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라트 2세 (보헤미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라트 2세는 1161년부터 1182년까지 즈노이모 공작, 1182년부터 1189년까지 모라바 변경백을 역임했으며, 1189년 보헤미아 공작이 되었다. 그는 흑사병으로 사망할 때까지 보헤미아 공작으로 재임했다. 콘라트는 즈노이모 공작으로 재위하며 보헤미아와 갈등을 겪었고, 모라바 변경백으로 임명된 후 보헤미아 공작 프리드리히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보헤미아 공작으로 즉위한 후에는 귀족들에게 특권을 양보하고,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나폴리 포위 중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1년 사망 - 교황 클레멘스 3세
교황 클레멘스 3세는 로마 출신으로 1187년부터 1191년까지 교황으로 재임하며 교황청 복귀, 제3차 십자군 원정 촉구, 스코틀랜드 교회 독립, 신성 로마 제국과의 갈등, 추기경단 확대 등의 활동을 펼쳤다. - 1191년 사망 - 조백규
조백규는 남송 효종 시대의 관료로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등을 지냈고, 광종 즉위 후 태사,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었으며 사후 숭왕으로 추봉, 원나라 화가 조맹부의 선조이다. - 1136년 출생 - 리 영종
리 영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6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외척의 섭정과 토 히엔 타인의 보좌를 받았으며, 남송으로부터 안남국왕으로 책봉되었고,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쳤다. - 1136년 출생 - 잉에 1세 (노르웨이)
잉에 1세는 하랄 4세의 아들로 1136년부터 1161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이었으며, 형제들과의 권력 다툼 끝에 오슬로 전투에서 사망했다.
콘라트 2세 (보헤미아)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보헤미아 공작 |
통치 기간 | 1189년 3월 - 1191년 9월 9일 |
이전 통치자 | 프레데리크 |
다음 통치자 | 벤체슬라우스 2세 |
배우자 | 헬리카 폰 비텔스바흐 |
가문 | 프르셰미슬 왕조 |
아버지 | 즈노이모의 콘라트 2세 |
어머니 | 라스치아의 마리야 |
출생 추정 연도 | 1136년/1140년경 |
사망일 | 1191년 9월 9일 (추정 나이 51–55세) |
사망 장소 | Naples, 시칠리아 왕국 근처 |
매장 날짜 | 알 수 없음 |
매장 장소 | 알 수 없음 |
2. 가계와 초기 생애
콘라트 2세는 즈노이모 공작 콘라트 2세와 세르비아의 대공 우로시 1세의 딸인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콘라트는 남부 모라비아 프르셰미슬 왕조 분가의 시조인 즈노이모의 루이트폴트의 손자였다. 그의 누이 즈노이모의 헬레나는 폴란드의 카지미르 2세 공작과 결혼하였다.
콘라트 2세 오타는 즈노이모 공작 콘라트 2세와 세르비아의 대공 우로시 1세의 딸인 마리야 사이에서 태어났다.[1]
3. 즈노이모 공작 통치 (1161년 ~ 1182년)
1161년 아버지 콘라트 2세가 사망하면서 즈노이모 공작위를 계승했다. 1173년에는 브르노를 점령했고, 올로모우츠를 제외한 모라바 대부분 지역을 지배했다. 1176년 여름 도나우강 북쪽 보헤미아로 진격하여 많은 교회와 수도원을 파괴했고,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소베슬라프 2세를 파문했다. 이를 계기로 콘라트 오타는 신성 로마 제국 프리드리히 1세 황제를 지지하게 되었다.[1]
1178년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5세와 함께 프라하를 점령하고 모라바 원정에 나섰다. 1182년 프리드리히 1세는 레겐스부르크 회의에서 콘라트 오타를 모라바 변경백으로 임명했다.[1]
3. 1. 보헤미아와의 갈등
1161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콘라트 2세는 즈노이모 공국을 통치하게 되었다. 1173년에는 당시 모라비아 영토의 절반 이상(올로모우츠 제외)을 장악하고 있던 브르노 지역을 점령했다. 1176년 여름, 그는 다뉴브강 북쪽의 보헤미아 공작 소비에슬라프 2세의 영토를 침공했다. 이로 인해 그는 조카인 프리드리히와 소비에슬라프 2세 사이의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콘라트 2세는 교회와 수도원을 공격했고, 교황 알렉산데르 3세로부터 파문을 받았다.[1]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가 프리드리히를 다시 지지하자, 콘라트 2세와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5세는 1178년 모라비아 원정과 프라하 점령에 동참했다. 프리드리히는 다시 보헤미아 공작으로 복위되었고, 콘라트 2세는 올로모우츠를 보상으로 기대했지만, 그의 희망은 무산되었다.[1]
4. 모라바 변경백 통치 (1182년 ~ 1189년)
콘라트는 1182년 인기가 없던 프리드리히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프리드리히 1세는 콘라트를 즈노이모, 브르노, 올로모우츠의 연합 공국의 통치자로 임명하고, 모라바 변경백령으로 승격시켰다. 1185년 12월 10일 로제니체에서 보헤미아와 모라바 분파 간의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벌어졌고, 이후 양측은 평화 협상에 들어갔다.[1]
4. 1. 보헤미아와의 화해
콘라트는 1182년 인기가 없던 프리드리히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며 복수의 기회를 잡았다. 공작은 프라하에서 도망쳤고, 황제의 동의를 얻어서야 보헤미아 왕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1] 동시에 프리드리히 1세는 그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그는 반대자들을 레겐스부르크 제국 의회에 소환하여 콘라트를 즈노이모, 브르노, 올로모우츠의 연합 공국의 통치자로 임명하고, 모라바 변경백령으로 승격시켰다.[1] 의도했든 아니든, 이러한 조치는 내부의 프르셰미슬 왕조의 분쟁을 더욱 부추겼다.[1] 보헤미아와 모라바 분파 간의 갈등은 1185년 12월 10일 로제니체에서 벌어진 피비린내 나는 전투로 절정에 달했고, 이후 양측은 평화 협상에 들어갈 것을 선택했다.[1] 콘라트와 프리드리히는 크닌에서 만났고, 변경백은 프리드리히의 종주권을 인정했으며, 공작은 콘라트를 모라바의 통치자로, 그리고 그의 사후 계승자로 인정했다.[1]5. 보헤미아 공작 통치 (1189년 ~ 1191년)
1189년 베드르지흐가 사망하자 콘라트 2세는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하는 대신 황제 하인리히 6세를 따라 남부 이탈리아 원정에 참전했는데, 이는 하인리히 6세의 아내 시칠리아의 콘스탄체 1세가 시칠리아 왕국의 왕위를 주장하며 시칠리아의 탕크레드에 맞서 싸운 전쟁이었다.
1191년 9월 9일 콘라트 2세는 포위된 나폴리 근처의 제국 군사 캠프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처음에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묻혔지만, 나중에 프라하로 이장되었다. 콘라트 2세는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공작위는 소베슬라프 2세의 동생인 바츨라프 2세에게 돌아갔다.
5. 1. 귀족과의 관계 및 법전 편찬
프리드리히가 1189년 3월 25일에 사망하자 콘라트는 보헤미아 귀족들의 만장일치 지지로 공작이 되었다. 그는 보헤미아와 모라비아의 영토를 통일하기 위해 변경백 작위를 포기했다. 그해 5월, 그는 황제로부터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 콘라트는 제국 정치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마르크그라프 마이센의 오토 2세의 계승 분쟁과 관련된 갈등을 중재했다.보헤미아에서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콘라트 공작은 귀족들에게 의존했다. 그는 1189년 사드스카에서 발행된 최초의 보헤미아 법전인 ''iura Conradi''(체코어: ''Statuta Konrádova'')를 통해 일련의 특권을 그들에게 양보해야 했다. 양보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유민들은 그의 주판 아래에서 공작 또는 지방 법원의 남용으로부터 보호받았다.
- 사망한 영주의 딸과 형제에게 상속권 연장
- 현지 관습에 따라 오랜 법적 절차를 거친 후에만 재산 몰수.
1190년, 콘라트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는 프레몽트레 수도회의 루카 수도원을 즈노이모에 설립했다.
5. 2. 대외 정책
1173년 브르노를 점령했고 올로모우츠를 제외한 모라바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1176년 여름 도나우강 북쪽을 넘어 보헤미아로 진격하여 수많은 교회와 수도원이 파괴되었고,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소베슬라프 2세를 파문시켰다. 이를 계기로 콘라트 오타는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 황제를 지지하게 된다.1178년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5세와 함께 프라하를 점령하고 모라바 원정에 나섰다. 1182년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1세 황제는 레겐스부르크 회의에서 콘라트 오타를 모라바 변경백으로 임명했다.
1189년 베드르지흐가 사망한 후 보헤미아 공작으로 즉위했다. 콘라트는 제국 정치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마르크그라프 마이센의 오토 2세의 계승 분쟁과 관련된 갈등을 중재했다.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할 의무에서 벗어난 콘라트는 황제의 아들인 황제 하인리히 6세를 따라 남부 이탈리아로 가서 하인리히의 아내 시칠리아의 콘스탄체 1세의 권리로 시칠리아 왕국을 시칠리아의 탕크레드로부터 정복하려는 시도에 참전했다. 1191년 9월 9일 시칠리아 왕국 나폴리 근처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콘라트 2세는 후사 없이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공작위는 소베슬라프 2세의 동생인 바츨라프 2세가 승계받았다.
5. 3. 십자군 원정과 죽음
1189년 베드르지흐가 사망한 이후 콘라트 2세는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그는 제3차 십자군에 참여하는 대신 황제 하인리히 6세를 따라 남부 이탈리아 원정에 참전했다. 이 원정은 하인리히 6세의 아내 시칠리아의 콘스탄체 1세가 시칠리아 왕국의 왕위를 주장하며 시칠리아의 탕크레드에 맞서 싸운 전쟁이었다.콘라트 2세는 1191년 9월 9일 포위된 나폴리 근처의 제국 군사 캠프에서 흑사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처음에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묻혔지만, 나중에 프라하로 이장되었다. 콘라트 2세는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공작위는 소베슬라프 2세의 동생인 바츨라프 2세에게 돌아갔다.
6. 유산
콘라트 2세는 후사 없이 사망했기 때문에 그의 공작위는 소베슬라프 2세의 동생인 바츨라프 2세가 승계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