에 그곳에 은퇴했다가 로마로 거처를 옮겼다. 황후는 클뤼니에서 실천되던 프루투아리아 수도원의 베네딕도회 규칙을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생 블라지우스 수도원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생 블라지우스 수도원에 의해 개혁되었거나, 그곳의 수도원으로 설립된 다른 수도원으로는 무리 수도원(1082), 옥센하우젠 수도원(1093), 괴트바이크 수도원(1094), 슈타인암라인 수도원(1123년 이전), 프륀 수도원(1132)이 있다. 또한 알피어스바흐 수도원(1099), 에텐하임뮌스터(1124), 줄츠부르크 수도원(1125년경), 바이테나우(현재 슈타이넨의 일부, 1100년경), 뷔어겔 수도원(1130년 이전), 지첸키르히(1130년경) 수도원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3. 2. 프랑스
플뢰리 수도원(Fleury Abbey)은 루아레주(Loiret) 생베누아쉬르루아르(Saint-Benoît-sur-Loire)에 약 640년에 설립되었다.[13] 서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베네딕도 수도원 중 하나로, 성 베네딕투스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많은 베네딕도 수도원과 마찬가지로 루아르 강(Loire)변에 위치해 있다.[14] 아네 수도원(Ainey Abbey)은 9세기에 리옹(Lyon) 반도에 설립되었다. 12세기 현재 위치에 로마네스크 양식 수도원이 있었고, 이후 재건축되었다.
17세기에는 여러 여성 베네딕도회 수도원이 설립되었는데, 일부는 빈곤층 여성들이 착취당하는 삶에서 벗어나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고, 다른 일부는 성체(Blessed Sacrament)의 끊임없는 숭배(Perpetual Adoration)를 위한 것이었다. 카트린 드 바르(Catherine de Bar)(1614–1698)가 설립한 수도원이 그 예이다.[15] 1688년 메크틸드 드 바르 수녀는 폴란드 왕비 마리 카지미에라 루이즈 드 라 그랑주 다르키앵(Marie Casimire Louise de La Grange d'Arquien)이 바르샤바(Warsaw)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16]
수도원들은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중에 사라진 가톨릭 교회의 기관들 중 하나였다. 수도원과 수녀원은 19세기 부르봉 왕정 복고 시대에 다시 설립될 수 있었다. 그 후 같은 세기, 프랑스 제3공화국(Third French Republic) 하에서 종교 교육을 금지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당시 목적은 세속 학교를 허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1880년과 1882년에 베네딕도회 수도사 교사들은 사실상 추방되었고, 이는 1901년까지 완료되지 않았다.[17][18][19][20]
1898년 마리-아델 가르니에(Marie-Adèle Garnier)는 수도명 마리 드 생피에르(Mother Marie de Saint-Pierre)로서 파리(Paris) 몽마르트(Montmartre)(순교자의 언덕)에 베네딕도회 수녀원을 설립했다.[21] 그러나 1901년에 통과된 발덱 루소의 ''결사법(Law of Associations)''은 프랑스를 떠나야만 했던 종교 단체에 심각한 제한을 두었다. 가르니에와 그녀의 공동체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English Reformation) 중에 105명의 가톨릭 순교자—성 올리버 플런켓과 성 에드먼드 캠피온 포함—가 처형당했던 타이번 나무 근처 런던(London)으로 이주했다. 마블 아치(Marble Arch)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타이번 수녀원(Tyburn Convent)은 현재 이 회중의 모수녀원이다.[22]
3. 3. 영국
윌프리드(Wilfrid), 베네딕트 비스콥(Benedict Biscop), 던스탄(Dunstan)의 영향으로 베네딕트 규칙이 빠르게 퍼져나갔고, 북쪽에서는 이오나(Iona) 출신 켈트 선교사들이 세운 대부분의 수도원에서 채택되었다.[5] 영국의 많은 주교좌는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세우고 다스렸으며, 옛 대성당 9곳 이상이 검은 수도복을 입은 수도사들에 의해 운영되었다.[5] 수도원들은 병원과 약자와 노숙자들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 수도사들은 병자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식물과 광물의 약효를 연구했다.[26]
잉글랜드 종교개혁(English Reformation) 기간 동안, 모든 수도원이 해체되었고, 그 토지는 왕실에 몰수되어 수도 생활을 계속하고자 했던 사람들은 유럽 대륙으로 망명해야 했다. 19세기에 이 공동체의 영국 회원들이 영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세인트 밀드레드 수도원(Isle of Thanet, Kent)은 670년 최초의 기독교 켄트 왕(King of Kent)의 딸에 의해 세워진 수도원 자리에 1027년에 건립되었다. 현재 이 수도원은 베네딕도회 수녀 공동체의 보금자리이다. 가장 주목할 만한 영국 수도원 다섯 곳은 다운사이드에 있는 성 그레고리오 대성당(다운사이드 수도원(Downside Abbey)), 성 에드먼드 왕과 순교자 수도원(두아이 수도원(Douai Abbey)), 이얼링 수도원(Ealing Abbey), 워스 수도원(Worth Abbey)이다.[27][28] 헨리 8세가 사냥터로 사용했던 프링크내시 수도원(Prinknash Abbey)은 400년 후인 1928년에 공식적으로 베네딕토회에 반환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소위 프링크내시 공원(Prinknash Park)은 수도회에 반환될 때까지 거주지로 사용되었다.[29]
요크셔주 앰플포스(Ampleforth)에 있는 세인트 로렌스 수도원은 1802년에 설립되었다. 1955년 앰플포스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자매 수도원인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 수도원은 1973년 독립하여 1989년에 세인트루이스 수도원(Saint Louis Abbey)이 되었다.[30]
2015년 기준으로 영국 베네딕도회는 수녀 수도원 3곳과 수사 수도원 10곳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파의 회원들은 영국, 웨일스, 미국, 페루, 짐바브웨에서 활동하고 있다.[31]
영국에는 수비아코 카시네스 회파의 수도원들도 있는데, 팜버러(Farnborough), 프링크내시(Prinknash), 칠워스(Chilworth)가 있으며, 솔레므 회파(Solesmes Congregation)의 쿼어(Quarr)와 와이트섬(Isle of Wight)의 세인트 세실리아(St Cecilia's) 수도원, 그리고 성 베네딕토 규칙을 따르는 교구 수도원인 구슬라스톤 성모 공동체(The Community of Our Lady of Glastonbury)가 있다.[32]
옥스포드 운동(Oxford Movement) 이후로 앵글리컨 교회와 개신교 교회에서 베네딕도회 수도원 생활이 조촐하게나마 번성했다. 앵글리컨 베네딕토회 수도원장들은 산탄젤모(Sant'Anselmo)에서 열리는 수도원장 회의에 로마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도원장 총대주교의 초청 손님으로 참석한다.[33]
1168년 현지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이 아동 사망을 설명하기 위한 방편으로 반유대주의적 피의 죄설(blood libel)을 글로스터의 해럴드(Harold of Gloucester)를 예로 들어 선동했다. 역사학자 조 힐러비(Joe Hillaby)에 따르면, 해럴드에 대한 피의 죄설은 부활절 축제 근처에서 발생한 설명할 수 없는 아동 사망이 현지 기독교 성직자들에 의해 근처 유대인들과 임의적으로 연결된 최초의 사례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들은 다른 곳에서 곧바로 채택된 패턴을 확립했습니다. 3년 이내에 프랑스에서 최초의 의식적 살인 혐의가 제기되었습니다."[34]
3. 4.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은 11세기에 폴란드 왕국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초기의 수도원 중 하나는 비스와 강 언덕에 있는 티니에츠 수도원이다. 티니에츠 수도사들은 성경을 폴란드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주도했다. 다른 현존하는 베네딕토회 수도원들은 스타리 크라쿠프 마을, 비스쿠푸프, 루비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 오래된 수도원들은 모길노, 트셰메슈노, 우엥치차, 우사 구라, 오파크트보 등에 있다. 중세에는 비스와 강변 도시 프워츠크에도 번영하는 수도원이 있었는데, 지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세기에는 특히 바르샤바 신시가지에 여성들을 위한 베네딕토회 수녀원이 설립되었다.
15세기 베네딕토회 수도원은 동부 리투아니아의 마을 세니에이지 트라카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3. 5. 미국
미국에 처음으로 거주한 베네딕토 수도사는 피에르-조제프 디디에였다. 그는 1790년 파리에서 미국으로 건너와 사망할 때까지 오하이오와 세인트루이스 지역에서 활동했다. 미국에서 설립된 최초의 베네딕토 수도원은 펜실베이니아주 라트로브에 위치한 세인트빈센트 대수도원(Saint Vincent Archabbey)이다. 독일 수도사인 보니파치우스 빔머가 1832년 미국 내 독일 이민자들을 위해 설립했다. 1856년 빔머는 미네소타에 세인트존스 수도원(St. John's Abbey)의 기초를 마련했다. 1876년 세인트빈센트 대수도원의 허먼 울프는 노스캐롤라이나에 노스캐롤라이나주 벨몬트 수도원(Belmont Abbey)을 설립했다.[38] 1887년 사망할 때까지 빔머는 캔자스, 뉴저지,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플로리다, 알라바마, 일리노이, 콜로라도에 베네딕토 수도승들을 파견했다.[39]
빔머는 또한 바이에른 아이히슈테트의 성 발부르가 수녀원에 미국으로 베네딕토 수녀들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1852년 베네딕타 리프 수녀(Sister Benedicta Riepp)와 다른 두 명의 수녀가 펜실베이니아주 세인트메리스(St. Marys)를 설립했다. 이후 그들은 미시간, 뉴저지, 미네소타로 수녀들을 파견했다.[39]
1854년까지 스위스 수도승들이 도착하여 인디애나에 세인트메인라드 대수도원(St. Meinrad Archabbey)을 설립했고, 곧 아칸소와 루이지애나로 확장되었다. 이후 스위스 수녀들이 뒤따랐다.[39]
현재 미국 전역에는 100개가 넘는 베네딕토 수도원이 있다. 대부분의 베네딕토 수도원은 미국-카시노회, 스위스-미국회, 성 슈콜라스티카회, 성 베네딕투스회 등 네 개의 큰 회중 중 하나에 속한다. 회중은 대부분 같은 혈통을 공유하는 수도원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미국-카시노회는 보니파치우스 빔머로부터 파생된 22개의 수도원을 포함한다.[40]
4. 베네딕도회의 서원과 생활
베네딕토 수도규칙 제58장 17절은 베네딕토회에 입회하는 지원자들이 해야 하는 엄숙한 서원을 명시하고 있다. 즉, 안정의 서원(같은 공동체에 남아 있기 위한 서원), 라틴어로 ''conversatio morum''으로 표현되는 "생활 습관의 개선", 공동체 상급자에 대한 순명의 서원이다.[42] "베네딕토 서원"은 수도회에 입회하는 모든 지원자가 받아들이는 복음적 삼규율과 동일하다. ''conversatio morum''은 수도 생활 방식의 채택과 같은 개념으로 대체되었으며, 불가타역에서 ''conversatio''를 "시민권" 또는 "지역 관습"으로 사용한 것을 참조한다(필립보서 3:20 참조). 수도규칙은 수사들에게 "이곳에서 수도자로서, 수도규칙과 아빠스 또는 아빠사의 명령에 따라 생활하라"고 명령한다.
베네딕토 수도원의 아빠스와 아빠사는 그들의 수도원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며, 거주하는 수사나 수녀들에 대한 교회법적 권위를 갖는다. 이 권위에는 직무 배정, 읽을 수 있는 책과 읽을 수 없는 책 결정, 출입 규제, 처벌 및 파문(수도 공동체로부터의 강제적인 격리) 권한이 포함된다.
엄격한 공동체 시간표는 하느님이 주신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기도, 일, 식사, 영적 독서 또는 수면 등 하느님을 섬기는 데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도회의 모토는 ''기도와 노동''(Ora et Labora)이다.
베네딕토 수도회는 침묵 서원을 하지 않지만, 엄격한 침묵 시간이 정해져 있으며, 다른 시간에도 실질적으로 가능한 한 침묵을 유지한다. 사회적 대화는 공동체 휴식 시간으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베네딕토 수도원의 일상 생활의 다른 측면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세부 사항은 상급자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며, 특정 베네딕토 수도원이 수도규칙을 지역 여건에 맞게 적용하여 채택한 규정인 ''관습규칙''에 명시되어 있다.[43]
1983년 교회법에 따르면, 베네딕토 수도원은 "수도회"이며, 그 구성원들은 본질적으로 "사제도 평신도도 아닌" 봉헌 생활에 참여한다. 그러나 봉헌 생활을 하는 남성들은 사제 서품을 받을 수 있다.
베네딕토 수도회 규칙에는 베네딕토의 목욕 장려에서 영감을 받은 의식적 정화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44]
5. 베네딕도회 출신 인물
베네딕도회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교황
- 수도원 설립자 및 개혁가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529년경 수비아코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는 그가 세운 12개의 수도원 중 첫 번째였다. 그는 나중에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세웠다. 베네딕토 성규는 각 공동체의 자율성을 전제로 한다.[5]
아니아네의 베네딕토의 노력으로 베네딕토회는 카롤링거 제국의 수도원들의 주요 규칙이 되었다.[7]
클뤼니 수도원은 910년 아키텐 공작 빌헬름 1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베네딕토 성규를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7]
980년 로물알도는 카말돌리회 공동체를 설립하여 베네딕도회 관행의 초기 개혁을 시작했다.[9] 시토회는 1098년 베네딕토회에서 분리되었다.[10]
'''주요 수도원 설립자 및 개혁가'''
- 학자, 역사가, 영성 작가
이름 | 생몰년 |
---|---|
보비오의 요나스 | 600–659 |
베다 | 673–735 |
알드헬름 | 약 639년 – 709년 |
알쿠인 | 804년 사망 |
라바누스 마우루스 | 약 780년 – 856년 |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 785–865 |
라트라므누스 | 866년 사망 |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 약 808년 – 849년 |
노트케르 라베오 | 약 950년 – 1022년 |
아레초의 기도 | 991–1050 |
라이헨나우의 헤르만 | 1013–1054 |
폴 디아콘 | 약 720년 – 799년 |
힌크마르 | 806–882 |
페치의 마우루스 | 약 1000년 – 1075년 |
성 베드로 다미아노 | 약 1007년 – 1072년 |
랑프랑 | 약 1005년 – 1089년 |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약 1033년 – 1109년 |
에드머 | 약 1060년 – 1126년 |
워스터의 플로렌스 | 1118년 사망 |
더럼의 시메온 | 1130년 사망 |
조슬린 드 브라켈롱 | 1211년 사망 |
매슈 패리스 | 약 1200년 – 1259년 |
말즈베리의 윌리엄 | 약 1095년 – 1143년 |
캔터베리의 거베이스 | 약 1141년 – 1210년 |
웬도버의 로저 | 1236년 사망 |
피터 디아콘 | 1140년 사망 |
아담 이스턴 | 1397년 사망 |
오노레 보네 | 약 1340년 – 1410년 |
존 리드게이트 | 약 1370년 – 1451년 |
존 웨섬스테드 | 1465년 사망 |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 1462–1516 |
블루아의 루이 | 1506–1566 |
베네딕트 판 하프텐 | 1588–1648 |
어거스틴 베이커 | 1575–1641 |
앤서니 배트 | 1651년 사망 |
장 마빌롱 | 1632–1707 |
마리아노 아르멜리노 | 1657–1737 |
앙투안 오귀스탱 칼메 | 1672–1757 |
마그놀드 지겔바우어 | 1689–1750 |
마르쿠아르트 헤르고트 | 1694–1762 |
피에트로 루이지 갈레티 | 1724–1790 |
루이지 토스티 | 1811–1897 |
장 바티스트 프랑수아 피트라 | 1812–1889 |
오스왈드 윌리엄 무스뮬러 | 1842–1901 |
수이트베르트 바우머 | 1845–1894 |
프랜시스 에이던 가스켓 | 1846–1929 |
페르낭드 카브롤 | 1855–1937 |
제르맹 모랭 | 1861–1946 |
앙리 캉탱 | 1872–1935 |
존 채프먼 | 1865–1933 |
에드워드 커스버트 버틀러 | 1858–1934[5] |
- 주교, 순교자
주교 | 순교자 |
---|---|
- 20세기 주요 인물

- 람베르 보뒤앵 (1873–1960)
- 알프레도 슈스터 (1880–1954)
- 베드 그리피스 (1906–1993)
- 크누트 안스가르 넬슨 (1906–1990)
-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 (1911–2010)
- 한스 헤르만 그뢰어 (1919–2003)
- 베이질 휴머 (1923–1999)
- 빌리기스 예거 (1925–2020)
- 렘베르트 위클랜드 (1927–2022)
- 다니엘 M. 부흘라인 (1938–2018)
- 제롬 하누스 (1940-)
- 안셀름 그륀 (1945–)
- 베네딕도회 여성 성인, 복자


- 슈콜라스티카 (480년경 – 547년)
- 에텔드리다 (636년경 – 679년)
- 휘트비의 힐다 (614년경 – 680년)
- 웨어버흐 (? – 699년)
- 밀드리스 (? – 7세기 초)
- 발푸르가 (710년경 – 779년)
- 윌턴의 울프스리드 (937년경 – 1000년)
- 윌턴의 에디스 (961년경 – 984년)
- 룩셈부르크의 쿠니군데 (975년경 – 1040년)
- 빙엔의 힐데가르트 (1098년 – 1179년)
- 거트루드 대수녀 (1256년 – 1302년경)[5]
- 마달레나 모르텐스카 (1554년 – 1631년)
- 캐서린 가스코인 (1601년 – 1676년)
- 거트루드 모어 (1606년 – 1633년)
- 바바라 콘스테이블 (1617년 – 1674년)
- Adèle Garnier|아델 가르니에프랑스어 (1838년 – 1924년)
- 로렌티아 맥래클란 (1866년 – 1953년)
- 마르깃 슬라흐타 (1884년 – 1974년)
- 웨어버그 웰치 (1898년 – 1990년)
- 펠리시타스 코리건 (1908년 – 2003년)
- 힐딜리스 커밍 (1909년 – 1990년)
- 메리 볼딩 (1929년 – 2009년)
- 조안 키티스터 (1936년 – )
- 토마스 웰더 (1940년 – 2020년)
- 노엘라 마르첼리노 (1951년 – )
- 테레사 포르카데스 (1966년 – )
- 회원(Oblates)
베네딕토회 회원들은 세상에서 베네딕토회의 서원 정신을 자신의 삶 속에서 받아들이도록 노력한다.[54]
이름 | 생몰년도 | 비고 |
---|---|---|
하인리히 2세 | 972–1024 | 황제 |
프란체스카 | 1384–1440 | |
올리버 플런켓 | 1625–1681 | |
조리스-카를 위스망스 | 1848–1907 | [5] |
자크 마리탱 | 1882–1973 | |
로마노 과르디니 | 1885–1968 | |
도로시 데이 | 1897–1980 | |
워커 퍼시 | 1916–1990 | |
캐슬린 노리스 | 1947– |
5. 1. 교황
이름 | 재위 기간 | 사망 |
---|---|---|
실베스테르 2세 | 999년–1003년 | 1003년 |
파스칼 2세 | 1099년–1118년 | 1118년 |
겔라시우스 2세 | 1118년–1119년 | 1119년 |
클레멘스 6세 | 1342년–1352년 | 1352년 |
그레고리오 16세 | 1831년–1846년 | 1846년[5] |
피우스 7세 |
5. 2. 수도원 설립자, 개혁가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529년경 수비아코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는 그가 세운 12개의 수도원 중 첫 번째였다. 그는 나중에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세웠다. 그러나 그가 수도회를 설립하려 했다는 증거는 없으며, 베네딕토 성규는 각 공동체의 자율성을 전제로 한다.[5] 몬테카시노 수도원이 롬바르드족에 의해 약탈당한 후 수도사들은 로마로 도망쳤고, 이것이 베네딕토 수도승 제도의 지식 확산에 중요한 요소가 된 것으로 보인다.[5]베네딕토의 규칙 사본들이 남아 있었고, 약 594년 그레고리오 1세가 이를 호의적으로 언급했다. 이 규칙은 이후 남부 갈리아의 일부 수도원에서 수도원장들이 사용하는 다른 규칙들과 함께 발견된다.[6]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는 6세기 다네 수도원에서 수도사들이 "바실, 카시아누스, 카이사리우스와 다른 교부들의 규칙을 따르며, 시대와 장소의 상황에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취하고 사용했다"고 말했으며, 베네딕토 규칙이 그들에게 전해졌을 때도 틀림없이 같은 자유가 허용되었다. 갈리아와 스위스에서는 콜룸바누스 등이 도입한 훨씬 더 엄격한 아일랜드 또는 켈트 규칙을 점차 보완했으며, 많은 수도원에서 결국 이전의 규칙들을 완전히 대체했다.[5]
9세기까지 베네딕토회는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를 제외한 서유럽 전역의 수도 생활의 표준 형태가 되었는데, 이 지역에서는 켈트식 수도 생활이 1세기 또는 2세기 더 지속되었다.[5] 주로 아니아네의 베네딕토의 노력을 통해 카롤링거 제국의 수도원들의 선택 규칙이 되었다.[7]
중세에는 귀족들이 수도원을 설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클뤼니 수도원은 910년 아키텐 공작 빌헬름 1세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수도원은 베네딕토 성규를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클뤼니 수도원장은 임명된 수도원장을 통해 모든 자회 수도원의 우두머리였다.[7]
베네딕토회 관행의 가장 초기 개혁 중 하나는 980년 로물알도가 시작한 것으로, 그는 카말돌리회 공동체를 설립했다.[9] 시토회는 1098년 베네딕토회에서 갈라져 나왔는데, 종종 "흰 수도사"라고 불린다.[10]
베네딕토회 수도 생활의 지배력은 12세기 말경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탁발 수도회인 프란체스코회와 유목 생활을 하는 도미니코회의 부상을 보았다.[7]
'''주요 수도원 설립자 및 개혁가'''
- 베네딕트 비스콥 (628년경 – 690년)
- 에르켄왈드 (630년경 – 693년)
- 르드비누스 (665년경 – 713년)
- 아니아네의 베네딕트 (747년 – 821년)
- 클뤼니의 베르노 (850년경 – 927년)
- 클뤼니의 오도 (878년경 – 942년)
- 클뤼니의 마욜루스 (906년경 – 994년)
- 클뤼니의 오딜로 (962년경 – 1048년)
- 퐁투아즈의 월터 (1030년경 – 1099년)
- 클뤼니의 베르나르 (1109년 사망)
- 존경받는 베드로 (1092년경 – 1156년)
- 로물알두스 (956년경 – 1026년경)
- 몰름의 로베르 (1028년경 – 1111년)
- 시토의 알베리크 (1109년 사망)
- 스테판 하딩 (1134년 사망)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 (1090년 – 1153년)
- 히르자우의 윌리엄 (1030년경 – 1091년)
- 존 굴베르트 (995년 – 1073년)
- 오바진의 스테판 (1084년 – 1154년)
- 아르브리셀의 로베르 (1045년경 – 1116년)
- 몬테베르지네의 윌리엄 (1085년 – 1142년)
- 니콜라스 유스티니아니 (1153년 – 1179년 활동)
- 실베스터 고졸리니 (1177년 – 1267년)
- 베르나르도 톨로메이 (1272년 – 1348년)
- 로랑 베나르 (1573년 – 1620년)
- 프로스페르 게랑제 (1805년 – 1875년)
- 장-바티스트 뮤아르 (1809년 – 1854년)
- 보니페이스 윔머 (1809년 – 1887년)
- 마우루스 볼터 (1825년 – 1890년)
- 마틴 마티 (1834년 – 1896년)[5]
- 안드레아스 암라인 (1844년 – 1927년)
- 람베르트 보두앵 (1873년 – 1960년)
- 안스카르 포니어 (1875년 – 1938년) 벅패스트 수도원 재건 감독
5. 3. 학자, 역사가, 영성 작가
이름 | 생몰년 |
---|---|
보비오의 요나스 | 600–659 |
베다 | 673–735 |
알드헬름 | 약 639년 – 709년 |
알쿠인 | 804년 사망 |
라바누스 마우루스 | 약 780년 – 856년 |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 785–865 |
라트라므누스 | 866년 사망 |
발라프리드 스트라보 | 약 808년 – 849년 |
노트케르 라베오 | 약 950년 – 1022년 |
아레초의 기도 | 991–1050 |
라이헨나우의 헤르만 | 1013–1054 |
폴 디아콘 | 약 720년 – 799년 |
힌크마르 | 806–882 |
페치의 마우루스 | 약 1000년 – 1075년 |
성 베드로 다미아노 | 약 1007년 – 1072년 |
랑프랑 | 약 1005년 – 1089년 |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약 1033년 – 1109년 |
에드머 | 약 1060년 – 1126년 |
워스터의 플로렌스 | 1118년 사망 |
더럼의 시메온 | 1130년 사망 |
조슬린 드 브라켈롱 | 1211년 사망 |
매슈 패리스 | 약 1200년 – 1259년 |
말즈베리의 윌리엄 | 약 1095년 – 1143년 |
캔터베리의 거베이스 | 약 1141년 – 1210년 |
웬도버의 로저 | 1236년 사망 |
피터 디아콘 | 1140년 사망 |
아담 이스턴 | 1397년 사망 |
오노레 보네 | 약 1340년 – 1410년 |
존 리드게이트 | 약 1370년 – 1451년 |
존 웨섬스테드 | 1465년 사망 |
요하네스 트리테미우스 | 1462–1516 |
블루아의 루이 | 1506–1566 |
베네딕트 판 하프텐 | 1588–1648 |
어거스틴 베이커 | 1575–1641 |
앤서니 배트 | 1651년 사망 |
장 마빌롱 | 1632–1707 |
마리아노 아르멜리노 | 1657–1737 |
앙투안 오귀스탱 칼메 | 1672–1757 |
마그놀드 지겔바우어 | 1689–1750 |
마르쿠아르트 헤르고트 | 1694–1762 |
피에트로 루이지 갈레티 | 1724–1790 |
루이지 토스티 | 1811–1897 |
장 바티스트 프랑수아 피트라 | 1812–1889 |
오스왈드 윌리엄 무스뮬러 | 1842–1901 |
수이트베르트 바우머 | 1845–1894 |
프랜시스 에이던 가스켓 | 1846–1929 |
페르낭드 카브롤 | 1855–1937 |
제르맹 모랭 | 1861–1946 |
앙리 캉탱 | 1872–1935 |
존 채프먼 | 1865–1933 |
에드워드 커스버트 버틀러 | 1858–1934[5] |
5. 4. 주교, 순교자
주교 | 순교자 |
---|---|
5. 5. 20세기 주요 인물
- 람베르 보뒤앵 (1873–1960)
- 알프레도 슈스터 (1880–1954)
- 베드 그리피스 (1906–1993)
- 크누트 안스가르 넬슨 (1906–1990)
- 파울 아우구스틴 마이어 (1911–2010)
- 한스 헤르만 그뢰어 (1919–2003)
- 베이질 휴머 (1923–1999)
- 빌리기스 예거 (1925–2020)
- 렘베르트 위클랜드 (1927–2022)
- 다니엘 M. 부흘라인 (1938–2018)
- 제롬 하누스 (1940-)
- 안셀름 그륀 (1945–)
5. 6. 베네딕도회 여성 성인, 복자
- 슈콜라스티카 (480년경 – 547년)
- 에텔드리다 (636년경 – 679년)
- 휘트비의 힐다 (614년경 – 680년)
- 웨어버흐 (? – 699년)
- 밀드리스 (? – 7세기 초)
- 발푸르가 (710년경 – 779년)
- 윌턴의 울프스리드 (937년경 – 1000년)
- 윌턴의 에디스 (961년경 – 984년)
- 룩셈부르크의 쿠니군데 (975년경 – 1040년)
- 빙엔의 힐데가르트 (1098년 – 1179년)
- 거트루드 대수녀 (1256년 – 1302년경)[5]
- 마달레나 모르텐스카 (1554년 – 1631년)
- 캐서린 가스코인 (1601년 – 1676년)
- 거트루드 모어 (1606년 – 1633년)
- 바바라 콘스테이블 (1617년 – 1674년)
- Adèle Garnier|아델 가르니에프랑스어 (1838년 – 1924년)
- 로렌티아 맥래클란 (1866년 – 1953년)
- 마르깃 슬라흐타 (1884년 – 1974년)
- 웨어버그 웰치 (1898년 – 1990년)
- 펠리시타스 코리건 (1908년 – 2003년)
- 힐딜리스 커밍 (1909년 – 1990년)
- 메리 볼딩 (1929년 – 2009년)
- 조안 키티스터 (1936년 – )
- 토마스 웰더 (1940년 – 2020년)
- 노엘라 마르첼리노 (1951년 – )
- 테레사 포르카데스 (1966년 – )
5. 7. 회원(Oblates)
베네딕토회 회원들은 세상에서 베네딕토회의 서원 정신을 자신의 삶 속에서 받아들이도록 노력한다.[54] 회원들은 특정 수도원과 제휴되어 있다.다음은 베네딕토회 회원의 목록이다.
이름 | 생몰년도 | 비고 |
---|---|---|
하인리히 2세 | 972–1024 | 황제 |
프란체스카 | 1384–1440 | |
올리버 플런켓 | 1625–1681 | |
조리스-카를 위스망스 | 1848–1907 | [5] |
자크 마리탱 | 1882–1973 | |
로마노 과르디니 | 1885–1968 | |
도로시 데이 | 1897–1980 | |
워커 퍼시 | 1916–1990 | |
캐슬린 노리스 | 1947– |
6. 대한민국 베네딕도회
- http://www.osb.or.kr/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성 오딜리아 연합회)
- http://benedict.kr 성 베네딕도회 (성 오딜리아 연합회) 성 요셉수도원
- http://www.osboliv.or.kr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녀회 (부산광역시)
- http://www.olivetano.com/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고성 대수도원 (성 베르나르도 똘로메이 대수도원) (고성군)
- [https://cafe.naver.com/monteoliveto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수도원] (한국 몬떼 올리베또 수도원)
- http://www.benedictine.or.kr/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대구 수녀원 (대구광역시 북구)
- http://www.benedict.or.kr/ 툿찡 포교 베네딕도 수녀회 서울 수녀원 (서울특별시)
참조
[1]
서적
Order of St Benedict
https://www.newadven[...]
Robert Appleton Company
2024-07-16
[2]
서적
Olivetan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04-10
[3]
서적
Emerging from the Shadows: St. Scholastica
https://books.google[...]
The Liturgical Press
[4]
뉴스
Dame Felicitas Corrigan
https://www.theguard[...]
UK Guardian
2003-10-05
[5]
백과사전
Benedictine Order
[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Benedictine Order
https://www.osb.org/[...]
[7]
웹사이트
The Benedictines: An Introduction by Abbot Primate Jerome Theisen OSB. Liturgical Press.
https://www.osb.org/[...]
2021-07-19
[8]
백과사전
Scriptorium
[9]
백과사전
Camaldulians
[10]
백과사전
Cistercians
[11]
백과사전
Commendatory Abbot
[12]
서적
Henry IV of Germany 1056–1106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Volume 3
[14]
웹사이트
Abbaye de Fleury
http://www.abbaye-fl[...]
2010-06-19
[15]
웹사이트
Mother Mectilde De Bar
https://www.cenacleo[...]
[16]
웹사이트
Fundacja w Warszawie
https://www.mechtyld[...]
2020-09-02
[17]
웹사이트
History I
http://www.st-benoit[...]
st-benoit-du-lac.com
[18]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1830–1914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
웹사이트
Wootton and Fishbourne
http://www.ryde.shal[...]
2013-09-07
[20]
웹사이트
RGM 2005 OCSO
http://www.citeaux.n[...]
2013-09-07
[21]
웹사이트
Tyburn Foundress
http://www.tyburncon[...]
2012-02-23
[22]
웹사이트
Tyburn Martyrs
http://www.tyburncon[...]
2012-02-23
[23]
서적
The Abbey of St. Gall as a Centre of Literature & Art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4]
뉴스
Auf den Tag genau vor 900 Jahren wurde das Kloster Engelberg gegründet
https://www.luzerner[...]
2020-04-00
[25]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US
[26]
웹사이트
The Benedictines
http://www.osb.org/g[...]
2015-02-15
[27]
잡지
Spirituality on the beach
2006-12-02
[28]
서적
A Glimpse of Heaven: Catholic Churches in England and Wales
English Heritage
2007
[29]
잡지
Prinknash monks downsize
2005-11-12
[30]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stlouisa[...]
[31]
웹사이트
History – The English Benedictine Congregation
http://www.benedicti[...]
2015-02-11
[32]
웹사이트
HOME | Glastonbury Monastery | Somerset
https://www.glastonb[...]
[33]
서적
Encyclopedia of Monasticism
Fitzroy Dearborn Publisher
[34]
학술지
The ritual-child-murder accusation: its dissemination and Harold of Gloucester
1994–1996
[35]
서적
History of Education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36]
서적
The English Library before 1700
The Athlone Press
1958
[37]
서적
Old English Libraries
https://archive.org/[...]
Methuen & Co. Ltd.
1912
[38]
웹사이트
'History of Belmont Abbey', Belmont Abbey, North Carolina
http://belmontabbey.[...]
2017-11-04
[39]
서적
RB 1980: the rule of St. Benedict in Latin and English with notes
The Liturgical Press
[40]
웹사이트
The Benedictine Congregations and Federations of North America in the Benedictine Confederation.
http://www.osb.org/i[...]
2015-11-24
[41]
웹사이트
The Defining Features of the Benedictine Order
https://www.durhamwo[...]
[42]
웹사이트
Order of Saint Benedict
https://saintjohnsab[...]
[43]
문서
Customary of Mount Michael Abbey
https://mountmichael[...]
[44]
서적
The English Spa, 1560–1815: A Social History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45]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46]
웹사이트
Benedictine Abbeys and Priories in the U.S.
https://www.encyclop[...]
2022-04-25
[47]
웹사이트
Directory of OSB Congregations
https://www.osb.org/[...]
2022-04-25
[48]
웹사이트
The Benedictine Confederation
http://www.osb.org/t[...]
2018-10-24
[49]
웹사이트
St Benedict & The Order
http://www.benedicti[...]
[50]
웹사이트
Directory of Parishes
https://www.rocor-wr[...]
2016
[51]
웹사이트
Holy Monasteries of Our Lady and Saint Laurence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of North America, Western Rite Vicariate
http://www.saintlaur[...]
2018-03-10
[52]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staugustines[...]
2018
[53]
웹사이트
Bishop Gervas Placidus Nkalanga, OSB, of Hanga Abbey Celebrates 50 Years as a Bishop
http://hanganews.blo[...]
2011-06-09
[54]
웹사이트
928: Secular institutes
http://www.scborrome[...]
2019-08-26
[55]
문서
モンテ・カッシーノはローマの南東130キロメートルに立地する標高519メートルの岩山である。
[56]
문서
堀米(1974)pp.226-227
[57]
문서
『キリスト教大事典』(1963)pp.963-964
[58]
문서
ベネディクト会が観想修道会であるのに対し、フランシスコ会・ドミニコ会は托鉢修道会である。
[59]
문서
赤池(2004)
[60]
서적
Ann. Pont. 2014
[61]
서적
Ann. Pont. 2014
[62]
서적
Ann. Pont. 2014
[63]
서적
Ann. Pont. 2014
[64]
서적
Ann. Pont. 2014
[65]
서적
Ann. Pont. 2014
[66]
서적
Ann. Pont. 2014
[67]
서적
Ann. Pont. 2014
[68]
서적
Ann. Pont. 2014
[69]
서적
Ann. Pont. 2014
[70]
서적
Ann. Pont. 2014
[71]
간행물
Ann. Pont. 2014
[72]
간행물
Ann. Pont. 2014
[73]
간행물
Ann. Pont. 2014
[74]
간행물
Ann. Pont. 2014
[75]
간행물
Ann. Pont. 2014
[76]
간행물
Ann. Pont. 2014
[77]
간행물
Ann. Pont. 2014
[78]
간행물
Ann. Pont.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