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얼릉거의 소도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얼릉거의 소도둑은 아일랜드 신화의 주요 이야기로, 코나크타의 메브 여왕이 쿨리반도(쿠얼릉거)의 황소를 차지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키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다. 울라의 영웅 쿠 훌린은 마하의 저주로 인해 싸울 수 없는 울라 남자들을 대신하여 코나크타 군과 맞서 싸우며, 신화적 존재들과의 대결, 의형제와의 결투, 그리고 울라 군과의 최후의 전투를 통해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 이야기는 세 가지 주요 판본으로 존재하며, 19세기부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얼릉거의 소도둑 - 에번 바허
에번 바허는 북아일랜드 아마 인근의 고대 유적지로 신석기 시대부터 활동이 있었고,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를 거치며 목조 건축물과 의례 시설이 건설되었으며, 아일랜드 신화에서는 울스터의 왕실 수도로 등장하는 국립 기념물이다. - 쿠얼릉거의 소도둑 - 라긴의 서
《라긴의 서》는 1151년부터 1224년 사이에 제작된 중세 아일랜드의 중요한 문헌으로, 아드 우어 크림틴이 주요 편집자이며 중세 아일랜드 문학, 족보,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아일랜드 (2004년 드라마)
2004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아일랜드는 아픈 과거를 가진 아일랜드계 미국인 입양아 이중아와 그녀를 둘러싼 네 남녀의 엇갈린 사랑과 상처 치유를 그린 작품으로, 인정옥 작가가 집필하고 이나영, 현빈, 김민정 등 주요 배우들이 MBC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며 화제를 모았으며, 해외 입양과 가족, 사랑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며 마니아층을 형성했다. -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마운트 앤 블레이드: 워밴드
마운트 앤 블레이드: 워밴드는 중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샌드박스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칼라디아 대륙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며, 비선형 게임플레이, 실시간 전투, 싱글 및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 - 중세 문학 - 도덕극
도덕극은 인간 영혼의 갈등을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된 등장인물로 표현하여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중세 유럽의 종교극에서 발전한 연극으로, 르네상스 시대 연극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사회에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도덕적 문제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한다. - 중세 문학 - 데카메론
조반니 보카치오가 쓴 《데카메론》은 흑사병을 피해 피렌체를 떠난 10명의 젊은이들이 10일 동안 이야기를 나누는 액자식 구조의 소설 모음집으로, 당시 이탈리아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며 중세 사회상을 풍자하는 문학적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쿠얼릉거의 소도둑 | |
---|---|
개요 | |
제목 | 타인 보 쿠얼릉거 |
원어 제목 | Táin Bó Cúailnge |
영어 제목 | The Cattle Raid of Cooley |
유형 | 서사시 |
언어 | 고대 아일랜드어 |
문헌 정보 | |
기록 시기 | 8세기 |
보존 상태 | 12세기 사본 렌스터 서에 가장 완전한 형태로 보존 그 외 단편적인 사본들 존재 |
관련 문헌 | 얼스터 대계 타인 보 프라크 (소략본) |
내용 | |
배경 | 얼스터와 코나하트 간의 소 도둑질 전쟁 |
주인공 | 쿠 훌린 |
주요 등장인물 | 메브 여왕 아릴 막 마가 왕 페르구스 막 로이크 |
줄거리 | 메브 여왕이 쿠얼릉거의 황소를 탐내 얼스터를 침략, 소년 영웅 쿠 훌린이 홀로 맞서 싸움. |
한국어 번역 | |
번역 제목 | 쿠얼릉거의 소 도둑 |
번역자 | 강희맹 |
출판 정보 | 2013년, 세창출판사 |
기타 | |
중요성 | 아일랜드 신화 및 문학의 중요한 작품 |
영향 | 아일랜드 문학, 예술, 문화에 큰 영향 |
2. 줄거리
이야기는 코나크타의 여왕 메브와 남편 알릴 왕이 서로의 재산을 비교하는 데서 시작된다. 부부의 재산은 거의 같았으나, 알릴이 가진 마법적으로 정력이 강한 종우 핀베나크 때문에 알릴이 근소하게 더 부유했다. 핀베나크는 원래 메브의 소떼에서 태어났지만, 주인이 여자라는 것이 싫어 메브의 소떼를 떠나 알릴의 소떼로 가 버렸다. 메브는 남편과 대등해지기 위해 핀베나크에 필적하는 종우인 쿠얼릉거의 돈 쿠얼릉거를 갖고자 한다. 메브는 돈 쿠얼릉거의 주인 다러 막 피어크너에게 1년간 소를 빌려달라는 전갈을 보냈고, 다러는 처음에 동의했다. 하지만 전령이 술에 취해 다러가 동의하지 않았더라도 메브가 힘으로 소를 빼앗아 갔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계약은 파토난다. 결국 메브는 말 그대로 힘으로 소를 빼앗아 오기 위해 군대를 일으킨다. 이때 울라를 떠나 코나크타에 망명해 있던 페르구스 막 로크 등도 참전한다.
울라 남자들은 마하의 저주로 인해 "케스 닌던(ces noíndenga)"이라는, "9일간의 장애"라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몇 달간 지속되는 상태가 되어 싸울 수 없었다.[16] 울라에서 싸울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열일곱 살의 쿠 훌린뿐이었다. 쿠 훌린은 마차부 라그 막 리엉가바르의 도움을 받아 혼자 코나크타군에게 유격전을 벌이고, 메브에게 일대일 결투를 신청해 코나크타의 전사들을 한 명씩 쓰러뜨리며 몇 달 동안 시간을 번다.
쿠 훌린이 로크 막 모페미스와 일대일 결투를 하는 날, 아름다운 젊은 여자가 나타나 자신의 사랑을 주겠다고 하지만 쿠 훌린은 거절한다. 분노한 여자는 자신의 정체(모리안)를 드러내고 쿠 훌린의 싸움을 방해하겠다고 예고한다. 이번 싸움터는 시냇물이었는데, 쿠 훌린이 물에 들어오자 장어로 둔갑해 그의 발을 휘감고, 늑대로 둔갑해 시냇물로 소떼를 몰았으며, 마지막으로는 암소로 둔갑해 소떼를 끌고 돌진했다. 하지만 쿠 훌린은 장어, 늑대, 암소를 모두 때려눕히고 로크를 쳐죽인다. 쿠 훌린이 승리하고 나자 모리안은 쿠 훌린이 장어, 늑대, 암소에게 입혔던 부상을 한 몸에 입은 노파의 모습으로 나타나 소 젖을 짠다. 모리안은 쿠 훌린에게 우유를 세 번 주었고, 쿠 훌린이 그것을 모두 받아먹으며 그때마다 감사의 인사를 하자 그것이 축복으로 취급되어 세 개의 상처가 하나씩 나았다. 모리안이 정체를 드러내자 쿠 훌린은 노파가 모리안인 줄 알았으면 감사 인사를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투덜댄다.[17]
힘든 싸움을 이기고 지쳐 쓰러져 있던 쿠 훌린에게 또 다른 신적 존재인 루 라와더가 나타나 자신이 그의 생부라고 밝히고, 쿠 훌린을 3일간 재워 몸의 상처를 모두 치료해 준다. 쿠 훌린이 잠들어 있던 3일 사이 울라의 소년병단이 쿠 훌린을 대신해 싸우려다 모두 떼죽음을 당한다. 눈을 뜬 쿠 훌린은 그 광경을 목격하고 리스트라드(ríastrad)라는 광란 상태에 빠진다. 적도 아군도 알아보지 못하는 괴물이 된 쿠 훌린은 코나크타군의 주둔지로 돌격해 죽은 소년병들의 여섯 배나 되는 코나크타군을 죽여 복수했다.[18]
광란이 가라앉은 뒤 다시 전쟁은 평소대로 돌아가 쿠 훌린이 한 명씩 코나크타 전사를 쳐죽이는 일상이 반복되었다. 메브는 여러 번 쿠 훌린과의 약속을 깨고 대결 중에 응원군을 보내 다구리를 놓으려 했지만 쿠 훌린은 모두 이겨냈다. 마침내 쿠 훌린의 양아버지이기도 한 페르구스가 쿠 훌린과 맞설 차례가 되었다. 쿠 훌린과 페르구스는 다음에 페르구스가 한 번 물러날 테니 이번에는 쿠 훌린이 한 번 물러나기로 합의한다. 그다음 쿠 훌린은 의형제 페르디어드 막 다만과 싸우게 되었고, 3일 밤낮의 혈투 끝에 쿠 훌린이 전설의 무기 게 볼그로 페르디어드를 죽였다.
마침내 저주가 풀린 울라 남자들이 하나둘 일어나 울라 군대가 소집되어 최후의 대회전이 벌어졌다. 쿠 훌린은 그동안 고생하여 앉아 쉬고 있는데, 페르구스가 울라 왕 콘코바르 막 네사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페르구스가 콘코바르를 쳐죽여 원수를 갚으려 하는데, 콘코바르의 친아들이자 페르구스의 양아들로 페르구스가 망명할 때 따라갔던 코르막 콘드 롱가스가 나서 두 아버지의 싸움을 말렸다. 페르구스는 검을 휘둘러 산 꼭대기 세 개를 날려 버리는 것으로 분노를 달랬다. 기력을 회복한 쿠 훌린도 싸움에 뛰어들고, 페르구스와 마주한 쿠 훌린은 저번의 합의를 상기시키며 페르구스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한다. 그래서 페르구스가 물러나자 코나크타의 동맹들은 공황에 빠져 흩어지고 메브는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전쟁의 목적이었던 돈 쿠얼릉거는 그 난장판 가운데 어떻게 확보하는 데 성공해 크루어한으로 끌고 간다.
크루어한에 돌아온 메브는 돈 쿠얼릉거와 핀베나크를 싸움 붙이고, 격렬한 소싸움 끝에 돈 쿠얼릉거가 핀베나크를 죽인다. 하지만 돈 쿠얼릉거도 치명상을 입고 에린 섬 곳곳을 떠돌아다니다 자기 고향 쿠얼릉거에 다다라 쓰러져 죽었다.
2. 1. 렘스켈라(Remscéla)
루어리 오 히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전개 이야기(''remscéla'')들이 있다고 한다.[12]- 「어떻게 '토리의 소도둑'이 발견되었는가」: '소도둑' 이야기가 사라지고, 다시 발견된 경위를 이야기한다.
- 「레가멘의 소도둑」
- 「레가몬의 소도둑」
- 「프로이흐의 소도둑」: 프로이흐 마크 이다는 코나크타의 전사로, 쿠 훌린에게 죽임을 당한다.
- 「달티드의 소도둑」
- 「프리자슈의 소도둑」: 오래된 자료에서 가져온 비교적 새로운 이야기.
- 「넬라의 모험」
- 「오앵구스의 아슈린가」: 우리가 아는 쿠얼릉거의 소도둑에는 출현하지 않지만, 다그다의 아들인 젊은 오앵구스는 메브와 알릴의 도움으로 이계의 여성 카이아 이발베이스를 만나는 꿈을 꾼다.
- 「쿠 쿨린의 생각」
- 「두 돼지치기의 이야기」
- 「페르구스 마크 로이흐의 망명의 원인」: 페르구스가 코나흐트 군의 일원이 된 경위를 설명한다. 현존하는 것은 처음 부분이다.
- 「이슈리우의 아들들의 망명」: 페르구나 다른 울라 출신의 망명자들이 코나흐트 군에 합류하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
- 「페르브의 구애」
- 「얼스터 남자의 쇠약」: 실제로는 전개 이야기로 간주되지 않지만, 여신 마하가 얼스터 사람을 저주하게 된 경위를 이야기한다. "9일간의 쇠약"은 임신 중에 얼스터 왕의 명령으로 억지로 마차 경주를 하게 된 마하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원래 이 이야기는 에반 마하라는 지명의 유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14]
3. 주요 등장인물
쿠 훌린: 울라의 젊은 영웅으로, 초인적인 힘과 용맹을 지녔다. 코나크타 군에 맞서 홀로 싸우며, 비극적인 운명에 맞서는 고독한 영웅의 모습을 보여준다.
메브: 코나크타의 여왕으로, 권력욕과 질투심에 사로잡혀 전쟁을 일으킨다. 자신의 욕망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냉혹한 면모를 보인다.
알릴: 코나크타의 왕이자 메브의 남편. 메브의 욕망을 부추기며 전쟁에 동참한다.
페르구스 막 로크: 울라의 전 왕이었으나, 메브의 계략에 빠져 코나크타로 망명한다. 쿠 훌린의 양아버지로서 그를 돕기도 하지만, 자신의 처지 때문에 갈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페르디어드: 쿠 훌린의 의형제이자 코나크타의 전사. 메브의 강요와 회유에 의해 쿠 훌린과 싸우게 되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다.
모리안: 전쟁과 운명의 여신. 쿠 훌린을 유혹하지만 거절당하고, 그를 방해하며 위협한다.
루: 빛의 신이자 쿠 훌린의 친아버지. 쿠 훌린에게 치유 마법을 베풀고 힘을 준다.
콘코바르 막 네사: 울라의 왕. 마하의 저주로 인해 무력화되지만, 마지막 전투에서 군대를 이끌고 참전한다.[1]
코르막 콘드 롱가스: 콘코바르 막 네사의 아들이자 페르구스 막 로크의 양아들. 두 아버지의 싸움을 말리고, 페르구스의 분노를 가라앉힌다.
4. 역사적, 문화적 배경
「쿠얼릉거의 소도둑」은 중세 아일랜드 문학의 초기 작품으로, 8세기경에 이미 구전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19] 이 작품은 고대 아일랜드 사회의 모습, 특히 부족 간의 갈등과 전쟁, 영웅 숭배 사상 등을 반영하며, 켈트 신화의 다양한 신들과 영웅들이 등장한다.
이야기는 여러 ''렘스켈라''라는 선행담으로 시작하는데,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배경 정보, 얼스터의 특정 인물들이 코노트 진영에 있게 된 이유, 얼스터인들이 싸울 수 없게 만드는 저주, 황소 돈 쿠알링게와 핀벤나크의 마법적 기원을 설명한다. 토마스 킨셀라의 1969년 번역본에 포함된 8개의 ''렘스켈라''는 ''타인'' 자체의 일부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시기의 여러 원고에서 유래했다.
아릴과 메브가 크루아한에 군대를 소집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제1차 개정판과 달리, 제2차 개정판은 아릴과 메브가 각자의 재산을 비교하다 아릴 소유의 비옥한 황소 핀벤나크가 유일한 차이점임을 발견하는 서문으로 시작한다. 핀벤나크는 원래 메브의 소유였으나 여자가 소유하는 것을 경멸하여 아릴에게 옮겨갔고, 메브는 남편과 대등해지기 위해 쿨리에서 돈 쿠알링게를 얻기로 결심한다.
메브는 다이레 막 피아크나와 협상하여 1년간 돈 쿠알링게를 빌리기로 하지만, 사자들의 술주정으로 거래가 무산된다. 메브는 페르구스 막 로이흐가 이끄는 얼스터 망명자들과 동맹군을 일으켜 돈 쿠알링게를 차지하러 나선다.
얼스터 남자들은 마하의 저주로 인한 질병으로 무력화되고,[1] 쿠 훌린만이 레그의 도움을 받아 게릴라전과 여울목에서의 단독 전투로 코노트 군대의 진격을 저지한다.
쿠 훌린은 투아하 데 다난 신족의 도움과 방해를 동시에 받는다. 모리건의 사랑 제안을 거절한 후, 그녀의 방해로 상처를 입지만, 늙은 여자로 변신한 모리건에게 우유를 얻어 마시고 축복을 통해 상처를 치유받는다.
고된 전투 후 루의 치유 마법으로 3일간 잠든 쿠 훌린은 깨어난 후 ''리아스트라드''를 겪고 코노트 진영을 공격한다. 이후 단독 전투가 재개되지만, 메브는 합의를 어기고 여러 명을 동시에 보내 쿠 훌린을 공격한다. 메브는 페르디아드를 부추겨 쿠 훌린과 싸우게 하고, 시인들의 조롱과 핀나바르의 결혼, 그리고 "친절한 허벅지"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한다. 쿠 훌린은 의붓형제 페르디아드를 가에 볼가로 죽인다.
콘코바르 막 네사 왕을 필두로 얼스터인들이 깨어나 전투에 참여하고, 코르마크 콘드 롱가스는 페르구스를 막지만, 페르구스는 분노하여 언덕 꼭대기를 잘라낸다. 쿠 훌린은 페르구스에게 약속을 지키도록 강요하고, 페르구스는 병력을 철수시킨다. 메브는 후퇴하고, 쿠 훌린은 생리 중인 메브를 살려주고 후퇴를 돕는다.
메브는 돈 쿠알링게를 코노트로 데려가지만, 돈 쿠알링게는 핀벤나크와 싸워 죽이고 자신도 치명상을 입은 채 아일랜드 전역을 돌아다니다 죽는다.
20세기 초 아일랜드 독립운동 시기에는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4. 1. 판본
「쿠얼릉거의 소도둑」은 세 가지 주요 판본이 보존되어 있다. 제1판본은 11세기 말~12세기 초에 쓰여진 『회갈색 암소의 서』와 14세기에 쓰인 『라칸의 황색서』에 보존되어 있으며, 두 책의 내용을 조합하면 전체 이야기가 완성된다. 제2판본은 12세기에 쓰인 『라긴의 서』에서 발견된다. 제3판본은 불완전하며, 12세기의 필사본 파편들에 실려 있다. 보존된 문헌들의 시기는 이렇지만, 「쿠얼릉거의 소도둑」 이야기는 8세기경에 이미 완성되어 이후 12세기에 채록될 때까지 구전된 것으로 여겨진다.[19]로마나스 불라토바스는 '''《타인》'''이 원래 630년에서 670년 사이에 방고르 수도원에서 쓰여졌다고 믿지만,[3] 기록되기 훨씬 전부터 훨씬 오래된 구전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고 언급했다.
9세기의 아일랜드 삼자시는 기록된 이야기가 존경받았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타인》'''을 "그 대신 'cuilmen' [분명히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어원집'''의 이름]이 아일랜드에 왔고, 죽은 자가 산 자에게 그것을 전했는데, 즉 페르구스 막 로이흐가 코르막 막 파엘란 시대에 시인 닌니네에게 그것을 암송했으며, 그것을 전해준 자에게는 1년 동안의 보호가 주어졌다."라는 경이로움과 연관시킨다.[7]
가장 초기의 기록이 쓰여진 이후 여러 세기에 걸쳐 구전 전통에서 다양한 버전의 서사시가 수집되었다. '''《타인》'''의 한 버전은 민속 수집가 칼럼 맥클린이 아우터 헤브리디스의 사우스 유이스트 출신의 소작농이자 ''세안차이''(이야기꾼)인 앤거스 비그 맥렐란의 구술을 받아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기록했으며, 1959년에 필사본이 출판되었다.[5]
제1고본은 클론맥노이스 수도원에서 편찬된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의 사본 『붉은 암소의 서』(''Lebor na hUidre'')의 일부와 『레칸의 황서』(''Yellow Book of Lecan'')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 두 원고는 일부 중복되며, 조합하면 완전한 텍스트를 재구성할 수 있다. 중복되는 에피소드가 있다는 점과 "다른 판"에 대한 언급이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 고본은 2개 이상의 더 오래된 판을 편집한 것으로 여겨진다.[11]
제2고본은 『렌스터의 서』로 알려진 12세기의 사본에 포함되어 있다. 서기 시에 『붉은 암소의 서』와 『레칸의 황서』의 현존하지 않는 기술을 통합하여 일관된 서사시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제3고본은, 더 후세에 쓰여진 사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불완전한 것이다.[12]
5. 현대적 수용
19세기에는 브라이언 오로니가 1870년대에 번역한 《타인 보 쿠알르nge》(Táin Bó Cualnge)가 있는데, 이는 트리니티 칼리지 도서관의 레스터서를 기반으로 한다.[1] 존 오달리도 1857년에 번역했지만, 졸작으로 여겨진다.[2] 20세기 초 최초의 영어 번역본은 L. 위니프레드 패러데이가 1904년에 레보르 나 후이드레와 옐로 북 오브 레칸을 바탕으로 제공했으며, 에른스트 빈디쉬의 독일어 번역본도 비슷한 시기에 레스터서를 기반으로 출판되었다.[3]
19세기 말에는 스탠디시 헤이즈 오그래디가 《The Cuchullin Saga》(편집 엘리너 헐, 1898)에서 레스터서 발췌 부분과 해설을 포함하여 출판했다.[3] 레이디 그레고리의 《무르템네의 쿠 훌린》(1903)도 이 이야기의 의역본을 담고 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쿠 쿨린에 초점을 맞춘 여러 작품들이 출판되었는데, 《얼스터의 사냥개 쿠 쿨린》(E. Hull, 1911), 《던 딜간, 쿠 쿨린의 고향 요새》(H.G. 템페스트, 1910), 《무르템네의 쿠 쿨린》(A.M. 스켈리, 1908), 《쿠쿨린의 등장》(S. O'Grady, 1894) 등이 있다. 같은 시기에 W. B. 예이츠, 오브리 토마스 드 베어, 앨리스 밀리건, 조지 시거슨, 사무엘 퍼거슨, 찰스 레너드 무어, 피오나 맥클라우드의 작품들과 스코틀랜드 민요 버전 등 여러 산문 작품들이 이 이야기를 기반으로 삼거나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4]
1914년, 조셉 던은 주로 레스터서를 기반으로 한 《고대 아일랜드 서사시 타인 보 쿠알르nge》(The Ancient Irish Epic Tale Táin Bó Cúalnge)를 집필했다.[5] 세실 오라힐리는 《레스터서에서 발췌한 타인 보 쿠알르nge》(Táin Bó Cúalnge from the Book of Leinster, 1967), 《타인 보 쿠알르nge, 초판》(Táin Bó Cúailnge Recension 1, 1976), 《타인 보 쿠알르nge의 스토 버전》(The Stowe version of Táin Bó Cuailnge, 1961) 등 두 텍스트의 학술 편집/번역본을 출판했다.
토마스 킨셀라의 《타인》(The Táin, 1969)과 키아란 카슨의 《타인》(The Táin, 2007)은 대중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두 아일랜드 시인의 번역본이다. 두 작품 모두 주로 첫 번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고 두 번째 텍스트에서 구절을 추가했지만, 자료 선택과 배열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킨셀라의 번역본에는 루이 르 브로키의 삽화(루이 르 브로키 타인 삽화 참조)와 여러 《렘스켈라》 번역본이 포함되어 있다.
페아더 우어 라오게르는 이 작품을 클로젯 드라마로 각색하여 《Cork Weekly Examiner》(1900–1)에 연재했다.[6] 몇몇 작가들은 원본을 삭제했는데, 예를 들어 쿠 쿨린을 달래기 위해 보내진 벌거벗은 여성들은 빅토리아 시대 대부분의 각색가들에 의해 생략되거나 노출 정도가 줄어들었다.[7] 페아더 우어 라오게르가 각색한 연극 《"메이브"》에는 금주 메시지가 담겨 있었는데, 황소 갈등을 코나흐트 사자들의 술 취함 탓으로 돌렸다.[7]
1973년, 아일랜드 켈트 록 밴드 호스립스는 쿠 훌린, 코나크의 여왕 메브, 페르디아 등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재구성한 개념 앨범 ''타인''을 발매했다.
2004년, 인디 록 밴드 디셈브리스트는 타인 보 쿠얼릉거의 이야기를 느슨하게 재구성한 5부작 싱글 ''타인''을 발매했다.
일본어 번역본도 몇 가지 있지만, 모두 영어에서 중역한 것이며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직접 번역한 것은 아직 없다.
- 키아란 카슨, 쿠키 노부아키 역 『토잉 쿠알룽게의 소 잡이』 도쿄소겐샤, 2011년. ISBN 4488016510. (키아란 카슨 역에서 중역)
- 콜만 오라할리 『토인 쿠알룽게의 소도둑과 쿠훌린의 이야기』 아일랜드 퓨샤 나라 서점, 2014년. ISBN 4990679601. (콜만 오라할리의 만화화 일본어 번역)
6.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
「쿠얼릉거의 소도둑」은 권력자의 탐욕과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권력층의 잘못된 판단과 이기심이 백성들에게 어떤 고통을 안겨주는지, 그리고 전쟁이 얼마나 참혹한 결과를 초래하는지 경고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작품은 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 그리고 평화와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 작품에 등장하는 영웅 쿠 훌린의 모습은 진정한 리더십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다. 쿠 훌린은 개인적인 용맹과 희생정신을 보여주지만, 때로는 광기와 파괴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한다. 이는 리더가 갖춰야 할 자질과 더불어, 영웅주의의 한계와 위험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각색가들은 정치적인 이유(아일랜드 민족주의) 또는 신체 기능이나 성관계에 대한 독자들의 감성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야기의 일부 측면을 생략했다.[8] 19세기와 20세기 작가들은 탈식민주의 과정(영국으로부터)의 일환으로 아일랜드 신화를 창조하기 위해 원본 텍스트를 사용했으며, 쿠 쿨린을 적절한 영웅적인 모습으로 보여주지 않는 요소(성행위, 신체 기능, 유머)를 삭제했다.[8]
몇몇 작가들은 원본을 삭제했다. 예를 들어, 쿠 쿨린을 달래기 위해 보내진 벌거벗은 여성들은 빅토리아 시대의 대부분의 각색가들에 의해 생략되거나, 그들의 노출 정도가 줄어들었다.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목적에 맞게 이야기를 해석했는데, 페아더 우어 라오게르가 각색한 작품 중 하나인 연극 《"메이브"》에는 금주에 대한 메시지가 담겨 있었는데, 황소에 대한 갈등을 코나흐트 사자들의 술 취함 탓으로 돌렸다.
참조
[1]
간행물
The Pangs of the Ulstermen: An Exchangist Perspective
[2]
웹사이트
The Muster of the Men of Erin
http://adminstaff.va[...]
[3]
간행물
The connachta of Táin Bó Cúailnge
https://www.academia[...]
[4]
서적
Language and literature in 1169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Stories from South Uist: Told by Angus MacLellan
Birlinn Books
[6]
문서
[7]
서적
Táin Bó Cuailnge
Santa Barbara: ABC-CLIO
[8]
review
Maria Tymoczko 'Translation in a Postcolonial Context'
https://newspapers.b[...]
2002-03-01
[9]
서적
The Irish Ulysses
[10]
서적
The Legend of Cú Chulainn: Exploring Organization Theory's Heroic Odyssey
Oxford University Press
[11]
문서
[12]
서적
Táin Bó Cuailnge
Santa Barbara: ABC-CLIO
[13]
서적
Language and literature in 1169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scribd.c[...]
2017-09-17
[15]
인용
Celtic Mythology A to Z
Chelsea House
[16]
인용
The Pangs of the Ulstermen: An Exchangist Perspective
[17]
문서
[18]
서적
The Táin
Oxford University Press
[19]
인용
Táin Bó Cuailnge
Santa Barbara: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