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산 나트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산 나트륨은 화학식 Na₂SO₄를 갖는 무기 화합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1625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글라우버염으로도 불린다. 무수물은 건조제로, 10수화물은 완하제로 사용되며, 유리 제조, 세탁 세제 충전재, 섬유 염색 등에도 활용된다. 또한, 식품 첨가물(E514)로 사용되며, 열 저장 매체로도 활용될 수 있다. 황산 나트륨은 일반적으로 무독성으로 간주되지만,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운송에는 제한이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산염 - 황산 칼슘
    황산 칼슘은 칼슘의 황산염으로 수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건설, 식품, 치의학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광물이다.
  • 황산염 - 황산 구리
  • 나트륨 화합물 - 몬모릴로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는 층상구조 점토광물로 이온 교환 능력과 높은 수분 흡수력을 가지며, 토목공학, 유화 작용, 티크소트로피 등의 특징을 보이고, 알칼리성 토양 및 열수 변질 작용으로 생성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와 환경 정화에 활용되며 인체 건강 및 환경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나트륨 화합물 - 염화 나트륨
    염화 나트륨은 염화물 이온과 나트륨 이온으로 구성된 백색 고체 이온 결정으로, 짠맛을 내며 융점은 800.4℃이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겨울철 제설에도 활용되는 정염의 일종이다.
황산 나트륨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황산 나트륨 결정
무수 황산 나트륨의 결정
황산 나트륨 구조
황산 나트륨
IUPAC 이름황산 나트륨
다른 이름황산 소듐
다이소듐 설페이트
황산 소다
테나르다이트(무수 광물)
글라우버 염(십수화물)
sal mirabilis(십수화물)
미라빌라이트(십수화물 광물)
화학식Na₂SO₄
몰 질량142.04 g/mol (무수물)
몰 질량 (수화물)322.20 g/mol (십수화물)
외형흰색 결정성 고체
특성흡습성
냄새무취
물리적 성질
밀도2.664 g/cm³ (무수물)
밀도 (수화물)1.464 g/cm³ (십수화물)
물에 대한 용해도무수물:
물에 대한 용해도 (0°C)4.76 g/100 mL
물에 대한 용해도 (25°C)28.1 g/100 mL
물에 대한 용해도 (100°C)42.7 g/100 mL
물에 대한 용해도 (수화물)칠수화물:
물에 대한 용해도 (0°C, 수화물)19.5 g/100 mL
물에 대한 용해도 (20°C, 수화물)44 g/100 mL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에탄올에 불용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 (가용성)글리세롤, , 아이오딘화 수소에 용해
녹는점884 °C (무수물)
녹는점 (수화물)32.38 °C (십수화물)
끓는점1429 °C (무수물)
굴절률1.468 (무수물)
굴절률 (수화물)1.394 (십수화물)
자기 감수율−52.0·10⁻⁶ cm³/mol
구조
결정 구조사방정계(무수물)
결정 구조 (수화물)단사정계(십수화물)
약리학
ATC 코드A06AD13
위험성
MSDSICSC 0952
주요 위험자극제
NFPA 704건강: 1
화재: 0
반응성: 0
인화점불연성
관련 화합물
다른 음이온셀렌산 나트륨
텔루르산 나트륨
다른 양이온황산 리튬
황산 칼륨
황산 루비듐
황산 세슘
관련 화합물중황산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
과황산 나트륨
피로황산 나트륨

2. 역사

황산 나트륨의 10수화물은 1625년 오스트리아의 샘물에서 이를 발견한 네덜란드-독일의 화학자이자 약사요한 루돌프 글라우버(1604–1670)의 이름을 따서 글라우버염이라고 알려져 있다.[4][5] 그는 이 결정이 일반적인 하제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그 약효 때문에 sal mirabilis|기적의 소금la이라고 명명했다. 1900년대에 더 정교한 대안이 나오기 전까지 말이다. 그러나 J. 쿤켈은 16세기 중반부터 작센에서 비밀 의약품으로 알려져 있었다고 주장했다.[6]

18세기에 글라우버염은 탄산 칼륨과의 반응을 통해서 산업용 탄산 소다(탄산 나트륨)의 원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탄산 소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황산 나트륨의 공급도 증가해야 했다. 따라서 19세기에 인공 황산 나트륨을 주요 중간체로 생산하는 대규모의 르블랑 공정이 탄산 소다 생산의 주요 방법이 되었다.[7]

3. 화학적 성질

황산 나트륨은 전형적인 이온성 황산염이다. 용액에서 자유 황산염 이온의 존재는 Ba2+ 또는 Pb2+ 염으로 처리할 때 불용성 황산염이 쉽게 형성됨으로써 나타난다.

:[8]

대부분의 산화제 또는 환원제에 대해 비활성이다. 고온에서 탄소 열 환원(숯과 함께 고온 가열 등)에 의해 황화 나트륨으로 전환될 수 있다.

:[8]

이 반응은 르블랑 공정에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폐지되었다.

황산 나트륨은 황산과 반응하여 산성 염인 황산수소나트륨을 생성한다.

:[9][10]

복염을 형성하는 경향이 중간 정도이다. 일반적인 삼가 금속과 형성되는 유일한 명반은 NaAl(SO4)2 (39 °C 이상에서 불안정) 및 NaCr(SO4)2이며, 많은 안정적인 명반을 형성하는 황산 칼륨황산 암모늄과는 대조적이다.[11] 아프티탈라이트 광물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Na2SO4·3K2SO4를 포함하여 다른 일부 알칼리 금속 황산염과의 복염이 알려져 있다. 황산 나트륨과 염화 칼륨의 반응에 의한 글라제라이트의 형성은 비료황산 칼륨을 생산하는 방법의 기초로 사용되었다.[12]

4. 물리적 성질

황산 나트륨은 물에서 특이한 용해도 특성을 보인다.[14] 0°C에서 32.384°C 사이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는 10배 이상 급격히 증가하며, 이 온도에서 100mL 당 49.7g으로 최대가 된다. 이 지점에서 용해도 곡선의 기울기가 바뀌고, 용해도는 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32.384°C는 결정수를 방출하고 수화된 염이 녹는 온도로, 온도계 보정의 정확한 온도 기준으로 사용된다.

물에 대한 Na2SO4 용해도 온도 의존성


물에 대한 용해도와 수온의 관계. 짙은 남색(Na2SO4)이 황산 나트륨의 용해도이다. 32.38 ℃를 경계로 꺾여 있다.


상압에서 무수 황산 나트륨의 녹는점은 884°C이며, 상온에서는 무색이고 비중 2.698의 고체로 존재한다. 물에 녹으며,[34] 수용액은 중성을 나타낸다.[34]

황산 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을 상온에서 결정화하면, 황산 나트륨 10수화물(Na2SO4·10H2O)이 얻어진다. 건조 조작을 하지 않으면 이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10수화물은 '''망초'''[32], '''글라우버 염'''[33], '''Mirabilite영어'''[35]라고도 불린다. 10수화물의 비중은 1.464이며, 상온 상압에서는 무색 고체로 존재하며, 물에 녹는다. 전이 온도인 32.38°C에서 수화수가 결정수가 된다. 수화물을 건조한 공기 중에 방치하면 풍해되지만[36], 무수물을 습한 공기 중에 방치하면 수화물이 된다.[34]

황산 나트륨은 물에 대한 용해도의 온도 의존성이 특징적이며, 10수화물과 무수물에서 그 거동이 다르다. 10수화물은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용해도가 증가하는 반면, 무수물은 수온 상승에 따라 용해도가 감소한다. 황산 나트륨의 용해도는 32.38°C까지는 계속 올라가지만, 더 높은 온도로 하면 조금씩 낮아진다. 이는 저온 영역에서는 10수화물이, 고온 영역에서는 무수물이 석출되기 때문이다.

4. 1. 구조

십수화물의 결정은 팔면체 분자 구조를 가진 [Na(OH2)6]+ 이온으로 구성된다. 이 팔면체는 가장자리를 공유하며 10개의 물 분자 중 8개는 나트륨에 결합되고 다른 2개는 간극에 위치하며, 황산염과 수소 결합을 이룬다. 이러한 양이온은 수소 결합에 의해 황산염 음이온과 연결된다. Na-O 거리는 약 240 pm이다.[15] 결정성 황산나트륨 십수화물은 또한 6.32 J/(K·mol)의 측정 가능한 잔여 엔트로피 (절대 영도에서의 엔트로피)를 갖는다는 점에서 수화된 염 중에서 특이하다. 이는 대부분의 수화물에 비해 물을 훨씬 더 빠르게 분산시키는 능력 때문으로 여겨진다.[16]

5. 생산

황산 나트륨은 천연 광물에서 얻거나 화학 공정의 부산물로 생산된다. 전 세계 황산나트륨(십수화물 형태) 생산량은 연간 약 550만~600만 톤에 달한다. 1985년에는 450만 톤이었으나, 2000년 이후 2006년까지 자연 생산량은 증가하고 화학 생산량은 감소하여 총 550만~600만 톤을 유지하고 있다.[17][18][19][20]

염화 나트륨과 진한 황산을 가열하거나, 탄산 나트륨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황산으로 중화하면 황산 나트륨을 얻을 수 있다.

공업적으로는 수산화 나트륨과 황산을 반응시키거나, 유황 산화물이 포함된 배연을 수산화 나트륨으로 탈황하여 제조한다. 레이온이나 브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순도 황산 나트륨 수용액을 정제 및 증류하여 제조하기도 한다.[37]

5. 1. 천연 생산

세계 데카하이드레이트(글라우버염) 생산량의 3분의 2는 미라빌라이트 천연 광물 형태로 생산되는데, 예를 들어 서스캐처원주 남부의 호상 퇴적층에서 발견된다. 1990년에는 멕시코스페인이 천연 황산나트륨의 주요 생산국으로 각각 약 50만ton을 생산했으며, 러시아, 미국, 캐나다가 각각 약 35만ton을 생산했다.[18] 천연 자원은 10억 톤 이상으로 추정된다.[17][18]

2006년 연간 20만ton~150만ton의 주요 생산 업체는 다음과 같다.[17][19]

생산업체국가 및 생산 지역
Searles Valley MineralsSearles Valley Minerals|설즈 밸리 미네랄스영어 (미국 캘리포니아주)
Airborne Industrial Minerals에어본 인더스트리얼 미네랄스 (캐나다 서스캐처원)
Química del ReyQuímica del Rey|키미카 델 레이es (멕시코 코아윌라)
Minera de Santa Marta 및 Criaderos Minerales Y Derivados (Grupo Crimidesa|그루포 크리미데사es)(스페인 부르고스)
Minera de Santa Marta미네라 데 산타 마르타 (스페인 톨레도)
Sulquisa술키사 (스페인 마드리드)
청두 산롄 톈취안 화학 (Chengdu Sanlian Tianquan Chemical)(중국 쓰촨성 톈취안 현)
훙저 인주 화학 그룹 (Hongze Yinzhu Chemical Group)(중국 장쑤성 홍저 구)
南风化工|남풍화공중국어 (Nafine Chemical Industry Group)(중국 산시)
쓰촨성 촨메이 미라빌라이트 (Sichuan Province Chuanmei Mirabilite)(중국 쓰촨성 메이산 둥포 구 万胜镇|완성전중국어)
쿠추크술파트 JSC (Kuchuksulphat JSC)(러시아 시베리아 알타이 지방)



무수 황산나트륨은 건조한 환경에서 테나르다이트 광물로 존재한다. 습한 공기 중에서 서서히 미라빌라이트로 변한다. 황산나트륨은 또한 칼슘 나트륨 황산염 광물인 글라우베라이트로도 발견된다. 두 광물 모두 미라빌라이트보다 흔하지 않다.

5. 2. 화학적 생산

세계 황산나트륨 생산량의 약 3분의 1은 화학 산업의 다른 공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진다. 이러한 생산 방식은 1차 공정에 필수적이지만, 경제성은 낮은 편이다. 업계의 노력으로 부산물로서의 황산나트륨 생산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황산나트륨의 주요 화학적 생산은 염산 생산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염화나트륨(소금)과 황산을 반응시키는 만하임 공정이나, 이산화황을 이용하는 하그리브스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된다.[21] 이렇게 생성된 황산나트륨은 '''소금 케이크'''라고 불린다.

  • 만하임 공정:
  • 하그리브스 공정:


과잉의 수산화 나트륨황산으로 중화시켜 황산염을 얻는 공정에서도 황산나트륨이 생산된다. 이 방법은 레이온 생산에 대규모로 적용되었으며, 실험실에서도 편리하게 사용된다.

(매우 발열 반응)

과거에는 중크롬산 나트륨 제조 과정에서도 황산나트륨이 부산물로 생성되었다. 또한, 탄산리튬, 킬레이트제, 레조르시놀, 아스코르브산, 실리카 안료, 질산, 페놀 생산 과정에서도 부산물로 생성되거나 생성되었다.[17]

일본의 경우 2004년 황산나트륨(무수물 상당) 생산량은 130,107톤, 공업 소비량은 8,765톤이었다.[38]

6. 형태

무수 황산 나트륨은 희귀 광물인 테나르다이트로 알려져 있으며, 유기 합성에서 건조제로 사용된다.[34] 칠수화 황산 나트륨은 매우 희귀한 형태이다. 십수화 황산 나트륨은 광물 미라빌라이트로 알려져 있으며, 화학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글라우버염이라고도 한다.[33][35]

상압 하에서 무수 황산 나트륨의 녹는점은 884 ℃이며, 상온에서는 무색이고 비중 2.698의 고체로 존재한다. 무수 황산 나트륨은 에 녹으며, 수용액은 중성을 나타낸다.[34]

황산 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에서 상온에서 결정화하면, '''황산 나트륨 10수화물'''이 얻어진다. 건조 조작을 하지 않으면 이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10수화물은 '''망초''',[32] '''글라우버 염''',[33] '''미라빌라이트'''[35]라고 불리며, 10수화물의 비중은 1.464이며, 상온 상압에서는 무색 고체로 존재하며, 물에 녹는다. 전이 온도인 32.38 ℃에서 수화수가 결정수가 된다. 수화물을 건조한 공기 중에 방치하면 풍해되지만,[36] 무수물을 습한 공기 중에 방치하면 수화물이 된다.[34]

황산 나트륨은 물에 대한 용해도의 온도 의존성이 특징적이며, 10수화물과 무수물에서 그 거동이 다르다. 10수화물 (Na2SO4•10H2O)은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용해도가 증가한다. 그러나, 무수물 (Na2SO4)의 용해도는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반대로 용해도가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황산 나트륨의 용해도는 32.38 ℃까지는 계속 올라가는 반면, 더욱 고온으로 하면 조금씩 낮아진다. 이는 저온 영역에서는 10수화물이 석출되는 반면, 고온 영역에서는 무수물이 석출되기 때문이다.

7. 용도

황산 나트륨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무수 황산 나트륨은 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건조제로 사용된다. 10수화물은 완하제로 사용되거나, 방풍통성산, 도핵승기탕 등의 한약에 망초라는 이름으로 배합되기도 한다.[39]

또한 황산 나트륨은 온천에 함유되는 경우가 있는 물질로, 알칼리 금속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을 포함하는 온천을 유산천・유산염천이라고 부른다.[40] 이러한 온천 성분을 모방한 가정용 입욕제에는 탄산수소나트륨과 함께 황산 나트륨이 사용되기도 한다.[41]

일본에서 유통되는 황산 나트륨을 배합한 입욕제의 설명서에는 종종 "욕조를 손상시키는 유황 성분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문구가 있다. 이는 유황천 성분을 모방한 입욕제(유노하나, 무토 610 핫프) 등과는 달리 '''단일 유황을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황산 나트륨 자체는 유황 화합물의 일종이다.

7. 1. 산업 분야

황산 나트륨은 가루 형태의 가정용 세탁 세제에서 충전재(filler)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전 세계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한다. 그러나 가정 소비자들이 황산 나트륨을 포함하지 않는 액체 세제 등으로 전환하면서 이러한 사용은 감소하고 있다. 무수물은 습기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건조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크라프트 공법을 이용한 목재 펄프 제조, 유리 제조 시 청징제, 섬유 제조 과정에서 염색을 돕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7. 1. 1. 제지

크라프트 공법을 이용한 목재 펄프 제조에 사용된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공정에서 나오는 "검은 액"에 존재하는 유기물은 열을 생산하기 위해 연소되며, 이 열은 황산 나트륨을 환원시켜 황화 나트륨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22] 그러나 1960년대 초 크라프트 회수 공정의 열 효율 향상으로 더 효율적인 황 회수가 가능해져 황산 나트륨 보충의 필요성이 대폭 감소했다.[22] 따라서 미국과 캐나다의 펄프 산업에서 황산 나트륨 사용량은 1970년 연간 1400000ton에서 2006년 약 150000ton으로 감소했다.[17]

7. 1. 2. 유리 제조

황산 나트륨은 유리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럽에서는 두 번째로 큰 응용 분야이다. 황산 나트륨은 용융 유리의 작은 기포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청징제로 사용된다.[17] 또한 유리를 융해시키고 정련하는 과정에서 유리 용융물의 뜬 찌꺼기 형성을 방지한다.[17] 유럽의 유리 산업은 1970년부터 2006년까지 연간 110,000톤의 황산 나트륨을 꾸준히 소비했다.[17]

7. 1. 3. 섬유

황산 나트륨은 섬유 제조, 특히 일본에서 중요하며, 이는 가장 큰 적용 분야이다. 황산 나트륨은 용액의 이온 세기를 증가시켜 섬유의 음전하를 감소시킴으로써 염료가 균일하게 침투하도록 돕는다. (확산 이중층 (DDL) 이론은 Gouy와 Chapman에 의해 상세히 설명되었다.) 염화 나트륨과 달리, 황산 나트륨은 염색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강 용기를 부식시키지 않는다. 2006년 일본과 미국에서 이 분야에 약 100000ton이 소비되었다.[17]

7. 2. 식품 산업

황산 나트륨은 식품 착색료의 희석제로 사용된다.[30] 이는 E 넘버 첨가물 '''E514'''로 알려져 있다.

7. 3. 열 저장

황산 나트륨은 높은 열 저장 능력과 32°C의 유리한 상 변화 온도를 가지고 있어 저등급 태양열을 저장하여 나중에 공간 난방에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는 황산 나트륨이 다락방 공간에 배치되는 열 타일에 통합되기도 하고,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태양열로 가열된 물로 둘러싸인 셀에 통합되기도 한다. 상 변화는 효과적인 열 저장을 위해 필요한 물질의 질량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 황산나트륨 10수화물의 융해열은 82 kJ/mol 또는 252 kJ/kg이며[23], 적절한 상의 충분한 물질이 있는 한 온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냉각 응용 분야의 경우, 일반적인 염화 나트륨(NaCl) 염과 황산 나트륨을 혼합하면 융점을 18°C로 낮출 수 있다. NaCl·Na2SO4·10H2O의 융해열은 286 kJ/kg로 약간 증가한다.[24]

7. 4. 소규모 응용

무수 황산 나트륨은 실험실에서 유기 용액에 있는 미량의 물을 제거하는 제습제로 널리 사용된다.[25] 이는 황산 마그네슘보다 효율은 떨어지지만, 작용 속도가 느리다. 약 30°C 이하에서만 효과가 있지만, 화학적으로 불활성이어서 다양한 물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글라우버염(데카하이드레이트)은 하제로 사용된다. 아세트아미노펜 같은 특정 약물을 신체에서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과다 복용 시 사용된다.[26][27]

1953년, 황산 나트륨은 수동 태양열 난방 시스템의 열 저장 용도로 제안되었다. 이는 특이한 용해도 특성과 높은 결정화 열(78.2 kJ/mol)을 활용한 것이다.[28]

황산 나트륨은 창문 제빙, 전분 제조, 카펫 탈취제, 소 사료 첨가제 등으로도 사용된다.

써멀테이크(Thermaltake)는 퀼트 처리된 플라스틱 패드 내부에 황산 나트륨 데카하이드레이트를 넣어 노트북 쿨러(iXoft 노트북 쿨러)를 만들었다. 이 물질은 천천히 액체로 변하고 재순환하며 노트북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고 단열재 역할을 한다.[29]

또한 황산나트륨은 온천에 함유되는 경우가 있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으며, 알칼리 금속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을 포함하는 온천을 통틀어 유산천・유산염천이라고 부른다.[40] 이 온천을 모방한 가정용 입욕제의 성분으로, 탄산수소나트륨과 함께 황산나트륨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41]

8. 안전

황산 나트륨은 일반적으로 무독성으로 알려져 있으나,[44] 주의해서 다룰 필요가 있다. 소량일지라도 일시적인 천식이나 눈의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눈 보호대나 종이형 마스크를 이용하여 예방할 수 있다. 운송에는 제한이 없으며 유럽 연합 위험 규정이나 유럽 연합 안전 규정에 적용되지 않는다.[45] 먼지는 일시적인 천식이나 눈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위험은 눈 보호구와 마스크를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다.[31]

9. 일본에서의 이용

무수물은 습도가 높으면 흡습하기 때문에 건조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0수화물은 완하제로 사용되거나, 방풍통성산, 도핵승기탕 등의 한약의 일부에 망초로서 배합된다[39].

또한 황산나트륨은 온천에 함유되는 경우가 있는 물질로도 알려져 있으며, 알칼리 금속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을 포함하는 온천을 통틀어 유산천・유산염천이라고 부른다[40]. 이 온천을 모방한 가정용 입욕제의 성분으로, 탄산수소나트륨과 함께 황산나트륨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41]. 그런데, 일본에서 유통되는 황산나트륨을 배합한 입욕제의 설명서에는 "욕조를 손상시키는 유황 성분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기술이 종종 보인다. 이것은 유황천의 성분을 모방한 입욕제(유노하나, 무토 610 핫프) 등과는 달리 '''단일 유황을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며, 황산나트륨 자체는 유황 화합물의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ubChem Compound Summary for CID 24436, Sodium sulfate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0-11-02
[2]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anhydrous sodium sulfate Na2SO4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3] 논문 Sodium Sulfates Wiley-VCH
[4] 서적 Water which does not wet hands: The Alchemy of Michael Sendivogius Polish Academy of Sciences
[5] 웹사이트 Glauber, Johann Rudolf http://galileo.rice.[...] The Galileo Project
[6] 문서 Glauber's Salt
[7] 서적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hemical Indust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8]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https://archive.org/[...] CRC Press
[9] 서적 The Merck Index Merck & Co.
[10] 서적 The Chemist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McGraw-Hill
[11]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Alums
[12] 서적 Sodium sulfate: handbook of deposits, processing, properties, and use Academic Press
[13] 서적 Mellor's Comprehensive Treatise on Inorganic and Theoretical Chemistry Longmans
[14] 서적 Solubilities of Inorganic and Metal Organic Compounds Van Nostrand
[15] 논문 Crystal Structure and Entropy of Sodium Sulfate Decahydrate
[16] 논문 The Heat of Hydration of Sodium Sulfate. Low Temperature Heat Capacity and Entropy of Sodium Sulfate Decahydrate
[17] 서적 Sodium sulfate http://www.sriconsul[...] Chemical Economic Handbook SRI Consulting 2006-05
[18] 웹사이트 Statistical compendium Sodium sulfate http://minerals.usgs[...] US Geological Survey, Minerals Information 2007-04-22
[19] 서적 The economics of sodium sulphate Roskill Information Services
[20] 서적 The sodium sulphate business Chem Systems International 1984-11
[21]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2] 서적 Handbook for Pulp and Paper Technologists http://imisrise.tapp[...]
[23] 웹사이트 Phase-Change Materials for Low-Temperature Solar Thermal Applications https://www.eng.mie-[...] 2014-06-19
[24] 웹사이트 Phase-Change Materials for Low-Temperature Solar Thermal Applications https://www.eng.mie-[...] 2014-06-19
[25] 서적 Vogel's Elementary Practical Organic Chemistry 1 Preparations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26] 논문 Absorption of orally administered sodium sulfate in humans
[27] 논문 The Treatment of Acetaminophen Poisoning
[28] 서적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device and a composition of matter for the storage of heat http://v3.espacenet.[...]
[29] 웹사이트 IXoft Specification http://www.thermalta[...] Thermaltake Technology Co., Ltd. 2015-08-15
[30] 웹사이트 Sodium sulfate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http://www.inchem.or[...]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06-06
[31] 웹사이트 MSDS Sodium Sulfate Anhydrous http://hazard.com/ms[...] James T Baker 2007-04-21
[32] 간행물 化学用語辞典 技報堂出版
[33] 간행물 基本外来語辞典 東京堂出版
[34] 문서 JIS K 8987: 2006
[35] 논문 セメント協会
[36] 문서 JIS K 8986: 1994
[37] 특허 硫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2002-04-10
[38] 간행물 日本国 経済産業省・化学工業統計月報
[39] 서적 基礎からの漢方薬: 医療用漢方製剤・構成生薬解説 薬事日報社
[40] 웹사이트 鉱泉分析法指針 https://www.env.go.j[...] 環境省 2009-10-24
[41] 웹사이트 平成15年度小中高の系統的指導法開発実践講座(理科) http://www.center.sp[...] 2016-03-04
[42] 웹사이트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Summary for CID 24436, Sodium sulfate. https://pubchem.ncbi[...] 2020-11-02
[43]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anhydrous sodium sulfate Na2SO4 Akademische Verlagsgesellschaft
[44] 웹인용 Sodium sulfate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http://www.inchem.or[...] 세계 보건 기구 2007-06-06
[45] 웹인용 MSDS Sodium Sulfate Anhydrous http://hazard.com/ms[...] James T Baker 2007-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