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노이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즈노이모는 체코 남부 모라비아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브르노에서 남서쪽으로 약 54km 떨어져 있으며 오스트리아 국경과 가깝다. 9세기 대 모라비아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으며, 1055년경부터 보헤미아 공국의 중요한 거점으로 사용되었다. 1226년에는 왕립 도시로 재건되었고, 1809년에는 나폴레옹 전쟁 중 즈나임 휴전이 체결된 곳으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하게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독일계 주민이 추방되는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다. 현재는 피클,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며, 고딕 양식의 성 니콜라스 교회, 즈노이모 시청 타워, 즈노이모 성, 지하묘지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의 도시 - 헌장 도시
헌장 도시는 오스트리아와 체코에서 특정 법적 지위를 갖는 도시로, 오스트리아는 인구 2만 명 이상 도시가 승인받아 지정되며, 체코는 법률에 따라 지정되고 프라하는 사실상 헌장 도시로 간주된다. - 체코의 도시 - 헤프
체코 카를로비 바리주에 위치한 헤프는 오흐르 강 유역의 슬라브족 요새에서 시작되어 켈트어, 라틴어, 체코어 등 다양한 어원을 지닌 이름으로 불리며, 중세 보헤미아 왕국의 중요 도시였으나 전쟁과 암살 사건을 거쳐 나치 독일에 합병되었다가 해방 후 체코슬로바키아로 반환, 독일계 주민 추방과 베트남계 주민 유입을 겪으며 현재는 역사적 유적과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관광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즈노이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도시 이름 | 즈노이모 |
도시 유형 | 읍 |
시장 | 이바나 솔라르조바 |
최초 언급 | 1226년 |
지리 | |
면적 | 65.90 km2 |
해발 고도 | 290 m |
행정 | |
지역 | 남모라비아 |
군 | 즈노이모 |
인구 통계 | |
인구 (2024년 1월 1일) | 34160 명 |
인구 밀도 | 자동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여름 시간 (DST) | CES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DST)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69 02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언어별 이름 | |
발음 |
2. 지리
즈노이모는 브르노에서 남서쪽으로 약 54km 떨어져 있으며 오스트리아 국경과 가깝다. 오스트리아의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와 국경을 접한다.
지리적으로 대부분 예비쇼비체 고지에 속하며, 시 면적의 일부는 남쪽으로 디예-스브라트카 계곡까지 뻗어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의 해발 고도는 397m이다. 도시는 주로 타야강의 가파른 왼쪽 강둑에 있는 암석 노두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시 면적의 서쪽 부분은 포디이 국립공원에 포함된다.
3. 역사
즈노이모 지역은 9세기 대 모라비아 시대부터 정착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1055년경부터는 보헤미아 프르셰미슬 왕조의 중요한 거점인 즈노이모 성이 위치하여 남쪽 국경 방어의 요충지 역할을 했다.[4] 1190년에는 프레몬스트라텐시안 수도회 소속의 로우카 수도원이 세워졌고[5], 1226년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1세에 의해 왕립 도시로 지정되면서 모라비아 최초의 왕립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6] 초기에는 체코 왕의 초청으로 이주한 독일계 주민이 다수를 이루었다.
후스 전쟁 시기에는 가톨릭의 거점으로서 후스파의 공격을 막아내며 번영을 누렸으나, 30년 전쟁 시기에는 여러 차례 점령과 약탈을 겪으며 쇠퇴하여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4] 143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가 이곳에서 사망하기도 했다.[24] 1809년에는 나폴레옹 전쟁 중 즈나임 전투가 벌어졌고, 이후 즈나임 휴전이 체결된 장소로 알려지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영토가 되었으나, 독일계 주민이 다수였던 탓에 민족 갈등이 존재했다. 1938년 뮌헨 협정으로 나치 독일에 합병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왔다. 전후 베네스 법령에 따라 독일계 주민들이 추방되었고, 이는 도시의 민족 구성을 크게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3. 1. 초기 역사
9세기 대 모라비아 시대에도 이 지역에 정착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군사적 요충지로 여겨졌다. 다만 주요 고르드(성곽 도시)는 현재 즈노이모 시가지에서 그라니츠키 개울 건너편 언덕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055년경부터 즈노이모 성은 보헤미아의 프르셰미슬 왕조가 통치하는 공국의 거점이었으며, 남쪽으로 오스트리아 변경백국과 국경을 맞댄 전략적으로 중요한 전초 기지 역할을 했다. 당시 즈노이모는 브르노-즈나임 공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1101년, 모라비아 공작 즈노이모의 루이트폴트는 성 안에 성 카테리나 원형 교회를 세웠다.[4]
1145년, 보헤미아 공작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2세가 즈노이모 성을 점령하고 파괴했으며, 이로 인해 브르노-즈나임 공국은 브르노와 즈노이모로 분리되었다. 1190년, 공작 보헤미아의 콘라트 2세는 즈노이모에 프레몬스트라텐시안 수도회 소속의 로우카 수도원(로우츠키 수도원)을 세웠다.[5]
즈노이모가 문헌상 처음 언급된 것은 1226년이다. 오타카르 1세 왕은 1226년 직전에 기존 성 앞 평원에 왕립 도시를 세우고 요새화했다. 이는 모라비아 최초의 왕립 도시 중 하나였다.[6] 당시 보헤미아 왕의 초청으로 많은 독일계 주민이 이주하여 도시 인구의 다수를 형성했고, 이들은 주로 독일어를 사용했으며 주변 마을 주민들은 체코어를 사용했다. 1278년 로마왕 루돌프 1세는 즈노이모의 도시 자치권을 인정했다. 1308년 오스트리아 공작 프리드리히 3세는 즈노이모에서 케른텐 공국 공작과 평화 조약을 맺고 보헤미아 왕위 계승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후스 전쟁(15세기 초) 동안 즈노이모는 후스파의 공격을 받았으나 함락되지 않았고, 오히려 번영을 누리며 가톨릭 신앙의 거점 역할을 유지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도시 방어 체계의 일환으로 지하 통로망과 연결된 시민 주택들이 건설되었다. 이 시기에 지어진 르네상스 및 후기 고딕 양식 주택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있다. 종교 개혁 시기에는 개신교 지지자들이 많았으나, 이후 반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가톨릭 세력이 다시 우세해졌다.
1437년 12월 9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가 즈노이모에서 사망했다.[24] 그의 유해는 즈노이모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 사흘간 안치되었다가 헝가리 왕국의 그로스바르다인(현 루마니아 오라데아)으로 이장되었다.[25]
하지만 30년 전쟁(17세기 초) 동안 즈노이모는 여러 차례 외세에 점령되고 약탈당하며 큰 피해를 보았다. 이로 인해 도시는 쇠퇴했고, 이전의 번영을 되찾기까지 100년 이상이 소요되었다.[4] 1631년 12월 초, 즈노이모에서는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재상과 발렌슈타인 간의 협상이 이루어져 발렌슈타인이 제국군 총사령관직에 복귀했다.[26]
3. 2. 중세 시대
이 지역에는 9세기 대 모라비아 제국 시대에도 정착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주요 고르드(요새화된 정착지)는 현재 도시 위치가 아닌 그라니츠키 개울 건너편 언덕에 있었다.
1055년경부터 즈노이모 성은 보헤미아의 프르셰미슬 왕조 공국의 중요한 거점으로 기능했다. 특히 남쪽 오스트리아 변경백국과의 국경 근처에 위치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전초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1101년, 모라비아 공작 즈노이모의 루이트폴트는 성 내부에 성 카테리나 원형 교회를 건설했다.[4]
즈노이모 성은 1145년 보헤미아 공작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2세에 의해 점령되어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다. 그러나 1190년, 공작 보헤미아의 콘라트 2세는 즈노이모에 프레몬스트라텐시안 수도회 소속의 로우카(Louka) 수도원을 세우며 재건의 기반을 마련했다.[5]
즈노이모에 대한 첫 기록은 1226년에 나타난다. 보헤미아의 오타카르 1세 왕은 1226년 직전에 기존 성 앞에 있는 평원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 요새화하여 왕립 도시로 지정했다. 이는 모라비아 최초의 왕립 도시 중 하나로 기록된다.[6] 당시 체코 왕의 초청으로 많은 독일계 이민자들이 정착하여 도시 주민의 다수를 이루었고, 주변 농촌 지역은 주로 체코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거주했다. 1278년에는 로마왕 루돌프 1세로부터 도시의 자치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1308년, 오스트리아 공작 프리드리히 3세는 즈노이모에서 케른텐 공국 공작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고, 보헤미아 왕위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기도 했다.
15세기 초 후스 전쟁 시기에는 가톨릭의 거점으로서 후스파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를 피하고 번영을 누렸다. 1437년 12월 9일,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가 즈노이모에서 사망했다.[24] 그의 유해는 즈노이모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 3일간 안치된 후, 현재 루마니아의 오라데아인 그로스바르다인으로 이송되었다.[25]
15세기와 16세기에 걸쳐 도시 방어 시스템의 일환으로 지하 통로망과 연결된 시민 주택들이 건설되었다. 이 시기에 지어진 르네상스 및 후기 고딕 양식의 아름다운 주택들이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종교 개혁의 바람이 불었을 때 일부 동조자들이 생겨나기도 했으나, 도시는 결국 가톨릭 복고 노선을 유지했다.
그러나 17세기 초 30년 전쟁은 즈노이모의 발전에 큰 타격을 입혔다. 도시는 여러 차례 외세에 의해 점령당하고 약탈당했으며, 전쟁의 상처를 회복하고 이전의 번영을 되찾기까지 100년이 넘는 긴 시간이 필요했다.[4] 한편, 1631년 12월 초에는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재상과 발렌슈타인 사이에 중요한 협상이 즈노이모에서 이루어져, 발렌슈타인이 제국군 총사령관으로 복귀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26]
3. 3. 후스 전쟁 시기
후스 전쟁 동안 즈노이모는 가톨릭의 거점이었다. 도시는 전쟁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았으며, 후스파의 점령 시도를 성공적으로 막아내면서 번영을 누렸다.[4]
1437년 12월 9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가 즈노이모에서 사망했다.[24] 그의 유해는 즈노이모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 3일간 안치된 후 그로스바르다인(현재 오라데아)으로 옮겨졌다.[25]
15세기와 16세기에는 도시 요새의 일부로 지하 통로 시스템과 연결된 시민 주택 네트워크가 건설되었다. 이 시기에 지어진 르네상스 및 후기 고딕 양식 주택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4] 종교 개혁 시기에는 즈노이모에서도 개혁 사상에 동조하는 사람들이 있었으나, 결국 도시는 급진적인 가톨릭 복고 노선을 따랐다. 이러한 발전은 30년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즈노이모는 여러 차례 정복당하고 약탈당했다. 도시가 전쟁의 피해로부터 회복하는 데는 100년 이상이 걸렸다.[4]
3. 4. 근세 시대
후스 전쟁 동안 즈노이모는 가톨릭의 거점이었으며, 후스파의 점령 시도가 실패하면서 전쟁의 피해를 입지 않고 번영을 누렸다.[4] 15세기와 16세기에는 도시 방어 체계의 일부로 지하 통로 시스템과 함께 시민들의 주택 네트워크가 건설되었다. 이때 지어진 르네상스 및 후기 고딕 양식의 주택 중 일부는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종교 개혁 시기에는 많은 동조자를 얻었으나, 이후 급진적인 가톨릭 복고 경향으로 돌아섰다.[4]
1437년 12월 9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가 즈노이모에서 사망했다.[24] 그의 유해는 즈노이모의 성 니콜라스 교회에 3일간 안치되었다가 그로스바르다인(현재 오라데아)으로 이송되었다.[25]
즈노이모의 번영은 30년 전쟁(1618-1648)으로 인해 막을 내렸다. 도시는 여러 차례 외세에 의해 정복당하고 약탈당했으며, 이전의 모습을 회복하는 데 100년 이상이 걸렸다.[4] 전쟁 중인 1631년 12월 초,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재상과 발렌슈타인 사이에 협상이 이곳에서 진행되었고, 그 결과 발렌슈타인은 제국군 총사령관으로 복귀하게 되었다.[26]
19세기 초, 즈노이모는 나폴레옹 전쟁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다. 결정적인 바그람 전투가 벌어진 지 7일 후인 1809년 7월 11일, 카를 대공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과 마르몽, 마세나가 이끄는 프랑스군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다음 날인 7월 12일, 나폴레옹 황제와 카를 대공 사이에 즈나임 휴전이 체결되었다.
3. 5. 30년 전쟁과 그 이후
후스 전쟁 시기에는 후스파의 공격에도 함락되지 않고 번영을 누렸으나, 이러한 발전은 30년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즈노이모는 전쟁 중 여러 차례 정복당하고 약탈당했으며, 도시가 이전의 모습을 회복하는 데는 100년 이상이 걸렸다.[4] 1631년 12월 초, 즈노이모에서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의 재상과 발렌슈타인 사이에 협상이 진행되어, 발렌슈타인이 제국군 총사령관으로 복귀하는 결정이 내려졌다.[26]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중요한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1809년 7월 11일, 테셴 공작 카를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과 마르몽,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결정적인 바그람 전투가 있은 지 며칠 후에 일어났으며, 다음 날인 7월 12일에는 나폴레옹 황제와 카를 대공 사이에 즈나임 휴전이 체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즈노이모는 새롭게 건국된 체코슬로바키아의 영토가 되었다. 이 지역의 독일계 주민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 후 독일령 오스트리아(Deutschösterreich)에 속하기를 원했으나, 생제르맹 조약은 이들의 의사와 관계없이 즈노이모를 포함한 독일어 사용 지역을 체코슬로바키아에 귀속시켰다. 이후 191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도시의 민족 구성에 큰 변화가 생겼다. 독일인 주민 비율은 85%에서 39%로 감소한 반면, 체코인 주민 비율은 12.7%에서 62%로 급증하며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었다.
1938년 뮌헨 협정의 결과로 즈노이모는 나치 독일에 합병되어 니더도나우 국가대관구(Reichsgau Niederdonau)의 일부가 되었다. 이 시기 많은 체코인과 유대인 주민들이 도시를 떠나거나 추방되었으며, 시나고그는 폐쇄된 후 파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봄, 즈노이모는 소련 붉은 군대의 공습과 미국 육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구 시청사는 폭탄에 맞아 파괴되었고 기차역도 심하게 손상되었다. 1945년 5월 8일, 독일군이 철수하고 붉은 군대가 진주하면서 즈노이모는 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왔다. 전쟁 직후, 많은 주데텐 독일인들은 체코슬로바키아 당국의 박해를 피해 오스트리아 국경 너머로 도피했다. 남은 독일인들은 베네스 법령에 따라 추방되었으며, 일부는 강제 수용소에 보내졌다. 1945년부터 1948년까지는 인민 재판이 열리기도 했다. 1946년 한 해에만 약 1만 명의 독일계 주민이 기차를 통해 미국 점령 하의 독일로 송환되었다. 빈 자리에는 체코 고지대, 발라키아, 슬로바키아 등지에서 새로운 이주민들이 들어왔고, 이는 13세기 이후 즈노이모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민족 구성 변화를 가져왔다.
3. 6. 나폴레옹 전쟁 시기
19세기 즈노이모는 나폴레옹 전쟁 시기 중요한 역사적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1809년 7월 11일, 바그람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지 며칠 지나지 않아, 테셴 공작 카를이 이끄는 오스트리아군과 마르몽, 마세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 다음 날인 7월 12일, 나폴레옹 황제와 카를 대공은 즈나임 휴전에 서명했다. 이 사건으로 즈노이모는 역사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7.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즈노이모는 새롭게 수립된 체코슬로바키아에 속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붕괴 후 보헤미아, 실레지아, 모라비아의 독일어 사용 주민들은 도이치외스터라이히(독일령 오스트리아)를 선언하며 체코슬로바키아 귀속에 반대했다. 생제르맹 조약은 이러한 주민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해당 지역을 체코슬로바키아 영토로 확정했다.
191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즈노이모의 인구 구성은 크게 변했다. 독일인 주민 비율은 85%에서 39%로 감소한 반면, 체코인 주민 비율은 12.7%에서 62%로 증가했다. 이 과정에서 체코인과 독일인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1938년 뮌헨 회담의 결과로 즈노이모는 나치 독일에 합병되어 라이히가우 니더도나우의 일부가 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체코계 및 유대인 주민들이 도시를 떠나야 했으며, 시나고그는 폐쇄된 후 파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봄, 즈노이모는 소비에트 붉은 군대의 반복적인 공습과 미국 육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구 시청사와 기차역 등이 파괴되었다. 1945년 5월 8일, 붉은 군대가 진군하기 전 독일군이 철수하면서 즈노이모는 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왔다.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주데텐 독일인들은 체코 인민군에 의한 박해를 피해 오스트리아 국경으로 도망쳤다. 도시에 남은 독일인들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으며,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즈노이모에서는 인민 법정이 열리기도 했다. 베네스 법령에 따라 독일인 주민들에 대한 추방이 이루어졌고, 1946년 한 해에만 약 1만 명의 독일계 주민이 기차를 통해 미국 점령 하의 독일로 강제 이송되었다. 빈자리에는 고지대, 발라키아, 슬로바키아 등지에서 온 새로운 이주민들이 정착했으며, 이는 13세기 이후 즈노이모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민족 구성 변화였다.
3. 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5년 봄, 즈노이모는 반복되는 소련군의 공습과 미국 육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구 시청사는 폭탄에 직접 맞아 파괴되었고, 기차역도 심하게 손상되었다.
1945년 5월 8일, 나치 독일군이 철수하고 붉은 군대가 진주하면서 즈노이모는 다시 체코슬로바키아 영토로 돌아왔다. 전쟁이 끝난 후, 베네스 법령에 따라 도시에 거주하던 독일계 주민들에 대한 추방이 이루어졌다. 많은 주데텐 독일인들은 체코 인민군의 박해를 피해 오스트리아 국경으로 도망쳤으며, 남은 이들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 1946년 한 해에만 약 1만 명의 독일계 주민이 기차를 통해 미국 점령 하의 독일 지역으로 강제 송환되었다.
이러한 독일계 주민 추방 이후, 고지대, 발라키아, 슬로바키아 등지에서 새로운 이주민들이 즈노이모로 들어왔다. 이는 13세기 이래 즈노이모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민족 구성 변화였다. 또한, 1945년부터 1948년까지 즈노이모에서는 전범 등을 재판하기 위한 인민 법정이 운영되기도 했다.
4. 인구
연도 | 인구 수 |
---|---|
1869 | 15,606 |
1880 | 18,740 |
1890 | 21,153 |
1900 | 23,316 |
1910 | 25,840 |
1921 | 25,993 |
1930 | 30,794 |
1950 | 25,146 |
1961 | 27,456 |
1970 | 29,645 |
1980 | 34,550 |
1991 | 36,134 |
2001 | 35,758 |
2011 | 34,122 |
2021 | 33,736 |
5. 경제
즈노이모는 독특한 단맛, 신맛, 매운맛으로 절인 오이 생산으로 유명하다. 이 지역의 오이 재배는 1571년 루카 수도원의 조지 2세 원장에 의해 시작되었다.[9] 즈노이모 피클의 특별한 맛은 현지 오이 품종, 재배 방식, 토양, 기후 조건, 가공 방법, 그리고 보관 포장 방식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또한, 유리한 기후 조건 덕분에 와인 생산과 과일 재배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즈노이모는 즈노젬스카 와인 하위 지역의 포도 재배 중심지이기도 하다.[6][9]
6. 교통
즈노이모를 관통하는 I/38(일부 유럽 고속도로 E59)은 이흘라바에서 체코-오스트리아 국경까지 이어진다. 즈노이모 중심부에서 갈라져 I/53 도로를 통해 브르노와 연결된다.
철도역이 있으며 오스트리아의 빈, 브르제츨라프, 오크르지슈키 방향으로 철도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10]
7. 문화
즈노이모는 매년 9월에 열리는 즈노이모 빈티지 축제로 유명하다. 축제의 주요 볼거리는 1327년 보헤미아의 요한 왕이 즈노이모를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역사적인 퍼레이드이다.[11]
매년 오이 축제가 열리는데, 이는 이 지역의 오이 재배 전통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6][12]
8. 스포츠
1. SC 즈노이모 FK는 모라비아-실레지아 축구 리그(체코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에서 경쟁하는 지역 축구 클럽이다.
오를리 즈노이모는 체코 2. 리그에서 활동하는 아이스 하키 클럽이다.
9. 명소
즈노이모는 오래된 요새이자 왕립 도시였으며, 매우 잘 보존된 중세 도시 경관을 가지고 있다.
고딕 건축 양식의 성 니콜라스 교회와 후기 고딕 양식의 시청 타워는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이다. 원래 교회는 1100년경에 세워졌으며, 1338년부터 15세기 말까지 점진적으로 새로운 교회로 대체되었다.[13] 80m 높이의 시청 타워는 1445년부터 1448년 사이에 건설되었다.[14]
중세 도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타야 강 계곡을 내려다보는 곳에는 11세기에 프르셰미슬 공작에 의해 세워진 즈노이모 성이 있다.[15] 이 성의 유일한 흔적으로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 카타리나 원형 교회가 있는데, 그 내부에는 성경의 장면과 프르셰미슬 오라치의 삶을 묘사하는 11세기 프레스코화로 덮여 있다.[16] 원형 교회는 국가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구시가지 지하에는 즈노이모 지하묘지라고 불리는 광대한 연결 통로와 지하실 미로가 있다. 이 시스템은 방어 목적으로 14~15세기에 개발되었으며, 우물, 배수 시설, 벽난로, 함정문, 탈출로가 있어 도시의 요새 너머로 이어진다.[17][18] 지하묘지는 체코 공화국에서 가장 큰 지하 복도 및 지하실 시스템으로, 길이가 거의 27km에 달하고 최대 4층 깊이에 이른다.[19]
대천사 미카엘 교회는 아마도 12세기에 건설되었을 것이다. 이 교회는 성 니콜라스 교회 다음으로 이 도시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교회이다.[20] 이 교회는 122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508년에 후기 고딕 양식으로 완전히 재건되었다. 이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기념물로 여겨진다.[21]
프레몬스트라텐스 수도원 루카 수도원은 즈노이모에서 가장 가치 있는 건물 중 하나이다. 이 수도원은 1190년에 설립되었지만, 현재의 수도원 건물은 1748~1756년과 1761~1778년에 두 단계로 건설되었다. 건축적으로는 국가 문화재로 보호받는 초국가적 중요성의 기념물이다.[5] 수도원 단지에는 성모 마리아 및 성 바츨라프 성당이 포함되어 있다. 원래 로마네스크 양식의 바실리카였으나 고딕 양식의 성가대석을 가지고 있었고, 17세기 말 바로크 양식으로 재건되었다.[22]
10. 행정 구역
즈노이모의 행정 구역은 데르플리체, 카사르나, 코니체, 므라모티체, 나체라티체, 오브레코비체, 포피체, 프르지미에티체이다.[2]
11. 자매 도시
즈노이모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3]
12. 저명한 출신 인물
-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 (1368–1437), 보헤미아 왕; 여기서 사망
- 프로코프 디비시 (1698–1765), 발명가, 가톨릭 사제; 1736–1741년 이곳에서 봉사
- 클레멘스 마리아 호프바우어, C.Ss.R. (1751–1820), 구속주회 사제이자 성인; 1767–1770년 제빵사 견습생으로 봉사
- 찰스 실즈필드 (1793–1864), 독일계 미국 작가이자 변호사
- 후고 레데러 (1871–1940), 조각가
- 오테 발리쉬 (1903–1977), 이스라엘 그래픽 디자이너
- 안나 슈피츠뮐러 (1903–2001),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
- 에디트 쾨르너 (1921–2000), 영국 치안 판사
- 프란츠 보이디히 (1921–2004), 독일 전투기 조종사
- 페트르 로솔 (1964년 출생), 아이스하키 선수
- 이트카 슈나이데로바 (1973년 출생), 배우
- 크베토슬라프 스보보다 (1982년 출생), 수영 선수
- 미할 오르도시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이르지 오르사그 (1989년 출생), 역도 선수
- 안드레아 스타슈코바 (2000년 출생),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Municipalities – 1 January 2024
https://www.czso.cz/[...]
Czech Statistical Office
2024-05-17
[2]
웹사이트
Části obcí
http://www.uir.cz/ca[...]
2023-11-14
[3]
웹사이트
Historický původ názvu města Znojmo
https://www.ptejtese[...]
National Library of the Czech Republic
2023-06-01
[4]
웹사이트
Historie a památky
https://www.znojmoci[...]
Město Znojmo
2023-06-08
[5]
웹사이트
Klášter
https://pamatkovykat[...]
National Heritage Institute
2023-06-01
[6]
웹사이트
Interesting facts
https://www.znojmoci[...]
Město Znojmo
2021-11-08
[7]
웹사이트
Historický lexikon obcí České republiky 1869–2011
https://csu.gov.cz/p[...]
Czech Statistical Office
2015-12-21
[8]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2021: Population by sex
https://vdb.czso.cz/[...]
Czech Statistical Office
2021-03-27
[9]
웹사이트
Znojmo
https://www.vinarske[...]
Nadace Partnerství
2021-11-08
[10]
웹사이트
Detail stanice Znojmo
https://www.cd.cz/st[...]
České dráhy
2023-06-01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rape Harvest
https://www.znojemsk[...]
2021-08-05
[12]
웹사이트
Slavnosti okurek ve Znojmě 2022
https://www.kudyznud[...]
Czech Tourism
2021-11-08
[13]
웹사이트
Kostel sv. Mikuláše
https://www.znojmoci[...]
Město Znojmo
2022-01-09
[14]
웹사이트
Town-hall tower
https://www.znojemsk[...]
Znojemská Beseda
2022-01-09
[15]
웹사이트
Znojmo Castle
http://www.znojemska[...]
Znojemská Beseda
2017-01-24
[16]
웹사이트
The Ducal Rotunda of the Virgin Mary and St Catherine
http://www.znojemska[...]
Znojemská Beseda
2017-01-24
[17]
웹사이트
Underground in Znojmo - Top Výletní cíle jižní Morava
http://www.vyletnici[...]
2017-01-24
[18]
웹사이트
Underground
https://www.znojemsk[...]
Znojemská Beseda
2017-01-24
[19]
웹사이트
Tip for a Trip: Znojmo
https://blog.foreign[...]
Foreigners.cz Blog
2020-10-01
[20]
웹사이트
Chrám sv. Michala
https://www.znojmoci[...]
Město Znojmo
2022-01-09
[21]
웹사이트
Kostel sv. Michala
https://pamatkovykat[...]
National Heritage Institute
2022-01-09
[22]
웹사이트
Kostel Nanebevzetí Panny Marie a sv. Václava
https://pamatkovykat[...]
National Heritage Institute
2023-06-30
[23]
웹사이트
Partnerská města
https://www.znojmoci[...]
Město Znojmo
2020-06-27
[24]
서적
Sigismund
https://www.deutsche[...]
Dunker & Humblot
2022-01-31
[25]
서적
Sigismund
https://www.deutsche[...]
Dunker & Humblot
2022-01-31
[26]
서적
Polisensky, Josef und Kollmann, Josef: Wallenstein. Feldherr des Dreißig-jährigen Krieges. Köln, Weimar, Wien 1997. S. 236f.
[27]
웹인용
Historický lexikon obcí České republiky 1869–2011 – Okres Znojmo
https://www.czso.cz/[...]
Czech Statistical Office
2023-10-08
[28]
웹인용
Population Census 2021: Population by sex
https://vdb.czso.cz/[...]
Czech Statistical Office
2021-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