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큐로쿠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큐로쿠섬은 일본해상에 위치한 무인도로, 아오모리현 후카우라정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위의 섬", "아래 섬", "지부의 섬" 세 개의 암초로 이루어져 있다. 16세기부터 어장으로 알려졌으며, 1953년 아오모리현에 귀속되었고, 1959년 큐로쿠섬 등대가 설치되었다. 이 섬은 과거 일본강치의 번식지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어류와 고래류가 서식하는 곳으로, 낚싯배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모리현의 섬 - 벤텐섬 (오마정)
    벤텐섬 (오마정)은 일본 아오모리현 오마정에 위치하며, 1864년 영국 상선 좌초 사고와 오마자키 등대 설치 역사를 가지고 벤자이텐 신앙과 관련된 문화적 특징을 나타낸다.
  • 아오모리현의 섬 - 다이지마섬 (아오모리현)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속한 다이지마는 무쓰만에서 떨어진 두 개의 섬으로, 헤엄치는 참돔과 유사한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주변 해역은 보호 해양 공원으로 지정되어 시모키타 한토 준국립공원에 포함되고, 뛰어난 해중 경관과 대구 어장으로도 알려져 있다.
  • 동해의 섬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동해의 섬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일본의 무인도 - 벤텐섬 (왓카나이시)
    벤텐섬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으며 바다표범의 주요 서식지이나, 현재는 개체 수 증가로 어업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 일본의 무인도 - 오스콜키섬
큐로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규로쿠지마 (久六島)
위치일본해
규로쿠지마 섬 항공 사진
규로쿠지마의 항공 사진
지리
위치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
면적알려지지 않음
해안선 길이알려지지 않음
최고 높이4.7 m
인구
인구0명
기타 정보

2. 지리

큐로쿠섬은 아오모리현 후카우라정 헤나시[1]에서 서쪽으로 약 30km 떨어진 일본해 상에 있는 무인도이다. "위의 섬", "아래 섬", "지부의 섬"의 세 암초[16][17]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시로항에서 배로 약 1시간 거리에 있다.[8]

이 중 가장 큰 섬은 "위의 섬"으로, 1959년에 운용을 시작한 큐로쿠섬 등대가 있다.[19] 큐로쿠섬은 3개의 암초를 통칭하지만, 등대가 있는 "위의 섬"을 "큐로쿠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8][33]

"지부의 섬"은 "세탁 바위"라고도 불리며, 높이가 1m가 안 되는 바위로, 특히 일본해 중부 지진 이후에는 파도에 보였다 안 보였다 한다.[21]

큐로쿠섬은 해저 화산의 정상이 해수면에 나타난 것이다. 주변 해저 지형은 과거 산체 붕괴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말굽형 칼데라가 화산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섬 서쪽 약 50km에 걸쳐 나류산이 점재하고 있다.[22][23]

2. 1. 지형

큐로쿠섬을 이루는 화산은 약 332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해수면 위에 드러난 암석은 어두운 색의 알칼리성 현무암과 노란색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큐로쿠섬은 주변 해저에서 약 1000m 솟아오른 말굽 모양의 칼데라 봉우리이며, 시라카미산지의 이와키산과 유사하다.

1983년 일본해 중부 지진으로 큐로쿠섬은 약 30~40cm 침강했고,[33] 이로 인해 노출되었던 암석 중 하나는 물에 잠겨 보이지 않게 되었다.[27]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큐로쿠섬의 높이는 1894년 약 5.7m, 1934년 약 5.4m, 1964년~1982년 평균 약 5.3m였다. 이는 1983년 지진 이전까지 90년 동안 섬이 조금씩 침강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섬에는 높이 약 3m와 1~1.5m 지점에 과거 해식단으로 추정되는 평탄면이 발달해 있다. 해수면 변화를 고려하면 과거 수천 년 동안 섬의 총 침강량은 적거나, 오히려 섬이 융기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21]

3. 역사

큐로쿠섬은 16세기부터 큐로쿠라는 어부가 섬에 난파되면서 큐로쿠섬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이후 어장으로 알려져 있었다.[5] 1855년에 영국의 HMS 비턴 호 선원들이 바다사자들로 덮인 섬들을 발견하고 비턴 록스(Bittern Rocks)라고 명명하면서 처음 유럽인들에게 발견되었다.[6]

1886년 일본 수로부는 "환영(寰瀛) 수로지·제1권 하"를 발행하여 큐로쿠섬은 Bittern Rocks가 아닌 "큐로쿠초도"로 영국의 자료를 번역하여 기재하였다. 이로 보아 이미 현지에서는 큐로쿠섬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21]

메이지 시대에는 "자석석"자석석일본어이라고 불렸으며, 큐로쿠섬에 어업을 하러 갔다가 무사히 돌아온 배는 드물다고 전해졌다.[17] 니시츠가루군 사람들은 섬을 발견한 큐로쿠가 이 섬에 어업을 하러 가려다 조난당했다는 전설 때문에 탐험을 시도하려 하지 않았다.[28] 다만, 오가 반도의 어민들은 때때로 우연히 바람의 영향으로 큐로쿠섬으로 떠밀려가 그곳에서 많은 어획을 올리기도 했다.[28]

1959년 10월 20일, 20m 높이의 무인 등대가 가동되었고, 조명 범위는 7.5km이다.[7]

3. 1. 지명 유래

지명은 섬을 발견한 사람의 이름[8]이나, 섬에서 조난당했다가 구조된 어부의 이름[24]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발견자의 이름은 오야 쿠로쿠(大屋久六)로 알려져 있지만, 이 인물과 발견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18세기 항해 지도에는 '초로(長ろ)'라는 이름으로 실려있는 것도 있다[8]

  • 덴쇼 연간(1573년 - 1592년)[25]에 '큐로쿠(久六)'라 불리는 오야 시게자에몬(大屋重左衛門)에 의해 발견되었다는 설이 있다. 오야 시게자에몬은 시치노헤 출신의 무사로, 모리야마(현재의 후카우라정 모리야마)에서 오노 사에몬을 섬겼으며, 수군의 중심인물이었다고 한다. 그는 배를 탈 때 '큐로쿠'라고 불렸다.
  • 후카우라정 마쓰가미 지역에 겐로쿠 시대부터 이어져 온 옛 가문[8]의 오야 가문에는, 2대 당주(1714년 사망, 시치노헤 큐로쿠)와 6대 당주(1786년 사망)에 '큐로쿠'가 있었으며, 큐로쿠섬에 관한 그림이 전해지고 있다[8]. 이 오야 가문은 초대부터 쓰가루 번의 길잡이로서 마쓰마에에서 니가타에 걸쳐 교역에 종사했다고 한다. 이 가문의 14대 당주 오야 주베는 '큐로쿠섬'의 발견은 2대 시치노헤 큐로쿠 때가 아닐까 추정한다.
  • 오야 가문의 6대 오야 큐로쿠가 섬을 발견하고 암초에 '큐로쿠'라고 이름을 새겼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1700년대 이후, 전국 항로의 개요를 나타낸 목판 인쇄 안내서가 오사카와 에도에서 발행되어 항해 관계자들 사이에 널리 퍼졌다. 이들 중 큐로쿠섬은 '초로'나 '초로'로 소개되었다. 1767년의 '북해 미나토 방각 지도'에는 '초로'라는 섬이 기재되어 있다. 메이지 6년 이후 판을 거듭한 '신증 · 일본 항로 세견기'에서는 항로에서는 '초로'로 기재되어 있지만, '해상 승차 구분'에서는 '장로(長路)'로 표기되어 '나가지'라는 후리가나가 붙어 있다. 연대가 불명확하지만, 후쿠이현 가가시의 요모 마사오 가문에는 항로를 직선으로 나타낸 약도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큐로쿠섬에 해당하는 부분에 '장육(長六)'이라고 기재되어 있다[21].

큐로쿠섬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영국의 조사선 비턴 호와 사라센 호의 1855년 조사 이후이다. 이때 큐로쿠섬은 Bittern Rocks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이 자료는 1867년 가쓰 가이슈에 의해 '대일본국 연해 약도'로 번역, 인쇄되었으며, '교작암(鵁鵲岩) 18피트'라고 적혀 있다[21].

1886년 일본 수로부는 "환영(寰瀛) 수로지·제1권 하"를 발행하여 큐로쿠섬은 Bittern Rocks가 아닌 "큐로쿠초도"로 영국의 자료를 번역하여 기재하였다. 이로 보아 이미 현지에서는 큐로쿠섬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다[21].

메이지 시대, 이 작은 암초는 "자석석"이라고 불렸으며, 큐로쿠섬에 어업을 하러 갔다가 무사히 돌아온 배는 드물다고 전해졌다.[17] 섬을 발견한 큐로쿠가 이 섬에 어업을 하러 가려다 조난당했다는 전설 때문에 니시츠가루군 사람들은 탐험을 시도하려 하지 않았다.[28]

3. 2. 어업 분쟁과 귀속 문제

오호츠크 넙치, 전복, 다시마가 풍부했기 때문에, 19세기 말부터 큐로쿠섬의 어업권을 둘러싸고 아오모리현아키타현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5] 1891년에는 아오모리현이 단독으로 어업권을 얻었다가 항의를 받고 취소되는 사건도 있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 새로운 어업법이 시행되면서 어업권 재편성이 이루어졌고, 큐로쿠섬 어업권을 둘러싼 문제가 다시 부상했다.[29] 1951년, 아오모리현과 아키타현은 각각 큐로쿠섬을 자현에 편입하려 했으나, 일본국 정부는 양측의 편입을 인정하지 않고 공동 어업권을 인정하는 결정을 내렸다.[29]

1952년, 아오모리현의 어업 단속선이 아키타현 어선에 포위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양측은 서로를 고소하는 등 법적 분쟁으로 이어졌다.[29]

1953년, 등거리선주의에 따라 큐로쿠섬은 아오모리현에 귀속되었지만,[17] 아키타현의 어선에도 어업권이 인정되었다.[17] 같은 해 8월에는 "큐로쿠섬 주변 어업에 관한 어업법 특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큐로쿠섬 주변 해역의 어업 관리는 농림수산대신이 담당하게 되었다.[32]

4. 생태

섬 주변은 쥐노래미, 참다랑어, 참돔, 방어, 북극해산 갈치, 소라, 전복 등 어류가 풍부하다. 큐로쿠섬은 일본강치의 마지막 생존 기록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장소 중 하나이며, 독도 외 번식지 중 하나로 1950년대까지 소수의 번식이 확인되었다. 그 외 해양 포유류로는 참고래, 범고래, 돌고래 등 현재는 제한적인 고래류[34]바다사자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큐로쿠섬은 쓰가루 국정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5. 교통

큐로쿠섬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낚싯배를 전세내는 것이다. 후카우라에서 섬까지는 약 2시간이 걸린다. 무인도이므로 정기 항로는 없으며, 어선을 전세낼 필요가 있다.[1]

6. 기타

(주어진 결과물과 원본 소스가 동일하여 수정할 내용이 없음)

6. 1. 소속

참조

[1] 웹사이트 場所・気候 https://www.pref.aom[...] Aomori Prefecture Government 2020-05-20
[2] 웹사이트 About : 久六島西方海底火山 / Submarine Volcano West of Kyuroku Jima https://www.mirko.jp[...] 公共オープンデータ 2020-07-12
[3] 뉴스 日本の領海広げる久六島ルポ 地震で小さく https://www.asahi.co[...] 2014-07-11
[4] 논문 Pliocene alkali basalt from Kyuroku-shima Island, northeast of Japan Sea https://www.jstage.j[...] 1990
[5] 웹사이트 久六島 https://kotobank.jp/[...] Kotobank 2020-07-12
[6] 서적 The Fur Seals and Fur-Seal Islands of North Pacific Ocean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98
[7] 웹사이트 久六島灯台 https://www.kaiho.ml[...] MLITT Japan 2020-07-12
[8] 웹사이트 久六島 http://imagic.qee.jp[...] 2019-04-27
[9] 웹사이트 地理院地図 https://maps.gsi.go.[...] 2022-05-03
[10] 웹사이트 艫作崎 https://kotobank.jp/[...] 2022-05-03
[11] 웹사이트 艫作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22-05-03
[12] 웹사이트 舮作簡易郵便局 (へなしかんいゆうびんきょく) https://map.japanpos[...] 日本郵便 2022-05-03
[13] 웹사이트 艫作埼灯台 https://www.kaiho.ml[...] 青森海上保安部 2022-05-03
[14] 웹사이트 新深浦町漁業協同組合 艫作支所 http://www.amgyoren.[...] 青森県漁業協同組合連合会 2022-05-03
[15] 웹사이트 久六島 https://kotobank.jp/[...] 2019-04-27
[16] 서적 日本水路誌 第4巻 水路部
[17] 문서 1989
[18] 웹사이트 久六島 https://kotobank.jp/[...] 2019-04-27
[19] 웹사이트 久六島灯台 https://www.kaiho.ml[...] 青森海上保安部 2019-04-29
[20] 웹사이트 離島の測量(高さ)の基準となる点一覧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 2019-04-28
[21] 문서 久六島の高度について 1984
[22] 논문 日本海東縁部の3D海底地形 http://www1.kaiho.ml[...] 海上保安庁 2014
[23] 논문 日本海及びその周辺の地形データの統合と赤色立体地図 https://doi.org/10.5[...] 2016
[24] 웹사이트 久六島 https://kotobank.jp/[...] 2019-04-27
[25] 웹사이트 生涯学習フォーラム 宝の島を知る http://www.town.fuka[...] 2018-04-27
[26] 웹사이트 久六島 https://kotobank.jp/[...] 2019-04-27
[27] 웹사이트 日本の領海広げる久六島ルポ 地震で小さ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9-04-28
[28] 문서 『新秋田叢書11巻』p.409他 石井忠行 伊頭園茶話29巻、30巻
[29] 서적 青森県の事件55話 北方新社
[30] 웹사이트 法律第三百六号(昭二七・八・一五)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9-04-26
[31] 웹사이트 参議院会議録情報 第013回国会 地方行政委員会 第49号 https://kokkai.ndl.g[...] 参議院 2019-04-26
[32] 웹사이트 法律第二百五十三号(昭二八・八・二七) https://www.shugiin.[...] 衆議院 2019-04-26
[33] 논문 1983年日本海中部地震による久六島の沈下 https://doi.org/10.4[...] 1985
[34] 웹사이트 男鹿半島 - 秋田県のダイビングポイント http://www8.ocn.ne.j[...] ダイビングプロショップ・シートピア 2015-01-14
[35] 웹사이트 ニホンアシカ 生物多様性センター http://www.biodic.go[...]
[36] 논문 自由集会報告(日本哺乳類学会1995年度大会自由集会の報告),1995年度ニホンアシカ談話会 https://doi.org/10.1[...]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